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669B1 - 무압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무압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669B1
KR102050669B1 KR1020180084601A KR20180084601A KR102050669B1 KR 102050669 B1 KR102050669 B1 KR 102050669B1 KR 1020180084601 A KR1020180084601 A KR 1020180084601A KR 20180084601 A KR20180084601 A KR 20180084601A KR 102050669 B1 KR102050669 B1 KR 10205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generating tank
steam generating
steam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한
Original Assignee
고윤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한 filed Critical 고윤한
Priority to KR102018008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28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for direct heat transfer, e.g. by mixing water and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4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with electr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증기발생조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자연스럽게 상승시켜 음식물을 찔 수 있도록 하면서, 증기발생조로 보충수의 공급과 증기발생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개선하여 오작동의 우려를 배제하여 안정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박스타입의 장치바디 중앙위치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설치하는 증기발생조와; 상기 증기발생조의 상부에 찜용기를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안치림과; 상기 장치바디의 후방에 전기적인 제어를 위하여 장착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장치바디의 전방에 설치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증기발생조의 내부에 설치하여 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찌는 데 필요한 증기를 생성시는 히터를 포함하는 무압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조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여 증기 발생으로 소모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게하는 물보충수단과; 상기 볼보충수단 대향 위치에 설치하여 증기발생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로 인가하여 물보충수단으로 하여금 증기발생조로 물을 공급하여 보충하게 하는 수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무압 증기발생장치{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무압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쪄서 익일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무압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다단으로 찜용기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정되게 증기를 발생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장치는 떡과 같은 음식물을 만들기 위하여 전기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떡시루에 담겨진 떡재료를 익혀서 떡을 만드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떡 뿐만 아니라 홍게, 대게, 조개, 굴, 생선 등과 같은 어패류를 익히는 용도, 돼지고기 소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익히는 용도 및 고구마, 채소등과 같은 다양흔 식재료 또는 음식물을 익히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찜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 3) 특허 제 10 - 1255447 - 0000 호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용 떡 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장함과 아울러 저수조를 내장하고 있는 사각박스형상의 본체(20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본체(202)의 저면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사각박스형상의 본체(202)를 지지해 주는 다리(206)와; 상기 다리(206)의 하단부의 내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판(208)과; 상기 지지판(208)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각박스형상의 본체(202) 측의 내부로 물을 공급해주되, 호스에 연결된 물통(212)과; 상기 저수조(215)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조(215)로부터 발산되는 증기를 공급받는 증기공급관(222)과; 상기 본체(202)의 상부 내측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가이드홈(302)과, 상기 본체(202)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결합부(304)에 의해 상기 본체(202) 상부에 설치된 결합수단(300)과; 상기 결합수단(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떡시루 받침부(224)를 구비하고, 상기 떡시루 받침부(224)에 증기를 발산하기 위한 증기발산관(230)이 구비어어 상기 증기공급관(222)과 상호 결합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몸체의 하부에 연결수단(400)을 구비한 보호박스(500);로 구비되되, 상기 보호박스(500)의 연결수단(400)은, 상기 보호박스(500)의 하단부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402)와, 상기 보호박스(500)의 하부 외면에 형성된 연결고리(404)로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67523 - 0000 호 특허 제 10 - 1199786 - 0000 호 특허 제 10 - 1255447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찜장치는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 상태에서 업소의 어느 한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들어 찌는 데 사용되는 전기소모량이 보통 100 ∼ 150㎾이기 때문에 운영 및 유지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특히, 대형의 찜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찌는 양이 많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찜장치를 가동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을 수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소량이면서 다양한 품목의 음식물을 쪄야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음식물을 찌기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와 같이 증기를 발생시킨 상태에서도 소량의 음식물을 단시간에 찐 후에는 찜장치의 가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것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가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많은 전기를 소모하게 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찜장치가 대형이기 때문에 업소의 내부에 설치할 때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하여 다른 작업을 위한 공간이 협소하여지는 것은 물론, 작업동선의 불편과 간섭현상 등이 발생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음식물을 찌는 작업이 떡과 같이 한 종류가 아니고 다양한 종류를 번갈아 가면서 하여야 하는 데, 이와 같이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찜을 위한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찜장치를 컨트롤 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찌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맞게 시루와 같은 찜용기 또한 찜장치의 크기에 맞는 대형이면서 다수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데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증기 발생을 위하여 증기발생조 외부에 별도의 물공급탱크를 구비하고, 증기발생조 내부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물공급탱크의 냉수를 증기발생조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물공급탱크의 수위 또한 부구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공급탱크의 냉수가 증기발생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증기발생조의 온도를 급격하게 낮추게 되므로 스팀발생을 일시적으로 단절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찜작업을 연속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힘들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정삭적으로 익지 않게 되는 큰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냉수가 증기발생조로 공급됨으로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히터의 작동이 과다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것음 물론 히터의 과부하로 인하여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고가의 히터를 교체하는 데 많은 비용을 필요로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물공급탱크의 수위 조절을 부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부구의 잦은 상,하작동에 의하여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를 유지보수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요하여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박스타입의 장치바디(102) 중앙위치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설치하는 증기발생조(105)와;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상부에 찜용기(103)를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안치림(104)과; 상기 장치바디(102)의 후방에 전기적인 제어를 위하여 장착하는 컨트롤박스(106)와; 상기 장치바디(102)의 전방에 설치하는 개폐도어(107)와;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내부에 설치하여 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찌는 데 필요한 증기를 생성시는 히터(110)를 포함하는 무압 증기발생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여 증기 발생으로 소모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게하는 물보충수단(120)과; 상기 볼보충수단(120) 대향 위치에 설치하여 증기발생조(105)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106)로 인가하여 물보충수단(120)으로 하여금 증기발생조(105)로 물을 공급하여 보충하게 하는 수위감지수단(140)을 더 포함하여;
인위적으로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증기발생조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자연스럽게 상승시켜 음식물을 찔 수 있도록 하면서, 증기발생조로 보충수의 공급과 증기발생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개선하여 오작동의 우려를 배제하여 안정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증기발생조 내부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증기발생조 내부에 위치시켜 보충수가 증기발생조로 공급될 때에는 증기발생조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함으로서 온도저하로 인한 증기발생의 단절이나 저감현상을 방지하여 찜작업을 효율적이면서 일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증기발생조의 온도를 보충수의 유입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히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이면서 유지비용을 대폭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보충수의 공급은 증기발생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행하도록 하면서 증기발생조의 수위감지를 기계식이 아닌 전기(전자)식 수위감지기를 사용하여 일정하고 안정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소 보충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D부위를 발췌햐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D부위를 발췌햐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무압 증기발생장치(100)는, 하방에 다리(101)를 가지는 박스타입의 장치바디(102)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바디(102)의 중앙위치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음식물을 찌는 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기발생조(105)를 설치한다.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상부에는 찌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한 찜용기(103)를 안치할 수 있도록 안치림(104)을 형성하고, 장치바디(102)의 후방에는 전기적인 제어를 위한 컨트롤박스(106)를 장착하고, 장치바디(102)의 전방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한 개폐도어(107)를 설치한다.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내부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찌는 데 필요한 증기를 생성시키기 위한 히터(110)를 설치하고,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중앙부 바닥에는 사용이 끝난 후 남아있는 이물질이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밸브(111)를 설치한다.
상기 히터(110)의 전기용량은 소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찔 수 있도록 5 ∼ 10㎾ 정도가 바람직하며, 증기발생조(105)의 용량 또한 상기 히터(110)에 의하여 신속하게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20ℓ전,후의 부피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터(110)를 증기발생조(105)의 바닥위치에 한쌍을 설치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예시한 것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내부 일측에는 증기 발생으로 소모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물보충수단(120)을 설치하고, 상기 물보충수단(120) 대향 위치에는 증기발생조(105)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106)로 인가하여 물보충수단(120)으로 하여금 증기발생조(105)로 물을 공급하여 보충하도록 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140)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물보충수단(120)은, 증기발생조(105)의 내부 후측벽면(121) 위치에 후측벽면(121)과는 소정의 간격(본 발명에서는 약 5mm정도)을 이격시켜 다단으로 보충관(122,123)을 설치한다.
상기 제일하측의 보충관은 증기발생조(105)의 바닥면과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저면 일측에는 유입홀(124)을 형성하여 급수관(125)과 연결되고, 타측 위치 상측에는 공급홀(126)을 형성하여 그 위에 설치되는 보충관에 형성되는 유입홀(124)과 일치하도록 하는 형태로 다단의 보충관(122,123)으로 보충수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증기발생조(105)의 물과 증기에 의하여 예열되도록 한다.
상기 보충관(122,123)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보충관의 배면(127, 후측벽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개의 배출홀(128)을 형성하여 예열된 보충수가 증기발생조(105)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최상측에 위치하는 보충관의 상면에는 배출홀(128)을 통하여 배출되는 보충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산방지판(129)을 더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충관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25)에는 체크밸브 또는 전자변을 가지고 급수관(125)으로의 보충수 공급과 차단을 선택하기 위한 개폐수단(130)이 장착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수단(140)은, 증기발생조(105)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106)로 인가하여 급수관(125)의 개폐수단(130)을 개폐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수단(140)은, 증기발생조(105)의 외부에 감지탱크(141)를 장착하고, 상기 감지탱크(141)와 증기발생조(105)의 전측벽면(142) 사이는 증기발생조(105)의 최저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증기발생조(105) 내부의 물이 감지탱크(141)로 유입될 수 있는 통수홀(143)을 형성하고,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는 감지탱크(141) 내부가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입하고 과도하게 물이 유입된 경우에는 오버플로어시킬 수 있도록 에어홀(144)을 형성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탱크(141)의 상부는 마감캡(145)으로 단속하고, 상기 마감캡(145)에는 통상적인 전기감지기(146)를 내장하여 감지탱크(14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증기발생조(105)의 수위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기감지기(146)는 전원이 인가되는 감지바(147)가 감지탱크(141)의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감지바(147)의 하측과 상측에 저수위와 고수위 위치에 접잠기능을 하는 하부스토퍼(148)와 상부스토퍼(149)가 위치하고, 상,하부스토퍼(148,149) 사이의 감지바(147)에는 플로터(150)를 개재하여 수위에 따라 플로터(150)가 상,하부스토퍼(148,149)와 접촉함으로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상기 통수홀(143)이 형성되는 증기발생조(105)의 내측벽면(142)에는 증기 발생으로 물에 파장이 발생하여 통수홀(143)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감지탱크(141) 내부의 물이 유동하여 플로터(150)를 움직여 수위 감지의 불안정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파랑방지커버(151)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파랑방지커버(151)는 통수홀(143)의 전방에 증기발생조(105)의 물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152)과, 상기 차단판(152)의 양측에 전측벽면(142)과 고정되는 측벽(153)으로 구성하고, 차단판(152)의 하측은 증기발생조(105)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랑방지커버(151)를 개략 ㄷ형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반원형상, 삼각형 등 증기발생조(105) 내부에 발생하는 파랑을 차단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도 관계없으므로 본 발명의 도면예시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무압 증기발생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증기발생조(105)에 일정한 수위로 물을 채워 넣고 장치바디(102)의 상부에 구비되는 안치림(104)에 찌고자 하는 음식재료를 수용한 찜용기(103)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히터(110)를 작동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증기는 증기발생조(105)의 상부로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찜용기(103)를 통과하게 되므로 찜용기(103) 내부의 음식재료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증기를 발생시켜 음식재료를 익히는 과정에서 물보충수단(120)을 통하여 보충수가 보충준비가 되는 데, 물보충수단(120)이 증기발생조(105)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충을 대기하는 과정에서 증기발생조(105)의 높은 온도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기발생조(105)의 내부온도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진다.
또한, 증기발생조(105)에서 지속적으로 증기가 발생함으로서 물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를 수위감지수단(140)이 감지하여 컨트롤박스(106)로 인가하면, 컨트롤박스(106)에서는 물보충수단(120)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25)의 중도에 구비되는 개폐수단(130)을 제어하여 개방 또는 폐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개폐수단(130)이 개방되면, 외부에서 보충수가 보충관(122,123)으로 공급되므로 이미 보충관(122,123)에 공급되어 예열되어 있던 보충수는 상측으로 이송되어 최상측에 위치한 보충관의 배면(127)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홀(128)을 통하여 배출되어 증기발생조(105)로 공급되어 보충되어진다.
그리고, 증기발생조(105)의 수위가 안정되면 개폐수단(130)이 차단되고, 새로 외부에서 공급된 보충수는 보충관(122,123)에 잔류하면서 증기발생조(105)의 온도에 의하여 예열되어 대기상태에 있게 되며, 증기발생조(105)의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수위감지수단(140)이 이를 감지하여 개폐수단(130)을 제어하여 보충수가 유입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보충수단(120)의 최상단에 위치한 보충관을 통하여 보충수가 배출될 때에는 보충수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하여 비산될 수 있는 데, 이 때에는 보충관의 상부에 더 구비되는 비산방지판(129)에 의하여 보충수가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140)에 의하여 증기발생조(105) 내부의 수위가 감지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증기발생조(105)의 하측위치에 형성된 통수홀(143)을 통하여 증기발생조(105) 외부에 고정된 감지탱크(141)로 물이 유입되어 증기발생조(105)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탱크(141)에는 주지의 전기감지기(146)가 설치되어 수위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컨트롤박스(106)로 인가하게 되므로 증기발생조(105)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컨트롤박스(106)에서는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에는 급수관(125)에 구비되는 개폐수단(130)을 작동시켜 보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물이 감지탱크(141)로 유입될 때 증기발생조(105)의 물에 파장이 없을 경우에는 큰 문제는 없으나 파장(파랑)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파장에 의하여 감지탱크(141) 내부의 물도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탱크(141) 내부의 물이 유동할 경우에는 감지바(147)와 결합된 플로터(150)가 물의 유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의도치 않게 수위 변화를 설정된 수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게 발생하게 되면 증기발생조(105)의 수위가 줄어들지 않았음에도 개폐수단(134)을 개방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수홀(143) 위치에 증기발생조(105)의 파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파랑방지커버(151)를 더 설치하여 감지탱크(141) 내부의 물이 유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수위감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증기발생조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자연스럽게 상승시켜 음식물을 찔 수 있도록 하면서, 증기발생조로 보충수의 공급과 증기발생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개선하여 오작동의 우려를 배제하여 안정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무압 증기발생장치 102; 장치바디
105; 증기발생조 110; 히터
120; 물보충수단 122,123; 보충관
124; 유입홀 125; 급수관
126; 공급홀 128; 배출홀
129; 비산방지판 130; 개폐수단
140; 수위감지수단 141; 감지탱크
143; 통수홀 144; 에어홀
146; 전기감지기 151; 파랑방지커버

Claims (3)

  1. 박스타입의 장치바디(102) 중앙위치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설치하는 증기발생조(105)와;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상부에 찜용기(103)를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안치림(104)과; 상기 장치바디(102)의 후방에 전기적인 제어를 위하여 장착하는 컨트롤박스(106)와; 상기 장치바디(102)의 전방에 설치하는 개폐도어(107)와;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내부에 설치하여 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찌는 데 필요한 증기를 생성시는 히터(110)와; 상기 증기발생조(105)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여 증기 발생으로 소모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게하는 물보충수단(120)과; 상기 볼보충수단(120) 대향 위치에 설치하여 증기발생조(105)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106)로 인가하여 물보충수단(120)으로 하여금 증기발생조(105)로 물을 공급하여 보충하게 하는 수위감지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물보충수단(120)은, 증기발생조(105)의 내부 후측벽면(121) 위치에 후측벽면(121)과는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켜 다단으로 설치하는 보충관(122,123)과;
    제일하측의 보충관은 증기발생조(105)의 바닥면과 고정되고, 저면 일측에는 유입홀(124)을 형성하여 급수관(125)과 연결되고, 타측 위치 상측에는 공급홀(126)을 형성하여 그 위에 설치되는 보충관에 형성되는 유입홀(124)과 일치하도록 하는 형태로 다단의 보충관(122,123)으로 보충수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증기발생조(105)의 물과 증기에 의하여 예열되게하고;
    상기 보충관(122,123)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보충관의 배면(127)에 예열된 보충수가 증기발생조(105) 내부로 공급되도록 다수개 형성하는 배출홀(128)과;
    상기 최상측에 위치하는 보충관의 상면에 고정하여 배출홀(128)을 통하여 배출되는 보충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판(129)과;
    상기 급수관(125)에 장착되어 급수관(125)으로의 보충수 공급과 차단을 선택하는 개폐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압 증기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4601A 2018-07-20 2018-07-20 무압 증기발생장치 KR10205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01A KR102050669B1 (ko) 2018-07-20 2018-07-20 무압 증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01A KR102050669B1 (ko) 2018-07-20 2018-07-20 무압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669B1 true KR102050669B1 (ko) 2020-01-08

Family

ID=6915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01A KR102050669B1 (ko) 2018-07-20 2018-07-20 무압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400A (ko) * 2020-04-20 2021-10-28 장주영 냉동가공식품 해동기의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끓임 가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35B1 (ko) * 2005-11-24 2008-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891262B1 (ko) * 2007-12-14 2009-03-30 김옥수 떡 제조용 찜질기
KR101199786B1 (ko) 2010-10-22 2012-11-09 임철한 떡 찜 세트
KR101255447B1 (ko) 2011-04-13 2013-04-17 이상준 떡시루 받침부가 분리가능한 휴대용 떡 찜 장치
KR200467523Y1 (ko) 2012-11-30 2013-06-19 이경애 해물 찜 용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35B1 (ko) * 2005-11-24 2008-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891262B1 (ko) * 2007-12-14 2009-03-30 김옥수 떡 제조용 찜질기
KR101199786B1 (ko) 2010-10-22 2012-11-09 임철한 떡 찜 세트
KR101255447B1 (ko) 2011-04-13 2013-04-17 이상준 떡시루 받침부가 분리가능한 휴대용 떡 찜 장치
KR200467523Y1 (ko) 2012-11-30 2013-06-19 이경애 해물 찜 용 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400A (ko) * 2020-04-20 2021-10-28 장주영 냉동가공식품 해동기의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끓임 가열시스템
KR102363193B1 (ko) 2020-04-20 2022-02-14 장주영 냉동가공식품 해동기의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끓임 가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931Y1 (ko) 다층 에너지 절약 히터
KR101827831B1 (ko) 스팀조리기기
US4281636A (en) Steam processor
CN101221063A (zh) 水位传感器、蒸汽发生器、加热炊具及其控制方法
KR100891262B1 (ko) 떡 제조용 찜질기
KR20140029760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US20160287001A1 (en) Cooking device
KR102050669B1 (ko) 무압 증기발생장치
CN208925847U (zh) 炖蒸器具
US5901642A (en) High efficiency fuel-saving drawer-type steam cabinet
CN102429570A (zh) 全自动数控煲粥煲汤机
KR200387075Y1 (ko) 중탕기의 자동 수위조절장치
CN201861415U (zh) 一种蒸具的自动注水系统
KR101004952B1 (ko) 훈제장치
KR101893293B1 (ko) 증기를 이용한 찜장치
KR200309752Y1 (ko) 간이 증기조리기
KR101552042B1 (ko) 해산물 증숙장치
KR101977943B1 (ko) 무압식 취반기
KR101264271B1 (ko) 면류 조리기
CN210276870U (zh) 一种智能米饭蒸箱
KR101518421B1 (ko) 조리용 스팀 공급장치
CN215304951U (zh) 一种蒸汽锅炉内胆及ih蒸汽发生装置
CN209661313U (zh) 一种电加热肠粉炉
CN210748711U (zh) 一种带侧置补水箱的电蒸炉
CN218942865U (zh) 一种自产蒸汽的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