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50Y1 -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 Google Patents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50Y1
KR200438550Y1 KR2020070004151U KR20070004151U KR200438550Y1 KR 200438550 Y1 KR200438550 Y1 KR 200438550Y1 KR 2020070004151 U KR2020070004151 U KR 2020070004151U KR 20070004151 U KR20070004151 U KR 20070004151U KR 200438550 Y1 KR200438550 Y1 KR 200438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toilet
fan motor
backflow
ind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태
Original Assignee
유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태 filed Critical 유광태
Priority to KR2020070004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별한 필터 수단이나 밸브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이나 혹은 유지보수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변기 내에 잔존 가능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양변기의 좌대 하단에 구비되어 변기몸체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댐퍼; 상기 양변기의 배후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양변기 내로 방출될 물이 충전되는 로우탱크 내에 마련되는 배출유도관; 상기 흡입댐퍼를 통해 흡입된 상기 악취를 상기 배출유도관으로 안내하는 팬모터; 상기 배출유도관을 따라 유동한 악취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유도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팬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상기 악취의 흐름 및 상기 로우탱크 내의 수압에 기초하여 팽창 및 수축으로 상기 내부 공간이 확장되거나 차폐되면서 악취의 역방향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공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변기, 변기, 악취, 제거, 역류, 방지, 관, 팬모터, 밸브, 공기압, 수압

Description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REMOVING ODOUR AND PREVENTING ITS BACKF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의 전체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전제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후면구성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측면 구성관계를 나타낸 좌측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측면 구성관계를 나타낸 우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평면 구성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있어 서, 로우탱크 내에 구비된 배출유도관 영역의 구조도,
도 7b 및 도 7c는 각각 공기튜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팬모터 속도와 시간 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팬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양변기 2 : 변기몸체
4 : 악취제거장치 12 : 좌대
23 : 좌판덮개 31 : 탱크본체
41 : 흡입댐퍼 42 : 팬모터
44 : 배출유도관 44a,44b : 단위관
44c : 통공 45 : 배출관
48 : 제어부 60 : 공기튜브
70 : 착석감지센서 72 : 물내림감지센서
본 고안은,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별한 필터 수단이나 밸브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이나 혹은 유지보수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 다.
양변기(洋便器, A toilet stool / 좌변기)라 함은, 걸터앉아서 대변을 보게 된 서양(西洋)식의 수세식 변기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용변(用便 : 대변이나 소변을 배출하는 행위)을 위해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는 좌대와,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침수시킨 후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몸체와, 그의 상단에 마련된 채 공급수를 공급/저장/배출시켜 배설물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로우탱크(로우탱크)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은 통상적으로 주지된 사실이다.
사람들의 생리적 현상인 용변시, 인체(항문 등)로부터 배설(排泄 : 동물체가 음식의 영양을 섭취하고 그 찌꺼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행위)되는 그 즉시 악취를 풍기게 마련이다. 즉, 사용자가 상술한 좌대에 착석한 채로 용변에 의해 배출되는 대변이 소량의 공급수가 담수(湛水)된 상기 변기몸체의 배설공간 내로 낙하하는 극한 시간 동안에도 대부분의 악취가 풍겨나는 것이며, 담수공간 저면으로 잠수 후에도 기포를 통해 화장실(욕실) 내로 분출된다.
한편, 일부 사람들은 악취의 확산을 최소화기 위하여, 용변과 동시에 상기 로우탱크 일측에 마련된 조작버튼(또는 레버)을 조작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심화시키고 그에 따른 악취의 제거효과도 미미할 수밖에 없어, 화장실의 다음 이용자가 여전히 불쾌감을 갖게 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491641호에서는, 양변기에 앉아 용변 시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 흡입한 후, 그 강제 흡입된 악취를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강제 토출시켜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 는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의 전체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는, 상술한 좌대(901)의 후방에 변기몸체(90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관(910)과; 상기 좌대(901)의 저면에 다수의 냄새흡입구멍(912)을 형성하는 동시에 좌대(901)의 내부에 다수의 냄새흡입구멍(912)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회전관(910)으로 각각 분기라인을 가지는 제1냄새흡입호스(920)와; 상기 제1냄새흡입호스(920)의 끝단에 제1,2체결부(921a)(921b)를 두되, 그들 각각에 밀폐덮개(931)와 제2냄새흡입호스(932)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변기몸체(903)의 배수관(903a) 일단에 단차를 가지는 연결구멍(903b)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멍(903b)에 제3체결부(933a)를 가지면서 배수관(903a)의 내부로 삽입되는 절곡관(933)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절곡관(933)의 제3체결부(933a)에 제3냄새흡입호스(934)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변기몸체(903)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흡입모터(940)와; 상기 흡입모터(940)에 제2,3냄새흡입호스(932)(934)의 타단을 접속함과 함께, 상기 제3냄새흡입호스(934)에 흡입펌프(94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전자밸브(960);로 구성된다.
종래의 냄새 강제 제거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용변시 흡입펌프(940)의 흡입작동과 함께 전자밸브(960)가 개방됨 으로써, 상기 변기몸체(903) 주변의 악취가 좌대(901)의 냄새흡입구멍(912)을 통해 제1냄새흡입호스(920)로 강제 흡입된다.
이어서, 상기 제1냄새흡입호스(920)로 강제 흡입된 악취는, 제2냄새흡입호스(932)를 따라 흡입모터(940)를 거치게 되며, 다시 상기 제3냄새흡입호스(934) 및 제3체결부(933a)와 절곡관(933)을 통해 배수관(903a)의 내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다수개의 냄새흡입구멍(912)이 형성된 상기 제1냄새흡입호스(920)가 구비된 좌대(901)와 제2,3냄새흡입호스(932)(934) 및 흡입모터(940) 그리고 절곡관(933)을 통해 배수관(903a)으로 악취를 어느 정도 외부로 배출시킬 수는 있으나, 기체흐름의 특성을 감안하지 못한 구조 즉, 상기 제1냄새흡입호스(920)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냄새흡입구멍(912)을 통한 분산흡입으로 주위의 기체흐름을 원활히 이룰 수 없음에 따른 완벽한 악취흡입의 불가능은 말할 나위 없거니와 공기마찰소음 발생 및 흡입모터에 부하가 증대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제2,3냄새흡입호스(932)(934)와 흡입모터(940) 그리고 전자밸브(960) 등과 같은 대다수의 구성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됨에 의해, 세라믹(Ceramics / 자기)으로 된 변기몸체(903)에 조립 결합함이 용이치 못해 불필요한 제조비용 및 보수비용의 지출을 감내하여야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배출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복잡한 구조의 상기 전자밸브(960)를 채용함을 통한 제조비용 상승과 제품의 내구성 결여 및 유지보수의 난해성도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별한 필터 수단이나 밸브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이나 혹은 유지보수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변기 내에 잔존 가능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양변기의 좌대 하단에 구비되어 변기몸체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댐퍼; 상기 양변기의 배후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양변기 내로 방출될 물이 충전되는 로우탱크 내에 마련되는 배출유도관; 상기 흡입댐퍼를 통해 흡입된 상기 악취를 상기 배출유도관으로 안내하는 팬모터; 상기 배출유도관을 따라 유동한 악취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유도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팬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상기 악취의 흐름 및 상기 로우탱크 내의 수압에 기초하여 팽창 및 수축으로 상기 내부 공간이 확장되거나 차폐되면서 악취의 역방향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공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도관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로우탱크 내의 물에 침지되는 침지영역 및 침지되지 않은 비침지영역이 존재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배출유도관의 표면에는 상기 물이 침투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튜브의 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배출유도관에는 상기 배출유도관을 복수의 단위관으로 분리하는 이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좌대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 상기 로우탱크에 구비된 물내림버튼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물내림감지센서; 및 상기 착석감지센서 및 상기 물내림감지센서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 및 그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좌대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상기 착석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온(On)시키되, 상기 팬모터가 정속주행할 때까지 소정 시간동안 상기 팬모터를 상기 정속주행보다 그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대로부터 탈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상기 착석감지센서의 신호와, 상기 물내림감지센서의 신호 중에서 나중의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되, 상기 나중의 신호가 감지된 후부터 소정 시간동안 상기 팬모터가 동작된 후에 최종적으로 오프(Off)될 수 있도록 상기 팬모터에 지연시간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입댐퍼는 그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작아지는 나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팬모터는 진공습식모터일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도기로 제작되는 상기 변기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전제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후면구성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측면 구성관계를 나타낸 좌측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측면 구성관계를 나타낸 우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의 평면 구성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에 있어서, 로우탱크 내에 구비된 배출유도관 영역의 구조도, 도 7b 및 도 7c는 각각 공기튜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팬모터 속도와 시간 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팬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c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A)는, 용변 시 인체 내에서 배설되는 대변(또는 소변)을 담도록 된 배설공간(11)과 그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관(12) 및 트랩관(13)이 일체로 형성된 도기 재질의 변기몸체(1)와, 용변을 위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좌대(2)와, 배설공간(11)과 트랩관(13)을 통하여 배설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공급수가 내부에 저장된 로우탱크(3)와, 변기몸체(1) 및 로우탱크(3) 내부 그리고 트랩관(13) 외측에 더 구비되는 악취제거장치(4, 도 6 및 도 7a,7b,7c 참 조)를 포함한다.
변기몸체(1) 및 좌대(2)와 로우탱크(3)는 통상의 양변기(A)를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몸체(1)는, 용변 시 배설되는 대변을 받아두기 위한 배설공간(11)과 그 내부에 담겨지게 되는 배설물(대, 소변)을 정화조(미도시)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급관(12)과 트랩관(13)으로 구성된다.
좌대(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석하여 용변을 보기 위해 변기몸체(1)의 배설공간(11) 상단부를 두르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변기몸체(1)의 일 상단에 결합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좌대본체(21)와, 좌대본체(21)의 일단에 힌지 결합됨으로 사용자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좌판(22)과, 좌판(2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좌판덮개(23)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미루어볼 때, 좌대(2)는 소위, 비데라 하는 구조물로 채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비데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악취제거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로우탱크(3)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물저장공간(3a)이 개구되게 내부에 마련된 탱크본체(31)와, 물저장공간(3a)의 밀폐를 위해 탱크본체(31)의 상부를 덮는 탱크덮개(32)와, 물저장공간(3a) 내로 공급/저장된 공급수를 배수하여 배설공간(11) 내에 담겨진 대변이 공급수와 함께 트랩관(13)을 거쳐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물내림버튼(33)을 구비한다.
또한 물저장공간(3a)의 바닥면 일 상측에 결합되어 공급수의 유입/배출을 위한 부구(3a-11)와 지지대(3a-12) 및 급수밸브(3a-13) 등으로 이루어진 볼탭(3a-1) 과, 급수밸브(3a-13)로부터 유입된 공급수가 상기 배설공간(11)의 소정수위까지만이 유입되게 하면서도 물내림버튼(33)에 의해 물저장공간(3a) 내에 담겨진 공급수와 함께 배설물이 정화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이폰마개(3a-21)가 구비된 배수관(3a-2)이 더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악취제거장치(4)는, 체내에서 배설된 대변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그 즉시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출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악취제거장치(4)에 대해서는 주로 도 7a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한다.
악취제거장치(4)는 흡입댐퍼(41), 배출유도관(44), 팬모터(42), 배출관(45) 및 공기튜브(60)를 포함한다.
흡입댐퍼(41)는 양변기(A)의 좌대(2) 하단에 구비되어 변기몸체(1)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악취 등의 공기가 흡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따라서 흡입댐퍼(41)는 통상의 덕트 구조면 족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악취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댐퍼(41)를 그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작아지는 나팔 형상을 갖도록 제조하고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악취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흡입댐퍼(41)를 통해 악취가 흡입되기 위해서는 동력이 필요하다. 이는 팬모터(42)가 담당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팬모터(42)로는 진공습식모터(40)가 채용되고 있다.
즉, 앞서 기술한 좌대본체(21) 내에 구비될 수 있는 팬모터(42)의 동작에 기초하여 흡입댐퍼(41)를 통해 악취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악취는 로우탱크(5) 내에 구비된 배출유도관(44), 배출관(45)을 경유하여 정화조로 합류된다. 좌대본체(21) 내에는 후술할 착석감지센서(71)와, 물내림감지센서(72)의 신호에 기초하여 팬모터(42)의 온/오프(On/Off) 동작 및 그 속도를 제어하는 주회로기판으로 된 제어부(48)가 더 구비된다. 제어부(48)에 대한 기능은 후술한다.
배출유도관(44)은, 팬모터(42)로부터 유입된 악취가 트랩관(13)을 거쳐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함께 배출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탱크(5) 내에 구비된다. 배출유도관(44)의 일단은 팬모터(42) 측으로부터 돌출된 배기관(42a)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관(45)과 연통되어 있다.
참고로, 배출관(45)은 변기몸체(1)의 내부에 별도의 배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도기 재질로 제작되는 변기몸체(1)에 배출관(45)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배출관(45)을 위한 배관을 별도로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팬모터(42)가 온(On)되어 변기몸체(1)의 배설공간(11) 내의 악취가, 흡입댐퍼(41), 팬모터(42), 배출유도관(44), 배출관(45) 및 정화조로 향한 후, 팬모터(42)가 오프(Off)될 때, 정화조로 향한 악취가 다시 변기몸체(1) 쪽으로 역류해서는 아니 된다. 만약에, 악취가 역류하게 되면 변기몸체(1)에 다시 악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을 저지하고자 종래에서는 별도의 필터 수단이나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구조물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유도관(44) 내에는 공기튜브(60)가 구비된다. 공기튜브(60)는 팬모터(42)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공기의 흐름 및 로우탱크(5) 내의 수압에 기초하여 내부 공간이, 확장되거나 차폐되면서 악취의 역방향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튜브(60)는 얇은 막 형상의 비닐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또한 배출유도관(44)은 관내 공기튜브(60)의 작동상태 확인 등 유지보수의 관점에서 투명 피브이씨(PVC) 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유도관(44)은 로우탱크(5) 내에서 로우탱크(5) 내의 물에 침지되는 침지영역(L1) 및 침지되지 않은 비침지영역(L2)이 존재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상기 U형 침지영역(L1)의 로우탱크(5)내 위치(높이)는, 배출되는 공기압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상단위치시에는, 배출시에는 수월하나 낮은 수압으로 역류차단이 완벽치 않고, 하단위치시에는, 배출후 역류차단에는 문제가 없으나, 높은 수압으로 배출시에 필요이상의 강한 공기압이 요구된다. 따라서 배출공기압에 대응한 침지영역(L1) 의 길이는 유동적이며, 비침지영역(L2)은 체결부위를 포함 로우탱크(5) 내 수면 위 정도라면 족하다 하겠다. 이러한 침지영역(L1)에 대응되는 배출유도관(44)의 표면에는 물이 침투하는 복수의 통공(4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튜브(60))의 단부가 위치하는 배출유도관(44)에는 배출유도 관(44)을 복수의 단위관(44a,44b)으로 분리하는 이음부(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음부(50)는 통상의 유니온으로 보아도 좋고 혹은 도 7a에 확대된 부분과 같이, 파이프용 연결 소켓(50) 정도로 보아도 무방하다. 파이프용 연결 소켓(50)은 그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의 중앙 영역에 플랜지부(50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관(44a,44b)들의 단부는 플랜지부(50a)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앞서 기술한 제어부(48)의 작용에 의해 팬모터(42)가 온(On)되어 변기몸체(1) 내의 악취가, 흡입댐퍼(41), 팬모터(42) 및 배출유도관(44)으로 향하면,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공기튜브(60)는 도 7a의 (a)와 같이 팽팽하게 확장되면서 펼쳐지며, 따라서 악취는 공기튜브(160)를 거쳐, 배출관(45) 및 정화조로 향하게 된다.
하지만, 팬모터(42)가 오프(Off)될 때는 공기압이 사라지는데, 이 때는 침지영역(L1)에 대응되는 배출유도관(44)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44c)을 통해 배출유도관(44) 내로 물이 유입되고(다수의 화살표 방향), 따라서 수압이 작용하면서 그 내부의 공기튜브(60)는 순간 수축밀착되어, 도 7a의 (b)와 같이,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 악취의 역류 방지는 팬모터(42)의 구동이 멈춤과동시 상기 침지영역(L1)내 통공(44c)에 작용하던 배출공기압과 수압의 균형이 깨지면서(수압 > 공기압), 수압이 담당하는 셈이다.
한편, 앞서도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팬모터(42)의 동작과 관련해서 볼 때, 본 실시예의 양변기(A)에는 사용자가 좌대(2)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71)와, 로우탱크(5)에 구비된 물내림버튼(33)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물내림감지센서(72)와, 착석감지센서(70) 및 물내림감지센서(72)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팬모터(42)의 온/오프(On/Off) 동작 및 그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8)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48)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대(2)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착석감지센서(70)의 신호에 기초하여 팬모터(42)의 동작을 온(On)시키되, 팬모터(42)가 정속주행할 때까지 소정 시간동안 팬모터(42)를 정속주행보다 그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8)는 사용자가 좌대(2)로부터 탈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착석감지센서(71)의 신호와, 물내림감지센서(72)의 신호 중에서 나중의 신호를 인식하여 팬모터(42)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되, 나중의 신호가 감지된 후부터 소정 시간동안 팬모터(42)가 동작된 후에 최종적으로 오프(Off)될 수 있도록 팬모터(42)에 지연시간(t1)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8)의 작용을 본 실시예와 관련해서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좌대(2)에 앉는다. 그러면 착석감지센서(70)는 이를 감지하고(S1), 이 신호를 제어부(48)로 보낸다. 그러면 제어부(48)는 팬모터(42)를 온(On)시킨다(S4). 팬모터(42)가 온(On)되어 변기몸체(1)의 배설공간(11) 내의 악취가, 흡입댐퍼(41), 팬모터(42) 및 배출유도관(44)으로 향하면,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공기 튜브(60)는 도 7a의 (a)와, 도 7c와 같이 팽팽하게 확장되면서 펼쳐지며, 따라서 악취는 공기튜브(160)를 거쳐, 배출관(45) 및 정화조로 향하게 된다. 이때는 배출유도관(44)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44c)을 통해 공기튜브에 작용하던 물이 배출된다.
한편, 공기튜브(60)가 도 7a의 (a)와 도 7c와 같이 펼쳐지기 위해서는, 도 7a의 (b)와 도 7b와 같이, 공기튜브(60)가 수축밀착 되어 있던 상태에서 대략 팽팽하게 펼쳐져야 따라서 구동초기에는 다소 큰 공기압이 필요할 수 있으며, 공기튜브(60)가 도 7a의 (a)와 도 7c와 같은 상태가 된 후에는 냄새의 배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압을 제공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팬모터(42)가 온(On)될 경우(S4), 제어부(48)는 부하제거를 위해 팬모터(42)가 정속주행의 속도보다 높은 속도를 내도록 팬모터(42)를 동작시킨다(S4). 물론, 이 시간은 정해진 세팅 시간(t) 예를 들어 대략 2 ~ 3초 진행된다. 즉, 2 ~ 3초 후에는 팬모터(42)가 정속주행을 할 수 있도록 제어부(48)가 팬모터(42)를 제어하게 된다(S5).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물내림버튼(33)을 동작시키고 좌대(2)로부터 탈석하는 경우, 보통은 물내림을 실시하고 탈석하게 된다. 따라서 그 신호의 선후를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감지센서(72)에 의한 신호(S3)보다 탈석을 감지한 착석감지센서(70)의 신호(S2)가 나중의 신호인 셈이다.
이러한 신호 중에서, 제어부(48)는 나중의 신호인 탈석을 감지한 착석감지센서(70)의 신호(S2)를 감지하고(S6), 팬모터(42)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 하지 만, 그 즉시 팬모터(42)를 오프(Off)시키지는 않는다. 즉, 탈석을 감지한 착석감지센서(70)의 신호(S2)로부터 일정한 지연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완전히 팬모터(42)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 지연시간(t1)은 대략 5~7 초(잔여 냄새제거 및 수조 내 물이 만충되는 시간) 정도면 충분할 수 있다.
지연시간(t1)이 경과하고 팬모터(42)가 완전히 오프(Off)된 후에는, 공기압이 사라지기 때문에 이 때는 도 7a의 (b)와 도 7b와 같이, 침지영역(L1)에 대응되는 배출유도관(44)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44c)을 통해 배출유도관(44) 내로 물이 유입되고(다수의 화살표 방향), 따라서 수압이 작용하면서 그 내부의 공기튜브(60)는 수축밀착되며 따라서, 공기튜브(60)의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평상시에는 도 7a의 (b)와 도 7b의 상태와 같이, 공기튜브(60)가 수축밀착된 상태이므로 비사용 시에도 악취의 역류는 계속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기술처럼 특별한 필터 수단이나 밸브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비용이나 혹은 유지보수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팬모터는 수동으로도 조작될 수 있으며, 용변 외 욕실 내 일반 환기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특별한 필터 수단이나 밸브 장치 없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이나 혹은 유지보수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양변기 내에 잔존 가능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양변기의 좌대 하단에 구비되어 변기몸체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댐퍼;
    상기 양변기의 배후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양변기 내로 방출될 물이 충전되는 로우탱크 내에 마련되는 배출유도관;
    상기 흡입댐퍼를 통해 흡입된 상기 악취를 상기 배출유도관으로 안내하는 팬모터;
    상기 배출유도관을 따라 유동한 악취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유도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팬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상기 악취의 흐름 및 상기 로우탱크 내의 수압에 기초하여 팽창 및 수축으로 상기 내부 공간이 확장되거나 차폐되면서 악취의 역방향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공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관은, 상기 로우탱크 내에서 상기 로우탱크 내의 물에 침지되 는 침지영역 및 침지되지 않은 비침지영역이 존재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침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배출유도관의 표면에는 상기 물이 침투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의 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배출유도관에는 상기 배출유도관을 복수의 단위관으로 분리하는 이음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좌대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
    상기 로우탱크에 구비된 물내림버튼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물내림감지센서; 및
    상기 착석감지센서 및 상기 물내림감지센서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모터의 온/오프(On/Off) 동작 및 그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좌대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상기 착석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온(On)시키되, 상기 팬모터가 정속주행할 때까지 소정 시간동안 상기 팬모터를 상기 정속주행보다 그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대로부터 탈석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상기 착석감지센서의 신호와, 상기 물내림감지센서의 신호 중에서 나중의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되, 상기 나중의 신호가 감지된 후부터 소정 시간동안 상기 팬모터가 동작된 후에 최종적으로 오프(Off)될 수 있도록 상기 팬모터에 지연시간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댐퍼는 그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작아지는 나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는 진공습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도기로 제작되는 상기 변기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20070004151U 2007-03-13 2007-03-13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0438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151U KR200438550Y1 (ko) 2007-03-13 2007-03-13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151U KR200438550Y1 (ko) 2007-03-13 2007-03-13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50Y1 true KR200438550Y1 (ko) 2008-02-21

Family

ID=4162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151U KR200438550Y1 (ko) 2007-03-13 2007-03-13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509A1 (ko) * 2014-06-27 2015-12-30 주식회사 쿼스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509A1 (ko) * 2014-06-27 2015-12-30 주식회사 쿼스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US8214930B2 (en) Toilet odor removal apparatus
JP4736574B2 (ja) 洋風便器設備
JP4517975B2 (ja) 便器洗浄装置
US20080066220A1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KR100752932B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JP2002047715A (ja) 洋式大便器の脱臭装置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70109962A (ko) 악취제거 및 위장음 발생기능을 겸비한 양변기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200220437Y1 (ko)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JP6693038B2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JPH08270042A (ja) 真空式トイレ装置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102175283B1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KR200220526Y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KR100520879B1 (ko) 자동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