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845A -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 - Google Patents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845A
KR20070105845A KR1020070028982A KR20070028982A KR20070105845A KR 20070105845 A KR20070105845 A KR 20070105845A KR 1020070028982 A KR1020070028982 A KR 1020070028982A KR 20070028982 A KR20070028982 A KR 20070028982A KR 20070105845 A KR20070105845 A KR 2007010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mat
pac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모
Original Assignee
김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모 filed Critical 김정모
Publication of KR2007010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87Ions; Pro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원은 쑥 팩에 내장된 쑥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가온시킴에 있어, 종래와 같이 기계적 작용에 의한 뜸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발열조성물을 포함하는 발열 팩과 쑥 팩을 결합시켜 뜸 기구를 구성하여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쑥 뜸 효과를 갖는 뜸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쑥 팩은 쑥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면서 쑥과 함께 황토성분 및 숯을 함유시킨 쑥 매트 형식으로 제공하여, 황토성분이 갖는 원적외선 방출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쑥 팩에 조성된 쑥의 약효성분을 피하 심층부까지 침투하도록 도와주며 숯 성분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효과를 동시에 발휘케 하여 쑥 뜸의 효능을 최적화시켜 쑥 뜸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여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기여하는 뜸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의 목적을 갖는다.
발열체, 발열팩.

Description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omitted}
도 1 (a)본원의 장방체형 발열 팩의 사시도.
도 1 (b) 본원의 장방체형 쑥 매트의 사시도.
도 2 : 본원의 장방체형 발열 팩과 쑥 매트의 조립상태 뜸 기구 구조도.
도 3 (a) 본원의 원기둥체 발열 팩과 쑥 매트의 조립상태 뜸 기구 사시도.
도 3 (b) 본원의 원기둥체 발열 팩 사시도.
도 3 (c) 본원의 원기둥체 쑥 매트의 조립 전 상태 사시도.
도 3 (d) 본원의 원기둥체 쑥 매트를 감은 상태 사시도.
도 4 (a) 본원의 원기둥체 뜸 기구를 이용하여 팬티에 적용한 상태도.
도 4 (b) 본원의 원기둥체 뜸 기구를 적용하기 전 팬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장방형체 쑥 매트 11 : 접착제
13 : 접착부위 이형필름 14 : 발열 팩 측 이형필름
15 : 쑥 뜸 조성물 20 : 발열 팩
21 : 미세 통기공 22 : 접착부
23, (53) : 발열체 30, (30') : 진공포장 비닐용기
40 : 장방형체 쑥 뜸구 50 : 원기둥체 발열 팩
51 : 미세 통기공 60 : 쑥 매트
61 : 중공부 62 : 이형지
70 : 원기둥체 뜸 기구 80 : 여성용 팬티
81 : 뜸 기구 보관주머니
본원은 발열 팩과 쑥 팩을 결합하여 쑥 뜸 기구를 구성하여, 상기 쑥 뜸 기구를 인체의 피부에 부착하거나 여성용 팬티의 소정위치의 수용부에 삽입하여 일정한 열로서 쑥 팩의 약효성분을 발산하여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하고자 하는것이다.
종래의 쑥뜸 방법은, 쑥 뜸구를 신체의 경혈 부위에 맞추어 배열한 후 쑥을 연소시켜 열과 쑥의 약효성분을 환부에 전달시키고자 하는 것인데, 뜸을 하는 동안, 뜨거운 열기로 인해 피부가 가벼운 화상을 입게 되어 고통스럽고 피부에 뜸 자리가 남게 되므로 환자가 긴장하여 모세혈관이 수축됨으로써 오히려 혈압이 오르고 질병이 악화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쑥의 연소 시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쑥 뜸이란 주성분인 쑥의 약효성분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효능은 진통작용, 지혈작용, 항염증(亢炎症)작용, 자율신경조절, 인체의 면역력 강화 등의 약리적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져 있고, 고대부터 전래되는 한방시술로서 옛 부터 우리민족이 즐겨 사용해온 한방치료방법의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쑥뜸에는 직접구를 이용하는 경우, 피부에 쑥 기둥을 부착하고 상기 쑥에 점화하여 쑥 불이 피부를 살짝 태우는 방법으로 여성이나 연소자 등은 이 방법을 기피하고 있고, 간접구는 소금, 마늘 또는 뜸 받침대 위에 쑥 기둥을 형성하여 상기 쑥에 점화하여 환자의 피부에 쑥 불이 닿기 전에 진화하여 쑥 불의 간접적인 열에 의하여, 질병을 치료 예방하는 방법이나 간접구는 시술자가 뜸 시술하는 동안 쑥 불을 계속 주시하여 관찰하는 도중에 쑥 불꽃이 환자의 피부에 닿기 전에 쑥 재료를 새 것으로 매번 교체시켜 주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 등 불편함을 초래한다.
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뜸을 하는 동안, 뜨거운 열기로 인해 피부화상을 방지하기 위한 쑥뜸 기구가 다수 제안되어 있는바, 종래에 개시된 쑥뜸기 구성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165427호에서는 쑥봉 받침판과 손잡이 돌출부를 임의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영구자석을 승, 하강시킴으로 어떠한 임의의 위치에서도 견고하게 쑥봉 받침판을 고정하고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고, 공개실용신안 제1999-13883호에서는 쑥 받침통을 고정하고 구멍의 크기를 줄여 뜨거운 재가 피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몸체로 전달되는 열을 최대한 줄여 피부에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쑥 뜸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기계적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또한 대기 중의 공기와 반응하여 발열을 하는 발열조성물은 일본특허공개공 보 제89319477호(A2), 일본특허공개공보 제61126019호(A2) 등과 미국특허공보 제4366804호, 미국특허공보 제4649895호 등에 이미 공개되어 있는 기술로서 금속성 분말, 활성탄 및 무기 전해질을 주성분으로 제공된다.
산소와의 산화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금속성 분말은 철 분말, 아연 분말, 알루미늄 분말 또는 마그네슘 분말 혹은 이들의 2종 이상의 금속분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의 분말, 또한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금속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수제는 규소계, 석탄계, 탄소계 및 흡수성을 나타내는 무기물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무기물 중에서 목탄으로부터 제조된 활성탄이 유용하게 이용되며, 산화반응의 촉매물질인 무기전해질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중금속의 염화물 및 알칼리 금속의 황산염 등이 사용 가능함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본원은 종래와 같은 쑥을 사용하는 쑥 뜸을 수행하여 진통작용, 지혈작용, 항염증(亢炎症)작용, 자율신경조절, 인체의 면역력 강화 등의 약리적 효과를 얻기 위한 한방 쑥뜸을 수행할 시 기계적 작용에 의한 뜸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발열조성물을 포함하는 발열 팩과 쑥 팩을 결합시켜 뜸 기구를 구성하여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쑥뜸 효과를 얻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람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쑥 성분을 이용하는 쑥 뜸구에 관한 것으로, 쑥 조성물을 포함하는 쑥 매트와 쑥 매트를 가온시키기 위한 구조로 발열 팩을 이 용하는 구조로 쑥 매트와 발열 팩이 결합되어 진공상태로 밀봉되어 쑥 뜸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쑥 뜸구의 밀봉을 해제시켜 발열 팩이 공기와 반응하여 발열토록 하여 쑥 뜸 효과를 얻는 뜸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쑥 팩은 쑥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면서 쑥과 함께 황토성분 및 숯을 함유한 쑥 매트 형식으로 제공하여, 황토성분이 갖는 원적외선 방출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쑥 팩에 조성된 쑥의 약효성분을 피하 심층부까지 침투하도록 도와주며 숯 성분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효과를 동시에 발휘케 하여 쑥 뜸의 효능을 최적화시켜 쑥 뜸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여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기여하는 뜸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의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발열 팩을 이용한 2종 류의 뜸 기구로 구체화되어 이용될 수 있는바, 장방형체형 뜸 기구와 원기둥체형의 뜸 기구 형식으로 구체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스형상의 뜸 기구는 일측으로 발열 팩과 타측으로 쑥 매트가 결합되는 구조로 뜸 기구를 구성하되, 장방체형의 발열 팩은 쑥 매트를 감싸주는 정도의 크기로 제공되고, 쑥 매트는 일측으로 쑥의 약효성분이 합침된 쑥 팩의 외주연부로 접착제가 도포된 후 이형지로 감싼 구조로 쑥 매트가 제공되면서 장방형파스형태 등의 형상을 갖고 그 외부를 밀봉시키는 구조로 파스형상의 뜸 기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원기둥체형의 뜸 기구는 원기둥형으로 발열 팩을 이루고 발열팩의 원주곡면 외측으로 쑥의 약효성분이 합침된 쑥 팩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형지로 감싼 후 밀봉되어 원기둥체형의 뜸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뜸 기구들은 각 각 진공포장 비닐 포장용기에 내재 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되다가 사용 시 밀봉을 해제한 후 파스형상의 뜸 기구는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기둥체 뜸 기구는 여성용 팬티의 중앙부위의 소정위치에 있는 수용부에 삽입되어 부인과(婦人科)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쑥 뜸 조성물에는 기본 원료물질인 약쑥과 황토 흙과 숯 가루를 약 6 : 3 : 1 정도의 비율로 배합하여 이용하고자 하였는바, 이하에서 쑥 뜸 조성물의 기본 원료물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쑥은 국화과(菊花科)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약 30여 종류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아주 오랜 옛날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쑥은 그 성질이 따뜻하며 맛은 쓰고 독이 없으며,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양질의 미네랄, 그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고, 쑥의 생잎 100g 중에는 단백질 7.7g, 섬유질 3.3g, 회분은 2.0g, 그리고 칼슘 140㎎, 인이 70㎎, 비타민 B1 0.12㎎, 비타민 B2 0.23㎎, 비타민C 22㎎, 비타민 A는 7940IU, 철분이 10.9㎎과 그 외에는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쑥은 생명력이 강하여 메마른 땅에서도 비료나 농약이 전혀 없이 스스로 잘 자라는 완전 무공해의 식물로서 강한 알칼리성 식품이므로 산성 체질을 개선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누구든지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식물로서, 쑥에는 치네올, 콜린, 유칼리프톨, 아데닌, 모노기신, 아르테미신 등의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강한 청혈, 해독, 항균 강장, 강정, 소염, 진통, 면역, 이뇨, 지혈, 식욕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쑥은 약용과 다양한 먹거리로 이용되며 또한 입욕제, 방향제 및 쑥 뜸에도 사용되는 만능의 식물이다.
본원의 쑥 뜸 조성물에서는 또한 황토 흙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황토는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즐겨 사용해오던 소재로서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생명광선이라 불리우는 원적외선을 대량 흡수하고 방출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원적외선은 혈액흐름의 촉진, 발한 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분리 축출, 진정 및 안정작용, 방균효과, 탈취효과, 공기청정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본원의 쑥 뜸 조성물에서는 황토성분이 갖는 원적외선 방출특성을 이용하여 본원의 쑥 팩에 조성된 쑥의 약효성분을 피하 심층부까지 침투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원의 쑥 뜸 조성물에서는 또한 숯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숯에는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음이온은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촉진, 세포기능 활성화, 생육촉진 작용을 가지며, 또한 다공질로서 유해한 불순물을 흡착시키고 악취를 제거해 주는 항균 탈취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원의 쑥 뜸 조성물은 쑥의 약리효과와 황토성분이 갖는 원적외선 방출특성과 숯 성분이 갖는 항균 탈취 효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쑥 뜸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본원의 쑥 매트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조성물은 외국의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미세철분 50.0 %, 활성탄 13.0 %, 용융소금 6.0%, 물 24.0% 및 규조토 7.0% 구성된 혼합물 50g을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발열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발열체 조성비율이 공기 중에서 서서히 산화하도록 발열 팩의 포장필름은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도록 0.1 ~ 0.3 ㎜ 범위의 미세공(pore)이 0.5 ∼ 5 ㎜ 간격으로 제공되는 포장필름이 사용되어 공기와의 접촉량을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발열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열팩을 비벼주거나 주물러 줘서 공기접촉량을 늘려주면 고온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겸하여 상기의 쑥 뜸 조성물을 이용하여 3가지 유형의 뜸 기구를 예시하여 제공하고자 하는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와 (b)는 본원에 의한 장방체형 발열 팩(20)과 쑥 매트(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의 장방형체 발열 팩(20)과 쑥 매트(10)가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 내에 조립되어 보관된 상태의 장방형체 뜸 기구(40)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2에 일 실시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발열 팩(20)과 장방형 쑥매트(10)가 결합되어 된 구조의 뜸 기구(40)를 더욱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장방형 발열 팩(20)은 미세 통기공(21)를 갖는 발열부와 발열부의 외부를 감싸 접착시킨 접 착부(22)로 구성되며 발열 팩(20) 내부로는 발열체(23)가 내장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장방형 쑥 매트(10)는 전체적으로 접착제(11)가 도포되고, 접착제(11)가 도포되어 진 중앙부로는 쑥, 황토, 숯으로 조성된 쑥 뜸 조성물(15)이 적재되고 쑥매트(10) 외부로는 이형지나 이형필름(13)이 쑥 뜸 조성물(15)과 접착제(11)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접합시킨 구조로 제공되며 발열 팩(20)의 외측으로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가 만약의 경우 터질 경우 발열 팩(20)을 보호하기 위해 종이덮개나 이형필름(14)으로 발열 팩(20)을 감싸주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는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 내에 원기둥체 발열 팩(50)과 쑥 매트(60)가 조립된 상태의 원기둥체 뜸 기구(7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원기둥체 발열 팩 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c)는 좌측의 도면은 중공부(61) 형상을 갖는 펼쳐진 상태의 쑥 매트(60)의 조립 전의 상태이고 우측은 쑥 매트(60)를 원기둥형으로 말은 상태의 쑥 매트(60)의 사시도이다.
따라서 도 3의 원기둥체 뜸 기구(70)는 내부 중심으로 발열조성물을 내장한 발열 팩(50)이 위치하고 원기둥체 발열 팩(50)은 미세 통기공(51)을 갖고 발열팩(50) 내부로는 발열체(53)가 내장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발열 팩(50)의 외부를 쑥 매트(60)가 감싸고 쑥 매트(60)를 다시 이형지나 이형필름(62)이 둘려진 상태로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 내에 보관되었다가, 필요 시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를 뜯고, 이형필름(62)을 떼어낸 후 사용하게 되면 쑥 매트(60)의 중공부(61)를 통하여 발열 팩(50)내부의 발열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발열을 이루게 되는 원기둥체 뜸 기구(7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는 여성용 팬티의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상기 팬티의 내부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원기둥체 뜸 기구(70)가 도 4에 도시된 여성용 팬티(80)의 국부부위로 원기둥체 뜸 기구 보관주머니(81)를 만들어서 원기둥체 뜸 기구(70)가 팬티(80)의 뜸 기구 보관주머니(81)에 담겨지고 여성이 걷거나 활동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발열체를 비벼주는 발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사상을 갖고 뜸 기구를 제공하게 되면, 본원의 기술사상은 장방체형의 발열 팩에 별도의 쑥 매트를 사용하지 않고 발열 팩의 일측 면에 쑥과 황토,숯을 니상으로 도포시켜 파스형태로 제공하고 그 외부를 종이나 필름의 이형지(14)로 감싸는 구조의 간단한 구성으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인바, 본원의 기술사상은 도 1, 2와 같이 발열 팩과 쑥 매트를 파스형태와 같이 장방형으로 결합시켜 제공되는 뜸 기구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도 3, 4와 같이 발열 팩과 쑥 매트를 원기둥형으로 결합시켜 여성용 팬티 속에 내장하는 구조로 뜸 기구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별도의 쑥 매트를 사용하지 않고 발열 팩의 일측 면에 쑥과 황토,숯을 니상으로 도포시켜 파스형태로 제공하고 그 외부를 종이나 필름의 이형지(14)로 감싸는 구조의 간단한 구성으로 뜸 기구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3 가지 유형의 뜸 기구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에 의한 뜸 기구의 작용효과 다음과 같다.
본원에 의한 장방체형 뜸 기구에 있어서, 밀폐된 진공포장 비닐용기(25)를 개봉하고 종이덮게(14)를 발열팩(20)에서 분리시키면 유입된 공기가 통기구(21)를 통하여 발열 팩 내부의 발열체(23)와 발열작용을 하고, 발열체 조성비율은 공기 중에서 서서히 산화하도록 배합되고 발열 팩의 포장필름은 가스투과성이 조절되도록 0.1 ~ 0.3 ㎜ 범위의 미세공(pore)이 0.5 ~ 5 mm 간격으로 제공되는 포장필름이 사용되어 공기와의 접촉량을 조절하여 사용됨으로 일정한 온도로 방열한 때에 인접한 쑥 매트(10)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매트 내에 침투되어있는 쑥,황토,숯의 성분(15)을 약리작용에 의하여 쑥 뜸을 실시하게 되며, 특히 쑥 뜸 조성물에 황토성분이 포함되어 가열 시에 쑥 뜸 조성물에 포함된 황토성분의 원적외선 방출효과 작용으로 피하 심층부까지 약효 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는 쑥 뜸기구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발열 팩의 일측면 도포된 니상의 조성물로 제공되는 뜸 기구는 진공밀폐된 포장용기(30)를 개봉하므로서 발열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발열을 이루게되며 약 성분을 인체에 침투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발열조성물은 미세철분 50.0 %, 활성탄 13.0 %, 용융소금 6.0%, 물 24.0% 및 규조토 7.0% 구성된 발열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 조성에 구애될 필요는 없으며, 발열체를 감싸는 발열 팩의 포장필름에 공기투과성이 조절되도록 0.1 ∼ 0.3 ㎜ 범위의 미세공(pore)이 0.5 ~ 5 ㎜ 간격으로 제공되는 포장필름의 공기와의 접촉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발열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열팩을 비벼주거나 주물러 줘서 공기접촉량을 늘려주면 고온을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원기둥체형 뜸 기구(70)의 경우에는 진공 포장된 비닐용기(30')를 개봉하고 쑥 매트(60)를 감싼 이형지(62)를 벗겨내면 쑥 매트의 통기구(61)를 통하여 발열 팩(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의 발열체가 발열을 시작하게 되고, 걷거나 움직임으로 발열 팩(50)을 비벼주는 효과를 갖게 하여 쑥의 조성물(11)의 약리작용을 돕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원은 쑥매트에 쑥, 황토, 숯을 침투시키는 것과 상기 성분을 니 상으로 만들어 발열 팩 또는 쑥 매트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피하에 쑥 뜸의 효과는 물론 원적외선의 발산으로 인한 황토의 성분에 의해 인체의 신진대사, 세포의 조직력 향상의 효과와 숯의 음이온 방출 등의 효과를 얻는록 제공된다.
또한 본원의 원기둥체 뜸 기구는 여성 팬티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성분을 발휘하여 여성의 자궁질환, 질염 등을 치료 및 예방하는 뜸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은 거추장스러운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쑥 뜸 효과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온도유지 및 약쑥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쑥 뜸 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쑥 성분을 이용하는 쑥 뜸구에 있어서,
    쑥 조성물을 포함하는 쑥 매트와 쑥 매트를 가온시키기 위한 구조로 발열 팩을 이용하는 구조로 쑥 매트와 발열 팩이 결합되어 진공상태로 밀봉되어 쑥 뜸구가 제공되고, 사용시에는 쑥 뜸구의 밀봉을 해제시켜 발열 팩이 공기와 반응하여 온열쑥뜸을 실시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뜸구는 장방형 발열 팩(20)과 장방형 쑥 매트(10)가 결합되어 장방형으로 제공되되, 장방형 발열 팩(20)의 중심부는 발열체(23)가 내장되고 발열체(23)는 미세 통기구(21)를 갖는 비닐포장재에 감싸지며 발열체(23)의 외곽은 접착시킨 접착부(22)로 구성되며, 장방형 쑥 매트(10)는 전체적으로 접착제(11)가 도포되고, 접척제(11)가 도포되어 진 중앙부로는 쑥, 황토, 숯으로 조성된 쑥 뜸 조성물(15)이 적재되고 쑥 매트(10) 외부로는 이형지(13)가 쑥 뜸 조성물(15)과 접착제(11) 외부를 감싼 구조로 제공되어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로 밀봉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뜸구는 원기둥체 발열 팩(50)과 쑥 매트(60)가 결합되어 원기둥체로 제공되되, 뜸 기구 중심부로 발열조성물을 내장한 발열 팩(50)이 위치하고 원기둥체 발열 팩(50)은 미세 통기구(51)를 갖고 발열 팩(50) 내부로는 발열체(53)가 내장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발열 팩(50)의 외부는 통기공(61)를 갖는 쑥 매트(60)가 감싸고 쑥 매트(60)의 외부는 다시 이형지(62)가 감싼 구조로 제공되어 진공포장된 비닐용기(30')로 밀봉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뜸구.
  4. 제3항의 원기둥체 뜸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성용 팬티(80)의 국부부위로 원기둥체 뜸 기구 보관주머니(81)를 만들어서 원기둥체 뜸 기구(70)를 팬티(80)의 뜸 기구 보관주머니(81)에 담아서 이용자가 걷거나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열체를 비벼주며 가온 효과를 얻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기둥체 뜸 기구의 이용방법.
KR1020070028982A 2006-04-26 2007-03-22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 KR20070105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61 2006-04-26
KR2020060011161 2006-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45A true KR20070105845A (ko) 2007-10-31

Family

ID=3881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982A KR20070105845A (ko) 2006-04-26 2007-03-22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8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36A (ko) 2015-06-01 2016-12-09 강경완 한방의료용 뜸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2312099B1 (ko) * 2020-11-16 2021-10-14 박리베 복부 온열 패치
KR20230011782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코리아닥터 개똥쑥 한방뜸 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36A (ko) 2015-06-01 2016-12-09 강경완 한방의료용 뜸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2312099B1 (ko) * 2020-11-16 2021-10-14 박리베 복부 온열 패치
KR20230011782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코리아닥터 개똥쑥 한방뜸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837B1 (ko) 자체발열 보온필름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페이스 마스크와 아이 마스크
CN105769550B (zh) 一种含挥发油包合物的温灸穴位贴
CN1195299A (zh) 艾灸器械
KR101649370B1 (ko) 여성용 패드에 사용되는 좌훈효과를 갖는 한방 발열팩 및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70105845A (ko) 발열 팩에 의한 뜸 기구
KR20110007331U (ko)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JP2001286532A (ja) 温熱滋養灸
KR102312099B1 (ko) 복부 온열 패치
KR101469958B1 (ko) 황토찜질팩
KR100227816B1 (ko) 쑥뜸기
TW201808252A (zh) 可置換藥片警報型艾炙盒
JP2860088B2 (ja) 温灸用具
KR100416337B1 (ko)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78880Y1 (ko) 대나무 숯 나노세라믹 뜸
CN215900070U (zh) 一种沉香蒸汽眼罩
KR100609607B1 (ko) 쑥뜸기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CN210873003U (zh) 一种隔物灸理疗器具
KR200326403Y1 (ko) 기능성 물질이 충전된 은제 항균 지압 침관
KR100339022B1 (ko) 수화반응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쑥뜸제제 및 그 구조
JP2000254205A (ja) 温熱灸
KR200323870Y1 (ko) 안면용 방향 맛사지팩
KR200343133Y1 (ko) 기능성 신발 깔창
KR200178656Y1 (ko) 훈약재가 내장된 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