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06Y1 -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06Y1
KR200463406Y1 KR2020110000015U KR20110000015U KR200463406Y1 KR 200463406 Y1 KR200463406 Y1 KR 200463406Y1 KR 2020110000015 U KR2020110000015 U KR 2020110000015U KR 20110000015 U KR20110000015 U KR 20110000015U KR 200463406 Y1 KR200463406 Y1 KR 200463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fan
exhaust fan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076U (ko
Inventor
김정화
Original Assignee
김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화 filed Critical 김정화
Priority to KR2020110000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0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에 설치되는 배기용 팬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을 구비하고, 변기측과 악취흡입용 보조 팬 사이에 배관을 연결하여,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악취제거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고, 또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기의 악취배출장치{Smell exhausting device of toilet stool}
본 발명은 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설치되는 화장실의 경우 좁은 공간 내에 변기, 세면대, 욕조 등이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천장에는 화장실 내부 공기를 배출 및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용 팬이 설치된다.
보통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에 설치되어 모터(100)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용 팬(110)이나, 무동력 배기 그릴 등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방향제를 사용하여 냄새를 희석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20은 모터(100)와 배기용 팬(110)을 보호하는 하우징을 나타내고, 130은 하우징을 마감하는 커버, 140은 스위치측(S)으로 연결되는 배선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화장실이나 욕실에 발산되어 배어버린 냄새는 쉽게 제거되지 않고, 또 장시간 머무르게 되어 이로 인하여 실내환경을 불결하게 만든다고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일반 주택 화장실에 악취 제거를 위한 환풍 시설이 있지만, 부가적으로 방향제를 뿌리고 양변기 물을 2회 이상 내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는 있지만, 완전한 악취제거는 거의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후속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풍시설을 계속 가동시키기도 하지만 필요 이상의 전력 낭비에 대한 부정적 측면이 있다.
예를 들면, 용변을 보는 동안 실내 공기를 강제 배출하도록 실내등과 함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용 팬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용변을 보게 되는데, 용변을 볼 때 변기 내의 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좁은 화장실 공간에 확산된 상태에서 배기가 이루어지므로, 용변을 보는 사람이 악취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고, 또한 용변 후에도 일정시간이 지나야 어느 정도 악취를 제거되는 실정인 관계로 용변에 의한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으로부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3136(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2007년08월23일 공개)호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 특허의 구조는 호스가 벽체 내로 배치되어 배기용 팬쪽으로 연결되며, 보조 팬이 벽체 내 호스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기존 배기용 팬의 설치구조에는 적용이 전혀 불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 배기용 팬의 설치구조에 바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화장실에 설치되는 배기용 팬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을 구비하고, 변기측과 악취흡입용 보조 팬 사이에 배관을 연결하여,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악취제거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고, 또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는 변기 본체의 내부와 통하는 다수의 흡입구를 가지면서 변기 본체의 후부 일측에 설치되는 악취 흡입체와, 상기 악취 흡입체의 뒷쪽 배출구로부터 연장되어 천장에 있는 팬 커버의 보조 하우징측과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호스와, 천장에 설치되는 배기용 팬의 팬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용 팬의 가동시 함께 작동되면서 변기 본체측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의 작동을 통해 변기 내부 및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의 구동방식으로서, 배기용 팬의 중심에 보토 팬의 축을 직결하여 배기용 팬과 함께 일체식으로 회전시키는 방식, 또는 보조 하우징의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보조 팬의 축 상단에 배기용 팬측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장착하여 배기용 팬과는 기어전동을 통해 함께 회전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악취배출장치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배기용 팬과 함께 회전하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을 구비하고, 변기측에서 연장되는 좁은 관을 통해 변기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흡입용 보조 팬을 통해 변기측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직접적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화장실 내의 변기 주변에 있는 악취까지도 배기용 팬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화장실 이용시 발생하는 악취가 화장실 내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배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배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일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배기용 팬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배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악취배출장치는 변기측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초기 도입하는 수단, 이렇게 도입되는 악취를 배기용 팬측으로 유도하는 수단, 악취의 실질적인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변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다수의 흡입구(11)를 가지는 사각 케이스 형태의 악취 흡입체(12)가 설치되고, 상기 악취 흡입체(12)의 뒷쪽으로는 호스(16)의 연결을 위한 배출구(13)가 형성된다.
이렇게 변기 본체(10)에 후측 커버부 아래 공간부에 설치되는 악취 흡입체(12)의 앞쪽 흡입구(11)는 변기의 내부와 통하는 구조, 또는 변기의 상부 개구부위와 통하는 구조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취 흡입체(12)에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면 변기의 내부나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흡입구(11)를 통해 악취 흡입체(12)의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뒷쪽의 배출구(13)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악취를 배기용 팬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호스(16)가 마련되고, 이때의 호스(16)는 악취 흡입체(12)의 배출구(13)에 연결되는 동시에 이곳에서부터 위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천장에 있는 팬 커버의 보조 하우징측과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16)는 벽체 등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악취를 흡입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이 마련된다.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은 기존의 배기용 팬(17)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천장에는 모터(22)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용 팬(17)과, 이때의 모터 및 배기용 팬(17)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23)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3)의 하부는 그릴 구조를 갖는 팬 커버(24)로 마감되며, 상기 팬 커버(24)의 일측에는 아래쪽으로 소직경으로 연장형성한 원통형의 공간부를 조성하는 보조 하우징(15)이 형성된다.
이때의 보조 하우징(15)에 변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악취 흡입체(12)로부터 연장되는 호스(16)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보조 하우징(15)은 악취 흡입체(12)측과 호스(16)를 매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하우징(15)의 내부에는 다수의 날개차를 갖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이 설치되며, 이때의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의 작동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변기 본체(10)의 내부의 악취가 빨려 올라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은 별도의 동력원없이 배기용 팬(17)의 가동시 함께 회전되는 방식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의 축은 배기용 팬(17)의 중심에 직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배기용 팬(17)과 함께 일체식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기존 배기용 팬(17)의 중심에 나사체결하는 방식으로 보조 팬(18)을 설치하고 보조 하우징(15)을 갖는 별도의 커버를 씌우면 간단히 설치를 완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의 축은 보조 하우징(15)에 수평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21)상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기용 팬(17)의 둘레부에는 구동기어(19)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의 축에는 피동기어(20)가 장착되고, 이때의 구동기어(19)와 피동기어(20)는 서로 치합되어 전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동기어(20)의 경우 구동기어(19)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어서, 구동기어(19)의 회전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의 빠른 회전속도로 인해 악취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악취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화장실 출입을 위해 입구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S)를 ON 작동시키면, 이때부터 배기용 팬(17)과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이 동시에 회전되고, 사용자가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하는 악취는 악취 흡입체(12)의 흡입구(11)→악취 흡입체(12)의 내부→악취 흡입체(12)의 배출구(13)→호스(16)→보조 하우징(15)의 내부→배기용 팬(17)이 속해 있는 하우징(23)의 내부→하우징 출구를 차례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화장실 내부의 공기 또한 배기용 팬(17)의 팬 커버(14)를 통해 흡입되면서 외부로 함께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용 팬과 함께 작동하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을 이용하여 변기 내부 및 변기 주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입한 후에 배출시킬 수 있고, 따라서 화장실의 환경을 항상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 변기 본체 11 : 흡입구
12 : 악취 흡입체 13 : 배출구
14 : 팬 커버 15 : 보조 하우징
16 : 호스 17 : 배기용 팬
18 : 악취흡입용 보조 팬 19 : 구동기어
20 : 피동기어 21 : 지지대
22 : 모터 23 : 하우징

Claims (3)

  1. 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
    변기 본체(10)의 내부와 통하는 다수의 흡입구(11)를 가지면서 변기 본체(10)의 후부 일측에 설치되는 악취 흡입체(12);
    상기 악취 흡입체(12)의 뒷쪽 배출구(13)로부터 연장된 호스(16) 및 이 호스와 연결되는 천장에 있는 팬 커버(14)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 하우징(15);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배기용 팬(17)의 팬 커버(14)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하우징(15)의 내부에 날개부가 설치되어 배기용 팬(17)의 가동시 함께 작동되면서 변기 본체(10)측의 악취만을 흡입하는 악취흡입용 보조 팬(18);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15) 내에 위치된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은 배기용 팬(17)의 중심에 축이 직결되어 배기용 팬(17)과 함께 일체식으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흡입용 보조 팬(18)은 보조 하우징(15)의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동시에 축 상단에는 배기용 팬의 선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9)와 치합되는 피동기어(20)가 장착되어 있어서, 배기용 팬(17)과는 기어전동을 통해 함께 회전하여 회전비를 높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2020110000015U 2011-01-03 2011-01-03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200463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15U KR200463406Y1 (ko) 2011-01-03 2011-01-03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15U KR200463406Y1 (ko) 2011-01-03 2011-01-03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76U KR20120005076U (ko) 2012-07-11
KR200463406Y1 true KR200463406Y1 (ko) 2012-11-05

Family

ID=4685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15U KR200463406Y1 (ko) 2011-01-03 2011-01-03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4903B (zh) * 2016-03-25 2019-07-16 衡阳市金泉置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臭功能的蹲便器用冲水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60Y1 (ko) 2000-11-02 2001-04-16 김일대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387167Y1 (ko) 2005-03-15 2005-06-17 김경선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60Y1 (ko) 2000-11-02 2001-04-16 김일대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387167Y1 (ko) 2005-03-15 2005-06-17 김경선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76U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0588A1 (zh) 一种洗地吸干机
WO2016000603A1 (zh) 一种水洗清洁装置
KR20080095580A (ko) 향기발생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0463406Y1 (ko)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100990228B1 (ko) 악취배출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KR101878905B1 (ko)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200446229Y1 (ko) 온수세정기의 탈취 송풍장치
JP2001133005A (ja) 同時給排気型換気扇および同時循環排気型換気扇
JP2010520958A (ja) トイレの改良
KR102427888B1 (ko) 실내외 공기 배출과 흡입이 가능한 양방향성 환풍기
JP4568789B1 (ja) 洗濯乾燥機
JP5270490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KR102184739B1 (ko)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KR101307840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3002226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40073328A (ko) 건조 덕트부와 탈취부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JP5270491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CN106836418B (zh) 一种厕所除臭装置及具有该装置的厕所除臭系统
JP2010286205A (ja) 送風装置
KR200297663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양변기
KR200175303Y1 (ko) 악취제거양변기
KR20120042372A (ko) 좌변기 탈취장치
JP6900827B2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KR200355426Y1 (ko) 필터링 기능을 갖는 비데의 탈취장치
KR101338494B1 (ko) 건조 탈취 장치, 상기 건조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및 상기 온수 세정기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