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056U -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056U
KR20010000056U KR2019990009613U KR19990009613U KR20010000056U KR 20010000056 U KR20010000056 U KR 20010000056U KR 2019990009613 U KR2019990009613 U KR 2019990009613U KR 19990009613 U KR19990009613 U KR 19990009613U KR 20010000056 U KR20010000056 U KR 20010000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main body
cover
out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9428Y1 (ko
Inventor
이창우
권선덕
Original Assignee
정담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담,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정담
Priority to KR2019990009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28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6Separate partition walls, lids, protecting borders, or the like, for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품의 살균건조기능과 주방공간의 해충퇴치기능, 그리고 건조시에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싱크대 배수구에 쌓인 젖은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건조실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선, 건조실 내부의 살균을 위해 설치된 자외선 살균등, 주변의 해충 퇴치를 위해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 초음파 발생장치, 배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을 주방의 싱크대 배수구로 안내하는 안내관, 싱크대 배수구를 덮도록 안내관의 출구에 연결된 덮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MULTIPLEX HYGIENE TREATMENT APPARATUS FOR KITCHEN}
본 고안은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용품의 살균건조 및 살균건조시에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싱크대 배수구에 쌓인 젖은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기능, 그리고 해충퇴치기능을 가진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은 음식을 조리하고 식사를 하는 공간이며, 식사 후에는 조리 또는 식사에 사용된 식기를 세척하는 식후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이처럼 주방은 인간생활의 중요 3요소 중 하나인 식생활을 해결하는 곳으로, 사람의 건강생활과 직결되는 곳이다.
그러나 주방은 조리과정 또는 식후처리과정에서 늘 물을 사용하는 곳이어서 주변공간이 늘 습한 상태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 곳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유해한 해충 및 세균이 서식하기 알맞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식기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행주나 수세미는 사용 후 한동안 습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세균이 침입하기 쉽고, 싱크대의 배수구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는 항상 젖은 상태이기 때문에 세균이 서식하고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물기가 흐르기 때문에 후처리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주변 여건들 때문에 싱크대의 주변에는 파리나 바퀴벌레와 같은 각종 해충이 군집하는 등 주방에는 각종 비 위생요인이 존재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주방의 비 위생요인 들을 해결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열풍을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건조하는 건조장치, 젖은 쓰레기를 탈수하여 처리하기 위한 쓰레기 탈수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등이 그러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요자가 이들 장치를 각각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있었고, 또 각 장치들은 고유기능 외에 별다른 부가기능이 없어서 제품의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위생처리장치들을 모두 구비한다 하더라도 각 장치의 조작 및 사용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용품을 살균하며 건조시키는 기능과, 건조시에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싱크대 배수구에 쌓인 젖은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기능, 그리고 초음파 발생수단에 의한 해충퇴치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하여 복합적인 주방위생처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효용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합위생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및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종합위생처리장치의 본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합위생처리장치의 덮개장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합위생처리장치의 덮개장치가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작패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종합위생처리장치의 전기적 결선상태를 보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 11:상부본체, 12:하부본체,
13:건조실, 14:개폐장치, 15:흡입구,
16:송풍팬, 17:전열선, 19:전원플러그,
20:배출구, 21:건조대, 23:자외선살균등,
24:초음파발생장치, 25:회로판, 30:조작패널,
31:주전원버튼, 32:표시부, 33:타임스위치,
34:건조버튼, 35:살균버튼, 36:해충퇴치버튼,
40:안내관, 50:덮개장치, 51:덮개부,
52:공기유입구, 53:배기구, 54:손잡이부,
54a:통공, 55:탈취부재, 56:방향부재,
58:자석.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는, 내부에 건조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건조실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선, 상기 건조실 내부를 순회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주방의 싱크대 배수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안내관,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덮도록 상기 안내관의 출구에 연결된 덮개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면이 개방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와 함께 상기 건조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상부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부본체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의 이면에는 상기 본체에 전원인가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본체가 주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에 꽂혀서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전원플러그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는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등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장치는 싱크대 배수구 상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 출구와 연결된 공기유입구, 상기 덮개부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의 대체로 중앙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상기 배기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탈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장치의 미 사용시에 상기 덮개장치를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석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하면이 개방된 건조실(13)이 형성되며 그 이면이 주방의 벽면(100)에 결합되는 상부본체(11)가 마련되고, 상부본체(11)의 하부에는 상부본체(11)와 함께 밀폐된 건조실(13)을 형성하며 상부본체(11)의 개방된 하면을 개폐하는 하부본체(12)가 마련된다. 이때 하부본체(12)는 상부본체(11)의 하면 개방부와 대응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후방 양측이 상부본체(11)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하로 개폐된다. 그리고 하부본체(12)의 전방 상단부에는 하부본체(12)를 개폐하는 개폐장치(14)가 마련된다.
상부본체(11)의 상부에는 건조실(13)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외부가 관통된 다수의 흡입구(15)가 형성되고, 흡입구(15)와 인접하는 상부본체(11)의 내측 상부에는 건조실(13) 내부로 외기를 흡입하여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6)이 설치된다. 또 송풍팬(16)의 하부에는 건조실(13)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시키는 전열선(17)이 설치되고, 전열선(17)의 하부에는 송풍팬(16)과 전열선(17)이 설치된 상부공간(13a)과 건조실(13)이 구획되도록 보호망(18)이 설치된다. 이 보호망(18)은 공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면서 건조실(13) 내부에 수납되는 건조 대상물과 전열선(17)의 간섭을 방지하여 전열선(17)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1)의 이면에는 본체(10)에 전원인가를 가능하게 하면서 본체(10)가 주방의 벽면(100)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110)에 꽂혀서 지지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전원플러그(19)가 마련된다. 즉, 상부본체(11)는 전원플러그(19)가 전원콘센트(110)에 꽂혀서 지지된다.
하부본체(11)의 바닥면 일측에는 건조실(13)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20)가 형성되고, 하부본체(12)의 내부에는 행주나 수세미와 같은 주방용품이 놓이는 건조대(21)가 마련된다. 이때 건조대(21)는 양단부가 하부본체(12)의 양쪽 측벽에 지지된 다수의 철선으로 구성되되, 대체로 하부본체(12)의 바닥면과 약간 이격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위생처리장치는 주방용품의 건조를 위한 구성뿐만 아니라, 건조실(13)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등(23)과, 주방공간의 구석 등에 서식하는 해충을 퇴치하는 초음파 발생장치(24)가 설치된다. 자외선 살균등(23)은 건조실(13)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보호망(18)과 인접하는 건조실(13)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고, 초음파 발생장치(24)는 위생처리장치를 제어하는 회로판(25) 등이 설치되는 상부본체(11)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초음파 발생장치(24)와 회로판(25)이 설치되는 곳은 건조실(13)의 열기가 이들에 전달되지 않도록 별도로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판(25)과 인접하는 상부본체(11)의 전면에는 위생처리장치의 각종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조작패널(30)이 설치된다. 이 조작패널(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주전원버튼(31), 위생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액정화면으로 구성된 표시부(32), 동작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임스위치(33), 송풍팬(16)과 전열선(17)을 동작시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건조버튼(34), 자외선 살균등(23)을 점멸시키기 위한 살균버튼(35), 초음파 발생장치(24)를 동작시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해충퇴치버튼(36)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6은 이러한 각종 조작버튼의 전기적인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종합위생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의 배출구(20)로 배출되는 공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싱크대(200) 배수구(210)에 쌓인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하부본체(12)의 배출구(20)에는 배출공기를 싱크대 배수구(210)로 안내하는 안내관(40)이 연결되고, 안내관(40)의 출구에는 싱크대 배수구(210)를 덮는 덮개장치(50)가 연결된다.
이 덮개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210)의 상부를 덮는 반구형상의 덮개부(51)와, 덮개부(51)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덮개부(51)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52)와, 유입된 공기가 다시 배출되는 배기구(53)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본체(12)에서 연장되는 안내관(40)은 공기유입구(52)가 형성된 덮개부(51)의 외면에 연결되고, 배기구(53)는 덮개부(51)의 대체로 중앙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덮개부(51)가 싱크대 배수구(210)를 덮은 상태에서 공기유입구(52)를 통해 열풍이 공급되면, 열풍이 배수구(210)의 거름망(220)으로 분사된 후 다시 상승되어 배기구(53)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배기구(53)가 형성된 덮개부(51)의 외면에는 덮개부(5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54)가 마련된다. 이 손잡이부(54)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상으로 내부에 냄새를 탈취하는 탈취부재(55)와 향기를 방출하는 방향부재(56)가 수용되는 수용부(57)를 구비한다. 또 손잡이부(54)의 외주면에는 배기구(53)를 통해 수용부(57)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통공(54a)이 형성된다. 이때 탈취부재(55)는 통기성과 냄새분자의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과 같은 다공질성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방향부재(56)는 탈취부재(55)의 하류측(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탈취가 이루어진 후 향기가 방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손잡이부(54)는 내부에 수용되는 탈취부재(55) 및 방향부재(56)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덮개부(51)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54) 하단에는 내면에 암나사(54a)가 형성되고, 배기구(53)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턱의 외면에 수나사(51a)가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51)의 하단에는 덮개장치(5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장치(50)를 본체(10)의 상부에 부착시켜서 보관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자석(58)이 설치된다. 이때, 본체(10)의 재질이 자석(58)에 붙지 않는 비자성체로 마련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장치(50)가 안착되는 본체(10)의 내면에도 자석(58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의 동작 및 사용법을 설명한다.
상부본체(11)의 이면에 마련된 전원플러그(19)를 주방 벽면(100)의 전원콘센트(110)에 꽂으면 본체(10)가 주방의 벽면(100)에 고정되고, 또한 본체(10)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 상태에서 건조실(13) 내부에 행주나 수세미 같은 주방용품을 수납한 후 건조버튼(34)을 온(on)시키면, 전열선(17)과 송풍팬(16)이 가동되면서 열풍이 발생되고 주방용품이 건조된다.
건조실(13)에 주방용품을 수납할 때에는 하부본체(12)를 열어 건조실(13)을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때 하부본체(12)는 후방이 상부본체(11)와 힌지 결합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건조실(13)이 열리면 하부본체(12) 내부의 건조대(21)에 행주나 수세미 등을 놓고, 다시 하부본체(12)를 상부로 밀어 닫아주면 건조실(13)이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송풍팬(16)과 전열선(17)에 전원이 인가되면 송풍팬(16)의 동작에 의해 흡입구(15)로 유입된 공기가 전열선(17)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건조실(13) 내부의 주방용품을 건조시킨 후 하부본체(12)의 배출구(20)로 배출된다.
그리고 건조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조작패널(30)의 살균버튼(35)을 온(on)시키게 되면 건조실(13) 내부의 자외선 살균등(23)이 점등되어 주방용품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또 해충퇴치버튼(36)을 온(on)시키면 초음파 발생장치(24)가 가동되어서 주방에 있는 해충들을 몰아 낼 수 있다. 이때 초음파 발생장치(24)는 사람의 가청주파수 이외의 음파를 발생시켜 해충들에게는 고통을 줌으로써 해충을 몰아 낸다. 이러한 동작들은 조작패널(30)의 버튼조작에 따라 동시 또는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조작패널(30)의 타임스위치(33)를 통해 가동시간을 미리 설정하면 사용자 임의로 동작시간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주방용품을 건조시킨 후 배출구(20)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는 안내관(40)과 덮개장치(50)를 통해 싱크대(200)의 배수구(210)로 안내되어서 배수구(210)의 젖은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덮개장치(50)를 싱크대(200)의 배수구(210)에 위치시키면, 안내관(40)을 따라 덮개부(51)의 내부로 안내된 열풍이 싱크대 배수구(210)의 거름망(220) 상부로 분사되면서 거름망(220)에 걸러진 젖은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그리고 쓰레기를 건조시킨 공기는 덮개부(51)의 중앙 상부에 마련된 배기구(53)와 손잡이부(54)의 통공(5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는 손잡이부(54) 내부에 마련된 탈취부재(55)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또한 방향부재(56)를 통과하면서 향기를 함유한 채로 외부로 배출된다.
덮개장치(5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장치(50)를 본체(10)의 상부에 부착시켜 두면 된다. 이때 덮개장치(50)는 테두리부의 자석(58)에 의해 본체(1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는 송풍팬과 전열선을 동작시켜 건조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자외선 살균등을 통해 건조실 내부를 살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방용품의 건조와 살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발생장치를 통해 주변의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등 복합적인 주방 위생처리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구로 배출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싱크대 배수구를 건조시킴으로써 싱크대 배수구에 쌓인 젖은 쓰레기를 말려서 처리할 수가 있게 되어 쓰레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주방의 위생환경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폐열을 재 이용하므로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젖은 쓰레기 건조 후에 배출되는 공기가 탈취부재 및 방향부재를 거치면서 정화되므로, 주방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덮개장치의 사용 후에 덮개장치를 본체에 부착시켜 둘 수 있게 되므로 장치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내부에 건조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건조실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선, 상기 건조실 내부를 순회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주방의 싱크대 배수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안내관,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덮도록 상기 안내관의 출구에 연결된 덮개장치를 포함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면이 개방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와 함께 상기 건조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상부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부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이면에는 상기 본체에 전원인가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본체가 주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원콘센트에 꽂혀서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전원플러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에는 건조물을 지지하며 통기가 가능하게 마련된 건조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장치는 싱크대 배수구 상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 출구와 연결된 공기유입구, 상기 덮개부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의 대체로 중앙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상기 배기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탈취부재를 포함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배기구에는 상기 덮개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외면에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며 상기 탈취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에는 상기 탈취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탈취부재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기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탈취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향기를 부여하도록 상기 탈취부재보다 하류측에 방향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덮개장치의 미 사용시에 상기 덮개장치를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석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KR2019990009613U 1999-06-02 1999-06-02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KR200229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13U KR200229428Y1 (ko) 1999-06-02 1999-06-02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13U KR200229428Y1 (ko) 1999-06-02 1999-06-02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56U true KR20010000056U (ko) 2001-01-05
KR200229428Y1 KR200229428Y1 (ko) 2001-07-03

Family

ID=5476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613U KR200229428Y1 (ko) 1999-06-02 1999-06-02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30Y1 (ko) * 2008-08-06 2009-12-03 주식회사 기룡에스피 싱크대 살균기
KR100980421B1 (ko) * 2008-06-02 2010-09-07 주식회사 쿠스토 싱크볼의 세척용품 건조장치
KR200450159Y1 (ko) * 2008-01-22 2010-09-08 이광용 주방용품 수납함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06425B1 (ko) * 2008-11-10 2011-01-06 이기원 폐 음식물 건조처리기의 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35Y1 (ko) 2009-01-12 2011-02-08 (주)국일금속산업 해충퇴치겸용절수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59Y1 (ko) * 2008-01-22 2010-09-08 이광용 주방용품 수납함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80421B1 (ko) * 2008-06-02 2010-09-07 주식회사 쿠스토 싱크볼의 세척용품 건조장치
KR200446830Y1 (ko) * 2008-08-06 2009-12-03 주식회사 기룡에스피 싱크대 살균기
KR101006425B1 (ko) * 2008-11-10 2011-01-06 이기원 폐 음식물 건조처리기의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428Y1 (ko)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100378209B1 (ko) 전기 로스터의 공기순환구조
KR101089279B1 (ko) 살균건조기
KR200229428Y1 (ko)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JP2004275271A (ja) 洗濯機
KR200280338Y1 (ko) 전기 로스터의 공기순환구조
KR101040081B1 (ko) 기능성 신발건조 및 살균기
KR20140107937A (ko) 플라즈마 멸균 건조기
KR101791451B1 (ko) 위생용 싱크대 거름망 건조기
JP3569837B2 (ja) 食器乾燥機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KR200446830Y1 (ko) 싱크대 살균기
JP2001079343A (ja) 生ごみ処理機の除臭装置
JP2633869B2 (ja) 食器乾燥機
KR100543661B1 (ko) 레인지 후드
KR200337053Y1 (ko) 자외선 살균기 및 히터와 팬 기능이 내장된 옷장 및이불장(장농)
CN216620404U (zh) 一种带有杀菌消毒功能的家用智能冰箱
JP2004097741A (ja) 手指乾燥装置
KR200333379Y1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KR20090006493U (ko) 가정용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200283852Y1 (ko) 도마건조기
TWI813306B (zh) 等離子除味寵物廁所
CN202605373U (zh) 卫生间消毒除味盒
KR200257254Y1 (ko) 주방용구용 살균기
KR200304571Y1 (ko) 다용도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