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60Y1 - 좌변기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60Y1
KR200220460Y1 KR2020000030639U KR20000030639U KR200220460Y1 KR 200220460 Y1 KR200220460 Y1 KR 200220460Y1 KR 2020000030639 U KR2020000030639 U KR 2020000030639U KR 20000030639 U KR20000030639 U KR 20000030639U KR 200220460 Y1 KR200220460 Y1 KR 200220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exhaust pipe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대
Original Assignee
김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대 filed Critical 김일대
Priority to KR2020000030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6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부속하여 좌변기의 변통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배수밸브(2) 하부에 있는 물공급관(4)에 배기관(1)을 연결하고, 이 배기관(1)의 단부에 팬(5)을 설치하여, 물이 흐르지 않을 때 배기관(1)에서부터 배수밸브(2) 하부의 물공급관(4)을 거쳐 변통(8) 후렌지부(8a)의 배수구멍(9)에 이르기 까지 연결되는 하나의 공기통로를 형성케 함으로서, 변통(8) 내의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용변 도중에 좌변기의 변통(8)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발생직 후 비어 있는 수로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수로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배기관(1)을 거쳐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며, 이로인해 항상 청결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환기장치{Toilet Stool Ventilating Device}
본 고안은 좌변기에 부속하여 좌변기의 변통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는 둥근 걸상식의 좌대에 앉아서 대변 또는 소변을 보는 변기를 말한다. 좌변기는 일반적으로 가정용과 공공장소에 설치된 공중용으로 구별된다. 특히 공중용의 변기는 외부에 설치된 대형 수조와 연결된 수계(水系)의 최종 단계에서 물공급관을 통해 물을 낙하시키는 방식이다.
이같은 좌변기는 통상 좌대 아래에 있는 변통의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후렌지부 주위에는 작은 배수구멍들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물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이 배수구멍들을 통해 변통으로 흘러내린다. 이러한 좌변기의 급수체계에 있어서 급수하지 않을 때에는 배수밸브 아래로부터 상기 배수구멍까지에 이르는 수로는 물이 차 있지 않아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비어 있다.
더욱이 상기한 좌변기는 용변을 보는 도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별도의 장치가 달려 있지 않다. 그러므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용변을 보는 도중임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못한체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용변중에 발생된 악취는 용변처리를 위해 수조의 물을 내릴때에 비로서 배수되는 물과 함께 배출로를 통해 제거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냄새에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용변을 보는 도중 수시로 물을 급수하여 악취를 없애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에 수시로 급수하게 되면 그 낭비되는 물의 양도 많을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재급수가 가능해지는 것이므로 뒤에 사용할 이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벽면이나 천정에 별도의 환기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환기면적이 넓어서 그 효과가 매우 적으며, 아무리 성능이 우수한 환기장치라 할지라도 변기의 주위로 이미 확산된 악취를 빨아들이는 것이므로 악취의 원천적인 차단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공공장소의 좌변기에서 용변 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수로의 공기 유동공간을 이용하여 발생시점에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서 악취가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변기 일체형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좌변기용 배수시설을 그대로 활용하여 시설물의 교체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급수로를 이용한 변기 일체형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환기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환기장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흡입구 구조를 도시한 좌변기의 종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기관, 2:배수밸브, 3:이음쇠, 4:물공급관, 5:팬, 6:좌대, 7:작동스위치, 8:변통, 9:배수구멍, 19:주흡입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공급관의 배수밸브 하부에 있는 물공급관에 배기관을 연결하고, 이 배기관의 단부에 팬을 설치하여, 물이 흐르지 않을 때 배기관에서부터 배수밸브 하부의 물공급관을 거쳐 변통 후렌지부의 배수구멍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변통 주위에 복수개의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좌변기의 상측 후렌지부 후방벽면에, 악취를 발생시점에서 신속히 흡입할 수 있도록 주흡입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목적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기관의 단부는 화장실 밖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그 끝에 팬만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배기관의 단부가 화장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그 끝에 공기정화필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 배기관의 연결부 중간에는 물이 배기관으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역지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팬은 화장실의 환기구 또는 창문에 부착시키면 되는 것으로, 작동스위치는 좌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화장실의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좌대에 설치하는 작동스위치는 용변자의 하중에 의하여 작동하는 일종의 압력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스위치를 대신하여 열감지센서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팬을 작동시키는 적외선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공기정화필터는 배기관이 화장실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없는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 팬과 함께 물공급관의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정화필터는 악취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정화필터로는 예컨대 저밀도의 활성탄 필터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배기관(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밸브(2)의 아래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관(1)의 일측은 이음쇠(3)에 의하여 배수밸브(2) 아래의 물공급관(4)과 연결되어 있다. 이음쇠(3)는 일측이 물공급관(4)과 용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유니온 이음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는데, 이때 배기관(1)은 이음쇠(3)와 너트(10)로 연결된다.
배기관(1)의 타측 단부에는 팬(5)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1)의 길이가 이음쇠(3)와 거의 붙어 있는 정도로 짧거나 화장실 내부에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화장실 내부에서 악취를 제거시켜야 하므로 공기정화필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공기정화필터가 있는 경우에는 배기관(1)과 팬(5)의 중간에 설치한다.
팬(5)은 좌변기의 좌대(6) 하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7)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용변자가 좌대(6)에 앉으면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작동스위치(7)가 눌려지면서 자동으로 온(ON)되고 용변자가 좌대(6)에서 일어서면 작동스위치(7)는 오프(OFF)된다. 다만 상기 압력스위치를 대신하여 열감지센서나 적외선센서를 설치한 경우에는 출입자의 체온이나 움직임을 감지하여 팬을 작동시키게 된다. 미설명부호 11은 플러그이고, 12는 배수밸브(2) 전방에서 압력수가 저장되어 있는 물유입관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배수밸브(1)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수밸브(1) 아래의 물공급관(4)과, 이 물공급관(4)과 연통되는 변통(8) 후렌지부(8a) 주위의 배수구멍(9)들과, 그리고 이음쇠(3)와 배기관(1)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들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같은 환경에서 용변자가 좌대(6)에 앉아 작동스위치(7)가 작동하면 팬(5)이 구동한다.
팬(5)의 송풍력은 배기관(1)과 이음쇠(3), 배수밸브(2) 아래의 물공급관(4)에 진공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진공력은 다시 배수구멍(9)들에 작용하여 결국 변통(8) 내의 악취가 배수구멍(9)들, 배수밸브(2) 아래의 물공급관(4), 이음쇠(3), 그리고 배기관(1)을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최초로 변통(8) 내의 악취를 홉입하게 되는 흡인통로인 상기 배수구멍(9)은, 대체로 좌변기의 상측 후렌지부(8a)를 따라 하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또한 작은 구멍들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어서 발생된 악취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흡착하는데 부족하므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배수구멍(9) 가운데 배수관(1)에 인접한 하나이상의 배수구멍(9)을 10㎜가량의 크기로 천공하여 주는 것이 좋다.
더욱이 발생시점에서 악취를 보다 신속히 흡입하기 위하여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둔부가 위치하게 될 좌변기의 상측 후렌지부(8a) 후방 벽면에 주흡입구(19)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수밸브(2)의 작동시에는 배수밸브(2) 아래의 물공급관(4)과 배수구멍(9)들을 통해 압력수가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므로 일시적으로 배기관(1)으로의 공기 유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이음쇠(3)에 역지밸브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은 변통(8) 후렌지부(8a)의 배수구멍(9)들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막혀 압력이 상승할 때 물공급관(4)에 차 있는 압력수가 압력이 작은 배기관(1) 쪽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즉 이음쇠(3)의 중간에 오리피스(3a)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밸브체(3b)를 설치한 것으로서, 밸브체(3b)는 물이 유입될 때 부상하여 오리피스(3a)를 차단시킨다.
이러한 밸브체(3b)와 오리피스(3a)와의 간격은 볼트(3c)를 조절함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만일, 배수밸브(2) 아래의 물공급관(4)으로 내려가는 압력수가 저항을 받아 그 흐름압력이 높아지면 이음쇠(3) 내로 물이 들어온다. 그러므로 밸브체(3b)는 유입된 물에 의하여 부상하여 오리피스(3a)를 막아 배기관(1)으로 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좌변기의 기존 수로를 그대로 이용하여 별도의 부속설비를 요구함이 없이도 좌변기에서 용변자가 용변을 볼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악취를 발생시점에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악취는 배기관을 길게 하여 화장실 밖으로 설치하여 팬에 의하여 쉽게 배출되도록 하거나, 화장실 내에 설치했을 때에는 공기정화필터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의 힘으로 회전하는 팬을 이용해 모터와 작동스위치의 설치 없이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배수밸브 하부에 위치하는 물공급관 상에 배기관을 연결하고, 이 배기관의 단부에 팬을 설치하여, 물이 흐르지 않을 때 배기관에서부터 배수밸브 하부의 물공급관을 거쳐 좌변기 변통 후렌지부의 배수구멍까지 연결되는 하나의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관의 단부에 공기정화필터를 팬과 함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관에는 밸브체가 물에 부상하여 오리피스를 차단시킬 수 있는 역지밸브를 설치하여, 물공급관으로부터 배기관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변통 주위에 복수개의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좌변기의 상측 후렌지부 후방벽면에, 악취를 발생시점에서 신속히 흡입할 수 있도록 주흡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20000030639U 2000-11-02 2000-11-02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220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39U KR200220460Y1 (ko) 2000-11-02 2000-11-02 좌변기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39U KR200220460Y1 (ko) 2000-11-02 2000-11-02 좌변기용 환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893A Division KR20020034511A (ko) 2000-11-02 2000-11-02 좌변기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60Y1 true KR200220460Y1 (ko) 2001-04-16

Family

ID=7309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39U KR200220460Y1 (ko) 2000-11-02 2000-11-02 좌변기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54A (ko) * 2002-11-15 2004-05-20 최임근 양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63406Y1 (ko) 2011-01-03 2012-11-05 김정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54A (ko) * 2002-11-15 2004-05-20 최임근 양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63406Y1 (ko) 2011-01-03 2012-11-05 김정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213B2 (en) Self-ventilating toilet
US8214930B2 (en) Toilet odor removal apparatus
US20160040415A1 (en) Ventilating System For Toilet Stool
US7856675B1 (en) Flush passage ventilation fitting
US7103925B2 (en)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US3626554A (en) Ventilator for bathrooms
US20120311775A1 (en) Part of toilet bowl for removing foul odor of excrement
GB2319268A (en) Ventilation and flushing unit for a toilet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US7376982B1 (en) Toilet bowl venting apparatus
EP0651098A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odor from plumbing units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US20020112279A1 (en) Odour extraction system for a toilet, urinal, bidet, and the like
US2006003712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US20060248634A1 (en) Ventilated toilet seat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20020034511A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408971Y1 (ko) 악취제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20020037578A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220459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271567Y1 (ko)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110126946A (ko) 양변기용 환기장치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KR200445976Y1 (ko)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