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675A -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 Google Patents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675A
KR20140024675A KR1020120090953A KR20120090953A KR20140024675A KR 20140024675 A KR20140024675 A KR 20140024675A KR 1020120090953 A KR1020120090953 A KR 1020120090953A KR 20120090953 A KR20120090953 A KR 20120090953A KR 20140024675 A KR20140024675 A KR 2014002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deodorizing
dry
suction
deod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905B1 (ko
Inventor
이용문
강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2009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9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건조 탈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흡입 도관, 흡입 도관의 주변에 위치되는 건조 도관, 및 흡입 도관 및 건조 도관과 연통하는 탈취 도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DEVICE FOR DRYING AND DEODORIZATION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 세정기는 숙박 업소 또는 일반 가정에서 화장실의 좌변기 상에 위치해서 좌변 설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사람의 용변 후에 노즐들을 통해서 사람의 항문 및/ 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시켜서 오물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화장실 휴지를 대체시켜 준다.
이 경우에, 상기 온수 세정기는 건조 탈취 장치를 이용해서 사람의 항문 및/ 또는 그 주변에 묻은 온수, 그리고 좌변기 내 악취를 제거시켜 준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건조용 및 탈취용 모터(motor)들 및 팬(fan)들을 갖는다. 상기 모터들 및 팬들은 건조 탈취 장치의 부품 수를 증가시켜서 온수 세정기를 대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들 및 팬들은 건조 탈취 장치의 형성 단계를 증가시켜서 온수 세정기의 공정 단가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의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를 구현시키기 위해서, 상기 모터들은 팬들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서 온수 세정기의 이용을 복잡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기술 대비 부품 수를 간소화시켜서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 기술 대비 건조 탈취 장치의 모터의 회전을 단순화시켜서 구성되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건조 탈취 장치는, 온수 세정기의 구성 요소로써, 일 측부 및 타 측부 사이에서 굴곡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흡입 도관, 상기 흡입 도관의 주변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일 측부로부터 상기 타 측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건조 도관, 및 상기 흡입 도관 상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건조 도관과 연통하는 탈취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탈취 도관은 내부에 상기 건조 도관과 마주보는 회전 모터 그리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도어 및 송풍 팬을 포함하고,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송풍 팬 아래에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송풍 팬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막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도관은 상기 온수 세정기의 외부에 노출되어서 상기 온수 세정기와 함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 도관은 상기 탈취 도관 아래에서 상기 타 측부를 통하여 상기 탈취 도관과 연통한다.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는 상기 회전 모터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건조 도관은 상기 온수 세정기의 외부에 노출되어서 상기 흡입 도관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건조 도관은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의 주변에서 상기 탈취 도관과 연통한다.
상기 건조 도관은 상기 흡입 도관보다 높은 레벨에서 상기 탈취 도관과 연통한다.
상기 건조 도관은 내부에 가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은 강재(鋼材)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취 도관은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흡입 도관과 엇갈리게 굴곡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취 도관은 상기 건조 도관으로부터 상기 흡입 도관을 향하여 연장해서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탈취 도관은 내부에 탈취제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제는 상기 회전 모터의 반대 편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송풍 팬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송풍 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격막을 상기 흡입 도관의 유로 상에 위치시켜서 상기 흡입 도관, 상기 탈취 도관 및 상기 건조 도관을 연통시키거나, 상기 격막을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의 테두리 상에 위치시켜서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탈취 도관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는 화장실의 좌변기의 주변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해서 상기 좌변기의 테두리 면 상에 위치되는 변좌 시트,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해서 상기 변좌 시트를 덮도록 구성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변좌 시트는 건조 탈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일 측부 및 타 측부 사이에서 굴곡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흡입 도관, 상기 흡입 도관의 주변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일 측부로부터 상기 타 측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건조 도관, 및 상기 흡입 도관 상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건조 도관과 연통하는 탈취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도관, 상기 건조 도관 및 상기 탈취 도관은 건조 경로 및 탈취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탈취 도관은 내부에 상기 건조 도관과 마주보는 회전 모터 그리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도어 및 송풍 팬을 포함하고,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송풍 팬 아래에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송풍 팬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막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 경로는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상기 탈취 도관의 상기 회전 모터를 경유해서 상기 건조 도관을 지나고, 상기 탈취 경로는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상기 탈취 도관의 상기 회전 모터를 경유해서 상기 탈취 도관을 지나고, 및 상기 건조 경로 및 상기 탈취 경로는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상기 탈취 도관 내 상기 회전 모터의 안착 위치까지 서로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건조 경로로부터 상기 탈취 경로를 향하거나 상기 탈취 경로로부터 상기 건조 경로를 향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상기 본체 내 스텝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튼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튼 조작부는 상기 스텝 모터를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격막을 이용해서 상기 건조 경로 및 상기 탈취 경로 중 하나를 차단하거나 상기 건조 경로 및 상기 탈취 경로를 부분적으로 개구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모터 및 송풍 팬을 하나씩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 대비 부품 수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모터, 송풍 팬 및 슬라이드 도어를 특정 영역에 위치시켜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위치되는 흡입 도관 및 건조 도관을 구비해서 온수 세정기 내 배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송풍 팬, 및 송풍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시키는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해서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건조 탈취 장치 내 모터의 회전 수를 가변시켜서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에 대응하도록 건조 탈취 장치에 차례대로 적층되는 모터, 슬라이드 도어 및 송풍 팬을 하나씩 구비해서 종래 기술 대비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좌변기 및 온수 세정기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건조 탈취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온수 세정기의 건조 모드에서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온수 세정기의 탈취 모드에서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건조 탈취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는 도 1 내지 6 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좌변기 및 온수 세정기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 는 도 1 의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60)는 화장실의 좌변기(10) 상에 위치된다.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본체(20), 버튼 조작부(30), 변좌 시트(40) 및 덮개(50)를 도 1 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좌변기(10)의 주변에 위치한다.
상기 본체(20)는 급수원 또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시키고,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고, 그리고 가열된 물을 토출시키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버튼 조작부(30)는 본체(20)에 결합되어서 복수 개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버튼들은 본체의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변좌 시트(40)는 본체(20)에 대하여 회전해서 좌변기(10)의 테두리 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변좌 시트(40)는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변좌 시트(40)는 내부에 중공(hollow)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덮개(50)는 본체(20)에 대하여 회전해서 변좌 시트(40)를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50)는 변좌 시트(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본체(2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본체(20)에 건조 탈취 장치(140)를 도 2 와 같이 더 포함한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140)는 온수 세정기(60)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서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과 연통한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140)는 도 3 내지 6 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도 2 의 건조 탈취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4 는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 및 4 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 탈취 장치(140)는, 도 2 의 온수 세정기(160)의 구성 요소로써, 흡입 도관(74), 건조 도관(85) 및 탈취 도관(95)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도관(74)은 탈취 도관(95) 아래에 도 3 과 같이 위치된다. 상기 흡입 도관(74)은 지면(紙面)을 향해서 개구된다.
상기 흡입 도관(74)은 제 1 유입구(E1), 제 2 유입구(E2) 및 유로(78)를 갖는다. 상기 제 1 유입구(E1) 및 제 2 유입구(E2)는 흡입 도관(74)의 측벽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유입구(E1) 및/ 또는 제 2 유입구(E2)는 도 1 의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과 연통한다.
상기 유로(78)는 흡입 도관(74)의 측벽으로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흡입 도관(74)은 제 1 유입구(E1) 및 제 2 유입구(E2) 사이에 도 4 의 복수 개의 측벽들(74A, 74B, 74C, 74D)을 갖는다. 상기 흡입 도관(74)의 유로(78)는 복수 개의 측벽들(74A, 74B, 74C, 74D)로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상기 흡입도관(74)의 측벽들(74A, 74B, 74C, 74D)은 도 2 에서 본체(20)와 접촉해서 본체(20)와 함께 유로(78)를 완전하게 한정한다. 상기 흡입 도관(74)은 일 측부 및 타 측부 사이에서 탈취 도관(95)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굴곡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 도관(74)의 일 측부는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을 향해서 위치된다. 상기 흡입 도관(74)의 타 측부는 탈취 도관(95)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 도관(74)은 탈취 도관(95) 아래에서 타 측부를 통하여 탈취 도관(95)과 연통한다. 상기 건조 도관(85)은 건조 베이스(81) 및 건조 케이스(83)를 도 3 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건조 케이스(83)는 건조 베이스(81)로부터 탈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조 베이스(81) 및 건조 케이스(83)는 건조 도관(85)의 유로(87)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 도관(85)은 온수 세정기(60)의 외부에 노출되어서 흡입 도관(7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건조 도관(85)은 흡입 도관(74)의 주변에 위치해서 흡입 도관(74)의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건조 도관(85)은 흡입 도관(74)의 타 측부의 주변에서 탈취 도관(95)과 연통한다. 상기 건조 도관(85)은 탈취 도관(95)의 두께 또는 높이 방향으로 굴곡져서 흡입 도관(74)보다 높은 레벨에서 탈취 도관(95)과 연통한다.
상기 건조 도관(85)은 흡입 도관(74) 및 탈취 도관(95) 사이에 도 3 또는 4 와 같이 위치된다. 상기 탈취 도관(95)은 탈취 베이스(91) 및 탈취 케이스(93)를 도 3 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탈취 케이스(93)는 탈취 베이스(91)로부터 탈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탈취 베이스(91) 및 탈취 케이스(93)는 탈취 도관(95)의 유로(97)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취 도관(95)은 흡입 도관(74) 상에 위치해서 흡입 도관(74) 및 건조 도관(85)과 연통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탈취 도관(95)은 흡입 도관(74)의 타 측부를 기준으로 해서 흡입 도관(74)과 엇갈리게 길이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취 도관(95)은 건조 도관(85)으로부터 흡입 도관(74)을 향하여 연장해서 흡입 도관(74)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탈취 도관(95)은 탈취 케이스(93) 상에 모터 커버(96)를 도 3 과 같이 갖는다. 상기 모터 커버(96)는 도 4 의 회전 모터(114) 상에 위치된다.
상기 모터 커버(96)는 회전 모터(114)의 안착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114)는 흡입 도관(74)의 타 측부 상에 위치해서 흡입 도관(74)의 유로(78)와 마주한다. 한편, 상기 건조 탈취 장치(140)는 셔터(shutter, 1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셔터(109)는 탈취 도관(95)의 반대편에서 건조 도관(85)의 단부에 위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셔터(109)는 흡입 도관(74)의 일 측부의 주변에 위치해서 건조 도관(85)의 단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셔터(109)는 지지대(103)들 및 개폐문(106)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3)들은 건조 베이스(81) 및/ 또는 건조 케이스(8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3)들은 서로를 향해서 돌출되는 힌지(hinge)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개폐문(106)은 자중(自重)을 이용해서 지지대(103)들의 힌지들의 주위로 회전된다.
도 5 는 도 1 의 온수 세정기의 건조 모드에서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6 은 도 1 의 온수 세정기의 탈취 모드에서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5 및 6 은 도 3 의 건조 탈취 장치(140)로부터 건조 케이스(83) 및 탈취 케이스(93)를 분리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5 및 6 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 도관(85)은 내부에서 건조 베이스(81) 상에 가열판(89), 그리고 건조 베이스(81)의 측벽에 배수구(84)들 및 흐름 유도막((86)들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89)은 강재(鋼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판(89)은 건조 도관(85) 내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구(84)들은 흡입 도관(74), 건조 도관(85) 및/ 또는 탈취 도관(95)의 세척 후에 남겨지는 폐수를 배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흐름 유도막(86)은 도 2 의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취 도관(95)은 탈취 베이스(91)에 도 4 의 회전 모터(114), 그리고 탈취 베이스(91) 상에 슬라이드 도어(126) 및 송풍 팬(134)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탈취 도관(95)은 내부에 건조 도관(85)과 마주보는 회전 모터(114) 그리고 회전 모터(114)의 회전축(118)의 주위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도어(126) 및 송풍 팬(134)을 갖는다. 상기 회전 모터(114), 슬라이드 도어(126) 및 송풍 팬(134)은 도 3 의 모터 커버(96) 아래에서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 및 송풍 팬(134)은 회전 모터(114)의 회전 축(118)의 주위로 회전된다. 이 경우에, 상기 회전 모터(114)는 송풍 팬(134)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모터(114)는 송풍 팬(134)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는 송풍 팬(134) 아래에 회전판(122) 그리고 회전판(122)으로부터 돌출해서 송풍 팬(134)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막(124)을 포함한다. 상기 격막(124)은 회전판(122)의 테두리에 위치된다. 상기 격막(124)는 일 단부에서 회전판(12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걸림부(128)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는 온수 세정기(60)의 버튼 조작부(30)를 통해서 본체(20) 내 스텝 모터(step motor)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30)는 스텝 모터를 이용해서 슬라이드 도어(12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는 송풍 팬(13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는 격막(128)을 흡입 도관(74)의 유로(78) 상에 위치시켜서 흡입 도관(74), 건조 도관(85) 및 탈취 도관(95)을 도 5 와 같이 연통키거나, 격막(128)을 흡입 도관(74)의 타 측부의 테두리 상에 위치시켜서 흡입 도관(74) 및 탈취 도관(95)을 연통시키도록 도 6 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송풍 팬(134)은 복수 개의 팬 블레이드(fan blade, 138)들을 갖는다. 상기 탈취 도관(95)은 내부에서 탈취 베이스(91) 상에 탈취제(99)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취제(99)는 회전 모터(114)의 반대 편에 위치해서 흡입 도관(74)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취제(99)는 도 1 의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의 악취를 흡수 및 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의 구동 방법은 도 1, 5 및 6 을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5 및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60)의 세정 모드 및/ 또는 비데 모드가 수행된 후에,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버튼 조작부(30)를 이용해서 건조 탈취 장치(140)의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를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140)는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흡입 도관(74), 건조 도관(85) 및 탈취 도관(95)을 이용한다.
상기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에서, 상기 흡입 도관(74), 건조 도관(85) 및 탈취 도관(95)은 도 5 의 건조 경로(drying path; DP) 및 도 6 의 탈취 경로(deodorization path; DDP)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건조 모드에서, 상기 건조 경로(DP)는 흡입 도관(74)으로부터 탈취 도관(74)의 회전 모터(114)를 경유해서 건조 도관(85)을 지난다.
상기 탈취 모드에서, 상기 탈취 경로(DDP)는 흡입 도관(74)으로부터 탈취 도관(95)의 회전 모터(114)를 경유해서 탈취 도관(95)을 지난다. 상기 건조 경로(DP) 및 탈취 경로(DDP)는 흡입 도관(74)으로부터 탈취 도관(95) 내 회전 모터(114)의 안착 위치까지 서로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건조 모드 및 탈취 모드에서 회전 모터(11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송풍 팬(134)을 회전 모터(114)의 회전축(118)의 주위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전 모터(114)는 건조 경로(DP)로부터 탈취 경로(DDP)를 향하거나 탈취 경로(DDP)로부터 건조 경로(DP)를 향해서 송풍 팬(13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 모드의 수행 동안에,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본체(20)의 스텝 모터를 구동시켜서 송풍 팬(134)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도어(126)를 회전시킨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는 탈취 베이스(91) 상에서 제 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되어서 건조 베이스(81) 및 탈취 베이스(91) 사이의 모서리에 걸림부(128)를 접촉시키도록 격막(128)을 이용하여 탈취 경로(DDP)를 차단시킨다.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흡입 도관(74)의 유로(78)을 이용해서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으로부터 도 5 의 제 1 흐름 방향(F1)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공기는 건조 경로(DP)를 따라 흘러서 건조 도관(85)의 가열판(89)에서 가열되고, 그리고 흐름 유도막(86) 및 셔터(109)를 경유하여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을 향하도록 제 2 흐름 방향(F2)으로 토출된다.
상기 탈취 모드의 수행 동안에,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건조 모드와 다른 방향으로 스텝 모터를 구동시켜서 슬라이드 도어(126)를 회전시킨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26)는 탈취 베이스(91) 상에서 도 6 의 제 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되어서 탈취 베이스(91)의 측벽에 걸림부(128)를 접촉시키도록 격막(128)을 이용하여 건조 경로(DP)를 차단시킨다.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흡입 도관(74)의 유로(78)을 이용해서 좌변기(10)의 내부 공간(15)으로부터 도 6 의 제 1 흐름 방향(F1)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공기는 탈취 경로(DDP)를 따라서 흘러 탈취제(99)를 경유하여 온수 세정기(60)의 외부를 향하도록 제 3 흐름 방향(F3)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온수 세정기(60)는 건조 모드(DP) 및 탈취모드(DDP)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스텝 모터를 조절해서 슬라이드 도어(126)의 격막(124)을 이용하여 건조 경로(DP) 및 탈취 경로(DDP)를 부분적으로 개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좌변기, 15; 내부 공간
20; 본체, 30; 버튼 조작부
40; 변좌 시트, 50; 덮개
60; 온수 세정기, 74; 흡입 도관
74A, 74B, 74C, 74D; 측벽,
78, 87, 97; 유로, 81; 건조 베이스
83; 건조 케이스, 84; 배수구
85; 건조 도관, 86; 흐름 유도막
89; 가열판, 89; 가열판,
91; 탈취 베이스, 93; 탈취 케이스
95; 탈취 도관, 96; 모터 커버
99; 탈취제, 103; 지지대
106; 개폐문, 109; 셔터
114; 회전 모터, 118; 회전축
122; 회전판, 124; 격막
126; 슬라이드 도어, 128; 걸림부
134; 송풍 팬, 138; 팬 블레이드
F1, F2, F3; 흐름 방향, E1, E2; 유입구
R1, R2; 회전 방향, DP; 건조 경로
DDP; 탈취 경로

Claims (20)

  1. 온수 세정기의 구성 요소로써,
    일 측부 및 타 측부 사이에서 굴곡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흡입 도관;
    상기 흡입 도관의 주변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일 측부로부터 상기 타 측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건조 도관; 및
    상기 흡입 도관 상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건조 도관과 연통하는 탈취 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탈취 도관은 내부에 상기 건조 도관과 마주보는 회전 모터 그리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도어 및 송풍 팬을 포함하고,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송풍 팬 아래에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송풍 팬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막을 포함하는 건조 탈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도관은 상기 온수 세정기의 외부에 노출되어서 상기 온수 세정기와 함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도관은 상기 탈취 도관 아래에서 상기 타 측부를 통하여 상기 탈취 도관과 연통하는 건조 탈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는 상기 회전 모터 아래에 위치되는 건조 탈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도관은 상기 온수 세정기의 외부에 노출되어서 상기 흡입 도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건조 탈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도관은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의 주변에서 상기 탈취 도관과 연통하는 건조 탈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도관은 상기 흡입 도관보다 높은 레벨에서 상기 탈취 도관과 연통하는 건조 탈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도관은 내부에 가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판은 강재(鋼材)로 이루어지는 건조 탈취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도관은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흡입 도관과 엇갈리게 굴곡지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도관은 상기 건조 도관으로부터 상기 흡입 도관을 향하여 연장해서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돌출하는 건조 탈취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도관은 내부에 탈취제를 포함하되,
    상기 탈취제는 상기 회전 모터의 반대 편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송풍 팬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송풍 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격막을 상기 흡입 도관의 유로 상에 위치시켜서 상기 흡입 도관, 상기 탈취 도관 및 상기 건조 도관을 연통시키거나, 상기 격막을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타 측부의 테두리 상에 위치시켜서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탈취 도관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15. 화장실의 좌변기의 주변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해서 상기 좌변기의 테두리 면 상에 위치되는 변좌 시트,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해서 상기 변좌 시트를 덮도록 구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건조 탈취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탈취 장치는,
    일 측부 및 타 측부 사이에서 굴곡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흡입 도관;
    상기 흡입 도관의 주변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의 상기 일 측부로부터 상기 타 측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건조 도관; 및
    상기 흡입 도관 상에 위치해서 상기 흡입 도관 및 상기 건조 도관과 연통하는 탈취 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 도관, 상기 건조 도관 및 상기 탈취 도관은 건조 경로 및 탈취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탈취 도관은 내부에 상기 건조 도관과 마주보는 회전 모터 그리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도어 및 송풍 팬을 포함하고,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송풍 팬 아래에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송풍 팬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막을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경로는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상기 탈취 도관의 상기 회전 모터를 경유해서 상기 건조 도관을 지나고,
    상기 탈취 경로는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상기 탈취 도관의 상기 회전 모터를 경유해서 상기 탈취 도관을 지나고, 및
    상기 건조 경로 및 상기 탈취 경로는 상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상기 탈취 도관 내 상기 회전 모터의 안착 위치까지 서로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건조 경로로부터 상기 탈취 경로를 향하거나 상기 탈취 경로로부터 상기 건조 경로를 향해서 상기 송풍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온수 세정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온수 세정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스텝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튼 조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작부는 상기 스텝 모터를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온수 세정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상기 격막을 이용해서 상기 건조 경로 및 상기 탈취 경로 중 하나를 차단하거나 상기 건조 경로 및 상기 탈취 경로를 부분적으로 개구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탈취 장치.
KR1020120090953A 2012-08-20 2012-08-20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187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53A KR101878905B1 (ko) 2012-08-20 2012-08-20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53A KR101878905B1 (ko) 2012-08-20 2012-08-20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675A true KR20140024675A (ko) 2014-03-03
KR101878905B1 KR101878905B1 (ko) 2018-07-17

Family

ID=5064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53A KR101878905B1 (ko) 2012-08-20 2012-08-20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9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2319A (zh) * 2016-04-25 2016-08-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马桶控制方法及装置
KR20160141163A (ko) 2015-05-28 2016-1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20160141923A (ko) 2015-06-01 2016-12-1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CN110073065A (zh) * 2016-11-29 2019-07-30 骊住株式会社 除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74A (ja) * 1993-09-17 1995-03-28 Aisin Seiki Co Ltd 脱臭機能付き洗浄便座装置
JPH08165697A (ja) * 1994-12-13 1996-06-25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の温風乾燥装置
JP2001132063A (ja) * 1999-07-01 2001-05-15 Toto Ltd 局部洗浄装置に用いる脱臭装置及びその脱臭装置を有する局部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74A (ja) * 1993-09-17 1995-03-28 Aisin Seiki Co Ltd 脱臭機能付き洗浄便座装置
JPH08165697A (ja) * 1994-12-13 1996-06-25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の温風乾燥装置
JP2001132063A (ja) * 1999-07-01 2001-05-15 Toto Ltd 局部洗浄装置に用いる脱臭装置及びその脱臭装置を有する局部乾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163A (ko) 2015-05-28 2016-1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20160141923A (ko) 2015-06-01 2016-12-1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CN105892319A (zh) * 2016-04-25 2016-08-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马桶控制方法及装置
CN110073065A (zh) * 2016-11-29 2019-07-30 骊住株式会社 除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905B1 (ko)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4675A (ko)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TW201009273A (en) Drying machine for bathroom
CN211368095U (zh) 滚筒洗衣机
KR101576826B1 (ko) 비데 장치
JP6904010B2 (ja) 送風装置
KR101338494B1 (ko) 건조 탈취 장치, 상기 건조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및 상기 온수 세정기의 구동 방법
JP5270490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JP4568789B1 (ja) 洗濯乾燥機
JP7394633B2 (ja) 便座装置
KR20160049623A (ko) 비데용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60062332A (ko)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WO2021129526A1 (zh) 衣物处理装置
KR101483527B1 (ko) 좌변기용 비데
JP5270491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KR101361102B1 (ko)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동구조
KR20180023235A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JP7309128B2 (ja) 衛生洗浄装置
JP5441860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6071564B2 (ja) 衣類乾燥機
JP2014084711A (ja) 温水洗浄機の乾燥及び脱臭装置
JP7394604B2 (ja) 便座装置
JPH11276415A (ja) 食器乾燥器
KR200463406Y1 (ko)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JP2005139619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