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62B1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3962B1 KR101663962B1 KR1020150109261A KR20150109261A KR101663962B1 KR 101663962 B1 KR101663962 B1 KR 101663962B1 KR 1020150109261 A KR1020150109261 A KR 1020150109261A KR 20150109261 A KR20150109261 A KR 20150109261A KR 101663962 B1 KR101663962 B1 KR 101663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purifier
- stainless steel
- aluminum
- particle filtering
- Prior art date
Links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10000000188 Diaphragm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3632 Microfilament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683 Respir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가축을 키우는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악취, 먼지 등을 여과, 연소, 탈취, 살균과정을 통해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정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에 상,하부 격판을 교대로 연속되게 배치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상기 상,하부 격판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활성탄부,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탈취볼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여과, 탈취되고, 상,하측 공기이동통로에 연소용 히터와 UV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살균, 탈취되어 외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에 상,하부 격판을 교대로 연속되게 배치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상기 상,하부 격판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활성탄부,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탈취볼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여과, 탈취되고, 상,하측 공기이동통로에 연소용 히터와 UV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살균, 탈취되어 외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가축을 키우는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정화기로 흡입되는 악취 및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을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새로 지은 집이나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봉제, 도색, 재단 등의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축사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공기정화기는 단순히 실내에 있는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낸 다음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대부분 오염된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여 배출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포름알데히드와 유기성 화합물질 또는 새집증후군 등은 사람의 눈을 따갑게 하며, 인체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아토피 피부염 등을 유발하게 한다.
그러나 단순하게 필터로만 구성된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내는 방법으로 피부에 유해한 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농,축산의 가축을 키우는 축사 등에서는 가축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유해 및 오염물질이 발생하며, 이는 그대로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와 이에 포함된 각종 유해 및 오염물질을 히터로 태워 연소시킨 다음 연소된 재를 걸러내어 배출하는 먼지연소형 집진기(실용신아나등록 제0365713호)가 개발되었다.
상기 먼지연소형 집진기는 집진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는 기포로 인한 먼지와 악취제거용 필터를 설치하고, 하측 일부에는 배출밸브와 청소용 문을 설치하며, 상측 전면에는 물공급용 밸브를 설치하고, 집진기 본체의 상부 중앙에는 공기공급관을 설치하며, 그 일부에는 공기배출관을 설치하고, 공기공급관의 단부에는 자바라식 흡입관을 설치하며, 그 일부에는 히터장치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팬과 역류방지용 차단판 및 스톱퍼를 설치하고, 집진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이 물속에 잠기게 하되 공기공급관의 하부에는 공기를 넓게 분사시키는 망사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집진기는 연소된 재를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먼지가 혼합된 상태로 대기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집진기의 먼지 제거 방법 및 그 장치(특허 제0769110호)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먼저제거장치는 연소된 재를 워터스크린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으나, 연소된 재가 많을 경우 재가 워터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워터스크린을 통과하더라도 물기가 묻어 있는 재가 다시 필터에 걸리게 되어 자주 청소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잦은 교체로 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서 워터스크린의 부피가 커야 하며, 워터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하여 펌프와 물탱크 및 배관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가축을 키우는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악취, 먼지 등을 여과, 연소, 탈취, 살균과정을 통해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정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의 상측 또는 하측 일부가 개방된 다수의 격판을 교대로 연속되게 배치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격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활성탄부,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탈취부 등을 통과하고, 상,하측 공기이동통로에 설치된 연소용 히터와 UV살균램프를 통과하여 여과, 연소, 살균, 탈취되어 정화된 공기로 대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과제해결의 원리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는 첫째,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는 다수의 격판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격판 중 상부 격판은 공기정화기 본체 천정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며, 하부 격판은 공기정화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격판이 교대로 연속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흡입부에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외부 공기가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둘째,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공기정화기 본체 일측 외벽과 격판 사이에 설치된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도록 한다.
셋째, 상기 상,하부 격판 사이의 상,하측에는 연소용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격판 사이에는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를 설치하여 상기 연소용 히터와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1, 2차 연소되고, 2차 여과되도록 한다.
넷째, 상기 2차례 여과, 연소된 공기는 다음의 상,하부 격판 사이에 설치된 활성탄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 흡착과 악취가 탈취되어 3차 여과되도록 한다.
다섯째, 상기 3차 여과된 공기는 다음의 상,하부 격판 사이에 설치된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또는 알루미늄관 여과부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살균되어 4차 여과되도록 한다.
여섯째, 상기 4차 여과된 공기는 공기이동통로 상,하측에 설치된 반사판과 UV살균램프를 통하여 살균되도록 한다.
일곱째, 상기 살균된 공기는 다음의 상,하부 격판 사이에 설치된 탈취볼부를 통과하면서 잔류악취를 제거한다.
여덟째,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상,하부 격판의 상,하측 개구부에는 스테인레스 그물망이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아홉째,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활성탄부,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알루미늄관 여과부 및 탈취볼부는 각각 블록화되어 공기정화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통해 인출하여 세척 후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내부의 격판 사이에 연속되게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활성탄부,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탈취볼부 등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하측 공기이동통로에 연소용 히터와 UV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여과부들을 통과하면서 여과, 연소, 살균, 탈취되어 청정한 공기로 정화되므로 공기정화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여과부를 블록화하여 블록화된 여과부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세척 후 본체 내부에 삽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기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공기정화기의 유지, 보수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알루미늄관 여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알루미늄관 여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공기정화기 본체(1)에 전원을 공급하여 팬(4)과 UV살균램프(13, 13')를 작동시키는 전원시스템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9)는 박스형 부재로 전면에 도어(2)가 설치되고, 공기정화기 본체(1) 상부 일측에 원형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흡입부(3)에 설치된 팬이 작동하여 오염된 공기를 게속 흡입하게 되므로 공기정화기(19)가 설치된 곳의 이물질, 미세먼지, 악취 등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공기정화기(19)와 흡입구(3)에 설치된 팬(4)이 작동되면 외부의 오염된 공기다 흡입되어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되므로 오염된 공기는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된 상,하부 격판(5, 5') 사이의 공간과 공기이동통로(7)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는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 중 상기 상부 격판(5)은 공기정화기 본체(1) 천정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이동통로(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격판(5')은 공기정화기 본체(1)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공기이동통로(7)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격판이 교대로 연속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1)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흡입부(3)에 팬(4)이 설치되고, 상기 팬(4)에 의해 외부 공기가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과 미세먼지 및 악취 등은 공기정화기 본체(1)의 일측 외벽과 상부 격판(5) 사이에 설치된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흡착되고 살균되어 1차 여과된다.
상기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에 설치된 스테인레스 극세사는 살균력이 뛰어나고, 부식력에 강하며, 많은 양의 오염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데 효율성이 높으며, 상기 스테인레스 극세사에 의해 검출된 이물질은 흐르는 물에 담그는 것만으로도 세척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를 통과한 공기는 상,하부 격판(5, 5)의 상,하측에 형성된 공기이동통로(7)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1차 여과된 공기는 상,하부 격판(5, 5') 사이 상,하부에 설치된 연소용 히터(9, 9')와, 상기 상,하부 격판(5, 5') 사이 공간에 설치된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1, 2차 연소되고, 2차 여과된다.
이때,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의 상,하부에는 연소용 히터(9, 9')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이물질 등이 상기 연소용 히터(9, 9')를 통과하면서 연소되는 것과 동시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킨다.
상기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이동통로(7)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상,하부 격판(5, 5') 사이 공간에 설치된 활성탄부(1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흡착되고 악취가 탈취되면서 3차 여과된다.
상기 활성탄부(11)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이동통로(7)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 사이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알루미늄 입자에 의해 살균되어 4차 여과된다.
이때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의 상측과 다른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5, 16)의 하측에는 반사판(12, 12')이 설치된 UV살균램프(13, 13')가 설치되어 있어 공기 중에 있는 세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에 들어 있는 알루미늄 가루에 의하여 살균, 탈취되며, 상기 알루미늄입자 여과부는 공기오염도에 따라 1개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에 들어 있는 알루미늄 가루는 UV살균램프(13, 13')의 빛을 받으면 살균, 탈취에 빠르게 반응하여 광촉매제 도포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이동통로(7)를 통해 이동하여 하부 격판(5')과 공기정화기 본체(1) 외벽 사이 공간에 설치된 탈취볼부(18)를 통과하여 하부에 설치된 배출공(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다수의 알루미늄입자 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는 탈취볼부(18)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잔류되어 있는 미세악취를 탈취하게 된다.
탈취볼부(18)에 유입되어 탈취볼, 탈취볼부(18)를 충전하는 탈취볼은 열을 잘 받아들이므로 세척 후 건조되면 새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므로 높은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장이나 병원 또는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 및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0.3 ~ 0.5초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에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격판의 상,하측에는 공기이동통로(7)를 형성하여 공기가 상,하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에서 미세먼지와 이물질 및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알루미늄관 여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공기정화기 본체(1)의 흡입부(3)에 설치된 팬(4)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알루미늄관 여과부(20)를 통과하면서 살균, 탈취된다.
상기 알루미늄관 여과부(20)는 상판(22)과 하판(23) 및 상,하판 사이에 다수의 관통공(24)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4)에 알루미늄관(21)이 삽입되어 상,하판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루미늄관 여과부(20)의 상,하부에서 UV살균램프(13, 13')가 빛을 조사하면 상기 UV살균램프(13, 13')의 빛이 알루미늄관(21)에 조사되고, 상기 알루미늄관(21)의 알루미늄 성분으로 인해 공기가 살균, 탈취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루미늄관 여과부(20)의 상,하부인 공기정화기 본체(1)의 바닥과 천정에는 연소용 히터(9, 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여과중인 공기는 알루미늄관(21)을 통과하면 연소용 히터(9, 9')에서 조사되는 열에 의하여 알루미늄관(21)의 알루미늄 입자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알루미늄관(21)이 가열되면서 살균, 탈취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정화기 본체(1)의 흡입부(3)에 설치된 팬(4)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알루미늄관 여과부(2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이물질 등을 살균, 탈취하게 되므로 상기 알루미늄관 여과부(20)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된 상,하부 격판(5, 5')의 상,하부 개구부에는 스테인레스 그물망(17)이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 10), 활성탄부(11),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탈취볼부(18), 알루미늄관 여과부(20)는 블록화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1)로부터 인출하여 세척 후 삽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정화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1 : 공기정화기 본체 2 : 도어
3 : 흡입부 4 : 팬
5, 5' : 상,하부 격판 6 : 배출공
7 : 공기이동통로 8 :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9, 9' : 연소용 히터 10 :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11 : 활성탄부 12, 12' : 반사판
13, 13' : UV살균램프 14, 15, 16 :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17 : 스테인레스 그물망 18 : 탈취볼부
19 : 공기정화기 20 : 알루미늄관 여과부
21 : 알루미늄관 22 : 상판
23 : 하판 24 : 관통공
3 : 흡입부 4 : 팬
5, 5' : 상,하부 격판 6 : 배출공
7 : 공기이동통로 8 :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9, 9' : 연소용 히터 10 :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
11 : 활성탄부 12, 12' : 반사판
13, 13' : UV살균램프 14, 15, 16 : 알루미늄입자 여과부
17 : 스테인레스 그물망 18 : 탈취볼부
19 : 공기정화기 20 : 알루미늄관 여과부
21 : 알루미늄관 22 : 상판
23 : 하판 24 : 관통공
Claims (4)
- 박스형 부재로 전면에 도어(2)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은 원형으로 개방되어 소정 높이로 돌출된 흡입부(3)가 형성되며, 내부는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 중 상부 격판(5)은 공기정화기 본체(1) 천정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이동통로(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격판(5')은 공기정화기 본체(1)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공기이동통로(7)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격판이 교대로 연속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타측 외벽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공기정화기 본체(1);
상기 흡입부(3) 중간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4);
상기 흡입부(3) 하측에 설치하되,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1) 일측 외벽과 상부 격판(5)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
상기 제1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에 인접하여 설치하되, 상기 다수의 상,하부 격판(5, 5') 사이 공간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 활성탄부(11),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
상기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 상,하부에 설치되는 연소용 히터(9, 9');
상기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의 상,하측에 형성된 공기이동통로(7)에 설치되는 반사판(12, 12')과 UV살균램프(13, 13');
상기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6)에 인접하여 우측 공기 이동 통로에 설치하되, 하부격판(5')과 공기 정화기 본체(1) 외벽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탈취볼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10)는 알루미늄관 여과부(20)로 대체되고, 상기 알루미늄관 여과부(20)는 상판(22)과 하판(23)과 상,하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24)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판 사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관(2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 10), 활성탄부(11),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 탈취볼부(18)의 상,하부 개구부에는 스테인레스 그물망(17)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테인레스 극세사부(8, 10), 활성탄부(11), 알루미늄입자 여과부(14, 15, 16), 탈취볼부(18)는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1)로부터 인출하여 세척 후 삽입할 수 있도록 블록화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261A KR101663962B1 (ko) | 2015-08-01 | 2015-08-01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261A KR101663962B1 (ko) | 2015-08-01 | 2015-08-01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91866A Division KR20150015880A (ko) | 2013-08-02 | 2013-08-02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062A KR20150104062A (ko) | 2015-09-14 |
KR101663962B1 true KR101663962B1 (ko) | 2016-10-12 |
Family
ID=5424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261A KR101663962B1 (ko) | 2015-08-01 | 2015-08-01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396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34974A (zh) * | 2018-04-16 | 2018-08-24 | 吴国秋 | 一种室内甲醛净化方法 |
CN109316869A (zh) * | 2017-07-31 | 2019-02-12 | 湖南明镜生物科技有限公司 | 有毒有害气体处理方法及其处理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07281A (zh) * | 2017-06-26 | 2019-01-01 | 天津市爱德恒业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新型的pm2.5净化设备 |
CN110075691A (zh) * | 2019-05-27 | 2019-08-02 | 刘兆祥 | 废气过滤装置 |
KR102331252B1 (ko) | 2020-09-11 | 2021-12-02 |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
KR102331251B1 (ko) | 2020-09-11 | 2021-12-02 |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
KR102443525B1 (ko) | 2020-11-12 | 2022-09-19 |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 습식스크러버와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탈취정화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14384B1 (fr) | 1993-12-29 | 1996-02-02 | Atochem Elf Sa | Copolymère bloc étoile d'un monomère vinylaromatique et d'un diène conjugué, son procédé d'obtention, et les compositions comprenant ledit copolymère et du polystyrène cristal. |
DE4423651A1 (de) | 1994-07-06 | 1996-01-11 |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eine Baumaschine |
KR20150015880A (ko) * | 2013-08-02 | 2015-02-11 | 아트먼 주식회사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
2015
- 2015-08-01 KR KR1020150109261A patent/KR10166396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16869A (zh) * | 2017-07-31 | 2019-02-12 | 湖南明镜生物科技有限公司 | 有毒有害气体处理方法及其处理系统 |
CN108434974A (zh) * | 2018-04-16 | 2018-08-24 | 吴国秋 | 一种室内甲醛净化方法 |
CN108434974B (zh) * | 2018-04-16 | 2021-06-04 | 杭州华好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室内甲醛净化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062A (ko) | 2015-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3962B1 (ko)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 |
JP6694966B2 (ja) | 熱分解法を用いて室内空気汚染物質を除去する空気浄化装置 | |
KR101605820B1 (ko) |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KR20150015880A (ko) |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719788B1 (ko) |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 |
KR101152787B1 (ko) | 공기정화기의 유해물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
CN101839534B (zh) | 一种壁挂式多功能层流杀菌机 | |
KR20130096104A (ko) | 공기 정화장치 | |
KR102068434B1 (ko) | 건식 및 습식 방식에 의해 유해물질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순차형 필터부를 갖는 산업용 공기정화기 | |
KR20120119475A (ko) | 복합 공기청정장치 | |
KR101463216B1 (ko) |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 |
KR100564648B1 (ko) |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 |
KR101595321B1 (ko) |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KR101584056B1 (ko) | 공기청정기 | |
JP2003329277A (ja) | 空気清浄化手段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 |
KR20190122967A (ko) | 물흡착식 공기필터 | |
KR101034868B1 (ko) |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 |
KR102244493B1 (ko) |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기 | |
CN111442434B (zh) | 一种具有驱蚊功能的空气净化智能机器人 | |
KR20140035118A (ko) | 악취 및 공기 정화방법 및 그 장치 | |
KR200364179Y1 (ko) | 공기청정기 | |
KR102091526B1 (ko) | 공기 집진기 | |
KR200371836Y1 (ko) | 필터방식 원통형 공기 청정기 | |
KR20130128246A (ko) | 양압을 이용한 실내클린장치 | |
KR101806404B1 (ko) |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