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836Y1 - 무연뜸기용 온구기 - Google Patents

무연뜸기용 온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836Y1
KR200169836Y1 KR2019990017601U KR19990017601U KR200169836Y1 KR 200169836 Y1 KR200169836 Y1 KR 200169836Y1 KR 2019990017601 U KR2019990017601 U KR 2019990017601U KR 19990017601 U KR19990017601 U KR 19990017601U KR 200169836 Y1 KR200169836 Y1 KR 200169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wormwood
smokeless
flue
wa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식 filed Critical 김용식
Priority to KR2019990017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Abstract

본 고안은 온구기 본체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내부에 쑥의 진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쑥 연기를 일차적으로 정화 및 여과시켜서 무연뜸기 본체로 이송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온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온구기(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소구(12)와 환부접속구(17) 사이에 형성되어 쑥 연기가 이동하는 연로(15) 내에서 쑥 연기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배출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로(15) 내의 중앙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배기구(27)를 형성함으로써 연로(15)의 내벽면에 쑥 연기의 진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18)에는 필터를 형성하여 쑥 연기를 일차적으로 여과 및 정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연뜸기용 온구기 {Apply cauterizing tools for smokeless moxacautery system}
본 고안은 쑥뜸 시술을 하면서 온구기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방향성 취기를 정화시켜서 방향성 취기가 제거된 상태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무연 뜸기에 있어서, 온구기 내부에 쑥 연기의 진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방향성 취기의 일차적인 제거를 온구기에서 실현될 수 있게 하는 온구기에 관한 것이다.
한방 의료에 있어서 온구기를 사용하는 뜸 치료는 일반 한의원은 물론이고 가정에서도 넓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뜸 치료의 대표적인 것으로 쑥뜸이 주로 시술되고 있으며, 시술은 온구기에 쑥을 담아서 연소시킬 때에 발생하는 연기를 피시술자의 환부에 접촉시켜서 시술 효과를 얻는 것이다.
종래의 온구기는 온구기 내부에서 연소하는 쑥의 열기가 온구기를 잡은 시술자의 손에 전도되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케이스를 제작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고,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못하여 쑥이 연소되는 연기가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고 있다.
쑥뜸은 쑥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방향성 취기로 인하여 온구기에서 연소될 때에 발생하는 연기가 상당한 정도의 향을 발산하게 되어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시술자와 피시술자, 그리고 피시술자의 가족 및 시술 보조인원 등의 후각을 자극시켜서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어 사용을 기피하거나 사용 장소와 시간에 제한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쑥뜸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 10-1998-21184 호 '무연뜸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상기 무연뜸기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상기 무연뜸기에 사용되는 온구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무연뜸기(1)는 본체(2) 내부에 진공흡입펌프와 필터를 구비하고, 온구기(3)와 연결호스(4)로 연결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온구기(3)는 온구기본체(5)의 상부에 쑥이 연소되는 연소구(6)가 형성되고, 그 아래쪽으로는 연소된 쑥 연기가 이송되는 연로(7)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환부접촉구(8)가 배치된다.
환부접촉구(8)에는 환부접촉공간(9)이 형성되어 쑥 연기가 피시술자의 환부에 접촉될 수 있게 되는데, 이 쑥 연기는 진공흡입펌프의 흡입력에 의하여 유입공간(7)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격벽(10) 바깥쪽으로 형성된 배기공간(11)과 손잡이(12)에 연결된 연결호스(4)를 통하여 배출되며, 이렇게 배출되는 쑥 연기는 무연뜸기(1) 본체(2)로 이송되어 정화된 다음 순수한 공기만 배출된다.
상기 무연뜸기는 후각을 자극하고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방향성 취기를 가진 쑥 연기를 정화 및 여과하여 배출함으로서 쑥을 이용한 시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연뜸기는 친환경적이면서 만족할 수 있는 시술 효과가 있지만 온구기본체(5)의 중앙에 형성되는 유입공간(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기공간(11)이 형성됨에 따라 쑥 연기가 손잡이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기공간(11)의 상부(12)에 쑥의 진액이 서서히 고이게 되어 통로를 차단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소제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쑥 연기는 무연뜸기 본체에 설치되는 필터에 의하여 충분히 정화될 수 있지만 보다 효과적인 정화 능력을 부여하고 필터의 잦은 교환을 제한하기 위하여 필터의 용량을 크게 할 필요성도 있는데, 이는 무연뜸기 본체 내부의 공간에 제한을 받게 되고, 제한된 공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연뜸기 본체를 확장해야 함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은 온구기 본체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내부에 쑥의 진액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쑥 연기를 일차적으로 정화 및 여과시켜서 무연뜸기 본체로 이송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온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무연뜸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온구기의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 실시예의 단면도
이와 같은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쑥이 연소되는 연소구와, 상기 연소구에서 쑥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쑥 연기를 환부에 접촉시키기 위한 환부접촉구와, 상기 연소구에서 연소되어 발생된 쑥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온구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소구와 환부접속구 사이에 형성되어 쑥 연기가 이동하는 연로 내에서 쑥 연기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배출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배출수단과; 배출되는 쑥 연기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배출수단은 본체에 고정되면서 연결호스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는 손잡이에 형성되는 배기공이 본체 내의 연로와 통로를 이루게 되어 쑥 연기가 배출되는데, 손잡이의 배기공이 시작되는 입구는 연로 내에서 환부접촉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환부접촉구를 향하는 배기공은 연로 내의 쑥연기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피시술자의 환부에 충분하게 접촉될 수 있는 체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원리는 쑥 연기가 연로에서 배출되기 시작하는 배기공이 환부접촉구를 향하게 되면 쑥연기가 배기공으로 흡입되기 위하여 환부접촉구에 형성되어 쑥 연기가 피시술자의 환부에 접촉하게 하는 환부접촉공간 까지 이동한 다음 배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여과수단은 손잡이의 배기공에 삽입되는 필터로 된다.
필터는 종이, 활성탄, 그리고 연기를 여과시킬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연소구에서 쑥이 연소되어 발생하는 쑥 연기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연로 내에 모이게 되고, 이 쑥 연기는 환부접촉공간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환부에 접촉하여 시술을 하게 한 다음 무연뜸기 본체 내에 설치된 진공흡입펌프의 흡입 부압에 의하여 서서히 중앙의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되는 쑥 연기는 손잡이 내에 형성된 필터에 일차적으로 여과되어 무연뜸기 본체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쑥 연기가 연로 내에서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공으로 배출됨으로서 연로 응 형성하는 벽면에 과도하게 쑥 연기의 진액이 고이지 않게 되고, 손잡이에 형성된 필터의 여과 작용으로 무연뜸기 본체에 설치되는 필터에서의 여과 및 정화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이 실현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온구기(10)는 공지된 무연뜸기(1)의 본체(2)에 연결되는 연결호스(4)와 연결된다.
무연뜸기(1)는 진공흡입펌프, 필터, 그리고 전기적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진다.
온구기(10)는 공지된 구성과 같이 본체(11) 내 상부에 설치되어 쑥이 담겨져서 연소되는 연소구(12), 상기 연소구(12)의 윗쪽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본체(11)에 결합되는 마개(13)와 연소구(12)에서의 연소를 돕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구(14), 상기 본체(11) 내에서 상기 연소구(12)의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쑥 연기가 이동하는 연로(15), 상기 연로(15)의 하부가 되는 본체(11) 하단부에 설치되어 쑥 연기가 피시술자의 환부에 접촉할 수 있게 하는 환부접촉공간(16)이 형성되는 환부접촉구(17), 그리고 한쪽 단부는 온구기(10) 본체(11)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연결호스(4)와 결합되어 연로(15) 내의 쑥 연기가 배출되는 손잡이(18)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조는 연로(15)로부터 손잡이(18)로 쑥 연기가 배출되는 구조와 손잡이(18)의 내부 구조에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로(18)는 본체(11)에서 연소구(12)의 하부로부터 환부접촉구(17)가 결합되는 하부에 이르는 공간이 직통하는 하나의 수직벽면(19)으로 형성된다.
손잡이(18)는 쑥 연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축방향의 중앙에 배기공(20)이 형성되고 한쪽 단부에는 수나사(21)가 형성되어 본체(11)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수나사(21)의 단부에는 연로(15)로 관통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8)의 내부, 즉 배기공(20)에는 종이(23), 활성탄(24), 종이(25)가 복층 구조로 삽입되어 필터마개(26)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필터층의 교환은 손잡이(18)가 본체(11)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호스(4)와 필터마개(26)를 분리하고 배기공(20)을 통하여 가늘고 긴 막대를 사용하여 빼내고 새것으로 교환하면 된다.
상기 돌출부(22)는 손잡이(18)의 배기공(20)이 시작되는 부분으로써 연로(15)로부터 손잡이(18)로 쑥 연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연로(15)의 내부로 노출되어 연로(15) 하부로 삽입되는 배기구(27)가 결합된다.
배기구(27)는 손잡이(18)의 배기공(20)과 연속되는 배기공(28)이 형성되는 ' '형의 곡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27)는 본체(11)에 환부접촉구(17)를 결합하기 전에 연로(15)의 하부 공간으로 넣어져서 한쪽 단부는 돌출부(22)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후속적으로 본체(11)에 결합되는 환부접촉구(17)의 환부접촉공간(16)을 향하여 놓여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온구기(10)의 마개(13)를 열고 연소구(12)에 쑥을 넣어서 점화시킨 다음 다시 마개(13)를 닫아서 연소시키면 발생되는 쑥 연기가 아래쪽의 연로(15)로 유입되는데, 손잡이(18)를 잡고 환부접촉구(17)를 피시술자의 환부에 일정시간 동안 접촉시키면 쑥 연기가 환부접촉공간(18)을 통해서 환부에 침투하게 된다.
이때, 무연뜸기에 설치된 진공흡입펌프를 작동시키면 연결호스(4)와 손잡이(18), 그리고 배기구(27)에 이르는 배기공(27)의 기압이 연로(15) 내부의 기압보다 낮아져서 쑥 연기는 배기구(27)로 서서히 흡입되어 배출된다.
이렇게 쑥 연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기구(27)의 배기공(28)이 연로(15)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환부접촉공간(16)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연로(15) 내의 쑥 연기는 환부접촉공간(16)까지 이동한 다음 중앙 상부로 흐르는 기류를 형성하여 연로(15) 내에 쑥 연기의 진액이 모이지 않게 된다.
또한 배기구(27)를 통하여 손잡이(18)로 배출되는 쑥 연기는 손잡이(18) 내부에 설치된 종이(23)(25)와 활성탄(24)을 거치면서 일차적으로 여과 및 정화된 다음 연결호스(4)를 통하여 무연뜸기 본체로 배출된어 완전히 정화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연소구에서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쑥 연기가 연로(15)d화 배기구(27)의 설치 구조에 의하여 온구기 본체 내에 진액이 고이지 않게 되어 온구기를 소제하는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무연뜸기 본체에 형성되는 필터의 정화 및 여과 기능에 손잡이에 형성되는 필터가 상승 작용을 하여 효과적인 여과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무연뜸기 본체 내부의 필터를 작게 설치할 수 있어서 무연뜸기 본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시술을 행하는 실내에는 쑥 연기가 확산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손잡이와,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쑥이 연소되는 연소구와, 상기 연소구에서 쑥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쑥 연기를 환부에 접촉시키기 위한 환부접촉구와, 상기 연소구에서 연소되어 발생된 쑥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온구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소구와 환부접속구 사이에 형성되어 쑥 연기가 이동하는 연로 내에서 쑥 연기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배출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에 의하여 배출되는 쑥 연기를 정화 및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수단이 손잡이에 형성되는 배기공이 본체 내의 연로 중앙부위로 연장되어 환부접촉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기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여과수단이 손잡이의 배기공 내에 삽입되는 필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
KR2019990017601U 1999-08-24 1999-08-24 무연뜸기용 온구기 KR200169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601U KR200169836Y1 (ko) 1999-08-24 1999-08-24 무연뜸기용 온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601U KR200169836Y1 (ko) 1999-08-24 1999-08-24 무연뜸기용 온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836Y1 true KR200169836Y1 (ko) 2000-02-15

Family

ID=1958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601U KR200169836Y1 (ko) 1999-08-24 1999-08-24 무연뜸기용 온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83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423B1 (ko) * 1999-12-29 2002-05-23 문병오 쑥뜸찜기 조합체
KR100365552B1 (ko) * 1999-12-20 2002-12-26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8-01-30 이윤구 뜸기
KR101440683B1 (ko) *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552B1 (ko) * 1999-12-20 2002-12-26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KR100336423B1 (ko) * 1999-12-29 2002-05-23 문병오 쑥뜸찜기 조합체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8-01-30 이윤구 뜸기
KR101440683B1 (ko) *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18841U (zh) 无烟式艾灸仪
CN205569358U (zh) 一种预防传染病的灭菌设备
CN108670813A (zh) 一种艾灸机
KR200169836Y1 (ko) 무연뜸기용 온구기
KR100276557B1 (ko) 무연뜸기
CN110242965A (zh) 一种垃圾焚烧炉烟气处理系统
CN109107318A (zh) 一种烟熏系统及其烟熏炉烟气净化装置
CN215336549U (zh) 一种厨房空气净化装置
KR100643783B1 (ko) 무연 쑥 훈증기
CN211096041U (zh) 一种艾灸床排烟装置
KR20040086874A (ko) 화장실 냄새 제거 시스템
TWM463779U (zh) 具三重過濾機制之過濾裝置
CN209893425U (zh) 一种工业有机废气焚烧炉
JPH0271032A (ja) 排煙浄化装置
CN109985476B (zh) 一种高效处理毒害性气体中vocs装置
JP3008976B2 (ja) 有機廃液の焼却炉
JP2003214772A (ja) 熱処理炉
CN220321987U (zh) 一种防止环境污染的环保马弗炉
KR20060088799A (ko) 배기가스 재연소실을 구비한 폐기물 소각 시스템
JP2000296310A5 (ko)
CN219955346U (zh) 一种带有过滤装置的焚烧炉
CN218221798U (zh) 一种具有消烟除臭器的废气净化装置
KR200250449Y1 (ko) 부항기가 구비된 무연뜸기
CN214049716U (zh) 一种无烟艾灸装置
CN215610212U (zh) 一种工业废气处理用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