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18Y1 - 쑥뜸기 - Google Patents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18Y1
KR200278918Y1 KR2020020007410U KR20020007410U KR200278918Y1 KR 200278918 Y1 KR200278918 Y1 KR 200278918Y1 KR 2020020007410 U KR2020020007410 U KR 2020020007410U KR 20020007410 U KR20020007410 U KR 20020007410U KR 200278918 Y1 KR200278918 Y1 KR 200278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mugwort
rod
push rod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2020020007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18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환부 어디에나 간편하게 뜸을 뜨게함은 물론,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허실되지 않고 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고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뜸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쑥을 태워서 환부에 뜸을 들이는데 사용되는 쑥뜸기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이 구비되어 있는 뜸봉; 상기 뜸봉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는 쑥을 삽입,고정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밀대; 상기 밀대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밀대의 일측에 결합된 노브; 및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으로는 쑥뜸 연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들이 형성된 뜸통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으로 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쑥을 올려놓기 어려운 부분에도 뜸을 뜰 수 있으며 쑥이 연소될때 발생되는 연기가 인체의 환부를 거쳐 배출되므로 쑥의 약효가 최대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중 노브의 높이 조절을 통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화상의 염려도 없게 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쑥뜸기{Moxa Cautery Device}
본 고안은 쑥뜸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부 어디에나 손쉽게 뜸을 뜰 수 있는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사람몸의 겉면에 흐르고 있는 경락과 혈자리 또는 아픈부위에 일정량의 자극을 주어 경락에 따뜻한 기운을 불어넣음으로서 기를 원할하게 조절하여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전통요법으로서 뜸기둥이 발산하는 불기운과 쑥잎의 약기운이 혈속으로 파고들어 일종의 이화학적 작용을 일으켜서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모든기관의 생리적 기능을 항진시켜주므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쑥뜸은 노출된 상태에서 쑥이 연소되므로 발생되는 연기가 대기압에 의해 바로 비산되기 때문에 극히 일부의 연기만이 인체의 환부에 미치게 된다는 폐단이 있었고, 연소부가 인체의 환부에 직접 닿게 되어 화상을 불러일으킴은 물론, 쑥뜸을 받는동안에 뜨거운 연기에 의해 발생되는 고통을 수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이 위하여 화상을 피하도록된 것들이 제안된바 있지만 부피가 커서 쑥뜸을 환부의 어는 곳에나 다 붙일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체의 환부 어디에나 간편하게 쑥뜸을 할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허실되지 않고 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은 물론, 고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뜸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쑥을 태워서 환부에 뜸을 들이는데 사용되는 쑥뜸기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이 구비되어 있는 뜸봉; 상기 뜸봉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는 쑥을 삽입,고정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밀대; 상기 밀대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밀대의 일측에 결합된 노브; 및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으로는 쑥뜸 연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들이 형성된 뜸통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상기 뜸봉의 타측단으로는 지압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밀대의 수납부의 양측으로는 쑥을 삽입,고정하는 것이 용이 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에 끼워져 연소되고 있는 쑥의 불씨를 끌 수 있는 캡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고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2의 I - I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쑥 2 - 지압돌기
3 - 절개부 4 - 캡
10 - 뜸봉 11 - 가이드공
20 - 밀대 22 - 수납부
23 - 오링 30 - 노브
40 - 뜸통 42 - 배출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1 ~ 도 3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쑥뜸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쑥뜸기(100)는 크게 뜸봉(10), 밀대(20), 노브(30), 뜸통(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뜸봉(10)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손에 파지되기 쉽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측은 막혀져 있으며 외면의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공(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뜸봉(10)의 내부에는 밀대(20)가 설치된다. 상기 밀대(20)는 뜸봉(10)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으로는 쑥(1)을 끼울수 있는 수납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수납부(22)는 쑥(1)이 끼워졌을때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쑥(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강제로 밀어 넣는것에 의해 고정이 된다. 상기 수납부(22)의 상부로는 고정공(21)이 구비되고 그 상하로는 각각 오링(23)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밀대(20)가 승강됐을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오링(23)이 뜸봉(10)의 내벽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힘을 가해야만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밀대(20)의 고정공(21)으로는 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노브(30)는 밀대(20)가 승하강 되는 것이 용이하고 가이드공(11)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뜸봉(10)의 외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뜸봉(10)의 저면내부로는 지지구(24)가 설치된다. 이는 밀대(20)가 승하강될때 연소되는 쑥(1)이 휘어지지 않고 곧게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11)의 끝단으로는 걸림공(12)이 연장되어 있다. 이는 쑥(1)의 삽입시 노브(30)를 걸림공(12)에 고정한뒤 쑥(1)을 삽입하도록 하여밀대(2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뜸봉(10)의 저면 외부로는 뜸통(40)이 설치된다. 상기 뜸통(40)은 인체의 환부(5)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으로 뜸봉(10)의 일측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뜸봉(10)과 같은 원통을 갖고 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로는 뜸봉(10)이 끼워질때 일정길이만 들어가도록 단턱(43)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둘레로는 연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42)들이 적절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전후로는 뜸봉(10)을 끼운뒤 빠지지 않고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41)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뜸을 뜨고자 할시에는 불을 부친 쑥(1)을 밀대(20)에 끼운뒤 뜸통(40)에 끼워서 환부(5)에 접촉하면 틈통(40)의 배출공(42)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는 최대한 환부(5)에 접촉되면서 배출되어 약효가 최대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쑥뜸을 받는 동안 뜨겁게 되면 노브(30)의 조절로 인해 쑥(1)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절하면서 뜸을 뜰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쑥뜸기(100)의 타측단으로는 지압용 돌기(2)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뜸을 뜨는 것 이외에 지압구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지압용 돌기(2)는 본 고안에서는 삼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이나 요철부등 지압을 할 수 있는 모양이면 어떠한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쑥뜸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쑥(1)을 수납하는 수납부(22)의 전후면으로는 절개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강제로 삽입하는 쑥(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쑥뜸기(100)를 사용하고 난뒤에는 연소되고 있는 쑥(1)의 불씨를 끄기 위하여 별도의 캡(4)이 형성된다. 상기 캡(4)은 뜸통(40)을 빼내고 그 자리에 끼워지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뜸봉(10)에 끼워져서 산소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 불씨가 꺼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림형으로 크기가 작고 분해가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쑥을 올려놓기 어려운 부분에도 뜸을 뜰 수 있다. 또한, 쑥이 연소될때 발생되는 연기가 인체의 환부를 거쳐 배출되므로 쑥의 약효가 최대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중 노브의 높이 조절을 통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화상의 염려도 없게 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쑥을 태워서 환부에 뜸을 들이는데 사용되는 쑥뜸기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이 구비되어 있는 뜸봉;
    상기 뜸봉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는 쑥을 삽입,고정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밀대;
    상기 밀대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밀대의 일측에 결합된 노브; 및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으로는 쑥뜸 연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들이 형성된 뜸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쑥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뜸봉의 타측단으로는 지압용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의 수납부로는 쑥이 끼워지는 것이 용이 하도록 양측으로는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뜸봉의 개방된 일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뜸을 사용한뒤 연소되고 있는 쑥의 불씨를 끌수 있는 캡이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쑥뜸기
KR2020020007410U 2002-03-13 2002-03-13 쑥뜸기 KR200278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10U KR200278918Y1 (ko) 2002-03-13 2002-03-13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10U KR200278918Y1 (ko) 2002-03-13 2002-03-13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18Y1 true KR200278918Y1 (ko) 2002-06-21

Family

ID=7311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10U KR200278918Y1 (ko) 2002-03-13 2002-03-13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9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74Y1 (ko) 2009-01-29 2011-08-29 심순자 뜸기
CN107951615A (zh) * 2017-10-31 2018-04-24 温州市洞头区乡村文化建设促进会 一种自灸贴
CN108210321A (zh) * 2018-02-28 2018-06-29 东莞市榴花艺术有限公司 一种电动艾灸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74Y1 (ko) 2009-01-29 2011-08-29 심순자 뜸기
CN107951615A (zh) * 2017-10-31 2018-04-24 温州市洞头区乡村文化建设促进会 一种自灸贴
CN108210321A (zh) * 2018-02-28 2018-06-29 东莞市榴花艺术有限公司 一种电动艾灸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CN108210318A (zh) 一种温度可调的艾灸罐
KR200278918Y1 (ko) 쑥뜸기
KR19990046561A (ko) 약초뜸침대.
CN111568752A (zh) 温针灸高度调节固定保护装置
CN208626211U (zh) 一种温度可调的艾灸罐
KR200205768Y1 (ko) 한방 쑥뜸 장치
CN205411635U (zh) 艾灸装置
CN210963042U (zh) 一种温针灸高度调节固定保护装置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200396432Y1 (ko) 뜸 치료기
KR101727629B1 (ko) 뜸 기구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200177416Y1 (ko) 쑥뜸기
KR200455274Y1 (ko) 뜸기
CN215961122U (zh) 一种艾灸理疗用灸条点火装置
KR100458041B1 (ko) 지압을 겸하는 쑥뜸장치
CN216536115U (zh) 一种艾柱燃烧固定器
CN220046491U (zh) 一种温针灸装置
KR200462108Y1 (ko) 쑥뜸 수지기
CN210408997U (zh) 一种艾灸治疗用坐灸器
KR200311124Y1 (ko) 쑥찜기
KR102338596B1 (ko) 지압을 겸하는 쑥뜸장치
KR10062140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쑥뜸기
CN2621621Y (zh) 一种温灸治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