KR100416337B1 -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337B1
KR100416337B1 KR10-2002-0012231A KR20020012231A KR100416337B1 KR 100416337 B1 KR100416337 B1 KR 100416337B1 KR 20020012231 A KR20020012231 A KR 20020012231A KR 100416337 B1 KR100416337 B1 KR 10041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weight
infrared
hea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937A (ko
Inventor
임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팍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2238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63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팍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팍스라이프
Priority to KR10-2002-001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3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휴대가 용이하며 대야와 같은 용기가 있는 곳에서는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항문이나 회음부 등에 원적외선을 가하여 치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운모, 옥, 황토 등의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 20∼50중량%와, 연소가 이루어지는 숯, 각종 약초 등을 건조시킨 연소재 분말 40∼80중량%와, 물 30∼50중량%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원적외선 훈열제를 제공한다.
또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동결건조시킨 발열몸체와, 발열몸체에 삽입 고정되고 점화가 이루어지는 심지와, 발열몸체가 설치되는 내열성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훈열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Pyrogen with Far-infrared Ray for Fumigation and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출물질의 분말과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재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훈열을 행할 수 있는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문, 회음부, 사타구니 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약초 만을 삶거나 태워서 증기를 쐬도록 하는 훈증기와 같은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치료하는 데 크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찜질을 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찜질방 및 찜질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신체의 경혈을 따라 뜸을 뜨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지뜸, 쑥뜸기 등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훈증기의 경우에는 사람이 앉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여행 중에는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구입가격도 비싸며, 증기를 쐴뿐이며 원적외선 등에 의한 열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수지뜸이나 쑥뜸기 등의 경우에는 경혈을 따라 특정 지점에 뜸을 뜨는 것은 가능하지만, 넓은 부위에 열을 가하는 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며 대야와 같은 용기가 있는 곳이나 일반적인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항문이나 회음부 등에 원적외선을 가하여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원적외선 훈열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심지를 통하여 점화되면 연소재의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원적외선 방출물질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일정한 영역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원적외선 방출물질의 분말과 연소재 분말을 물과 혼합한 다음 동결건조시키는 원적외선 훈열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관용기와 덮개를 이용하여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원적외선 훈열제는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맥반석, 운모, 옥, 황토 등의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가 이루어지는 숯과 각종 약초 등을 건조시킨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의 함유량은 대략 2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선정하고, 연소재 분말의 함유량은 대략 40∼8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선정하며, 물은 대략 3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분한 양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충분한 훈열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원적외선 방출물질에 비하여 연소재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므로 충분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 상기한 연소재 분말의 함유량이 40중량% 미만이면 연소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완전히 연소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충분한 열량을 얻을 수가 없으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연소가 짧은 시간안에 급속하게 이루어지므로 발열의 지속시간이 짧아지며 연소재에 비하여 원적외선 방출물질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므로 충분한 원적외선 방출량을 얻을 수가 없다.
그리고 상기한 물의 함유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원적외선 방출물질의 분말과 연소재 분말이 소정의 형상으로 뭉쳐지지 않아 제조가 불가능하며, 50중량%를 초과하면 물의 함유량이 너무 많아 건조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은 황토, 맥반석, 운모, 옥 등의 광물질이나 세라믹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정하여 조합 사용한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 방출물질의 함유량 20∼50중량%를 황토 5∼20중량%, 맥반석 5∼20중량%, 운모 5∼20중량%, 옥 5∼2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적정하게 선정하여 혼합 사용한다.
상기에서 원적외선 방출물질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적외선 중에서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8∼11㎛)으로 심층피부의 속 4∼5㎛까지 침달하며, 인체에 흡수될 때 일반적인 열보다 80배나 깊숙하게 피하심층으로 스며들어 작용한다. 또 원적외선은 인체 내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방사되어 세포를 1분에 2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주는 진동작용을 통하여 세포조직을 활성화시키고 생명활동을 보다 왕성하게 한다. 이러한 세포활동과정에서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체온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순환이 활성화되면서 신진대사가 강화되고 조직재생력이 증가되며, 성장촉진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많은 땀이 방출되면서 대발한효과로 인해 각종 유독성 물질, 노폐물 및 중금속류가 배출되며, 혈관내 혈전을 분해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혈액이 맑아지고, pH를 상승시켜 산성화되어가는 체질을 알칼리성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인체의 자기방어능력을 강화시켜 스스로 건강을 회복하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은 발한작용촉진, 통증완화, 중금속제거, 숙면효과, 탈취효과, 방균효과, 곰팡이번식방지, 제습효과, 공기정화효과가 있다.
상기한 연소재 분말은 숯, 각종 약초를 건조시킨 다음 이를 분쇄한 것으로, 하나이상을 선정하여 조합 사용한다. 예를 들면 연소재 분말의 함유량 40∼80중량%를 숯(참숯) 20∼40중량%, 약초 3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적정하게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약초로는 인진쑥, 국화, 향나무, 솔잎 등이 사용 가능하며, 상기한 연소재 분말로는 유황 등의 한약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연소재 분말로는 숯과 각종 약초 이외에도 연소가 이루어지는 다양한 재료의 분말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숯과 각종 약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열의 공급 이외에도 약효가 있는 증기의 공급이라는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원적외선 훈열제는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동결건조시킨 발열몸체와, 상기한 발열몸체에 삽입 고정되고 점화가 이루어지는 심지와, 상기한 발열몸체가 설치되는 내열성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열몸체는 사과형상이나 구형상 등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심지는 가연성이 우수한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받침대는 상기한 발열몸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방사각과 방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주름이 형성되는 특수 종이재로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원적외선 훈열제 제조방법은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운모, 옥, 황토 등의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가 이루어지는 숯과 각종 약초 등을 건조시킨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심지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한 상태로 혼합된 원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발열몸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발열몸체를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일실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과 연소재 분말(14)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건조시킨 발열몸체(10)와, 상기한 발열몸체(10)에 삽입 고정되고 점화가 이루어지는 심지(8)와, 상기한 발열몸체(10)가 설치되는 내열성의 받침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열몸체(10)를 이루는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은 황토, 맥반석, 운모, 옥 등의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한 광물질이나 세라믹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의 함유량은 대략 2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에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의 함유량이 2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경우에 일예로서 황토 5∼20중량%, 맥반석 5∼20중량%, 운모 5∼20중량%, 옥 5∼2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적정하게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발열몸체(10)는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않으면서 친근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사과형상이나 구형상 등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발열몸체(10)의 크기는 휴대용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우황청심환 등과 같은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발열몸체(10)의 크기를 대략 우황청심환과 같은 정도의 크기로 제조하는 경우 발열지속시간은 연소재 분말(14)과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의 함유량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20분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한 발열몸체(10)를 이루는 연소재 분말(14)로는 숯과 각종 약초를 건조시킨 다음 이를 분쇄한 것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연소재 분말(14)은 숯과 각종 약초 이외에도 연소가 이루어지는 다양한 가연성 재료의 분말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숯과 각종 약초를 사용하면 연소열의 공급 이외에도 약효가 있는 성분(증기)의 공급이라는 보다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연소재 분말(14)의 함유량은 대략 40∼8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에서 연소재 분말(14)의 함유량을 40∼8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경우에 일예로서 숯(참숯) 20∼40중량%, 약초 3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적정하게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과 연소재 분말(14)을 혼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물은 대략 30∼50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발열몸체(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포함되는 물은 소정의 형상을 형성한 다음에 건조시켜 상기한 연소재 분말(14)이 연소되는 경우에 발열효과가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이 사용가능하지만, 동결건조법을 이용하는 것이 발열몸체(10)에 포함되는 숯이나 약초 등의 성분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건조시간도 짧게 소요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열몸체(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심지지선(5)과 밑면을 지지하는 바닥판(4)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닥판(4)은 상기한 받침대(2)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어 상기한 발열몸체(10)가 받침대(2) 외부로 이탈되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중심지지선(5)과 바닥판(4)을 상기한 연소재 분말(14)이 연소되는 경우에 함께 연소되지 않도록 난연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사용이 끝난 후에도 발열몸체(10)를 지지하고 있어 발열몸체(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받침대(2)는 상기한 발열몸체(1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방사각과 방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주름이 형성되는 특수 종이재로 형성한다. 상기한 받침대(2)는 물에 젖지 않으면서 물위에 뜰 수 있도록 내유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2)를 내유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면, 좌변기나 욕실바닥, 요강, 대야 등과 같이 수분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심지(8)는 가연성이 우수한 종이재로 형성한다. 상기한 심지(8)는 상기한 연소재 분말(14)에 불이 붙어 연소가 이루어질 때까지 쉽게 소화가 되지 않도록 가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심지(8)를 잎사귀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과형상으로 형성하는 발열몸체(10)와 어우러저 사용자에게 호감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받침대(2)와 발열몸체(10), 심지(8)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보관할 수 있는 보관용기(20)와 덮개(22)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보관용기(20)와 덮개(22)는 대략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끼워맞춤이나 나사결합에 의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보관용기(20)와 덮개(2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각이나 육각, 팔각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한 보관용기(20)로부터 덮개(22)를 분리하고, 보관용기(20)에 내장된 일체로 결합된 상기한 받침대(2)와 발열몸체(10), 심지(8)를 꺼내어 바닥 또는 좌변기, 대야 등에 상기한 받침대(2)를 놓는다. 이 때 좌변기나 대야 등에 물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받침대(2)가 물위에 뜨므로 연소가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심지(8)에 불을 붙이면, 심지(8)가 타들어가면서 심지(8)에 접촉한 연소재 분말(14)을 연소시키게 되고, 연소재 분말(14)의 연소열에 의해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이 가열되면서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이 때 연소재 분말(14)이 연소되면서 숯과 약초로부터 약연이 방출된다.
상기와 같이 연소재 분말(14)의 연소가 계속하여 진행되는 동안에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연소재 분말(14)이 모두 연소되고 소화된 다음에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의 가열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연소재 분말(14)의 연소와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12)로부터의 원적외선 방출이 진행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욕실바닥, 좌변기 또는 대야 위쪽에 앉은 상태로 항문이나 회음부 부위에 원적외선을 쐬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여행중에도 손쉽게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국부적으로 원적외선을 쐬기 어려운 부위인 항문이나 회음부 부위에도 원적외선을 쐬서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에 의하면, 치료에 적당한 10∼20분동안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지속되므로 건강증진을 위한 간접 회음뜸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에 의하면, 가열을 위한 별도의 기계장치나 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별로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훈열제에 의하면, 사용후에 재가 날리지 않고 폐품의 뒤처리도 매우 용이하며, 순수한 천연재료를 이용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운모, 옥, 황토 등의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가 이루어지는 숯, 약쑥, 각종 약초 등을 건조시킨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의 함유량은 20∼50중량%의 범위에서 선정하고,
    상기한 연소재 분말의 함유량은 40∼80중량%의 범위에서 선정하고,
    상기한 물의 함유량은 30∼50중량%의 범위에서 선정하고,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은 황토 5∼20중량%, 맥반석 5∼20중량%, 운모 5∼20중량%, 옥 5∼20중량%의 범위에서 선정하고,
    상기한 연소재 분말은 숯 20∼40중량%, 약초 30∼50중량%의 범위에서 선정하는 원적외선 훈열제.
  4.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건조시킨 발열몸체와,
    상기한 발열몸체에 삽입 고정되고 점화가 이루어지는 심지와,
    상기한 발열몸체가 설치되는 내열성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훈열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은 황토, 맥반석, 운모, 옥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20∼5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상기한 연소재 분말은 숯, 약쑥, 약초 중에서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40∼8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상기한 물은 30∼5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훈열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열몸체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심지지선과, 밑면을 지지하며 상기한 중심지지선이 고정되고 상기한 받침대에 고정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원적외선 훈열제.
  7.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운모, 옥, 황토 중의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출물질 분말과 연소가 이루어지는 숯, 약쑥, 약초 중의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재 분말과 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심지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한 상태로 상기한 혼합된 원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발열몸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발열몸체를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훈열제 제조방법.
KR10-2002-0012231A 2002-03-07 2002-03-07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31A KR100416337B1 (ko) 2002-03-07 2002-03-07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31A KR100416337B1 (ko) 2002-03-07 2002-03-07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37A KR20030072937A (ko) 2003-09-19
KR100416337B1 true KR100416337B1 (ko) 2004-01-31

Family

ID=3222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231A KR100416337B1 (ko) 2002-03-07 2002-03-07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41B1 (ko) * 2007-09-13 2008-10-28 배삼훈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KR100939797B1 (ko) 2009-08-05 2010-02-02 옥황바이오 주식회사 뜸질용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21A (ko) * 1998-02-26 1999-09-27 박성기 무연 약쑥탄 제조방법
KR200211113Y1 (ko) * 2000-06-20 2001-01-15 함승하 약쑥을 이용한 여성용 훈연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21A (ko) * 1998-02-26 1999-09-27 박성기 무연 약쑥탄 제조방법
KR200211113Y1 (ko) * 2000-06-20 2001-01-15 함승하 약쑥을 이용한 여성용 훈연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41B1 (ko) * 2007-09-13 2008-10-28 배삼훈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KR100939797B1 (ko) 2009-08-05 2010-02-02 옥황바이오 주식회사 뜸질용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37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0533B2 (ja) 電気温灸器
JP2954359B2 (ja) ヨモギモグサ灸装置
KR200180419Y1 (ko) 약쑥과 솔잎을 내장한 토굴형태의 황토찜질방구조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KR20110004002U (ko) 무연 황토 쑥뜸기
KR20110007331U (ko)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KR100416337B1 (ko)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1286532A (ja) 温熱滋養灸
KR101639284B1 (ko)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KR100227816B1 (ko) 쑥뜸기
KR20070105845A (ko)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
CN205729780U (zh) 砭灸养生炉
KR20080001273U (ko) 뜸 치료기
KR101831287B1 (ko) 알루미늄 박지 주름갓이 내삽된 좌훈용 종이컵
KR20100006225U (ko) 훈증기
KR20070109609A (ko) 쑥뜸기 및 이를 이용한 쑥뜸방법
JP3161762B2 (ja) 無煙無臭灸成形物の製造方法
JPH0271767A (ja) 遠赤外線放射固形温灸体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200211113Y1 (ko) 약쑥을 이용한 여성용 훈연제
KR200244813Y1 (ko) 뜸 치료기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KR20120060559A (ko) 쑥뜸용 쑥봉
KR200233135Y1 (ko) 숯봉을이용한원적외선찜치유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408

Effective date: 200604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08

Effective date: 200604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075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08

Effective date: 200604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076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408

Effective date: 200604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4765; INVALID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601

Effective date: 200703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476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601

Effective date: 2007032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