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31B1 - 뜸기 - Google Patents

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31B1
KR100799331B1 KR1020060090993A KR20060090993A KR100799331B1 KR 100799331 B1 KR100799331 B1 KR 100799331B1 KR 1020060090993 A KR1020060090993 A KR 1020060090993A KR 20060090993 A KR20060090993 A KR 20060090993A KR 100799331 B1 KR100799331 B1 KR 10079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irculation
combustion
moxi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구
Original Assignee
이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구 filed Critical 이윤구
Priority to KR102006009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Abstract

본 발명은 뜸을 위한 한약재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과도 연기를 연소실로 재공급함으로서, 상기 한약재의 완전연소를 이행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하며, 연소실의 공기 순환을 극대화하여 상기 한약재의 완전 연소를 도모하며,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소공기의 이동경로를 이중화하여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열이 뜸기의 측면으로 유출되거나 팬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뜸기는, 한약재를 수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실을 구비하며, 상기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소연기를 이중화된 공기순환실을 통해 환부로 제공함과 아울러 배출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연기에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공기를 생성하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 상기 혼합공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팬부; 상기 팬부를 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팬부에 의해 강제 이송된 혼합공기 중 일부는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재연소공기로서 상기 연소실로 재공급하는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쑥뜸, 쑥뜸기

Description

뜸기{MOXIBUSTING IMP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연소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의 배면도.
도 6은 연소부 및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의 결합예시도.
도 7은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 및 팬부의 결합예시도.
도 8은 도 1의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공기 유입 경로를 표식한 뜸기의 측면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공기 배출 경로를 표식한 뜸기의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구동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 손잡이의 구성도.
본 발명은 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뜸을 위한 한약재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과도 연기를 연소실로 재공급함으로서, 상기 한약재의 완전연소를 이행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뜸기에 관한 것이다.
한방 치료 방법인 뜸은 약쑥 등을 비벼서 혈(穴)에 놓고 불을 붙여서 열기가 살 속으로 퍼지게 하는 것으로, 상기한 뜸의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어 한의원이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상기 뜸의 효과는 향상시킴과 아울러 약쑥 등의 약재의 연소에 따른 연기 및 재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뜸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휴대용 쑥뜸기를 명칭으로 하여 실용신안 등록 출원된 제20-2005-0030155호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뜸쑥을 수용하며 이 수용부의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팬과 하부 케이스의 수용부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안쪽에는 내부 결합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수용부는, 바닥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의 수용턱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내부 결합구의 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과 수용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결합구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홈으로 된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아래쪽 내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쑥뜸기 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휴대용 쑥뜸기는 연소중인 쑥의 쑥재가 비산하여 모터나 팬 등으로 역류하여 점착함으로써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를 피할 수 있고, 통공이 홈의 하단 부근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에 배치된 뜸쑥에 의해 모터나 팬에 고열이 직접 전달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상기한 휴대용 쑥뜸기에 따르면 팬에 의해 외부 공기를 뜸쑥으로 공급하고, 뜸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그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뜸쑥의 연소에 따른 연기를 그대로 배출하므로, 뜸쑥의 불완전연소 등과 같은 이유로 다량의 연기가 발생될 때에는 실내에 많은 연기가 퍼지게 됨은 물론, 과도한 냄새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뜸을 위한 한약재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과도 연기를 연소실로 재공급함으로서, 상기 한약재의 완전연소를 이행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의 공기 순환을 극대화하여 상기 한약재의 완전 연소를 도모할 수 있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기의 이동경로를 이중화하여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열이 뜸기의 측면으로 유출되거나 팬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전원과 전지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자유로이 뜸을 뜰 수 있게 하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온도와 시간으로 뜸을 뜰 수 있게 하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뜸기는, 한약재를 수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실을 구비하며, 상기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소연기를 이중화된 공기순환실을 통해 환부로 제공함과 아울러 배출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연기에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공기를 생성하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 상기 혼합공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팬부; 상기 팬부를 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팬부에 의해 강제 이송된 혼합공기 중 일부는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재연소공기로서 상기 연소실로 재공급하는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구성 및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뜸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뜸기는 크게 연소부(100),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 팬부(300)와 제 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부(100)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와의 결착을 위한 나선 돌기(104)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102), 쑥 등과 같은 뜸을 위한 한약재가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한약재의 연소를 수행하는 연소실을 구성하는 제1링(106), 및 한약재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공기(이하 연소공기랑 칭함)를 환부로 공급하여 훈증이 이행되게 함과 아울러 환부로 공급되었던 연소공기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를 통해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 공급하는 제1링(106)과 외부 하우징(102) 사이에 위치하는 2중화된 공기순환실을 구성하는 제2링(108), 상기 제2링(108)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링(106) 및 상기 제1링(106) 내에 수납된 한약재를 고정시키는 망(110), 상기 제2링(108)이 2중화된 공기순환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102)으로부터 소정 거리이상 이격되게 설치되게 상기 외부 하우징(102)과 상기 제2링(108)을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체결하는 다수의 나사(11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외부 하우징(102)의 하단은 사용자의 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스펀지 등이 부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는 상기 연소부(100)의 외부 하우징(102)과의 결착을 위한 나선 돌기가 형성되며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의 흡입관(206)의 설치를 위한 다수의 홀들이 구비된 외부 하우징(202), 상기 연소부(100)의 제1링(106)을 고정시키기 위한 망이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링(108)의 상면과 맞닿아 상기 공기순환실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차단막(204), 상기 팬부(300)에 구비된 팬(302)에 의해 상기 연소부(100)의 공기순환실로부터 강제 순환된 연기에 외부공 기를 혼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흡입관(206), 상기 차단막(204)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공기 및 연소공기가 혼합된 공기(이하, 혼합공기라 칭함)가 상기 팬(302)에 의해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 이동된후,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를 통해 재공급되는 혼합공기(이하, 재연소공기라 칭함)를 공급받아 상기 제1링(106)이 형성한 연소실로 공급하는 재연소연기 유도관(208), 상기 차단막(204)의 하면과 상기 제2링(108)의 상면이 맞닿아 상기 이중화된 공기순환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차단막(204)이 상기 외부하우징(202)으로부터 소정 거리이상 이격되게 설치되게 상기 외부하우징(202)과 상기 차단막(204)을 체결하는 다수의 나사(210)로 구성된다.
상기 팬부(300)는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차단막(204)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내의 혼합공기를 상면의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 강제 이동시키는 팬(302), 상기 팬(302)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유도관(208)이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홀(306)을 구비하는 차단막(304), 상기 차단막(304)과 상기 팬(302)을 결착하는 다수의 나사(308)로 구성된다.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는 상기 팬(302)에 의해 강제 이동된 혼합공기 중 일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406)을 설치하기 위한 홀(404)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혼합공기의 나머지 일부를 재연소공기로서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재연소공기 유도관(208)으로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혼합공기를 수용(收容)하는 외부 하우징(402), 상기 혼합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406), 상기 외부하우징(402)의 상면에 위치하는 레버(408), 상기 레버(408)에 의해 상기 팬부(300) 의 차단막(304)에 형성될 홀(306)의 개폐정보를 조절하여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재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한약재의 연소시간 및 연소정도를 조절하는 홀 개폐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406)과 상기 유도관(208)의 위치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량과 재공급량이 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 구조의 이해를 돕고자, 상기 연소부(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상기 연소부(100)의 제2링(108)의 배면에는 철망(110)이 설치되며, 제1링(106)은 상기 철망(110) 상의 중앙부분에 안착된다. 여기서, 뜸을 위한 한약재는 상기 제1링(106)이 형성하는 원통형의 연소실에 수납된다.
상기 제1링(106)이 형성하는 연소실로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로부터 재연소공기가 공급되며, 이에따라 연소가 시작된 한약재에 상기 재연소공기에 포함된 산소가 공급됨은 물론이며 상기 재연소 공기에 포함된 불완전 연소물질이 연소실에 재주입되어 완전연소가 이행된다. 상기 연소에 의해 생성된 약효성분이 존재하는 뜨거운 공기(이하 연소공기라 칭함)는 제1링(106)과 제2링(108) 사이의 제1공기순환실을 통해 뜸기의 배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뜸기의 배면으로 이동된 연소공기는 다시 제2링(108)과 외부하우징(102) 사이의 제2공기순환실을 통해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혼합공기 수용실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부(100)는 연소실로 불완전 연소물질을 재공급함으로써 한약재의 완전 연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완전 연소에 따른 매연발생 또는 냄새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부(100)는 제1 및 제2공기순환실로 구성되는 이중화된 공기순환실을 구비하여 외부로 과도한 열기가 전달되지 않게 함은 물론이며 팬(302)으로 과도한 열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한다.
이제,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평면도 및 배면도를 도시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연소부(100)로부터의 연소공기에 외부공기를 혼합함과 아울러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부터의 재연소공기를 상기 연소부(100)의 연소실로 공급하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차단막(204)은 일측면이 막힌 원통형의 형상이며, 상기 차단막(204)의 둘레는 상기 제2링(108)의 둘레에 대응되며, 상기 제2링(108)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외부 하우징(202)과의 이격거리가 유지되게 다수의 나사(210)가 체결된다.
상기 차단막(206)의 타측면에는 망(212)이 형성되며, 상기 망(212)은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와 연소부(100)의 결착시에 제1링(106)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제1링(106)의 상면을 고정한다.
상기 차단막(204)의 중앙 부분에는 제1링(106)이 형성하는 연소실로 재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도관(208)의 일종단이 연결되며, 상기 유도관(208)의 타종단은 팬(302)의 효율을 위해 외부 하우징(202)의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의 재연소공기 수용실과 연결된다. 상기한 유도관(208)은 제1링(106) 이 형성하는 연소실로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부터의 재연소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202)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의 흡입구(206)가 구비되므로, 상기 차단막(204)과 상기 외부 하우징(202)이 형성하는 혼합공기 수용실에는 연소부(100)의 이중화된 공기순환실을 통해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외부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공기는 팬(302)에 의해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로 강제 이동한다.
상기한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와 상기 연소부(100)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외부 하우징(202)의 하측종단 둘레에 형성된 나선돌기(214)와 상기 연소부(100)의 외부 하우징(102)의 상측 종단 둘레에 형성된 나선돌기(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와 상기 연소부(100)가 회전됨에 따라 서로 맞물려 결합되거나 해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와 상기 연소부(100)를 해체한 상태에서 제1링(106)내에 쑥 등과 같은 한약재를 수납한 후에,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와 상기 연소부(100)를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한약재를 수납한 제1링(106)의 상면과 하면은 망(110,214)에 의해 덮혀 한약재가 안정적으로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소공기의 배출 및 상기 한약재 연소를 위한 혼합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차단막(204)이 제2링(108)이 형성하는 이중화된 공기순환실 중 상기 제1링(106)과 제2링(108)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기순환실의 상면을 밀폐함으로써, 상기 연소부(100)로부터의 연소공기가 상기 제1 공기순환실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2링(108)과 외부 하우징(102)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기순환실을 통과하여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혼합공기 수용실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제, 팬부(300)와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결합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팬부(300)의 차단막(304)은 도넛 형상으로 중앙 부분에 팬(302)이 위치한다. 상기 차단막(304)은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외부 하우징(202)의 윗면을 막으며, 이에따라 상기 팬 지지막(204) 및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차단막(204), 외부 하우징(202)에 의해 혼합공기 수용실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차단막(204)의 가장자리에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재연소 유도관(208)의 종단부분이 끼워져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의 재연소공기 수용실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208)으로 인입될 수 있게 하는 홀(306)이 형성되며, 제조자는 상기 팬 지지막(204)의 설치시에 상기 홀(306)과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208)의 종단부분이 맞닿아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기한 팬(302)에 의해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혼합공기 수용실에 수용된 혼합공기는 상면에 위치하는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의 재연소공기 수용실로 강제 흡입되고, 상기 재연소공기 수용실로 강제 흡입된 혼합공기의 일부는 배출관(406)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혼합공기는 재연소공기로서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208)으로 인입되어 재연소를 위해 제1링(106)이 형성하는 연소실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406)은 초기 연소시의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에 퍼지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해 실외까지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에는 상기 팬부(300)의 홀(306)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 개폐장치(410)를 구비한다. 상기 홀 개폐장치(410)는 레버(408)에 의해 상기 팬부(300)의 차단막(304)에 형성된 홀(306)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재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한약재의 연소시간 및 연소정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홀 개폐장치(410)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열기로 뜸을 뜰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에서의 산소 공급을 위한 공기순환과정과 재연소를 위한 공기순환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뜸기에서의 산소 공급을 위한 공기순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산소 등을 포함하는 외부공기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흡입관(206)을 통해 유입되며, 상기 외부공기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200)의 혼합공기 수용실(A)에서 연소공기와 혼합된 후에 팬(306)에 의해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400)의 재연소공기 수용실(B)로 강제 흡입된다.
상기 재연소공기 수용실(B)에 수용된 혼합공기 중 일부는 배출관(406)을 통해 배출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는 재연소공기 유도관(208)을 통해 제1링(106)이 형성하는 연소실(C)로 공급된다.
이에따라 산소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상기 연소실(C)로 공급되어, 상기 연소실(C)에 수납되는 쑥 등의 한약재의 연소가 가능해진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뜸기에서의 재연소를 위한 공기순환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쑥 등의 한약재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연소공기는 제1 및 제2링(106,108)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기순환실(D)을 통해 환부의 표면으로 공급되고, 환부의 표면에 공급되었던 연소공기는 다시 제2링(108)과 외부하우징(102)이 형성하는 제2공기순환실(E)을 통해 혼합공기 수용실(A)로 이동한다.
상기 혼합공기 수용실(A)로 이동한 연소공기는 산소 등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와 혼합된 후에 재연소공기 수용실(C)로 이동하며, 상기 재연소공기 수용실(C)로 이동한 혼합공기의 일부는 배출관(406)을 통해 배출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는 재연소공기 유도관(208)을 통해 제1링이 형성하는 연소실(C)로 공급되어, 상기 혼합공기에 혼합된 연소공기가 재연소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의 구동회로 구성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뜸기에 구비되는 구동회로는 AC 전원부(500), 컨버터부(502), DC 전원부(504), 스위치부(506), 모터(508), 팬(302)으로 구성된다.
상기 AC 전원부(500)는 상용의 AC 전원을 입력받아 컨버터부(502)로 제공한다. 상기 컨버터부(502)는 상기 AC 전원을 모터(508)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스위치부(506)에 제공한다.
상기 DC 전원부(504)는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 건전지를 통해 제공되는 DC 전원을 모터(508)의 구동전원으로서 스위치부(506)에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부(506)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컨버터부(502) 또는 DC 전원부(504)가 제공하는 모터(508)의 구동전원을 모터(508)에 제공 또는 차단하며, 상기 스위치부(506)에는 모터(508)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508)는 상기 스위치부(506)를 통해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팬(302)을 회전시키며, 상기 스위치부(506)를 통한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팬(302)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뜸기는 전지 또는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할 수 있으므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실내에서는 상기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하고, 상용전원을 공급받기 곤란한 외부에서는 전지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이성을 배가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뜸기의 주 사용자 층이 노년층임을 감안하여, 상기 뜸기의 연소실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를 결착 돌기를 이용하여 결합 및 해체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결착 돌기를 채용한 뜸기의 해체 사시도를 도시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뜸기의 연소실의 외부 하우징의 상부 종단부분에는 나선형의 돌기가 아닌 “』”자형 결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자형 돌기에 대응되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의 외부 하우징의 하부 종단부분에는 일자형 결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한 결착돌기는 음료수의 뚜껑 등 다양한 용도로 상용화되었으므로, 그 형상에 대한 상세 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두 결착돌기는 상기 사용자가 연소실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를 맞닿아 회전시킴에 따라 결착되어 상기 연소실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를 결착하고, 상기 사용자가 연소실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를 맞닿아 역회전시킴에 따라 결착되어 상기 연소실과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를 해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선형의 돌기 또는 결착 돌기를 채용한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두개의 외부 하우징을 결착 및 해체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결착 부재를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반적으로 뜸은 등, 머리 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혈에도 뜰 수 있으므로, 상기 뜸기를 혼자서 사용하는 경우에 원하는 혈의 위치에 뜸기를 올려놓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손에 잘 닿지 않는 곳에 상기 뜸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뜸기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 뜸기 손잡이의 구조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뜸기 손잡이(700)는 링부(702), 손잡이부(704), 나사(706), 커버부(708)로 구성된다.
상기 링부(702)는 소정 레벨 이상의 탄성을 가지는 강철 등이 채용되며, 상기 뜸기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부분으로 상기 뜸기가 끼워 넣어지면 상기 뜸기와 상기 손잡이부(704)를 연결한다.
상기 손잡이부(704)는 막대로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소정 각도로 꺽여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706)는 상기 링부(702)와 상기 손잡이부(704)를 결착한다.
상기 커버부(708)는 상기 손잡이부(704)를 감싸는 실리콘 또는 스폰지 등으로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뜸기의 외장을 감싸는 단열재가 부가 구비되어, 상기 뜸기의 외장으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뜸기는 팬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전원 오프시에는 쑥 등의 한약재 연소를 제한시켜 소정 시간내에 전원을 온 하여 상기 한약재의 연소를 재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뜸기는 외부 공기와 연소 공기를 혼합시킨 혼합공기를 재연소 공기로서 연소실로 공급하므로, 쑥 등의 한약재가 서서히 연소되게 함으로써 화상의 염려가 적고, 소량의 재료로도 오랜 시간을 뜸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뜸기는 연소 공기를 재연소하는 과정을 통해 쑥 등의 한약재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재 및 쑥진 등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뜸기는 배출관을 실외까지 연장함으로써, 쑥 등의 한약재의 초기 연소시 발생될 수 있는 연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뜸기는 상용 전원이나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함으로써, 실내나 실외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뜸기는 쑥 등의 한약재를 수납하는 연소실의 상단 및 하단에 망을 설치함으로써, 건조된 쑥 등을 뜸 재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뜸기 손잡이는 뜸기를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올려놓을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뜸을 위한 한약재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과도 연기를 연소실로 재공급함으로서, 상기 한약재의 완전연소를 이행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의 공기 순환을 극대화하여 상기 한약재의 완전 연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기의 이동경로를 이중화하여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열이 뜸기의 측면으로 유출되거나 팬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용전원과 전지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자유로이 뜸을 뜰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온도와 시간으로 뜸을 뜰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 이다.

Claims (20)

  1. 뜸기에 있어서,
    한약재를 수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실을 구비하며, 상기 한약재 연소에 따른 연소연기를 이중화된 공기순환실을 통해 환부로 제공함과 아울러 배출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연기에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공기를 생성하는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
    상기 혼합공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팬부;
    상기 팬부를 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팬부에 의해 강제 이송된 혼합공기 중 일부는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재연소공기로서 상기 연소실로 재공급하는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되어 상기 한약재를 수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제1부재;
    외부 하우징;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1부재의 외측과 제1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와의 사이에 제1공기순환실을 형성하고, 외부 하우징과 제2소 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제2공기순환실을 형성하는 제2부재;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배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소실에 수납된 한약재가 연소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공기는 상기 제1공기순환실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환부에 공급됨과 아울러 제2공기순환실를 통해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와의 결착을 위해, 상면 둘레에 나선 돌기 또는 결착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2부재가 제2소정거리로 이격되게 결착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는 나사
    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배면 둘레를 따라 상기 망이 결착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망위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면에 상기 외부하우징과 피부를 밀착시키는 실리콘 링 또는 스펀지 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는,
    외부공기 유입을 위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끼워지는 홀을 구비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이중화된 공기순환실 중 제1공기순환실의 상면을 차단하여, 상기 이중화된 공기순환실 중 제2공기순환실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공기와 상기 흡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수용하는 혼합공기 수용실과 상기 제1공기순환실을 분리하는 차단막을 구비하며,
    상기 혼합공기 수용실에서 상기 외부공기와 상기 연소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팬부에 의해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는,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로부터의 재연소공기가 상기 제1공기순환실의 중 앙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와 상기 차단막의 중앙부분을 연결하는 재연소공기 유도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배면에 결착되며, 상기 제1공기순환실의 상면과 상기 연소실의 상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망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면 둘레에는 상기 연소실의 외부하우징과의 결착을 위해, 나선 돌기 또는 결착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공기를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로 흡입하는 팬;
    상기 팬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와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 사이를 차단하여, 상기 혼합공기가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에서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로 이동하도록 하는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공기를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로 흡입하는 팬;
    상기 팬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와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 사이를 차단하여, 상기 혼합공기가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에서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로 이동하며,
    상기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에 수용된 재연소공기가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의 삽입을 위한 홀이 구비된 차단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3. 제1항에 있어서,
    제2공기순환 가이드부는,
    상기 팬부에 의해 강제 이송된 혼합공기의 일부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혼합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혼합공기의 나머지 일부를 재연소공기로서 상기 연소실로 재공급하는 재연소공기 유도관으로 공급하는 외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으로부터 상기 배출관은 이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은 상기 제1공기순환 가이드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소부의 연소실의 상면으로 상기 재연소공기를 유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소공기 유도관과 연결되는 홀의 개폐 정보를 조정하는 홀 개폐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홀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레버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구동부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전지로부터의 구동전원 또는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팬부의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로 상기 전지로부터의 구동전원 또는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구동전 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기의 외장을 감싸는 단열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19. 삭제
  20. 삭제
KR1020060090993A 2006-09-20 2006-09-20 뜸기 KR10079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93A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6-09-20 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93A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6-09-20 뜸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70U Division KR200433856Y1 (ko) 2006-09-20 2006-09-20 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31B1 true KR100799331B1 (ko) 2008-01-30

Family

ID=3921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993A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6-09-20 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9884A (zh) * 2009-08-19 2010-10-06 蔡汉平 管式艾灸器
KR101025044B1 (ko) 2009-03-26 2011-03-25 전선옥 황토 쑥뜸기
CN106333847A (zh) * 2016-11-09 2017-01-18 甘伟光 双向调节紫砂艾灸床
CN109009993A (zh) * 2018-09-19 2018-12-18 意润健康产业(广州)有限公司 一种便携的湍流式多功能蒸疗设备
CN109662888A (zh) * 2019-02-19 2019-04-23 蕲春千年艾科技有限公司 智能控温艾灸仪
CN110327208A (zh) * 2019-07-24 2019-10-15 佛山市盈康草本理疗产品有限公司 一种脚灸仪
CN111759729A (zh) * 2020-08-12 2020-10-13 杨涛 一种五层筒形中药艾制品循环焚烧装置
CN116617079A (zh) * 2023-07-26 2023-08-22 成都和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艾灸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66U (ko) * 1996-11-04 1998-08-05 박수영 쑥뜸기
KR19980066221U (ko) * 1997-05-13 1998-12-05 전인기 쑥뜸 의료기
KR200169836Y1 (ko) 1999-08-24 2000-02-15 김용식 무연뜸기용 온구기
KR200191755Y1 (ko) 2000-03-02 2000-08-16 이영덕 쑥뜸장치
KR20010028599A (ko) * 1999-09-22 2001-04-06 임순근 쑥뜸장치
KR200234572Y1 (ko) 2001-03-03 2001-09-26 김영훈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KR200301269Y1 (ko) 2002-10-11 2003-01-24 변성현 쑥뜸기
KR20050009973A (ko) * 2004-12-29 2005-01-26 이지혁 쑥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66U (ko) * 1996-11-04 1998-08-05 박수영 쑥뜸기
KR19980066221U (ko) * 1997-05-13 1998-12-05 전인기 쑥뜸 의료기
KR200169836Y1 (ko) 1999-08-24 2000-02-15 김용식 무연뜸기용 온구기
KR20010028599A (ko) * 1999-09-22 2001-04-06 임순근 쑥뜸장치
KR200191755Y1 (ko) 2000-03-02 2000-08-16 이영덕 쑥뜸장치
KR200234572Y1 (ko) 2001-03-03 2001-09-26 김영훈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KR200301269Y1 (ko) 2002-10-11 2003-01-24 변성현 쑥뜸기
KR20050009973A (ko) * 2004-12-29 2005-01-26 이지혁 쑥뜸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044B1 (ko) 2009-03-26 2011-03-25 전선옥 황토 쑥뜸기
CN101849884A (zh) * 2009-08-19 2010-10-06 蔡汉平 管式艾灸器
CN106333847A (zh) * 2016-11-09 2017-01-18 甘伟光 双向调节紫砂艾灸床
CN109009993A (zh) * 2018-09-19 2018-12-18 意润健康产业(广州)有限公司 一种便携的湍流式多功能蒸疗设备
CN109662888A (zh) * 2019-02-19 2019-04-23 蕲春千年艾科技有限公司 智能控温艾灸仪
CN110327208A (zh) * 2019-07-24 2019-10-15 佛山市盈康草本理疗产品有限公司 一种脚灸仪
CN111759729A (zh) * 2020-08-12 2020-10-13 杨涛 一种五层筒形中药艾制品循环焚烧装置
CN111759729B (zh) * 2020-08-12 2022-05-17 河南中医药大学 一种五层筒形中药艾制品循环焚烧装置
CN116617079A (zh) * 2023-07-26 2023-08-22 成都和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艾灸装置
CN116617079B (zh) * 2023-07-26 2023-09-22 成都和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艾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31B1 (ko) 뜸기
US9291349B2 (en) High speed solid cooking fuel igniter
KR20200033093A (ko) 드라이어
US8533873B2 (en) Incinerating commode
CN102686130A (zh) 用于蒸食物的设备
WO1983003272A1 (en) Sanitary cleaning device
CN107543394A (zh) 一种中草药用环绕送风式烘干装置
KR200301269Y1 (ko) 쑥뜸기
KR101703393B1 (ko) 화목난로
KR20110012929A (ko) 쑥뜸치료용 침대
KR200433856Y1 (ko) 뜸기
US7127748B2 (en) Incinerating commode
JP2004205065A (ja) ハイブリット式温風暖房器
KR200191755Y1 (ko) 쑥뜸장치
EP3096084A1 (en) Regenerative fireplace boiler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JP2008121914A (ja) 携帯式調理機器
KR101428810B1 (ko) 오븐
KR20100010804A (ko) 고화력 가스버너용 가스 및 공기공급장치
KR100555015B1 (ko) 보일러
KR200171760Y1 (ko) 온구기
KR101106938B1 (ko) 건식좌훈기기
JPS6317351A (ja) 湯沸器装置
JP2006029596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8382178U (zh) 一种高效的医疗垃圾焚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