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755Y1 - 쑥뜸장치 - Google Patents

쑥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755Y1
KR200191755Y1 KR2020000005785U KR20000005785U KR200191755Y1 KR 200191755 Y1 KR200191755 Y1 KR 200191755Y1 KR 2020000005785 U KR2020000005785 U KR 2020000005785U KR 20000005785 U KR20000005785 U KR 20000005785U KR 200191755 Y1 KR200191755 Y1 KR 200191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a
moxibustion
smoke
pipe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덕
Original Assignee
이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덕 filed Critical 이영덕
Priority to KR2020000005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쑥뜸장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쑥뜸기와; 일단이 상기 쑥뜸기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관부와, 일단이 상기 제1배관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2배관부를 가지는 배기관과; 상기 제2배관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기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쑥뜸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쑥뜸장치{MOXA CAUTERIZ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쑥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쑥뜸장치에 관한 것이다.
쑥뜸은, 약쑥을 소정의 형태로 빚어서 만든 소위 쑥뜸장(뜸장 또는 뜸쑥이라고도 함)을 피부의 경혈위에 올려놓고, 쑥뜸장의 연소시 생성되는 쑥기운이 피부속으로 침투되어 경혈을 온열자극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약쑥의 약리작용을 통해 질병의 치료 또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방요법중의 하나이다.
쑥뜸장을 태워서 뜸을 뜨는 방법중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는, 쑥뜸장을 피부 위에 접촉되도록 올려놓고 직접 뜸을 뜨는 소위 직접뜸법이 있으나, 이는 직접적인 강한 열자극으로 상당한 고통이 따를 뿐만 아니라, 시술부위에 흉터가 남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통을 경감시키고 흉터가 남지 않도록 시술부위로부터 쑥뜸장을 이격되게 한 상태에서 쑥뜸을 시술하는 간접 쑥뜸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직접뜸법이나 간접 쑥뜸기를 이용한 쑥뜸의 시술시에 있어서는, 모두 쑥뜸장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술시 연기에 기인한 많은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시술장소를 선정한다거나, 환풍기가 없을 경우 창을 열고 선풍기를 이용하여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등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환풍기 또는 선풍기 등을 이용해서 연기를 배출하여도,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기가 확산되어 의류, 가구 등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시술후 실내에는 비교적 장시간 동안 냄새가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게 되어 불쾌감을 주게 된다.
시술시 발생되는 이러한 연기 및 냄새 등은 쑥뜸의 우수한 효능/효과에도 불구하고 쑥뜸시술을 기피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쑥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쑥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쑥뜸기의 확대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차단판영역의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열손실억제부재영역의 확대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송풍기의 확대종단면도,
도 6은 도 1의 쑥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접속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쑥뜸장 10 : 쑥뜸기
11 : 연소실 13 : 뜸기실
14 : 돌출부 15a : 경사구간
15b : 수평연장구간 17 : 공기유입구
19 : 쑥뜸장수용부재 20 : 쑥뜸기고정부재
30 : 차단판 31 : 차단판지지부재
41 : 제1배관부 43 : 제2배관부
45 : 제1개도조절부재 50 : 열손실억제부재
51 : 유입부 53 : 내부케이싱
54 : 배출공 55 : 외부케이싱
57 : 유출부 60 : 제2개도조절부재
70 : 송풍기 71 : 하우징
75 : 임펠러 77 : 구동모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쑥뜸장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쑥뜸기와; 일단이 상기 쑥뜸기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관부와, 일단이 상기 제1배관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2배관부를 가지는 배기관과; 상기 제2배관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기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관내에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개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배관부에 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1댐퍼부와 상기 제1댐퍼부의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제1개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쑥뜸기내에 수용되어 상기 쑥뜸장을 수용하는 망상체로 된 쑥뜸장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쑥뜸기의 내부에는 중앙영역에 쑥기운이 통과되는 통기구를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쑥기운이 수용되는 뜸기실을 형성하며, 하면이 상기 통기구의 연부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된 수평연장구간과, 상기 수평연장구간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연장되고 상기 뜸기실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지점에서 내벽면과 접촉되는 경사구간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내부에 연기를 일시 수용할 수 있도록 연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기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미세한 배출공을 가지고 상기 제1배관부의 타단영역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쑥뜸기로부터의 연기를 일시 수용후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쑥뜸기의 열손실이 억제되도록 하는 열손실억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이 상기 열손실억제부재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1배관부가 각각 상호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기접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열손실억제부재에 형성된 유입부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댐퍼부와 상기 제2댐퍼부의 노출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제2개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쑥뜸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쑥뜸기의 확대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단판영역의 확대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열손실억제부재영역의 확대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송풍기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쑥뜸장치는, 내부에 쑥뜸장(1)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쑥뜸기(10)와, 쑥뜸기(10)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1배관부(41) 및 제2배관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기관과, 제2배관부(43)에 설치되어 각 쑥뜸기(10)로부터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70)를 가진다.
쑥뜸기(10)는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중앙영역에 쑥기운이 통과하는 통기구(16)가 형성되도록 원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에 의해 상부영역에 쑥뜸장(1)이 연소되는 연소실(11)과 하측에 쑥기운이 수용되는 뜸기실(13)이 각각 구획형성되어 있다. 연소실(11)의 둘레벽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연소실(11)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유입구(17)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연소실(11)의 내부에는 쑥뜸장(1)을 수용하며 쑥뜸장(1)의 연소가 가능하도록 망상체로 된 쑥뜸장수용부재(19)가 수용된다.
쑥뜸장수용부재(19)는 상향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저부면과 둘레면은 쑥뜸장(1)의 연소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연소후 재가 와해되어 뜸기실(13)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망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의 상부면은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되는 진액이 쑥뜸장수용부재(19)의 둘레영역으로 응집되어 뜸기실(13)이 밀폐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을 향하여 소정 경사각(θ1)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의 하면은, 뜸기실(13)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2)을 가지고 중상영역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15a)과, 경사구간(15a)의 말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통기구(16)의 연부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구간(15b)를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돌출부(14)는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여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원적외선을 환부로 방사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환부로 다량의 원적외선을 직접조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쑥뜸기(10)의 높이, 하부외경, 상부외경 및 벽두께를 각각 70㎜, 65㎜, 60㎜ 및 5㎜로 할 경우, 뜸기실(13)의 하부 내경은 대략 55㎜정도이고, 연소실(11)의 상부 내경은 50㎜가 된다. 돌출부(14)는 쑥뜸기(10)의 하단으로부터 10㎜정도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한 51 내지 52°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향연장되고, 그 말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3 내지 5㎜연장되어 중앙영역에 8 내지 10㎜정도의 내경을 갖는 통기구(16)을 형성하게 된다. 통기구(16)는 쑥뜸장(1)의 직경에 비해 대략 1/4 내지 1/5정도이 직경을 가지게 됨으로써,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된 화기가 환부를 통해 인체내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돌출부(14)의 상면의 경사각 θ1은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된진액이 쑥뜸장수용부재(19)의 주변에 응집될 수 있는 정도면 적당하며, 이 때 연소실(11)의 높이는 대략 25㎜정도로 된다.
이렇게 형성된 쑥뜸기(10)는, 쑥뜸장(1) 연소시간을 20분 정도로 할 경우, 환부에 전달되는 열감이 45 내지 55℃인 상태를 대략 1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쑥뜸기(10)의 하측에는 쑥뜸기(10)의 하부영역을 수용하여 쑥뜸기(10)를 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쑥뜸기고정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쑥뜸기고정부재(20)는, 환부에 접촉되는 받침부(21)와, 쑥뜸기(10)를 수용하여 받침부(2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부(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쑥뜸기수용부(23)와, 받침부(21)로부터 환부를 둘러 싸도록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밴드(25)를 가진다. 받침부(21)의 상면 및 고정밴드(25)의 일측면에는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소위 매직테이프(Magic Tape)라고 하는 접착부재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부(21)에는 쑥뜸시술영역에 대응하여 다수의 쑥뜸기수용부(23)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쑥뜸장수용부재(19)의 상부개구영역에는 차단판(30)이 개구를 차단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차단판(30)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차단판지지부재(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차단판(30)은 원판형상을 가지며 쑥뜸장수용부재(19)의 개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차단판지지부재(33)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단판지지부재(33)의 내면에 접촉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복수의 고정리브(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리브(31)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스크류(35)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지지부재(33)의 일단은 쑥뜸기(10)의 상부영역을 수용하여 결합되며 타단은 제1배관부(41)에 접속되어 있다.
제1배관부(41)는, 가요성을 가지도록 플렉시블 관상부재로 형성되며 일단이 차단판지지부재(33)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할 열손실억제부재의 유입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배관부(41)의 차단판지지부재(33)측 영역에는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개도조절부재(45)가 설치되어 있다.
제1개도조절부재(45)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제1배관부(41)의 내부에 제1배관부(4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댐퍼부(46)와, 제1댐퍼부(46)의 회동축의 노출단부영역에 제1댐퍼부(46)와 일체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47)를 가진다. 여기서, 제1배관부(41)의 제1개도조절부재(45)영역은 제1댐퍼부(46) 및 배출되는 연기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형성하거나 투시창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열손실억제부재(50)는 제1배관부(41)의 타단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제1배관부(41)로부터의 연기가 일시수용되도록하고 비교적 작은 배출공(54)을 통해 서서히 연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각 쑥뜸기(10)의 연소열의 손실을 억제시키게 된다.
열손실억제부재(50)는, 제1배관부(41)의 타단이 접속되는 유입부(51)와, 유입부(51)의 타단을 둘러 싸며 내부에 연기를 일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형상의 내부케이싱(53)과, 내부케이싱(53)의 둘레영역에 배치되어 내부케이싱(53)과의 사이에 연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육면체형상의 외부케이싱(55)과, 외부케이싱(55)으로부터 돌출되며 송풍기(70)의 흡입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유출부(57)를 가진다.
유입부(51)는 내부케이싱(53)의 상부면에 인접하도록 일단이 수용설치되며 일단은 제1배관부(41)가 접속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다. 내부케이싱(53)의 각 측벽의 저부영역에는 내부에 수용된 연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5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유입부(51)의 노출측 영역의 일부구간은 투명성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개도조절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제2개도조절부재(60)는, 원판상을 가지고 유입부(5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댐퍼부(61)를 가지며, 회동축의 일단에는 제2댐퍼부(61)를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63)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부(57)의 단부영역에는 유출부(57)의 내부의 연기를 흡입하여 제2배관부(4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기(70)가 결합되어 있다.
송풍기(70)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72) 및 토출구(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71)과, 하우징(7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흡입구(72)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임펠러(75)와, 하우징(71)내에 수용되어 임펠러(75)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77)를 가진다.
구동모터(77)의 일측에는 구동모터(7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건전지(78)가 수용결합되어 있으며, 하우징(71)의 상부 외면에는 구동모터(77)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조작스위치(7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77)는 쑥뜸기(10)의 설치개수에 따라 임펠러(75)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버터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77)는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겸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도 1의 쑥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또는 시술부)(3)에 쑥뜸기고정부재(20)의 받침부(21)를 접촉되도록 하고 고정밴드(25)를 둘러 고정밴드(25)의 단부를 받침부(21)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부재(26)에 상호 접착되도록하여 쑥뜸기고정부재(20)를 고정한다. 환부(3)에 고정된 쑥뜸기고정부재(20)의 쑥뜸기수용부(23)에 쑥뜸기(10)의 하단부를 수용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연소실(11)의 내부 돌출부(14)의 상면에 쑥뜸장(1)이 수용된 쑥뜸장수용부재(19)를 안착시킨다.
쑥뜸장(1)을 점화시킨 후 차단판(30)이 쑥뜸장수용부재(19)의 상부개구를 차단하도록 제1배관부(41)의 일단에 접속된 차단판지지부재(33)를 쑥뜸기(10)의 상부영역에 결합한다. 송풍기(70)의 조작스위치(79)를 켜 구동모터(77)에 전원이 인가되도록하여 임펠러(75)가 구동되도록 한다.
임펠러(75)가 회전하게 되면 쑥뜸기(10)의 연소실(11)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7)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된 연기는 차단판(30)과 차단판지지부재(33)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배관부(41)로 유동하게 된다.
제1배관부(41)로 유동한 연기는 제1개도조절부재(45)에 의해 유동량이 1차조절되고, 열손실억제부재(50)의 유입부(51)에 형성된 제2개도조절부재(60)에 의해 2차조절되어 내부케이싱(53)의 내부로 유입되어 일시 수용된다. 이 때, 연기의 유동속도를 관찰하여 제1 및 제2개도조절부재(45,60)를 각각 조절하여 쑥뜸장(1)이 자연상태에서의 연소속도보다 빠르게 연소되지 않도록 한다.
내부케이싱(53)의 내부에 일시 수용된 연기는 내부케이싱(53)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미세한 배출공(54)을 통해 유출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고, 외부케이싱(55)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유출부(57)를 통해 송풍기(70)의 흡입구(72)로 흡입된다. 흡입된 연기는 일단이 하우징(71)의 토출구(74)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연장된 제2배관부(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쑥뜸장(1)의 연소가 진행되면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된 진액은 하향유동하게 되고, 중앙영역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θ1)을 가지고 하향경사진 돌출부(14)의 상부면을 따라 쑥뜸장수용부재(19)의 하부둘레면에 응집됨으로써 뜸기실(13)을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된 쑥기운은 돌출부(14)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통기구(16)를 통해 뜸기실(13)로 하향유동하게 되어 환부(3)로 흡수된다.
한편, 돌출부(14)는 쑥뜸장(1)의 연소시 발생된 열기를 차단하여 직접적인 화기가 환부를 통해 인체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쑥뜸장(1)의 연소열기를 흡수하여 축열을 하게 된다. 축열된 돌출부(14)의 경사구간(15a)으로부터는 환부(3)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다량의 원적외선이 직접 조사되고, 수평연장구간(15b)으로부터는 환부에 대해 수직하게 원적외선이 직접 조사되므로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접속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접속관(80)은, 열손실억제부재(50)의 유입부(51)에 접속되는 하나의 유출측 접속관(81)과, 각 제1배관부(41)에 접속되는 복수의 유입측 접속관(83a~83c)을 가지고, 열손실억제부재(50)와 각 제1배관부(41)사이에 개재되어 각 쑥뜸기(10)로부터의 연기를 동시에 배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측 접속관(83a~83c)이 3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개수는 달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각 유입측 접속관(83a~83c)의 단부영역은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다른 분기접속관의 유출측 접속관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된 축관부(85a~85c)가 형성되어 있으며, 시술개소에 따라 다른 분기접속관의 유출측 접속관을 이 축관부(85a~85c)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쑥뜸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쑥뜸장치는, 쑥뜸장의 연소시 화기가 인체에 침투되던 종래의 직접뜸법 또는 간접 쑥뜸기와는 달리, 화기가 인체에 침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하면이 경사구간 및 수평연장구간을 가지는 돌출부에 의해 적절한 열감을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환부로 다량의 원적외선이 직접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그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쑥뜸장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쑥뜸기와; 일단이 상기 쑥뜸기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쑥뜸장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관부와, 일단이 상기 제1배관부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2배관부를 가지는 배기관과; 상기 제2배관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기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내에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개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배관부에 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1댐퍼부와 상기 제1댐퍼부의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제1개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뜸기내에 수용되어 상기 쑥뜸장을 수용하는 망상체로 된 쑥뜸장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뜸기의 내부에는 중앙영역에 쑥기운이 통과되는 통기구를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쑥기운이 수용되는 뜸기실을 형성하며, 하면이 상기 통기구의 연부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된 수평연장구간과, 상기 수평연장구간의 말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연장되고 상기 뜸기실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지점에서 내벽면과 접촉되는 경사구간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연기를 일시 수용할 수 있도록 연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기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미세한 배출공을 가지고 상기 제1배관부의 타단영역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쑥뜸기로부터의 연기를 일시 수용후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쑥뜸기의 열손실이 억제되도록 하는 열손실억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열손실억제부재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1배관부가 각각 상호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기접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손실억제부재에 형성된 유입부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댐퍼부와 상기 제2댐퍼부의 노출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제2개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KR2020000005785U 2000-03-02 2000-03-02 쑥뜸장치 KR200191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785U KR200191755Y1 (ko) 2000-03-02 2000-03-02 쑥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785U KR200191755Y1 (ko) 2000-03-02 2000-03-02 쑥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755Y1 true KR200191755Y1 (ko) 2000-08-16

Family

ID=1964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785U KR200191755Y1 (ko) 2000-03-02 2000-03-02 쑥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75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2821A1 (en) * 2002-10-11 2004-04-22 Sung Hyun Pyun Moxa cauterizing device
KR100436700B1 (ko) * 2001-06-19 2004-06-22 배삼훈 진공 쑥 뜸 기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8-01-30 이윤구 뜸기
KR100864297B1 (ko) * 2007-09-14 2008-10-20 우완용 쑥뜸기용 배기장치
KR101519105B1 (ko) * 2014-04-17 2015-05-11 손일문 쑥뜸기
KR20170001569U (ko) 2015-10-27 2017-05-10 이제홍 쑥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00B1 (ko) * 2001-06-19 2004-06-22 배삼훈 진공 쑥 뜸 기
WO2004032821A1 (en) * 2002-10-11 2004-04-22 Sung Hyun Pyun Moxa cauterizing device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8-01-30 이윤구 뜸기
KR100864297B1 (ko) * 2007-09-14 2008-10-20 우완용 쑥뜸기용 배기장치
KR101519105B1 (ko) * 2014-04-17 2015-05-11 손일문 쑥뜸기
KR20170001569U (ko) 2015-10-27 2017-05-10 이제홍 쑥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1755Y1 (ko) 쑥뜸장치
KR100562368B1 (ko) 부항쑥뜸기 및 이를 사용한 부항쑥뜸 시스템
JP2006513810A (ja) 漢方医料補助用附缸ヨモギ灸器
KR100799331B1 (ko) 뜸기
KR101183970B1 (ko) 휴대용 쑥뜸기
JP3207337B2 (ja) サウナ室用芳香発生及び加湿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サウナ浴装置
KR200419379Y1 (ko) 쑥뜸장치
CN112089621B (zh) 一种智慧神阙灸仪
EP3769743A1 (en) Leg care apparatus
CN105395361B (zh) 内置式艾灸仪
KR100276557B1 (ko) 무연뜸기
JPS58224270A (ja) 減圧平衡加熱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65317B1 (ja) 加湿機
CN107661213A (zh) 一种艾灸设备及对会阴穴进行艾灸理疗的方法
KR20140045654A (ko)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217908339U (zh) 一种中医妇科治疗用艾灸仪
KR200182158Y1 (ko) 쑥뜸 연기 정화 장치
CN214232059U (zh) 一种艾灸仪
KR20010064599A (ko) 쑥뜸찜기 조합체
KR200232925Y1 (ko) 다중 공기 정류방식을 이용한 솥뚜껑 로스터
CN213759453U (zh) 一种带有排烟装置的艾灸仪
KR200201072Y1 (ko)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CN219250935U (zh) 一种治疗仪及带有该仪器的治疗椅
KR200333476Y1 (ko) 쑥뜸기
CN215740450U (zh) 坐灸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