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861B1 -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861B1
KR101955861B1 KR1020180126521A KR20180126521A KR101955861B1 KR 101955861 B1 KR101955861 B1 KR 101955861B1 KR 1020180126521 A KR1020180126521 A KR 1020180126521A KR 20180126521 A KR20180126521 A KR 20180126521A KR 101955861 B1 KR101955861 B1 KR 10195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dust
collecting part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동
Original Assignee
이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동 filed Critical 이해동
Priority to KR102018012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격벽에 의해서 상호 구분되는 복수의 집진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집진부와, 상기 제 1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하강하는 집진부로서, 자갈들을 수용되어 있는 제 2 집진부와, 상기 제 2 집진부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집진부로서, 복수의 필터링 수단이 구비된 제 3 집진부와, 상기 제 3 집진부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집진부로서, 숯들이 수용되어 있는 제 4 집진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집진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물통과, 상기 제 2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제 3 집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4 집진부에서 하강한 공기를 하측의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집진부 하측에서 상기 제 4 집진부 하측까지 연장되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 장치{Dust collector}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습도를 낮추는 것과, 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제품생산에 필요한 분진을 얻기위해 파쇄작업이 진행되는 산업현장에는 공기중에 미세분진이 다량함유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 경우 파쇄된 원료의 포집효율을 높이고 생산량의 증대와 작업현장의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집진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백필터를 이용한 여과식 집진장치가 대표적으로 그 구조 및 원리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분진유입구로 흡입되면, 공기 중의 분진입자는 여과포 즉, 백필터에 의해 걸러지고 여과된 후의 공기는 대기중에 배출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공기중의 분진입자를 포집하기 위해서는 여과된 분진을 주기적으로 털어내는 세정작업이 필요하므로 집진장치에는 여과포에 걸러진 분진이 중력에 의해 모여지도록 호퍼(Hopper)가 설치되고, 호퍼에 모여진 분진은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집진기는 원형의 여과포가 일정한 배열로 설치되므로 이들 설치면적에 비해 집진효율이 낮고, 특히 각 여과포마다 부압형성용 흡입부, 즉 노즐과 벤츄리 덕트(Venturi duct)가 설치되어서 모든 여과포에 균일한 부압이 형성될 수 없고, 따라서 세정작업시 분진포집효율이 비교적 낮고, 압력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여과포의 세정압력이 불균일하므로 세정빈도수가 높고 이는 여과포의 사용수명을 짧게하여 집진장치의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들고, 상대적인 압력손실로 에너지 손실이 큰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대형 집진기는 최초 유입된 분진물이 집진설비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그 어떠한 필터링이 되지 못한 상태 즉, 시멘트 또는 철광석에 포함된 덩어리형태의 분진이 집진설비의 백필터로 직접 유입되는 것으로 백필터의 파손을 발생시키고, 파손으로 인한 백필터의 교체 또는 정비 주기를 빠르게 순환시켜 유지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대형 집진기에서 이동되는 분진물은 진행방향의 관성을 통하여 어느 한 곳으로 집중 즉, 집진설비의 내부공간에 골고루 퍼지는 것이 아닌 유입되는 연장선상에 집중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백필터 중 어느 한 백필터에만 분진물이 집중되어 집진효율을 대폭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백필터의 교체 또는 정비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대형 집진기의 백필터는 유입된 분진물이 백필터의 외부면에 점착되는 것으로 교체 및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데, 교체 및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백필터를 일탈시켜 작업자가 직접 청소하거나 그 상부에 최근들어 제품생산에 필요한 분진을 얻기위해 파쇄작업이 진행되는 산업현장에는 공기중에 미세분진이 다량함유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 경우 파쇄된 원료의 포집효율을 높이고 생산량의 증대와 작업현장의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집진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습기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격벽에 의해서 상호 구분되는 복수의 집진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집진부와, 상기 제 1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하강하는 집진부로서, 자갈들을 수용되어 있는 제 2 집진부와, 상기 제 2 집진부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집진부로서, 복수의 필터링 수단이 구비된 제 3 집진부와, 상기 제 3 집진부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집진부로서, 숯들이 수용되어 있는 제 4 집진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집진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물통과, 상기 제 2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제 3 집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4 집진부에서 하강한 공기를 하측의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집진부 하측에서 상기 제 4 집진부 하측까지 연장되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집진 장치에 의해서, 공기 내에 포함된 습기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공장이나 사업장 등에서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집진 장치(10)는 수분 제거 또는 이물질 제거의 대상이 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와, 집진 장치(10) 실내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제 1 집진부(100) 내지 제 4 집진부(400)와, 상기의 집진부들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2)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집진부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집진 장치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작업자는 각각의 집진부들의 상부 덮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집진부들을 별도로 수리/청소할 수 있다.
제 1 집진부(100)는 유입부(1)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떨어지는 물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집진부(100)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길이와 이동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턴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턴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 1 집진부(100)를 구성하는 양측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소정 각도로 하향하도록 배치되어 제 1 집진부(100) 상측의 분사 노즐(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턴 플레이트(110)들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좌우를 번갈아 경유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턴 플레이트(110) 상부면으로 떨어지거나 이동하는 물에 의해 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턴 플레이트(110)의 단부는 수직 하향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턴 플레이트(110)의 하부면을 이동하는 공기가 절곡된 단부에서 물에 접촉되는 경우가 더 많아진다.
한편, 상기 제 1 집진부(100)에서 상측으로 이동한 공기가 다시 하향 이동하는 동안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는 제 2 집진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1 집진부(100)와 제 2 집진부(200)는 제 1 격벽(4)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제 1 격벽(4)은 집진 장치의 상부벽(2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까지만 형성된다. 상기 제 1 집진부(100) 내에서 상승한 공기가 제 2 집진부(200)로 자연스럽게 넘어올 수 있는 통로가 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집진부(100)에서 하강하는 물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진 공기는 제 2 집진부(200)에서는 하강하게 되면서 이물질 /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집진부(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갈층(210)이 구성되며, 자갈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아래로 밀려 내려가기 때문에, 그 이동 경로가 급격히 증가하고 자갈 표면에 공기가 부딪히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제 1 집진부(100)와 제 2 집진부(200) 아래에는 떨어지는 물을 수집하는 물통(3)이 구비되며, 상기 물통(3)은 제 3 집진부(300)의 아래까지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집진부(200)에서 자갈들 사이를 통과하여 하강한 공기는 타공판(400)을 통과한 다음 제 3 집진부(300)로 이동하게 된다. 유입부(1)를 통하여 공기가 높은 속도로 제 1 집진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 속도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양에 의해 공기는 제 1 집진부 내지 제 4 집진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3 집진부(300)는 제 2 격벽(5)에 의해 제 2 집진부(200)와 분리되어 있으며, 복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400)을 통하여 올라온 공기가 제 3 집진부(300)에서 공기 청정이 이루어진다.
제 3 집진부(300)에서는 필터링 수단(310)에 의하여 공기의 추가 정화가 이루어지는데, 제 3 집진부(300)에는 상기 필터링 수단(310)이 복수개 배열되고, 배열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필터링 수단(310)은 부직포(311)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2 집진부(200)에서 타공판(400)을 경유하여 상승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링 수단(310) 내부로 유입되는데,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311)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공기가 상기 필터링 수단(310)의 최하부를 통하여 필터링 수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필터링 수단(310)의 측면(외주면)을 형성하는 부직포(311)를 통과하여 필터링 수단(311)으로 유입된다.
공기가 제 4 집진부(40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링 수단(310)의 상측에 형성된 통로를 경유하여야만 하고, 상기 필터링 수단(310)의 상측에 형성된 통로(3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400)을 통과한 공기는 제 3 집진부(300) 내에서 상승하면서 부직포(311)를 통과하여 필터링 수단(3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링 수단(310)은 측방향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직포(311)와, 상기 부직포(311)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필터링 수단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312)와, 필터링 수단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319)와, 상기 어퍼 플레이트(312)와 바텀 플레이트(319)를 연결 및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316)와, 내부 중앙에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319)와 어퍼 플레이트(312)에 연결되는 센터 봉(315)과, 상기 센터 봉(315)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312) 보다 소정 높이 높게 위치하는 센터 덮개(313)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312)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덮개(313)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312) 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위치하여, 상기 어퍼 플레이트(312)와 센터 덮개(313) 사이의 공간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320)가 된다.
즉, 필터링 수단(310)에 의하여 공기가 정화되는 것은 배출 통로(320)를 필터링 수단(310) 내부의 상측에 형성하여 둠으로써, 공기가 필터링 수단(31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직포(311)를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부직포(311)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필터링 수단(310)의 상부로 배출된다.
상기 센터 봉(315), 어퍼 플레이트(312) 및 바텀 플레이트(319)는 작업자에 의해 함께 부직포(3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부직포(311)를 교체하는 것 역시 용이해진다.
상기 필터링 수단(310)으로 구성되는 제 3 집진부(300)에서 정화된 공기는 제 3 격벽(6)을 넘어 제 4 집진부(400)로 이동된다. 즉, 제 3 집진부(300)와 제 4 집진부(400)는 제 3 격벽(6)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물통(3)은 상기 제 3 집진부(300)의 하측까지만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집진부(400)의 하측에는 물통이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제 4 집진부(400)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가 구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타공판(400)은 제 2 집진부(200)의 하부에서 제 4 집진부(400)의 하부까지 형성되어, 상기 제 4 집진부(4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타공판(400)의 홀을 지나 배출부(2)로 이동한다.
상기 제 4 집진부(400) 내에는 추가적인 공기 정화를 위하여 숯(410)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숯(410)에 의한 공기 내의 미세 먼지 정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4 집진부(400)의 숯(41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하강하여 배출부(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의 집진 장치에 의해서, 공기 내에 포함된 습기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공장이나 사업장 등에서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격벽에 의해서 상호 구분되는 복수의 집진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집진부와,
    상기 제 1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하강하는 집진부로서, 자갈들을 수용되어 있는 제 2 집진부와,
    상기 제 2 집진부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집진부로서, 복수의 필터링 수단이 구비된 제 3 집진부와,
    상기 제 3 집진부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집진부로서, 숯들이 수용되어 있는 제 4 집진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집진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물통과,
    상기 제 2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제 3 집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4 집진부에서 하강한 공기를 하측의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집진부 하측에서 상기 제 4 집진부 하측까지 연장되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수단은 측면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직포와, 상기 필터링 수단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와, 상기 필터링 수단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바텀 플레이트를 연결 및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와 어퍼 플레이트 사이에서 위치하는 센터 봉과, 상기 센터 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센터 덮개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덮개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 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위치하는 집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진부의 양측벽에는 소정 각도로 하향하도록 구성된 턴 플레이트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턴 플레이트의 단부는 수직 하향하도록 절곡형성되는 집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진부의 상측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구성되는 집진 장치.
  5. 삭제
KR1020180126521A 2018-10-23 2018-10-23 집진 장치 KR10195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21A KR101955861B1 (ko) 2018-10-23 2018-10-23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21A KR101955861B1 (ko) 2018-10-23 2018-10-23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861B1 true KR101955861B1 (ko) 2019-03-08

Family

ID=6580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21A KR101955861B1 (ko) 2018-10-23 2018-10-23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2211A (zh) * 2019-11-12 2020-01-3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颗粒废气的收集净化设备
KR20210012673A (ko) 2019-07-26 2021-02-03 한재오 무필터 집진장치
CN112933827A (zh) * 2021-01-28 2021-06-11 绍兴恒元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气前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88B1 (ko) * 2006-05-09 2007-05-18 길기남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20150057462A (ko) * 2013-11-19 2015-05-28 주식회사 포스코 수분 및 더스트 포집장치
KR101610667B1 (ko) * 2014-12-22 2016-04-20 서울특별시 악취저감 시스템
KR101817899B1 (ko) * 2017-07-05 2018-01-11 조윤성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88B1 (ko) * 2006-05-09 2007-05-18 길기남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20150057462A (ko) * 2013-11-19 2015-05-28 주식회사 포스코 수분 및 더스트 포집장치
KR101610667B1 (ko) * 2014-12-22 2016-04-20 서울특별시 악취저감 시스템
KR101817899B1 (ko) * 2017-07-05 2018-01-11 조윤성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673A (ko) 2019-07-26 2021-02-03 한재오 무필터 집진장치
CN110732211A (zh) * 2019-11-12 2020-01-3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颗粒废气的收集净化设备
CN112933827A (zh) * 2021-01-28 2021-06-11 绍兴恒元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气前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61B1 (ko) 집진 장치
CN206663163U (zh) 一种过滤式简易除尘工作台
CN206240193U (zh) 一种振动布袋除尘器
KR20110106965A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CN203816379U (zh) 一种低压脉冲袋式除尘器
CN209034048U (zh) 一种多功能废气处理装置
CN208177116U (zh) 一种新型布袋除尘器
KR20150070534A (ko) 전기집진기의 여과 집진기 개조방법
KR100815456B1 (ko)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CN206881439U (zh) 一种新型袋式除尘器
CN213433458U (zh) 一种便于清理杂质的布袋除尘器
CN210138536U (zh) 一种易清灰防堵塞滤袋除尘器
CN210635434U (zh) 一种直拉单晶硅复投筒用自动装料装置
CN212440424U (zh) 一种化工用含粉尘气体过滤装置
KR100803989B1 (ko) 스트립 그라인더 미스트오일집진기의 오일흄 포집 제거장치
CN209155428U (zh) 一种复合式除尘器
CN112107933A (zh) 一种除尘自清洁一体化袋式除尘设备
CN209109698U (zh) 一种带有除尘进料斗的玉米种子振动输送装置
CN111617566A (zh) 一种布袋除尘器
JPH0513522U (ja) 湿式粉塵回収装置
CN202129220U (zh) 一种风分离筛装置
CN216320655U (zh) 一种水泥熟料库的收尘装置
TWI619537B (zh) 過濾裝置
KR100545265B1 (ko) 여과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