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88B1 -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88B1
KR100719788B1 KR1020060041282A KR20060041282A KR100719788B1 KR 100719788 B1 KR100719788 B1 KR 100719788B1 KR 1020060041282 A KR1020060041282 A KR 1020060041282A KR 20060041282 A KR20060041282 A KR 20060041282A KR 100719788 B1 KR100719788 B1 KR 10071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effect
adsorption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기남
Original Assignee
길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기남 filed Critical 길기남
Priority to KR102006004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높이 원통형의 내부 수조가 2중으로 형성된 습식 물세척부와 향기 발산부, 숯 등의 흡착 여과재가 내장된 건식 흡착부가 순차로 형성된 공기정화기로서 흡기팬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각각 공기정화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 배기팬에 의하여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 이동 과정에서 오염공기를 강제로 물속에 집어넣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공기 중의 먼지 등 오염물질은 흡착 자중에 의하여 침전시키고 흡착된 박테리아 세균 등은 자외선 살균램프로 살균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가습효과를 동시에 구현하며 정화된 공기는 다시 향기 발산부와 건식 흡착부를 차례로 경유 다단계로 필터링시킴으로써 공기를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를 만들어 배출함과 동시에 자연증발에 의하여 실내공기를 가습시키고 음이온 효과를 실현시켜 하나의 가습기로 공기청정과 자연가습효과 살균효과, 음이온효과, 냄새 제거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물세척법과 흡착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 가습, 살균, 물세척법, 향기요법, 흡착여과, 숯, 폭포수효과, 음이온

Description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Naturally humidifying air cleaner using water filtering method and activated carbon filte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공기정화기
10:덮개 11:흡기팬
12:배기팬 13:자외선 램프
20:몸체 21:격벽
22:통기공 30:제어장치
31:마이크로프로세서 32:전원
40:물세척부 41:급수조
42:저수조 43:모터펌프
44:물분사노즐 45:수위감지센서
50:향기발산부 51:방향제
60:흡착여과부 61:흡착여과재
70:스위치부 71:동작스위치
72:흡기스위치 73:배기스위치
74:펌프스위치 75:자외선램프스위치
76:타이머 77:속도조절스위치
78: 부저 79:습도센서
80:배수노즐
본 발명은 물세척법과 흡착 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사각형의 외부 수조 내에 월류(over-flow)에 의한 샤워 세척과 폭포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끔 소정 높이 원통형의 내부 수조가 2중으로 형성된 습식 물세척부와 향기 발산부, 숯 등의 흡착 여과재가 내장된 건식 흡착부가 순차로 형성된 공기정화기로서 흡기팬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각각 공기정화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 배기팬에 의하여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 이동 과정에서 오염공기를 강제로 물속에 집어 넣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공기 중의 먼지 등 오염물질은 흡착 자중에 의하여 침전시키고 흡착된 박테리아 세균 등은 자외선 살균램프로 살균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가습효과를 동시에 구현하며 정화된 공기는 다시 향기 발산부와 건식 흡착부를 차례로 경유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이 증가되게끔 다단계로 필터링시킴으로써 공기를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를 만들어 배출함과 동시에 자연증발에 의하여 실내공기를 가습시키고 낙하수에 의한 폭포수의 음이온 효과를 실현시켜 하나의 가습기로 공기청정과 자연가습효과 살균효과, 음이온효과, 냄새 제거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물세척법과 흡착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오염된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 주는 기계장치로서 최근 건강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하고 상쾌한 공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방식에 따라 종이나 부직포 등의 필터를 이용 공기를 빨아들여서 정화시키는 필터 방식, 필터 없이 전기적인 방전 원리를 이용 정전기를 발생시켜 먼지가 전극판에 부착되도록 하여 먼지 입자를 걸러내는 전기집진방식, 물의 흡착력을 이용해 먼지나 분진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물세척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 방식은 미세한 먼지를 걸러낼 수 없고 미세한 먼지를 걸러내기 위하여 미세한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공기의 통과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전기집진방식은 정전기를 이용 미세한 먼지까지도 잘 걸러지는 장점은 있으나 먼지가 전극판에 달라붙어 쌓이게 되면 집진효율이 떨어지 는 단점이 있고, 기타 오존발생기를 장착한 정화방식은 오존의 작용에 의하여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을 사멸시키고 악취 등 냄새를 없애는 기능을 있으나 오존의 특성상 과다하게 발생하면 인체에 매우 치명적이며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도 제거할 수가 없으며 실내의 적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가습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는 공기정화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지 못할 뿐 아니라 물탱크내에서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대량으로 분무시키게 됨으로써 습도조절의 목적달성보다는 세균에 의한 피해를 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로 공기를 정화하는 물세척법은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강제로 물속에 집어넣어 씻어 공기를 세척한 후 다시 공기 중으로 내보내는 방식으로 필터를 사용한 방식이나 전기를 이용한 집진방식보다 이상적인 공기 청정방식으로서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고 필터로 걸러지지 않는 미세분진까지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가습효과를 구현할 수는 있으나 종래 기술의 물세척법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는 건조하고 오염된 실내 공기가 공기 정화기 내부로 흡수되어 물속에서 회전하는 디스크(원판)를 통과하면서 먼지 입자들을 디스크에 붙게 하는 회전 원판에 의한 원심 분리 방법으로 물로 공기를 세척한 후 첨가제로서 살균세척제가 주입된 하부 물통에서 바이러스, 세균 및 각종 유해가스를 다시 제거하게 하는 구성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2차 감염의 우려가 있는 세균과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처리 약품을 물에 풀어 사용함으로써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수파쇄방식(폭포수효과)으로 발생된 공기 음이온은 1시간 노출에서 적혈구 엉킴을 개선하여 산소 신진대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나 코로나 방전방식으로 발생된 공기 음이온은 아무런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코로나 방전으로 발생된 공기 음이온이 아무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이유는 물과의 결합이 없어 이들 이온의 수명이 현저히 짧고 따라서 이들 이온들이 허파꽈리까지 충분히 도달할 수 없는 까닭이라 판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오염된 공기중에 포함된 입자가 큰 먼지는 물론 인체에 미세 먼지 그리고 세균까지도 복합적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적정습도의 가습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게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습식 물세척법과 건식 흡착법을 연계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각형의 외 부 수조 내에 월류(over-flow)에 의한 오염공기의 세척과 폭포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끔 소정 높이 원통형의 내부 수조가 2중으로 형성된 습식 물세척부와 향기 발산부, 숯 등의 흡착 여과재가 내장된 건식 흡착여과부가 순차로 형성된 공기정화기를 형성하고 흡기팬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각각 공기정화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 배기팬에 의하여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 이동 과정에서 오염공기를 강제로 물속에 집어 넣어 미세분진을 포함한 공기 중의 먼지 등 오염물질은 흡착 자중에 의하여 침전시키고 흡착된 박테리아 세균 등은 자외선 살균램프로 살균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가습효과를 동시에 구현하며 정화된 공기는 다시 향기 발산부와 건식 흡착부를 차례로 경유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이 증가되게끔 다단계로 필터링시킴으로써 하나의 가습기로 공기청정과 자연가습효과 살균효과, 음이온효과, 냄새 제거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물세척법과 흡착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주변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로서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31)가 장착된 회로기판(PCB)의 제어장치(30)와 흡기 팬(11), 배기팬(12), 스위치부(70)가 표면에 저면에는 자외선 램프(UV LAMP)(13)가 장착된 덮개(10)와 월류(over-flow)에 의한 오염공기의 세척과 폭포수 효과를 구현하게끔 수중 펌프 모터(43)가 장착된 중공의 원통형 급수조(41)가 직사각형의 저수조(42) 내측에 장착된 2중 수조로 형성되어 공기와 물의 접촉으로 흡입된 오염공기중의 미세 먼지와 세균을 동시 제거하기 위한 습식 물세척부(40)와 먼지와 세균이 제거된 유통공기에 방향제(51)로 향기를 부여하는 향기 발산부(50), 공기중의 오염된 냄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숯 등의 흡착 여과재(61)가 내장된 건식 여과 흡착부(60)가 공기통로로서 다수의 원형 통기공(22)이 상하 대칭으로 사선의 대각선 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 격벽(21)으로 분리 구성되어 공기 흐름이 길어지고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흐름 속도가 완만하게 형성되는 공기정화구조의 몸체로서, 흡입되는 공기와 물의 접촉으로 오염물질을 흡착 자연중력에 의하여 침전시키고 오염된 물은 자외선 램프로 살균처리한 다음 처리된 공기에 향기 부여, 냄새를 흡착제거하는 방법으로 통과되는 공기를 다중으로 필터링하여 공기청정과 기화에 의한 자연가습효과 살균효과, 음이온효과, 냄새 제거의 합성 시너지효과를 복합적으로 구현하게 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오염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청정기로서 습식 물세척법과 건식 흡착법을 연계하되, 물세척법은 저수조 내에 급수조를 장착하는 2중 물통 구조로서 흡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함에 있어서 폭기에 의한 샤워 세척과 월류(over-flow)에 의하여 물분자에 공기가 충돌 음이온이 발생되는 폭포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공기와 물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게끔 상부가 개방되고 라운드진 원통형 급수조를 저수조내에 장착하는 2중 수조를 채택하였으며, 물흡착, 자외선 살균, 향기발산, 활성탄 흡착 등의 방법을 유기적으로 결합 다중으로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수조의 물을 살균시키되 유통되는 공기를 공기 흐름이 길어지고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흐름 속도가 완만하게 형성되는 공기유통구조로 형성한 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활용율이 좋게끔 컴팩트한 크기로서 보기 흉하지 않게 외관이 아름답게 디자인된 덮개(10) 탈부착식의 직사각 함체 형상으로서, 덮개(10)와 결합하여 외형을 이루는 소정 체적의 몸체(20)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덮개(10)는 각각 정역회전하는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기팬(11)과 배기팬(12), 소정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31)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의 제어장치(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부(70)가 표면에 형성되고 배면으로는 몸체 급수조(4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외선 램프(UV LAMP)(13)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몸체(20)에 힌지수단을 장착하여 여닫이식의 개폐 덮개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0)에 장착되는 회로기판(PCB)의 제어장치(30)에는 전체 기기를 제어하게끔 소정 프로토콜로 프로그래밍화된 마이크로 프로세서(31)가 스위칭 소자(미도시함)와 같이 내장되어 주변기기로서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원(32)과 자외선 램프(13), 알람 부저(78), 타이머(76), 송풍장치로서 흡기팬(11)과 배기팬(12), 감응장치로서 습도센서(79)와 수위감지센서(45), 파이프 형태 물분사 노즐(44)이 구비된 수중 펌프모터(43), 다수개의 스위치부(7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한 스위치부(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를 중심으로 동작(전원 온오프) 스위치(71), 팬 속도조절 스위치(77), 흡기 스위치(72), 배기 스위치(73), 펌프 스위치(74), 자외선 램프 스위치(75)가 각각 장착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1)의 제어로 상기한 주변 기기에 연계 동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형태 배수노즐(80)이나 타이머(76)를 형성하되 시간 및 습도를 알려주는 액정 표시부(LCD DISPLAY)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적 구성은 통상의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이머(7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의 제어로 작동하며 시간이 경과하여 동작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키고 작동시간은 표시부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으며 저수조(42)의 물이 부족하여 급수에 문제가 발생하면 수위감지센서(45)에 연동되는 알람 부저(78)로 경고하여 수조에 부족한 물을 보충시키게 되며 알람 부저(78)는 청각적인 알람기능에 시각적으로 점멸하여 경고를 발하는 경고표시등 기능이 부가된다.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흡기팬(11)과 배기팬(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스위치(77)는 배기팬(12)과 흡기팬(11)의 회전 속도를 각각 다르게 조절 공기의 몸체 내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키게 하며 습도센서(79)와 타이머(76)는 적절한 습도와 가동시간을 유지 쾌적한 공조 환경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실 간에 상호 간섭이 없도록 합성 수지재질로서 기밀이 유지되게 방수처리하고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게 제작하게 되며, 공기통로로서 다수의 미세 직경 원형 통기공(22)이 상하 대칭의 사선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가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 칸막이 격벽(21)으로 분리 구성되어 흡기팬(11)으로 흡입된 공기와 물의 접촉으로 오염공기중의 미세 먼지와 세균을 동시 제거하기 위한 습식 물세척부(40), 먼지와 세균이 제거된 유통공기에 방향제(51)로 향기를 부여하는 향기 발산부(50), 공기중의 오염된 냄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숯이나 활성탄 등의 흡착 여과재(61)가 내장된 건식 흡착여과부(6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비록 도면상에 불투명하게 도시하였으나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고 다색 발광으로 점멸하는 장식 겸용 조명등을 부착하여 화려한 장식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물 쏟아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된 받침구를 몸체(20) 저부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의 일측에는 흡기팬(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물세척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세척부(40)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42) 내측에 중공의 원통형 급수조(41)가 장착되어 있으며, 급수조(41)는 소정 높이로 몸체(20)가 덮개(10)와 상호 결합시 자외선 램프(UV LAMP)(13)를 일부 또는 전부가 물속에 잠기게 하는 방식으로 급수조(41) 내측에 수용함으로써 급수조 내의 물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한 자외선 램프(UV LAMP)(13)는 살균용 자외선을 공기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물에 조사하여 화학반응을 촉진하고 유기물을 산화시키며 물속에 잔존하는 세균 등의 미생물들에게는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공기 중 살균 및 탈취력을 배가시키는 다른 실시예로서 공기정화기 내측 공간에 자외선 램프(UV LAMP)를 부가 장착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살균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면 살균용 자외선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만으로 물과 공기를 동시에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설치비와 유지비도 싸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급수조(41)의 일측 저부에는 저소음의 수중 펌프모터(43)가 설치되어 펌프모터(43)에 연결된 파이프 형태의 물분사노즐(44)로 저수조내(42)의 물을 소정압력으로 펌핑 토출하여 급수조(41)에 공급하고 급수조 저부로부터 폭기시켜 생성되는 기포(물방울)을 집중 부상시켜 흡기팬(11)의 작동으로 흡입된 공기가 부상하 는 물과 원활하게 접촉하여 급수조(41)의 물을 넘치게 하는 월류(over-flow) 방법으로 저수조(42)로 물을 낙하시키게 되며, 이때 물의 성질인 표면장력과 응집력에 의하여 응집된 공기 중의 이물질은 물과 함께 완만하게 라운드진 급수조(41) 벽면을 따라 저수조(42)로 낙하되고 낙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과 오염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저수조(42) 내부로 침전되게 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을 흡착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즉, 급수조(41)에서는 펌핑 토출되는 물로 가벼운 미세 물방울을 생성 손쉽게 상향이동시켜 상층수에 포함시키며 상층수 물방울에는 공기 중의 먼지 및 분자들이 충돌 레너드 효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며 동시에 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도 포집 낙하되어 침전하게 되며 저수조(42) 유면에 충돌하여 먼지 등 이물질이 흡착되고 유면에 충돌 방향을 바꾼 정화 공기는 상향 이동하여 다음 격실인 향기 발산부(5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성되는 천연 음이온은 천연폭포에서와 같이 물이 부셔지면서 발생하므로 일체의 오존이 발생하지 않으며 물의 흐름이 계속되는 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 waterfall effect, 일폭포수 효과)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급수조 높이를 몸체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하여 완 만한 벽면에 낙차부를 형성시키되 외주에 단면이 직선의 평면이 아닌 2차원 요철 또는 파상의 다층 구조 물흐름면을 형성하게 되면 낙차의 물흐름면적이 넓어져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흡입 공기와의 물리적 충돌에 의한 음이온효과와 가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저수조(42)에 낙하된 물은 펌프모터(43)에 의하여 흡입 급수조 저면으로 연통되는 물분사노즐(44)에 의하여 펌핑됨으로서 급수조(41)로 순환되고 또한 수조의 물은 자연증발에 의하여 공기에 포함되어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습기가 포함된 습공기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 청정효과와 가습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42)의 일측으로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45)가 장착되어 수시로 물의 유무 및 유량을 감지하여 유량이 일정수위 이하이면 자동으로 알람 부저(78)를 작동하여 청각적, 시각적으로 경고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 저수조(42)에는 배수노즐(80)에 미도시한 전자밸브(솔레노이드밸브)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저수조의 오염된 물을 자동으로 배수하게 할 수도 있다.
습식 물세척부(40)와 건식 흡착여과부(60) 사이에 위치한 향기발산부(50)는 천연 또는 합성 향료로 이루어지는 방향제(61)를 내장하여 통과 공기에 향기를 부여하고 탈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공기청정 효과에 더불어 향기로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향기요법(아로마테라피)효과가 있게끔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악취 제거와 동시에 실내 분위기를 바꿔주는 상쾌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시키게 되는 것으로 향기발산부(50)를 물세척부(40)와 흡착여과부(60) 사이에 구획시키는 칸막이 기능 격벽(21)의 일측은 상단에 대향되는 타측은 하단에 다수개의 원형 미세 통기공(22)을 구비함으로써 지그재그형 유로를 형성 압력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유통공기와 여과재의 접촉반응 표면적이 넓어지는 방법으로 공기흐름속도를 완만하게 조정하여 공기 체류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키게 되며 아울러 맑고 깨끗한 공기와 함께 자연의 신선한 향을 실내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향기발산부(50)를 통과한 공기는 최종적으로 흡착여과부(60)에서 걸러져 정화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00)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으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소수성 유해 유기물과 세균 등 전단계에서 필터링되지 않고 통과되는 공기에 잔류된 먼지 등 오물과 냄새가 제거된 습공기를 실내로 방출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공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다공성은 물론 폐쇄 공간 내에서 무작위로 분산 적층된 다수개의 숯덩어리 사이로 공기를 통과하게 하여 와류현상을 유도하여 공기가 빠짐없이 흡착여과제(61)에 골고루 접촉되면서 통과하게 되어 충분히 반응하게 되며 또한 송풍압력 손실이 생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향되는 공기 흐름을 조성 흡입은 빠르고 배출은 느리게 흡기팬(11)과 배기팬(12)의 속도를 조절하여 체류시간과 통과공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한다.
본 발명의 흡착여과부(60)에 사용되는 흡착여과제(61)는 다수의 기공을 가진 친환경소재로서 숯을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 공기접촉면적의 극대화로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으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숯은 특유한 미세구멍의 거대 표면적 특성으로 강력한 기체와 액체의 흡착작용을 수행 실내의 포름알데히드(HCHO)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의 탈취기능과 곰팡이, 박테리아, 담배연기, 질소산화물(NOx),아황산가스(SOX),일산화탄소(Co) 등 양이온을 경화침전시켜 제거하는 공기정화효과를 실현하게 되는 것으로 집안의 불쾌한 음식냄새, 담배냄새 및 새집 증후군의 주범인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가스제거 및 음이온 방출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흡취, 흡착하는 효과가 있게끔 수많은 공극 덩어리로 구성된 숯은 그 주성분이 탄소와 약간의 농축된 광물성 영양소인 미네랄로서 실내의 미생물과 같은 유해한 물질을 숯이 흡착하여 살균하도록 하고 실내공기를 흡수하여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바 이러한 숯의 놀라운 효능을 본 발명에 접목 실내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고 건강에도 도움을 주게 활용한 것으로 균등하거나 개량된 물성의 흡착여과제로서 활성탄 필터 또는 세라믹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된 실내공간 등의 오염공기를 공기와 물의 접촉으로 미세 먼지와 세균을 동시 제거하기 위한 물세척 과정에 향기 요법의 향기부여과정, 숯에 의하여 냄새입자를 탈취필터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흡착여과과정을 다단계로 수행하여 연계되는 공정의 조합에 따른 복합 상승효과로 종래의 공기 정화 방법에 비하여 공기 정화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자외선으로 살균된 물의 미세한 물입자에 의한 기화 가습효과도 부수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쾌적한 건강습도를 유지 호흡기 질환(감기, 천식, 비염, 알레르기 등)이 있는 사람이나 아토피성 피부병 환자, 저항력이 약한 신생아, 유아, 노약자의 호흡기 건강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이물질 유입방지 및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덮개(10)의 흡기팬(11)과 배기팬(12)을 덧씌우는 메시망(74)과 급수조(40) 측벽에 요철의 직선 평면이 아닌 2차원 요철의 물흐름면, 장식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몸체(20)의 외벽을 투시 가능한 투명재질로 형성하되, 흡착여과제(61)로서 통상의 숯을 대체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흡착성능이 개선된 물성의 활성탄 필터가 내장된 공기청정기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흡입 공기와의 물리적 충돌에 의한 음이온효과와 가습효과가 향상되며 안전성과 공기정화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 흡입공기와 물흐름과의 기액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내부에 높이가 낮은 원통을 동심원상의 2중으로 부가 형성하여 펌핑된 물을 높낮이차에 의하여 내측으로 흐르게 하거나 저 수조 내부에 가늘고 긴 수직의 원통을 다수개 장착하여 물흐름 면적을 증대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공기와 물의 접촉으로 미세 먼지와 세균을 동시 제거하기 위한 물세척부, 향기요법의 향기발산부, 냄새입자를 흡착시켜 제거하는 흡착여과부의 다단계 공정의 가능케 하는 조합구조의 하드웨어 장치에 기기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정밀한 장치 제어로 전체적으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배가시킨 것으로서, 소형화, 경량화, 저가격화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다단계 연속 공정의 조합에 의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극복하고 통합 공정에 따른 복합 시너지 상승효과를 구현하게 되는 것으로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각각 공기정화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 배기팬에 의하여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 이동 과정에서 오염공기를 강제로 물속에 집어 넣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공기 중의 먼지 등 오염물질을 흡착 자중에 의하여 침전시키고 흡착된 박테리아 세균 등은 자외선 살균램프로 살균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가습효과를 동시에 구현하며 정화된 공기는 다시 향기 발산부와 건식 흡착부를 차례로 경유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이 증가되게끔 다단계로 필터링시킴으로써 하나의 공기청정기로 공기 청정은 물론 자연가습효과 살균효과, 음이온효과, 냄새 제거효과를 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식 먼지 제거방법에 비하여 미세한 필터를 다수개 중첩시킬 필요가 없어 공기 통과 효율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또한 종래의 물접촉법에 비하여 물을 자주 교환하거나 저장용기를 자주 세척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주변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로서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31)가 장착된 회로기판(PCB)의 제어장치(30)와 흡기팬(11), 배기팬(12), 스위치부(70)가 표면에 저면에는 자외선 램프(UV LAMP)(13)가 장착된 덮개(10)와 월류(over-flow)에 의한 오염공기의 세척과 폭포수 효과를 구현하게끔 수중 펌프 모터(43)가 장착된 원통형 급수조(41)가 직사각형의 저수조(42) 내측에 장착된 2중 수조로 형성되어 공기와 물의 접촉으로 흡입된 오염공기중의 미세 먼지와 세균을 동시 제거하기 위한 습식 물세척부(40)와 먼지와 세균이 제거된 유통공기에 방향제(51)로 향기를 부여하는 향기 발산부(50), 공기중의 오염된 냄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숯 등의 흡착 여과재(61)가 내장된 건식 여과 흡착부(60)가 공기통로로서 다수의 원형 통기공(22)이 상하 대칭으로 사선의 대각선 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 격벽(21)으로 분리 구성되어 공기 흐름이 길어지고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흐름 속도가 완만하게 형성되는 공기정화구조의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흡기팬(11)과 배기팬(12)은 속도조절 스위치(77)는 배기팬(12)과 흡기팬(11)의 회전 속도를 각각 다르게 조절 공기의 몸체 내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원통형 급수조(41)는 완만한 벽면의 낙차부를 단면이 직선의 평면이나 2차원 요철, 파상의 다층 구조로 물흐름면을 형성 흡입 공기와 접촉하는 낙차의 물흐름면적을 넓게 하고 흐르는 물과 공기와의 물리적 충돌로 음이온효과와 가습효과를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1020060041282A 2006-05-09 2006-05-09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10071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82A KR100719788B1 (ko) 2006-05-09 2006-05-09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82A KR100719788B1 (ko) 2006-05-09 2006-05-09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788B1 true KR100719788B1 (ko) 2007-05-18

Family

ID=3827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82A KR100719788B1 (ko) 2006-05-09 2006-05-09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788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69B1 (ko) 2005-11-07 2007-12-27 김양선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KR101296799B1 (ko) 2012-12-12 2013-08-14 이성헌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CN103446857A (zh) * 2012-05-28 2013-12-18 侯飞 隔板式空气净化装置
CN103629756A (zh) * 2013-12-24 2014-03-12 丁贵春 空气净化增氧器
CN108379971A (zh) * 2018-05-15 2018-08-10 上海卓鼎模具有限公司 一种水洗式空气净化器
CN108507037A (zh) * 2018-03-21 2018-09-07 张素平 一种便于清理的负离子空气净化器
KR101955861B1 (ko) * 2018-10-23 2019-03-08 이해동 집진 장치
KR20190026198A (ko) * 2017-09-04 2019-03-13 박성수 화력발전소용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
KR20190043861A (ko) 2017-10-19 2019-04-29 이윤희 실외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991876B1 (ko) 2018-07-26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외 냉각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062775B1 (ko) 2019-04-23 2020-01-06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실외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WO2020045803A1 (ko) * 2018-08-28 2020-03-05 이영일 물을 이용한 다용도 공기 청정기
KR20200026011A (ko) * 2018-08-28 2020-03-10 이영일 물을 이용한 다용도 공기 청정기
KR102191776B1 (ko) 2020-09-28 2020-12-16 (주)세기에어시스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2227028B1 (ko) * 2020-11-20 2021-03-15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미세먼지 측정장치
KR20220000154A (ko) * 2020-06-25 2022-01-03 아이투엠 주식회사 버블생성기가 구비된 공기 정화장치
KR102439949B1 (ko) 2022-04-07 2022-09-05 (주)세기에어시스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20220149176A (ko) 2021-04-30 2022-11-08 황준하 물세탁 방식의 흡연실 공기청정기
KR20220159617A (ko) 2021-05-26 2022-12-05 김선권 Uv램프 및 정제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정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530A (ja) * 1995-02-09 1996-08-27 Min Chu Kun 屋内用空気ろ過器
KR20000000060A (ko) * 1999-08-24 2000-01-15 김승길 동력전달장치
KR20040032831A (ko) * 2004-03-19 2004-04-17 코아텍주식회사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
KR200399678Y1 (ko) 2005-08-12 2005-10-26 정세군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530A (ja) * 1995-02-09 1996-08-27 Min Chu Kun 屋内用空気ろ過器
KR20000000060A (ko) * 1999-08-24 2000-01-15 김승길 동력전달장치
KR20040032831A (ko) * 2004-03-19 2004-04-17 코아텍주식회사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
KR200399678Y1 (ko) 2005-08-12 2005-10-26 정세군 공기정화장치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69B1 (ko) 2005-11-07 2007-12-27 김양선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CN103446857A (zh) * 2012-05-28 2013-12-18 侯飞 隔板式空气净化装置
KR101296799B1 (ko) 2012-12-12 2013-08-14 이성헌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CN103629756A (zh) * 2013-12-24 2014-03-12 丁贵春 空气净化增氧器
CN103629756B (zh) * 2013-12-24 2016-04-06 丁贵春 空气净化增氧器
KR20190026198A (ko) * 2017-09-04 2019-03-13 박성수 화력발전소용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
KR102018044B1 (ko) * 2017-09-04 2019-09-04 박성수 화력발전소용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
KR20190043861A (ko) 2017-10-19 2019-04-29 이윤희 실외 공기 정화 시스템
CN108507037A (zh) * 2018-03-21 2018-09-07 张素平 一种便于清理的负离子空气净化器
CN108379971A (zh) * 2018-05-15 2018-08-10 上海卓鼎模具有限公司 一种水洗式空气净化器
KR101991876B1 (ko) 2018-07-26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외 냉각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097902B1 (ko) * 2018-08-28 2020-04-06 이영일 물을 이용한 다용도 공기 청정기
WO2020045803A1 (ko) * 2018-08-28 2020-03-05 이영일 물을 이용한 다용도 공기 청정기
KR20200026011A (ko) * 2018-08-28 2020-03-10 이영일 물을 이용한 다용도 공기 청정기
KR101955861B1 (ko) * 2018-10-23 2019-03-08 이해동 집진 장치
KR102062775B1 (ko) 2019-04-23 2020-01-06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실외 공기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 공기청정시스템
KR20220000154A (ko) * 2020-06-25 2022-01-03 아이투엠 주식회사 버블생성기가 구비된 공기 정화장치
KR102368512B1 (ko) 2020-06-25 2022-02-28 아이투엠 주식회사 버블생성기가 구비된 공기 정화장치
KR102191776B1 (ko) 2020-09-28 2020-12-16 (주)세기에어시스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2227028B1 (ko) * 2020-11-20 2021-03-15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미세먼지 측정장치
KR20220149176A (ko) 2021-04-30 2022-11-08 황준하 물세탁 방식의 흡연실 공기청정기
KR20240038673A (ko) 2021-04-30 2024-03-25 황준하 물세탁 방식의 흡연실 공기청정기
KR20220159617A (ko) 2021-05-26 2022-12-05 김선권 Uv램프 및 정제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정수 장치
KR102439949B1 (ko) 2022-04-07 2022-09-05 (주)세기에어시스템 습식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88B1 (ko)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101962356B1 (ko) 살균, 탈취 및 유해물질 제거가 우수한 복합형 필터부를 갖는 공기정화기
KR101791677B1 (ko) 습식 공기세척기
KR20080059959A (ko) 공기 살균장치
KR20120119475A (ko) 복합 공기청정장치
CN208075167U (zh) 智能控制型空气净化器
KR100604643B1 (ko) 복합 공기 청정기
KR20050079964A (ko) 광촉매 공기청정기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0575309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0357824Y1 (ko) 공기살균기
KR20110010102U (ko) 아토피 피부염 및 비염 개선 다기능 공기청정기
KR20040105424A (ko) 자외선램프를 구비한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
KR20030027362A (ko) 공기정화기
CN115127179A (zh) 快速灭菌祛除异味的全效空气净化装置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529738B1 (ko) 음이온 발생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50035921A (ko) 공기 정화 살균 방법과 장치
KR102594289B1 (ko) 미세먼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CN219160548U (zh) 双水箱空气清洗系统
KR200393220Y1 (ko) 양변기용 악취 및 세균 제거 탈취기
KR200262735Y1 (ko) 공기정화기
KR100683844B1 (ko) 바이오 에어 클리너
JP4771609B2 (ja) 空気清浄機付きプランター
KR100564488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