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572Y1 -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572Y1
KR200234572Y1 KR2020010005702U KR20010005702U KR200234572Y1 KR 200234572 Y1 KR200234572 Y1 KR 200234572Y1 KR 2020010005702 U KR2020010005702 U KR 2020010005702U KR 20010005702 U KR20010005702 U KR 20010005702U KR 200234572 Y1 KR200234572 Y1 KR 200234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nipple
discharge
hea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2020010005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572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이 연소되어 발생하는 열과 연기에 의하여, 환부를 자극하AM로써, 치료에 사용되는 온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쑥이 원활하게 연소되며 연소온도에 의하여 화상을 입지 않도록 조절하므로써 치료효과를 제고시키는 쑥연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며, 내부에 쑥을 적재하고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의 일부를 배출시키므로써,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발생된 열과 연기를 하부로 출력하는 연소부; 연소부를 내부에 안치하고, 연소부로부터 출력되는 열과 연기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부의 뚜껑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외연부; 외연부의 뚜껑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호스; 외연부의 안내홀을 통하여 출력되는 열과 연기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자연순환에 의하여 연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연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연소부로부터 제2 호스를 통하여 제어된 상태로 배출되는 연기 통로인 제어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부; 배출부의 자연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하는 연기는 제3 니플로부터, 제어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하는 연기는 제2 니플로부터 수집하고, 제1 니플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팬제어부와; 배출부의 하단에 돌출된 체결부를 통하여 고정되고, 통로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과 연기를 환부에 침투시키는 치료부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A DISCHARGE DEVICE OF SMOKE FOR MOXIBUSTION}
본 고안은 쑥과 같은 약재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과 연기를 이용하여, 환부에 뜸을 하므로써, 치료 또는 처치하는 온구기 또는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재인 쑥이 원활하게 연소되도록 하는 동시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연소온도를 조절하므로써 치료효과를 제고시키는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의학인 한방에서는 탕약, 환약, 지압, 침, 뜸 등의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뜸을 이용한 치료에서는, 주로 말린 소량의 쑥을 환부 위에서 태우는 경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치료효과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쑥은 약재이며, 태울 때 발생하는 열 이외의 연기를 환부에 쐬어주어도 치료효과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쑥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열과 연기를 이용하도록 하는 치료기구를 온구기(溫灸器) 또는 쑥뜸기라고 하고, 쑥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기는 매우 강한 자극성이 있으며, 체질적으로 연기에 의한 냄새를 몹시 싫어하는 경우가 있어, 자연환기가 원활한 장소에서 쑥뜸에 의한 치료를 하거나 또는 강제 환풍이 가능한 장소 또는 장치를 이용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온구기의 쑥뜸연기 배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온구기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온구기(20)는, 약재료인 말린 쑥(30)을 일정량 채운 후, 태울 수 있도록 하는 연소부(40)와,
상기 연소부(40)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연소부(40)에서 연소되는 쑥(30)이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를 하부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연소부(40)의 쑥(30)이 원활하게 연소되도록 주입부(82)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공기를 연소부(40)에 투입하고, 상기 연소부(40)의 쑥을 태운 연기를 배출부(84)를 통하여 배출하는 외연부(80)와,
압축공기를 발생하고 호스(60)를 통하여 상기 외연부(80)의 주입부(82)에 공급하는 펌프(50)로 구성된다.
설명되지 않은 밸브(70)는 상기 펌프(5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밸브(75)는 쑥뜸기(20)에서 발생된 연기가 배출 호스(65)를 통하여 배출되는 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온구기(20)를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온구기(20)를 구성하는 연소부(40)에 마른 약재용 쑥(30)을 적정량 투입하고, 태우기 시작한 후, 뚜껑을 닫는다.
상기 펌프(50)에 동력을 인가하여, 공기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발생된 공기는 외연부(80)의 주입부(82)와 접속되는 호스(60)를 통하여 외연부(80)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밸브(7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연부(80) 하측부에 위치한 주입부(8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소부(40)의 상측에 다수 형성된 원형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연소부(40)의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하강하여, 타고 있는 쑥(30)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은 쑥(30)은 연소가 활성화되고, 발열온도가 상승하는 동시에 연소부(40) 하부에 다수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하여 쑥연기를 뜸치료부(90) 위치로 밀어낸다.
상기 온구기(20)의 뜸치료부(90)는 환부(10) 근처에 위치시킨 후, 밀착시키면, 연소부(40)로부터 뜸치료부(90) 방향으로 배출되는 연기와 열기에 의하여 환부(10)를 치료한 후, 배출부(84)에 연결된 호스(65)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배출되는 연기의 량은 밸브(75)를 조절하므로써, 연기가 상기 환부(10)를 치료하는 시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온구기(20)는 상기 연소부(40)에서 연소되는 쑥(30)이 상기 펌프(50)로부터 발생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초기에 연소가 촉진될 수 있으나, 연소부(40) 하부에 다수 형성된 구멍이, 쑥(30) 및 재 등에 의하여 막히는 경우 불완전연소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연소부(40) 내부에 충만한 공기는, 뜸치료부(90)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어야 하므로, 타고 있는 쑥(30)의 불씨가 환부(10)로 떨어지는 문제를 배제할 수 없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연소부(40)의 발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동시에, 환부(10)에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온구기의 연소부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연소부의 연소를 촉진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제고하는 온구기의 연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쑥을 태워 발생하는 열과 연기를 치료에 사용하는 온구기에 있어서; 내부에 쑥을 적재하여 태우는 동시에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의 일부를 제어하여 배출시키므로써,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발생된 열과 연기를 하부로 출력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내부에 안치하고, 상기 연소부의 하부로부터 출력되는 열과 연기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의 뚜껑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외연부와; 상기 외연부의 뚜껑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호스와; 상기 외연부를 턱부에 안치하고, 외연부의 안내홀을 통하여 출력되는 열과 연기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자연순환에 의하여 연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연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로부터 제2 호스를 통하여 제어된 상태로 배출되는 연기 통로인 제어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자연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하는 연기는 제3 니플로부터, 상기 제어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하는 연기는 제2 니플로부터 수집하고, 제1 니플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팬제어부와;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를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과 연기를 환부에 침투시키는 치료부로 구성되는 온구기의 쑥뜸연기 배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온구기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2 는 본 고안의 온구기 쑥연기 배출장치 단면상태도 이며,
도3 은 본 고안의 연소부와 제2 호스의 상세 상태도 이고,
도4 는 본 고안의 외연부와 뚜껑 상세 상태도 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돌출부 상세 상태도 이고,
도6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쑥의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환부 20,100 : 온구기 30 : 쑥
40,130 : 연소부 50 : 펌프 60,65 : 호스
70,75 : 밸브 80 : 외연부 82 : 주입부
84 : 배출부 90 ; 뜸치료부 110 : 뚜껑
112 : 뚜껑니플 114 : 세라믹 116 : 고정나사
118 : 제1 호스 120 : 외연부 122 : 안내홈
124 : 통과부 130 : 연소부 131 : 연소실
132 : 연기배출구 134 : 구멍 136 : 제2 호스
137 : 상측선단 138 : 하측선단 140 : 배출부
141 : 제어배출구 142 : 턱부 146 : 제어배출관
148 : 자연배출관 149 : 수납부 150 : 치료부
152 : 체결부 160 : 돌출부 162 : 제1 니플
164 : 제2 니플 166 : 제3 니플 168 : 제1' 니플
180 : 연기제어부 200 : 쑥봉 202 : 외벽
204 : 내벽 220 : 자연배출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온구기의 쑥뜸연기 배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고안의 온구기 쑥뜸연기 배출장치 단면상태도 이며, 도3 은 본 고안의 연소부와 제2 호스의 상세 상태도 이고, 도4 는 본 고안의 외연부와 뚜껑 상세 상태도 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돌출부 상세 상태도 이고, 도6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쑥의 상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 기술에 의한 온구기의 쑥뜸연기 배출장치는, 쑥을 태워 발생하는 열과 연기를 치료에 사용하는 온구기(100)에 있어서,
내부에 쑥 또는 마른 쑥을 일정한 형태로 가공한 쑥봉(200)을 적재하여 태우는 동시에,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의 일부를 제어상태로 연기배출구(132)를 통하여 제어된 상태로 배출시키므로써, 약쑥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발생되는 열기를 일부 외부로 배출하여 발생되는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환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발생된 나머지의 열과 연기는 하부를 이루는 바닥 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34)을 통하여 배출 또는 출력하는 연소부(130)와,
상기 연소부(130)를 내부에 안치하고, 상기 연소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34)으로부터 출력되는 열과 연기를 안내하는 안내홀(122)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부(130)의 연기배출구(132)에 연결되는 제2 호스(136)의 하측선단(138)이 통과되는 통과부(124)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의 개방된 곳을 막는 뚜껑(110)에 형성된 뚜껑니플(112)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외연부(120)와,
상기 외연부(120)의 뚜껑(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호스(118)와,
상기 외연부(120)를 턱부(142)에 안치하고, 외연부(120)의 안내홀(122)을 통하여 출력되는 열과 연기가 통과하는 통로부(210)가,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자연순환에 의하여 연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연배출관(148)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130)로부터 제2 호스(136)를 통하여 제어된 상태로 배출되는 연기 통로인 제어배출관(146)이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자연배출관(148)이 연결되는 제3 니플(166)과 제어배출관(146)이 연결되는 제2 니플(164)과, 제1 호스(118)가 연결되는 제1 니플(162)을 고정시키는 돌출부(160)가 외부에 고정 형성되는 배출부(140)와,
상기 배출부(140)의 자연배출관(148)으로부터 배출되는 연기는 제3 니플(166)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제어배출관(146)으로부터 배출되는 연기는 제2 수동제어밸브(184)를 조절하므로써 배출량이 조절되는 상태로, 제2 니플(164)을 통하여 수집하는 동시에, 제1 니플(162)에는 제1 수동제어밸브(182)의 조절에 의하여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조절된 유입량으로 공급 또는 주입되도록 하는 팬 제어부(180)와,
돌출 형성된 체결부(152)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부(140) 하단의 수납부(149)와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통로부(2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과 연기를 환부(10)에 침투시키는 치료부(15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기술에 의한 것으로, 온구기의 쑥뜸연기 배출장치를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된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온구기의 쑥뜸연기 배출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연소부(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131)에 말린 쑥 또는 쑥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쑥봉(200)을 위치시키고 점화시키므로써, 열과 연기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쑥봉(200)의 모양은 첨부된 도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부(130)의 구조는 도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소부(130)의 연소실(131)에 위치된 쑥봉(200)이 점화되어 연소되는 경우, 열이 발생하는 동시에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생된 열과 연기는 연소부(130) 하부에 다수 형성된 구멍(134)을 통하여 하측으로 전달되는 동시에, 일부의 연기는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기배출구(132)와, 상기 연기배출구(132)에 체결되는 제2 호스(136)를 통하여, 배출부(140)에 형성된 제어배출관(146)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2 호스(136)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Y 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2개의 상측선단(137)은 각각 상기 연기 배출구(132)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하측선단(138)은 외연부(120)의 통과부(124)를 통과하여 배출부(140)의 제어배출구(141)에 삽입된다.
상기 제2 호스(136)의 하측선단(138)은 요철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배출구(141)에 삽입되는 경우,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소부(130)에서 발생된 연기는 제2 호스(136)와 제어배출관(146)을 통하여, 제2 니플(164)로 배출되고, 상기 제2 니플(164)과 팬제어부(180) 사이에 설치된 제2 수동제어밸브(184)를 제어 또는 조절하므로써, 배출되는 연기의 량이 일정하도록 조절 또는 제어된다.
상기 외연부(120) 상측의 뚜껑(110) 중심에 형성되는 뚜껑니플(112)과 연결되는 제1 호스(118)에 의하여 제1' 니플(168)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니플(168)의 반대측인 제1 니플(162)과 상기 팬제어부(180) 사이에는 수동으로 신선한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제어 또는 조절할 수 있는 제1 수동제어밸브(182)와 해당 호스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연소부(130)에 투입되고 점화된 쑥봉(200)이 불완전 연소를 방지한 상태로써, 원활하게 연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팬제어부(180)에 의하여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수동제어밸브(182) 조절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쑥봉(200)은 조절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연소실(131)에서 완전연소 상태로 연소되는 동시에 연소시간 등이 제어된다.
상기 팬제어부(180)는 신선한 공기를 제1 니플(162)에 주입하므로써, 제1' 니플(168)에 연결된 제1 호스(118)로 주입되고, 뚜껑니플(112)을 통하여 연소실(131)에 주입된다.
상기 연소실(131)에서 연소하는 쑥봉(200)은, 제1 니플(162)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입되는 신선한 공기에 의하여 연소가 촉진되는 동시에, 제2 니플(164)을 통하여 제어되면서 배출되는 연기에 의하여 연소되는 속도와 발열량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연소가 조절 또는 제어되는 쑥봉(2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과 연기는 구멍(134)과 안내홀(122)을 통하여 통로부(210)에 전달되므로써, 상기 쑥봉(200)의 연소에 의한 열과 연기가 환부(10)에 침투되어, 치료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140)가 형성하는 통로부(210)에 연기가 일정량 이상 채워지는 경우, 자극성이 강한 쑥연기는, 자연적인 대류 현상에 의하여 상기 자연배출구(220)로 유입되고, 자연배출관(148)을 통하여 제3 니플(166)에 배출되므로써, 상기 팬제어부(180)를 통하여 자연순환식으로 외부에 배출된다.
따라서, 환부(10)는 일정한 량의 쑥연기와 열을 전달받아 치료를 하게 되는 동시에, 뜨거운 열기는 강제 배출되므로써,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고, 쑥연기도 완전 연소된 상태로 배출되는 연기를 이용한다.
상기 환부(10)에 강한 자극을 주고자 하는 경우는, 배출부(140) 하부의 수납부(149)에 체결부(152)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는 치료부(150)를 제거하므로써, 상기 연소실(131)에서 쑥봉(200)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기 및 연기가 환부에 좀더 강하게 침투된다.
상기 외연부(120)의 상부에 있는 뚜껑(110)은, 연소부(130)의 연소실(131)에서 연소되는 쑥봉(200)의 열기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또는 열기를 차단할 목적으로, 내측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세라믹(114)을 고정하며, 상기의 고정은 고정나사(116)를 이용하고, 첨부된 도4에 뚜껑의 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첨부된 도5는, 배출부(140)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16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제1 니플(162), 제어배출관(146)과 접속되는 제2 니플(164), 자연배출관(148)과 접속되는 제3 니플(166)이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니플(162)과 접속되는 제1' 니플(168)은 상측으로 돌출 되어 있는 것을 보여 준다.
상기 도6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쑥봉(200)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점화하고 연소가 진행되는 경우, 외벽(202)이 연소되면서 열과 연기가 발생하고, 동시에 내벽(204)이 연소되면서 열과 연기가 발생하므로,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제어된 상태로 외부에 배출하므로써, 연소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 또는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연소실에 주입하므로써, 쑥의 연소를 원할하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생되고 치료에 이미 사용된 연기는 자연순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치료의 효과를 제고시키고, 체결 및 이탈이 가능한 치료부를 이용하므로써 열과 연기에 의한 자극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쑥을 태워 발생하는 열과 연기를 치료에 사용하는 온구기에 있어서,
    내부에 쑥을 적재하여 태우는 동시에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의 일부를 제어하여 배출시키므로써,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뜨겁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발생된 열과 연기를 하부로 출력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를 내부에 안치하고, 상기 연소부의 하부로부터 출력되는 열과 연기를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의 뚜껑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외연부와,
    상기 외연부의 뚜껑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호스와,
    상기 외연부를 턱부에 안치하고, 외연부의 안내홀을 통하여 출력되는 열과 연기가 통과하는 통로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자연순환에 의하여 연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연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로부터 제2 호스를 통하여 제어된 상태로 배출되는 연기 통로인 제어배출관이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호스가 연결되는 제1 니플과, 제어배출관이 연결되는 제2 니플과, 자연배출관이 연결되는 제3 니플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외부에 고정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자연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하는 연기는 제3 니플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제어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하는 연기는 제2 수동제어밸브의 조절에 의하여 제2 니플로부터 수집하며, 제1 니플에는 제1 수동제어밸브 조절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팬제어부와,
    돌출 형성된 체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부 하단의 수납부와 체결 및 고정되고,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과 연기를 환부에 침투시키는 치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쑥이 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제어상태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측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연기배출구와,
    하측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크고 작은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기배출구에는 제2 호스의 상측선단을 각각 끼움으로서 결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연부는,
    상기 연소부의 하측면을 안치하고 연소부로부터 출력되는 열과 연기를 하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연소부의 연기배출구에 결합 연결되는 제2 호스의 하측부가 통과하는 통과부와,
    개방된 상측부를 막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는 뚜껑니플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호스를 연결하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입력받는 제1 니플; 상기 제어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니플; 상기 자연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 니플을 고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외연부를 삽입하여 안치시키면서 고정할 수 있는 턱부와,
    상기 제2 호스의 껄끄러운 하측선단이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타측 일부는 외측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어배출관과,
    통로부의 측벽에 복수로 형성되는 자연배출구로부터 외측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연배출관과,
    상기 치료부의 체결부를 수납하므로써 치료부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수납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연기제어부는,
    상기 돌출부의 제1 니플, 제2 니플과 제3 니플에 각각 연결되고, 제1 니플에는 공기를 주입하며, 제2 니플로부터 출력되는 연기는 배출속도를 제어하고, 제3 니플로부터 출력되는 연기는 자연상태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KR2020010005702U 2001-03-03 2001-03-03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KR200234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02U KR200234572Y1 (ko) 2001-03-03 2001-03-03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02U KR200234572Y1 (ko) 2001-03-03 2001-03-03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572Y1 true KR200234572Y1 (ko) 2001-09-26

Family

ID=7308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702U KR200234572Y1 (ko) 2001-03-03 2001-03-03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5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7062A1 (en) * 2003-07-23 2005-01-27 Hanji Co., Ltd. Cupping moxa utensil as a herb medical auxiliary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8-01-30 이윤구 뜸기
KR101352701B1 (ko) * 2012-10-30 2014-01-16 문영보 쑥뜸기
KR101403467B1 (ko) 2012-09-14 2014-06-03 강수암 쑥찜질기
CN114652608A (zh) * 2022-04-16 2022-06-24 金昌市中医医院 一种多功能便携式针灸康复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7062A1 (en) * 2003-07-23 2005-01-27 Hanji Co., Ltd. Cupping moxa utensil as a herb medical auxiliary
KR100799331B1 (ko) 2006-09-20 2008-01-30 이윤구 뜸기
KR101403467B1 (ko) 2012-09-14 2014-06-03 강수암 쑥찜질기
KR101352701B1 (ko) * 2012-10-30 2014-01-16 문영보 쑥뜸기
CN114652608A (zh) * 2022-04-16 2022-06-24 金昌市中医医院 一种多功能便携式针灸康复装置
CN114652608B (zh) * 2022-04-16 2023-10-24 金昌市中医医院 一种多功能便携式针灸康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269Y1 (ko) 쑥뜸기
EP0674895B1 (en) Pain treatment device
CN107485554B (zh) 一种艾草烟气有效控制的艾灸装置
KR200234572Y1 (ko)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US4604088A (en) Instrument for indirect treatment with a hot air flow and moxa smoke
CN107468514B (zh) 一种设置有缓冲室的艾灸装置
CN106924033A (zh) 一种温度可调的密封式艾灸器
KR100519176B1 (ko) 쑥뜸기
CN107496160B (zh) 一种艾灸装置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TWM618443U (zh) 一種暖身裝置
CN203400317U (zh) 一种多功能艾疗仪
CN218045855U (zh) 一种艾灸盒
CN111773089A (zh) 一种可分离式艾灸装置
CN211584240U (zh) 一种设置有缓冲室的艾灸装置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200214098Y1 (ko) 황토 한증막
CN219721278U (zh) 一种热助风艾灸器具
KR200278918Y1 (ko) 쑥뜸기
KR200311124Y1 (ko) 쑥찜기
CN210408994U (zh) 一种灸盘及艾灸仪
KR200192662Y1 (ko) 뜸기
CN212416350U (zh) 一种可分离式艾灸装置
CN217908341U (zh) 脐火疗法用蜡筒固定装置
KR200237303Y1 (ko) 쑥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