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39B1 -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 Google Patents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39B1
KR102184739B1 KR1020200080539A KR20200080539A KR102184739B1 KR 102184739 B1 KR102184739 B1 KR 102184739B1 KR 1020200080539 A KR1020200080539 A KR 1020200080539A KR 20200080539 A KR20200080539 A KR 20200080539A KR 102184739 B1 KR102184739 B1 KR 10218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exhaust steel
exhaust
building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관엽
Original Assignee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8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65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건축물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저층에 형성된 제1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1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제1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1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2 배기 강관에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1 배기 강관 및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고층에 형성된 제2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2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제2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2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1 배기 강관과 연통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2 배기 강관을 포함하며,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제1 배기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제2 배기 강관의 하단부가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된 상태로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면,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동 배기구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하여 공동 배기구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물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공동 배기구가 설치된 주변 공기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본 발명은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욕실, 화장실 및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동으로 건축물의 외부로 신속히 배기할 수 있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공기의 주 오염원은 주방에서 취사시 발생하는 발열과 냄새 및 기름증기 등의 각종 유해물질로서, 이와 같이 주방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기 위하여 주방에는 후드를 설치하고, 건축물의 외측에는 후드와 연통 되도록 배기관로를 수직하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욕실(화장실) 및 실내 환기용으로도 건축물의 일측에는 욕실 및 실내와 연결된 환기관과 연통 되도록 배기관로를 수직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건축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쾌적한 외기를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유입 순환시켜 실내 공기 상태를 생활하기 적합하게 하기 위한 환기 시설이 구축 및 설계에 반영되어 있다.
참고로, 환기 시설의 구축 및 설계 반영은 외기의 유입과 배기를 자연적으로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내부 설계에 반영시키거나, 이러한 자연적인 방법으로는 외기 유입과 배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화장실과 욕실 공간 내에 설치하여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건축물에 시공되는 공동 배기구는, 건축물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건축물의 외부로 신속히 배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는 있지만,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전혀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축물의 외부로 배기되기 때문에 공동 배기구 주변에서의 악취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분진 등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1826호(2018년 08월 27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건축물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동 배기구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하여 공동 배기구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물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공동 배기구가 설치된 주변 공기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로서,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건축물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측면에는 상기 건축물의 저층에 형성된 제1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1 흡입팬이 장착되며, 하기 제2 배기 강관에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1 배기 강관 및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건축물의 고층에 형성된 제2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2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1 배기 강관과 연통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2 배기 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배기 강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된 상태로 상기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면,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마련되며,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을 향해 물이 분출되도록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상향 이송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의 타단에 장착되어 물을 미세하게 분출시키는 분무 노즐과, 제1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1 배기 강관의 내부에 저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드레인 호스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에 연결되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기 하수관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판의 상단부 후면에는 제1 고무띠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제1 고무띠자석에 대응하는 제2 고무띠자석이 상기 요홈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을 향해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제1 고무띠자석과 제2 고무띠자석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요홈의 내측에 결합판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동 배기구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하여 공동 배기구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물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공동 배기구가 설치된 주변 공기 청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는, 제1 배기 강관(100) 및 제2 배기 강관(2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배기 강관(1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2 배기 강관(200)에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건축물(10)의 외측에 마련된다. 부연하면, 제1 배기 강관(100)은 수직하게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건축물(10)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제1 배기 강관(100)의 외측면에는, 건축물(10)의 저층에 형성된 제1 에어 덕트(11)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 에어 유입부(110)가 건축물(10)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부연하면, 건축물(10)의 내부 실내(I)의 천장에는 실내(I)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E)가 천장에 형성되고, 이러한 배기구(E)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건축물(10)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에어 덕트가 건축물(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건축물(10)의 저층에 형성되어 실내(I)의 천장에 형성된 배기구(E)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건축물(10)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끝단부가 건축물(1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에어 덕트(11)의 내측에 제1 배기 강관(10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제1 에어 유입부(11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에어 덕트(11)를 통해 건축물(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가 제1 에어 유입부(110)를 통해 제1 배기 강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에어 유입부(110)의 내측에는 제1 에어 덕트(11) 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제1 흡입팬(111)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배기 강관(2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제1 배기 강관(100)과 연통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배기 강관(200)의 하단부가 제1 배기 강관(100)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제1 배기 강관(10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2 배기 강관(200)이 제1 배기 강관(100)의 상면 개구부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면에는, 건축물(10)의 고층에 형성된 제2 에어 덕트(12)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에어 유입부(210)가 건축물(10)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부연하면, 건축물(10)의 내부 실내(I)의 천장에는 실내(I)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E)가 천장에 형성되고, 이러한 배기구(E)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건축물(10)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에어 덕트가 건축물(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건축물(10)의 고층에 형성되어 실내(I)의 천장에 형성된 배기구(E)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건축물(10)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끝단부가 건축물(10)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에어 덕트(12)의 내측에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 에어 유입부(21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에어 덕트(12)를 통해 건축물(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가 제2 에어 유입부(210)를 통해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에어 유입부(210)의 내측에는 제2 에어 덕트(12) 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제2 흡입팬(211)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제1 배기 강관(100) 내부로 유입되는 건축물(10)의 저층 실내(I)의 공기와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건축물(10)의 고층 실내(I)의 공기가 제2 배기 강관(200)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이다.
한편,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면에는, 제2 배기 강관(200)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220)이 제2 배기 강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요홈(220)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221)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220)의 내측에 수직하게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H)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220)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230)이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판(230)의 상단부 후면에는 제1 고무띠자석(231)이 부착되고, 요홈(220)의 내측면에는 제1 고무띠자석(231)에 대응하는 제2 고무띠자석(222)이 부착될 수 있다.
부연하면, 결합판(230)이 제2 배기 강관(200)을 향해 회동되어 결합판(230)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제1 고무띠자석(231)과 제2 고무띠자석(222)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요홈(220)의 내측에 결합판(230)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판(230)의 상단부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결합판(230)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32)가 더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기 강관(100)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 강관(100)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절곡홈(120)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121)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홈(120)은 결합판(230)이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230)이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즉, 제2 배기 강관(200)의 하단부가 제1 배기 강관(100)의 상면 개구부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1 고정홈(221)과 제2 고정홈(121)이 서로 대응된 상태에서 결합판(230)을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결합판(230)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고정홈(221)과 제2 고정홈(121)을 향해 결합판(230)을 가압하면, 결합판(230)이 힌지축(H)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수평 이동되어 결합판(230)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221)과 제2 고정홈(121)의 내측에 삽입된다. 즉, 결합판(230)이 제1 고정홈(221)과 제2 고정홈(121)의 내측에 끼워지게 된다
이처럼 제1 고정홈(221)과 제2 고정홈(121)에 의해 결합판(230)이 고정되어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이 서로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는, 제2 배기 강관(200)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공기 정화 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 수단(300)은, 펌프(310), 이송라인(320), 분무 노즐(330) 및 드레인 호스(340)로 구성될 수 있다.
펌프(310)는, 제1 배기 강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라인(320)은,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이송라인(320)은, 펌프(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배기 강관(200)의 상면 개구부에 마련된다. 즉, 이송라인(320)을 통해 물이 이송되어 제2 배기 강관(200)의 내측을 향해 물이 분출되도록 펌프(310)에 의해 펌핑되는 물이 상향 이송하게 된다.
분무 노즐(330)은, 이송라인(320)의 타단에 장착되어 제2 배기 강관(200)의 내측을 향해 분출되는 물이 미세하게 분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드레인 호스(340)는, 제1 배기 강관(10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1 배기 강관(1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드레인 호스(340)는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400)에 연결되어 드레인 호스(34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하수관(40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 정화 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 배관으로 부터 물을 공급 받아 물을 펌핑하는 펌프(310)에 의해 물이 이송라인(320)을 통해 제2 배기 강관(200)의 상면 개구부 까지 상향 이송되면, 이송라인(320)에 장착된 분무 노즐(330)을 통해 상향 이송된 물이 미세 입자 형태로 제2 배기 강관(200)의 내측을 향해 분출된다.
이렇게 물이 분무 노즐(330)을 통해 분출되면서 제1 배기 강관(100)의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에어 유입부(110)와 제2 에어 유입부(210)에 각각 장착된 제1 흡입팬(111)과 제2 흡입팬(211)의 작동에 의해 제1 에어 덕트(11)와 제2 에어 덕트(12)의 오염된 공기가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로 강제 흡입되는데, 이렇게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로 강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분무 노즐(330)을 통해 분출되는 물에 접촉하게 되면서 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들이 물에 흡착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배기 강관(200)의 상면 개구부는, 공기의 배기가 좀 더 원활히 되도록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물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제2 배기 강관(200)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고,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에서 낙하되면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흡착한 물은 제1 배기 강관(100)의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되어 제1 배기 강관(100) 내부에 일정 높이로 저류되다가 제1 배기 강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드레인 호스(3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물이 제1 배기 강관(100)에 형성된 제1 에어 유입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1 에어 유입부(110)의 상단에서 제1 배기 강관(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차단판(110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기 강관(200)의 하단부가 제1 배기 강관(100)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제1 배기 강관(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면, 제1 차단판(110a)의 상면에 제2 배기 강관(200)의 하단부가 안착되면서 제2 배기 강관(200)을 제1 차단판(110a)이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배기 강관(100)과 제2 배기 강관(200)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물이 제2 배기 강관(200)에 형성된 제2 에어 유입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에어 유입부(210)의 상단에서 제2 배기 강관(2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차단판(210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제1 배기 강관 110: 제1 에어 유입부
111: 제1 흡입팬 120: 절곡홈
121: 제2 고정홈 200: 제2 배기 강관
210: 제2 에어 유입부 211: 제2 흡입팬
220: 요홈 221: 제1 고정홈
222: 제2 고무띠자석 230: 결합판
231: 제1 고무띠자석 300: 공기 정화 수단
310: 펌프 320: 이송라인
330: 분무 노즐 340: 드레인 호스
400: 하수관

Claims (4)

  1.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건축물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측면에는 상기 건축물의 저층에 형성된 제1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1 흡입팬이 장착되며, 하기 제2 배기 강관에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1 배기 강관; 및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건축물의 고층에 형성된 제2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2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1 배기 강관과 연통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2 배기 강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배기 강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된 상태로 상기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면,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강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마련되며,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을 향해 물이 분출되도록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상향 이송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의 타단에 장착되어 물을 미세하게 분출시키는 분무 노즐과, 제1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1 배기 강관의 내부에 저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드레인 호스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에 연결되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상기 하수관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의 상단부 후면에는 제1 고무띠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제1 고무띠자석에 대응하는 제2 고무띠자석이 상기 요홈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을 향해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제1 고무띠자석과 제2 고무띠자석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요홈의 내측에 결합판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KR1020200080539A 2020-06-30 2020-06-30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KR10218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539A KR102184739B1 (ko) 2020-06-30 2020-06-30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539A KR102184739B1 (ko) 2020-06-30 2020-06-30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739B1 true KR102184739B1 (ko) 2020-11-30

Family

ID=7364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539A KR102184739B1 (ko) 2020-06-30 2020-06-30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491B1 (ko) * 2023-03-31 2024-03-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807B2 (ja) * 1996-05-10 2001-02-05 昇 丸山 建築物における通気構造
CN2561864Y (zh) * 2002-04-30 2003-07-23 邱则有 一种厨房油烟净化共用排气道
KR101533344B1 (ko) * 2014-07-11 2015-07-06 (주)대양기연 가압 밀림식 접합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 시공용 에어덕트 직관 및 상기 직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용 에어덕트 연결방법
KR101891826B1 (ko) 2018-02-28 2018-08-2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2145976B1 (ko) * 2020-03-06 2020-08-19 이정임 이동 통신용 강관주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807B2 (ja) * 1996-05-10 2001-02-05 昇 丸山 建築物における通気構造
CN2561864Y (zh) * 2002-04-30 2003-07-23 邱则有 一种厨房油烟净化共用排气道
KR101533344B1 (ko) * 2014-07-11 2015-07-06 (주)대양기연 가압 밀림식 접합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 시공용 에어덕트 직관 및 상기 직관을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용 에어덕트 연결방법
KR101891826B1 (ko) 2018-02-28 2018-08-2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2145976B1 (ko) * 2020-03-06 2020-08-19 이정임 이동 통신용 강관주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491B1 (ko) * 2023-03-31 2024-03-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953B1 (ko) 주택의 실내 청정관리 시스템
US6795980B1 (en) Toilet bowl odor removal system
TWI686574B (zh) 阻尼器內裝型通風機
KR102184739B1 (ko)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KR102159103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CN1477273A (zh) 吹吸式除臭抽水马桶
JP2010520958A (ja) トイレの改良
KR101020262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10061585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물
KR100723780B1 (ko) 공기주입장치
CA2539657A1 (en) Ventilated toilet seat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KR200253287Y1 (ko) 렌지후드용 환풍기
JP2008202929A (ja) 建物用吸排気装置
KR100492328B1 (ko) 방음판 및 역풍차단 터미널이 내장된 변기 악취 배출 시스템.
JP2003050034A (ja) 戸建住宅用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MX2014000623A (es) Dispositivo para la eliminacion de olores del retrete.
CN217630304U (zh) 具有排气装置的卫生设备
JP2003042501A (ja) 住宅の換気システム
KR200463406Y1 (ko)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CN101357049A (zh) 除味环保坐便
KR200277556Y1 (ko) 변기의 악취 배출 장치
KR200272094Y1 (ko) 방음판 및 역풍 방지 터미널이 내장된 변기 악취 배출 시스템
KR200405776Y1 (ko) 배기팬이 부착된 양변기 악취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