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287Y1 - 쑥뜸구 - Google Patents

쑥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287Y1
KR200212287Y1 KR2020000024617U KR20000024617U KR200212287Y1 KR 200212287 Y1 KR200212287 Y1 KR 200212287Y1 KR 2020000024617 U KR2020000024617 U KR 2020000024617U KR 20000024617 U KR20000024617 U KR 20000024617U KR 200212287 Y1 KR200212287 Y1 KR 200212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ugwort
moxibustion
main suppor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한
Original Assignee
박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한 filed Critical 박광한
Priority to KR2020000024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287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공간으로 형성되는 원뿔형 쑥관을 시술부위에 접촉시키는 쑥관 받침과 피시술자의 피부 사이 간격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주받침(10)과 그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부받침(12)으로 분할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일정 두께를 가진 간격 조절판(22)이 다수 개삽될 수 있는 구조로 된 쑥뜸구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뜸 시술 시 환부와 쑥관의 하부 사이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뜨꺼움을 느끼지 않으면서 쑥뜸 시술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쑥뜸구{MOXA CAUTERY DEVICE}
본 고안은 쑥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뜸 시술부위와 쑥관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쑥뜸구에 관한 것이다.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한방에서는 그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나 오래 된 여러 가지 병과 부인의 붕루를 낫게 하여 안태를 시키고 복통을 멎게 하며 적리와 백리, 오장치루로 피를 쏟는 병, 하부의 의창 등에 효험이 있고 새살이 잘 돋게 하며 풍한을 막아주는 효능이 있는 것이라 전하고 있다.
그 밖에도 민간요법에서 인정받고 있는 쑥의 효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아 음기를 붇돋고 곽란을 멈추게 하며, 피부에 윤기와 활력을 주고, 혈색을 좋게 함과 동시에 생리 불순을 고치거나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의 약리 작용을 이용한 민간 요법 중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은 쑥뜸이며, 이 쑥뜸은 시술부위에 직접 접촉시켜 행하는 직접 뜸과, 시술부위에 마늘, 생강, 부자, 소금 등을 올려 놓고 뜸을 뜨거나 쑥관 받침이나 열기구를 이용하여 행하는 간접 뜸이 알려져 있다. 상기 직접 뜸은 살갗을 태우는 관계로 고통과 화상이 뒤따르는 관계로 기피되고 현재에는 쑥관 받침을 통해 뜸이 전달되게 하는 간접 뜸이 성행하고 있다.
널리 실용화되고 있는 간접 뜸은 여러 가지 방식이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등록 공고번호 90-6232, 93-17, 96-6876 등과 같이 도덧 모양의 쑥관 받침에 애융으로 만들어진 쑥관을 삽입하여 정치시킨 구조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예시한 종류의 쑥뜸구는 쑥관이 받침에 의해 살갗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는 구조가 공통점이며, 그 중에서 등록 공고번호 96-6876은 살갗이 데지 않도록 비교적 폭 넓은 간격으로 쑥관이 놓여지게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고, 또 한편으로 93-17은 나사 조절을 통하여 쑥관과 살갗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 공고번호 96-6876은 시술 시에 쑥관 하부와 살갗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정해지는 관계로 피시술자의 취향에 부응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 공고번호 93-17은 나사 조절을 통해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실제 제품화하기가 곤란하여 실용성이 없다. 즉 받침은 열 전도 효과가 낮은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는 것인데 개시된 구조와 같이 나사 가공되려면 금속이나 합성수지이어야 하고, 금속의 경우는 열 전도성이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며, 합성수지재는 쑥관에 의해 편승 연소될 때에 공해 물질을 발산하고 불쾌한 냄새를 발산하게 되므로 좋지 않다.
받침으로 가장 바람직한 재질은 세라믹 계통, 돌, 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종류는 단시간에 열전도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서 사용 중에 화상을 유발하지 않고, 또 원적외선 방출량이 높아 쑥뜸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는 쑥의 약리 성분이 신속히 퍼지게 하여 주는 작용을 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세라믹, 돌, 옥은 나사 가공하기가 곤란하므로 이들을 소재로 한 쑥뜸구는 간격 조절을 위한 구조를 갖추기가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공하기 용이하고 쑥관과 피부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쑥뜸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중앙에 통공이 뚫리고 일정 두께를 가진 바닥과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에서 직교 연장된 주벽으로 이루어진 주받침과, 이 주받침을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주받침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춘 외벽을 보유하고 내측에는 중심에 통공이 뚫린 일정 두께의 바닥으로 이루어진 부받침, 그리고 일정 두께를 가진 도넛상의 간격 조절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받침과 부받침 사이는 간격 조절링에 의해 임의 간격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주받침에 놓여지는 쑥관의 하단과 피시술자의 살갗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나사 등의 성형이 곤란한 형상이 없는 것이므로 세라믹 계통, 돌, 옥 등을 소재로 하여도 쉽게 제조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쑥뜸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쑥관 4, 14 : 통공
6, 16 : 바닥 8 : 주벽
9, 21 : 배기홈 10 : 주받침
12 : 부받침 20 : 외벽
22 : 간격 조절판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쑥뜸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보통 원추형으로 빚어지는 쑥관(2)은 통공(4)이 중앙에 뚫려진 바닥(6)을 보유하고 이 바닥(6)에서 주벽(6)이 직교 연장된 구조의 주받침(10)으로 얹어지게 된다.
즉, 상기 쑥관(2)의 하단부 외경을 상기 주받침(10)의 주벽(8) 내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바닥(6)으로 얹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닥(6)은 일정 두께를 갖추고 있는 것이므로 주받침(10)만으로도 쑥뜸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쑥뜸은 주받침(10)을 피시술부위에 얹고 쑥관(2)의 꼭지에 불을 댕기는 것으로 행해지는 것이며, 이 때 쑥관(2)의 연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연기는 상기 주받침(10)의 밑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기홈(9)을 타고 흘러 나오게 된다. 이 배기홈(9)은 중앙의 통공(4)과 연통되어 있고 이와 같이 행해지는 배연 효과는 쑥뜸 자리가 노랗게 물 드는 일이 없게 해준다.
본 고안의 쑥뜸구는 상기 주받침(10)과 동일한 형태이고 다만 내경만 크게 설정된 부받침(12)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 부받침(12)도 중앙에 통공(14)이 뚫린 바닥(16)을 갖추고 있고 이 바닥(16)에서 직교 연장된 외벽(20)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만 상기 외벽(20)의 내경은 주받침(10)의 주벽(8)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주받침(10)을 부받침(12)의 내부로 수납하여 포개 놓을 수 있게 된 것이며, 밑면에는 쑥뜸 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홈(2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부받침(12)의 바닥(16)도 일정 두께를 가지나 상기 주받침(10)의 바닥(6)이 가지는 두께에 비해 다소 작은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쑥뜸 시의 간격 조절은 주받침(10) 자체와 부받침(12)에 겹쳐 포갠 두께로의 2단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쑥뜸구는 주받침(10)과 부받침(12) 사이로 도넛상의 간격 조절판(22)이 다수 개삽된다. 이 간격 조절판(22)은 상기 주받침(10)의 바닥(6)과 부받침(12)의 바닥(16)에 비해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지게 하여 개삽되는 간격조절판(22)의 수량으로 쑥관(2)과 살갗 사이의 간격을 폭 넓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통상 간격 조절판(22)은 2개 정도 제공되었을 때에 사용하기가 알맞게 된 다.
도 2는 상기 주받침(10)과 간격 조절판(22) 및 부받침(12)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받침(10)의 바닥(6)에 놓여지는 쑥관(2)의 하단에서 피시술자의 살갗 사이의 간격은 주받침(10)의 바닥(6)이 가지는 두께 a와, 간격 조절판(22)의 두께 b, 그리고 부받침(12)의 바닥(16)이 가지는 두께 c로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쑥뜸구에서 두께 조절은 a, a + b, a + b + c, a + b + c ×2의 여러 단계로 임의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두께의 상관 관계를 a > b = c의 관계로 되게 설정하여 놓으면 간격 조절의 효과가 더욱 미세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접 쑥뜸에서 요구되는 쑥관 받침을 겹쳐 포개질 수 있는 주받침과 부받침으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주받침과 부받침 사이로 도넛상의 간격 조절판을 다수 개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에 따라 피시술자의 살갗과 쑥관 하단부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나사 등을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돌, 세라믹 계통, 옥 등을 소재로 하여도 쉽게 가공 생산할 수 있어서 실용화하기가 편리한 장점을 갖추고 있다.

Claims (2)

  1. 중앙에 통공(4)이 뚫리고 일정 두께를 가진 바닥(6)과 이 바닥(6)에서 직교 연장되어 일정의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주벽(8)으로 이루어진 주받침(10)과;
    상기 주받침(10)을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주받침(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춘 외벽(20)을 보유하고 내측에는 중심에 통공(14)이 뚫린 일정 두께의 바닥(16)으로 이루어진 부받침(12)과;
    상기 주받침(10)과 부받침(12) 사이로 개삽될 수 있고 일정 두께를 가진 도넛상으로 형성된 간격 조절링(22)으로 구성된 쑥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받침(10)의 바닥(6) 두께 a와, 간격 조절판(22)의 두께 b 및 부받침(12)의 바닥(16) 두께 c가 a > b = c의 관계로 되게 설정한 것이 특징인 쑥뜸구.
KR2020000024617U 2000-08-30 2000-08-30 쑥뜸구 KR200212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617U KR200212287Y1 (ko) 2000-08-30 2000-08-30 쑥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617U KR200212287Y1 (ko) 2000-08-30 2000-08-30 쑥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287Y1 true KR200212287Y1 (ko) 2001-02-15

Family

ID=7308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617U KR200212287Y1 (ko) 2000-08-30 2000-08-30 쑥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2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014A (ko) * 2003-09-05 2005-03-11 이종필 쑥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014A (ko) * 2003-09-05 2005-03-11 이종필 쑥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3941A (zh) 杀菌抗病毒熏香及其制备方法
WO2007024060A1 (en) Vessel for cauterizing with moxa
KR200212287Y1 (ko) 쑥뜸구
KR100542549B1 (ko) 다기능 쑥 좌훈기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KR200455420Y1 (ko) 훈증기
KR100614494B1 (ko) 쑥뜸구
KR200303100Y1 (ko) 다기능 쑥 좌훈기
KR20030092266A (ko) 쑥뜸기
KR100522447B1 (ko) 토기제 쑥뜸기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200315248Y1 (ko) 대용량 쑥뜸기
KR200329967Y1 (ko) 건강쑥뜸기
KR200333476Y1 (ko) 쑥뜸기
KR200370088Y1 (ko) 증기 방식의 좌욕기
KR200223690Y1 (ko) 한약욕이 가능한 찜질방의 시공구조
KR200378880Y1 (ko) 대나무 숯 나노세라믹 뜸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100606426B1 (ko) 다목적 쑥뜸장치
KR100470408B1 (ko) 여성질환 및 항문질환에 유용한 회음간접구
CN209596188U (zh) 双面温熨艾灸盒
KR10062140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쑥뜸기
KR100458041B1 (ko) 지압을 겸하는 쑥뜸장치
KR100872844B1 (ko) 쑥을 이용한 좌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58765Y1 (ko) 쑥뜸용 받침구
KR200362269Y1 (ko) 일회용 쑥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