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072Y1 -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72Y1
KR200201072Y1 KR2020000013686U KR20000013686U KR200201072Y1 KR 200201072 Y1 KR200201072 Y1 KR 200201072Y1 KR 2020000013686 U KR2020000013686 U KR 2020000013686U KR 20000013686 U KR20000013686 U KR 20000013686U KR 200201072 Y1 KR200201072 Y1 KR 200201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moxibustion
pipe
discharge devic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이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복 filed Critical 이성복
Priority to KR2020000013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방용으로 뜸을 시구할때 쑥이 타들어 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1)의 상부에 늘리고 줄일수 있는 지주(2)를 설치하고, 지주(2)의 상부에는 관본체(3)를 설치하되 관 본체(3)의 일측에는 휀(4)을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배출파이프(5)를 연결할수 있는 연결부(6)를 형성하며 관 본체(3)의 타측에는 흡입구(7)를 설치하되 흡입구(7)와 관 본체(3)사이에는 자바라 관(8)를 설치하여 늘리고 줄일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쑥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시술자나 환자가 쑥으로 인한 냄새로부터 해방될 수가 있으며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휴대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THE CAUTERIZE SMOKE EXHAUST DEVICE FOR CHINESE MEDICINE}
본 고안은 한방용으로 뜸을 시구할때 쑥이 타들어 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뜸을 뜰때 뜸을 뜨는 부위의 상측에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기를 설치하여 환자가 냄새없이 뜸을 시술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가 냉하거나 장기간에 걸쳐 몸이 아픈 환자들이 뜸을 시술받게 되는 바, 한방에서 뜸을 시구할때에는 쑥을 경혈에 놓고 선향으로 불을 붙여 경혈을 자극하여 치료하게 되는 바, 이때 쑥이 타들어 가면서 쑥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뜸을 시술받는 장소가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연기를 환자와 시술자가 맏게 되는 바, 쑥 자체의 연기가 상당히 맵고 냄새가 역하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냄새와 연기로 부터 고통받아 오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심할 경우 기관지나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쑥냄새가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됨으로서 쑥뜸을 시술하고 난 후에도 방안에 냄새가 남아 있게 되어 상당한 시간동안 환기를 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뜸을 시술받는 사람의 근체에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 받침대의 상부에 휀이 설치되어 있는 흡입기를 설치하되 휀의 후미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실외로 내 놓음으로서 쑥이 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
1 : 받침대 2 : 지주 3 : 관 본체
4 : 휀 5 : 배출파이프 6 : 연결부
7 : 흡입구 8 : 자바라 관
뜸을 시술받는 부위의 상측에 연기를 휀에 의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입, 배출장치를 설치하고 이 흡입, 배출장치를 실외로 연결하여 연기가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즉 받침대(1)의 상부에 늘리고 줄일수 있는 지주(2)를 설치하고, 지주(2)의 상부에는 관본체(3)를 설치하되 관 본체(3)의 일측에는 휀(4)을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배출파이프(5)를 연결할수 있는 연결부(6)를 형성하며 관 본체(3)의 타측에는 흡입구(7)를 설치하되 흡입구(7)와 관 본체(3)사이에는 자바라 관(8)를 설치하여 늘리고 줄일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 부호 9는 작동부, 10은 전원코드를 보인 것이다.
상기 흡입구(7)에 설치된 자바라 관(8)에 별도로 모우터와 당김줄을 설치하여 전동식으로 올리고 내릴수 있도록 하여도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뜸을 시술받는 사람의 측면에 받침대(1)를 놓고 휀의 후미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6)에 배출파이프(5)를 연결한 다음 이 배출호오스(5)를 실외로 나가게 하여 놓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뜸을 시술하고 있는 부위의 상측에 흡입구(7)를 놓고 작동부의 스위치를 ON 시키면 휀(4)이 작동되어 관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후미로 배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흡입구(7)을 통하여 쑥의 연기가 흡입하게 되면 이 연기는 휀(4)과 배출파이프(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기의 양이 적으면 흡입구(7)을 높은 곳에 놓거나 휀(4)의 속도는 느리게 하고 연기의 양이 많으면 흡입구(7)을 뜸과 근접하도록 하거나 휀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흡입되는 양을 많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입, 배출기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절첩하여 손으로 들고 다니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뜸을 시술받는 사람의 근체에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 받침대의 상부에 휀이 설치되어 있는 흡입기를 설치하되 휀의 후미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실외로 내 놓음으로서 쑥이 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쑥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시술자나 환자가 쑥으로 인한 냄새로부터 해방될수가 있으며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이동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뜸을 시술받는 부위의 상측에 연기를 휀에 의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입, 배출장치를 설치하고 이 흡입, 배출장치를 실외로 연결하여 연기가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입, 배출장치는 받침대(1)의 상부에 늘리고 줄일수 있는 지주(2)를 설치하고, 지주(2)의 상부에는 관본체(3)를 설치하되 관 본체(3)의 일측에는 휀(4)을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배출파이프(5)를 연결할수 있는 연결부(6)를 형성하며 관 본체(3)의 타측에는 흡입구(7)를 설치하되 흡입구(7)와 관 본체(3)사이에는 자바라 관(8)를 설치하여 늘리고 줄일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KR2020000013686U 2000-05-15 2000-05-15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KR200201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686U KR200201072Y1 (ko) 2000-05-15 2000-05-15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686U KR200201072Y1 (ko) 2000-05-15 2000-05-15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72Y1 true KR200201072Y1 (ko) 2000-11-01

Family

ID=1965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686U KR200201072Y1 (ko) 2000-05-15 2000-05-15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0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97B1 (ko) * 2007-09-14 2008-10-20 우완용 쑥뜸기용 배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97B1 (ko) * 2007-09-14 2008-10-20 우완용 쑥뜸기용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40251U (zh) 单向流通式风扇主动助燃远红外负离子强化艾灸盒
CN206867420U (zh) 艾灸治疗仪的艾头聚热罩
CN106137728A (zh) 一种多功能艾灸床
KR20020096438A (ko) 진공 쑥 뜸 기
CN2852975Y (zh) 无烟艾灸罩
CN213431663U (zh) 一种全自动净烟艾灸理疗床
CN106265030A (zh) 三位一体熏蒸治疗鼻炎的治疗仪及鼻腔外用膏、熏蒸包
KR200201072Y1 (ko) 한방용 뜸 시구시 발생되는 연기 배출장치
CN209220963U (zh) 一种全自动灸疗、净烟沙发
CN103565635A (zh) 一种间接艾灸方法及装置
KR101440683B1 (ko)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202665970U (zh) 医用集烟罩
CN210542434U (zh) 一种自动艾灸机
CN207024268U (zh) 一种改进型熏灸罩
CN208905804U (zh) 一种电动艾灸仪
CN213284328U (zh) 一种阴道艾灸装置
CN211962593U (zh) 一种艾灸头和无烟艾灸仪
CN209301705U (zh) 一种无烟艾灸仪器
CN113499249A (zh) 一种艾灸椅
CN111568750B (zh) 一种用于阴道艾灸仪的艾烟光热传递气道结构
KR200439163Y1 (ko) 쑥 연소시 발생하는 훈기를 이용한 염증치료기
CN204814831U (zh) 一种新型艾灸盒
CN214968975U (zh) 一种中医护理用艾灸盒装置
CN208626198U (zh) 一种自排烟的艾灸保健装置
KR200182158Y1 (ko) 쑥뜸 연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