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23Y1 - 해물 찜 용 용기 - Google Patents

해물 찜 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23Y1
KR200467523Y1 KR2020120011174U KR20120011174U KR200467523Y1 KR 200467523 Y1 KR200467523 Y1 KR 200467523Y1 KR 2020120011174 U KR2020120011174 U KR 2020120011174U KR 20120011174 U KR20120011174 U KR 20120011174U KR 200467523 Y1 KR200467523 Y1 KR 200467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food
container
steaming
blocking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애
Original Assignee
이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애 filed Critical 이경애
Priority to KR2020120011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징어, 조개, 대하, 대게 등 각종 해산물을 찜을 할 때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해물 찜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에서 해물 찜과 함께 서비스로 나올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음식을 하나의 용기에서 가열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해물 찜 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찜 용기에서 다른 음식도 같이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해물 찜용 용기가 가열기구에 올려져 고온으로 가열되는 몸체와 해산물이 분리되도록 차단판이 구성되고, 차단판의 상부 한쪽에 해물 찜 이외에 다른 음식을 가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해물 찜용 용기에 들어 있는 해산물이 타거나 심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해산물이 항상 수분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맛있게 먹을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해산물 찜 용기의 한쪽에 계란찜이나 미역국을 같이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로 제공되는 다른 음식을 뜨뜻하게 먹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해물 찜 용 용기{The container for braised seafood}
본 고안은 오징어, 조개, 대하, 대게 등 각종 해산물을 찜을 할 때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해물 찜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에서 해물 찜과 함께 서비스로 나올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음식을 하나의 용기에서 가열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해물 찜 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 조개, 대하, 대게 등 각종 해산물(海産物)은 혈관질환 예방과 두뇌발달에 좋은 지방인 DHA.EPA(쇠고기 등 식육에는 없음) 등 불포화 지방이 풍부하다.
또한, 동의보감은 오징어의 살이 기(氣)를 보호한다고 적고 있다. 의지를 강하게 하고 여성의 생리불순을 낫게 하며 남성의 정액을 많게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특히 해산물은 우리의 주식인 쌀 등 곡류에 부족한 라이신.트레오닌.트립토판 같은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콜레스테롤이 많이 들어 있지만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타우린이 다른 어패류의 2∼3배나 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다소 높은 사람이 먹어도 무방하고, 영양학자들은 타우린을 콜레스테롤.혈압 강하, 피로.시력 회복, 담석 제거, 심장병.동맥경화.암 예방에 유용한 물질로 여긴다.
그리고 조개류는 조개류 자체는 콜레스테롤이 많지만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타우린이 어느 것보다 풍부하게 들어 있어 조개류를 많이 먹으면 동맥경화, 심근경색, 고혈압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조개류에 함유되어 있는 타우린은 또 시력 보호 효과 외에 망막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들에게도
좋다.
이와 같이 인체에 좋은 해산물은 여러 가지 요리에 사용되고 있으며, 현대에 있어서는 해산물을 찜을 해서 먹는 전문 해물 찜 요리점들이 많이 개업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찜 전문점에서 손님이 음식을 주문할 경우 주문한 음식이 주방에서 조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용기에 담아 손님이 대기하고 있는 탁자까지 운반하여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주문된 음식이 주방에서 찜 용기를 이용하여 찐 상태에서 나오기 때문에 주방에 여러 개의 찜 용기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주방이 큰 업소가 필요하였다.
또한, 고열로 가열된 찜 용기를 주방에서 홀의 탁자까지 운반되어 나와야 함으로써 부주의할 경우 운반할 때 해물 찜이 들어 있는 요기나 그릇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어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일어날 위험이 크다.
상기와 같이 주방에서 요리되어 나오는 음식들은 시간이 지날 겨우 식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해산물과 같은 음식은 식을 경우 맛이 없고, 미각이 예민한 사람들은 해산물에서 비린내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손님들이 앉는 탁자마다 로스터를 설치하고 로스터의 상부에 찜 용기를 놓고 해산물을 요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해산물 전문점들이 개업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 온 해산물용 찜 용기는 오래전부터 일반적으로 만두나 고구마와 같은 작물들을 져서 먹을 때 사용하는 찜 용기로서 로스터와 같은 가열기구의 상부에 올려지며 물이 들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올려지며 몸체에 들어 있는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하여 해산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해산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와 그리고 찜 용기를 덮을 수 있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찜 용기는 해산물이나 해물을 찌고 난 후 해산물이나 해물에서 나오는 국물을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물 찜 용 로스터(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20-2011-0002894호)를 개발하였다.
상기의 고안은 로스터의 상측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고정판의 상부에 해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을 설치한 다음 그 상부에 뚜껑을 덮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해물을 찔 수 있는 공간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업소에서 서비스로 나오는 반찬 예를 들어 계란찜이나 미역국 등은 별도의 용기에 담아 내와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용기를 사용하게 되고 또한, 탁자에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음식을 먹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은 받침판이 직접 로스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상태에서 받침판에 해산물을 올려놓게 됨으로써 해산물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받침판과 접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해물 찜 용 용기는 고온으로 가열되는 받침판에 해산물이 닿을 경우 해산물이 따거나 너무 건조되어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20-2011-0002894호(2011년 3월 23일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찜 용기에서 다른 음식도 같이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어패류를 먹을 경우 껍데기에서 살을 분리한 후 살을 모아두었다가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열용기(100)의 상부에 올려지며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도록 되고 양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1);
상기 몸체(1)의 내부 상측에 삽입 체결되며, 해산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상면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 한쪽에 손잡이가 설치된 받침판(2);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된 뚜껑(101)으로 이루어진 해물 찜 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의 상부에 올려지며, 몸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받침판(2)을 눌러 고정하고, 몸체(1)의 내부에서 가열용기와 해산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몸체(1)의 내부에 있는 물이 가열되어 발생하는 증기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사면 수직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5)을 형성하여서 된 차단판(3);
상기 차단판(3)의 한쪽이나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삽입되는 보조 조리용기(4)(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판(3)은 상부 사방 외측으로 절곡부(6)가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6)의 내측 사면에 관통공(5)이 형성된 수직벽이 구성된 것으로, 절곡부(6)가 몸체(1)의 상부에 닿아 차단판(3)을 몸체(1)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 몸체와 해산물이 고온의 몸체(1)에 붇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판(3)의 내측 전후에 어패류의 살점을 보관할 수 있도록 관통공(8)이 형성된 보관통(7)(7')을 일체로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해물 찜용 용기가 가열기구에 올려져 고온으로 가열되는 몸체와 해산물이 분리되도록 차단판이 구성되고, 차단판의 상부 한쪽에 해물 찜 이외에 다른 음식을 가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해물 찜용 용기에 들어 있는 해산물이 타거나 심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해산물이 항상 수분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맛있게 먹을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해산물 찜 용기의 한쪽에 계란찜이나 미역국을 같이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로 제공되는 다른 음식을 뜨뜻하게 먹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상태를 보인 개략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판에 보조 조리용기가 양쪽으로 설치된 상태의 실시 예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차단판에 보관통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보관통이 설치된 본 고안의 차단판에 보조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4 차단판의 요부 발췌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00은 로스터와 같은 가열기구, 101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가열용기의 상측에 몸체(1)를 올려놓고 고정한 다음 몸체(1)의 내부에 물을 넣는다.
이와 같이 몸체(1)에 물을 넣은 다음 몸체(1)의 내부 상측에 받침판(2)을 넣고 그 상부에 차단판(3)을 올려놓은 다음 차단판(3)의 내부에 해산물을 올려놓고 뚜껑을 닫은 다음 가열기구를 점화하여 가열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기구에 의하여 몸체(1)가 가열되면 몸체(1)의 내부에 들어 있는 물이 가열되면서 증기화 되며, 증기는 대류 현상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받침판(2)의 상측에 있는 해산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증기는 받침판(2)의 바닥면과 차단판(3)의 벽면에는 수증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증기가 몸체(1)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해산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몸체(1)의 내부에는 바닥판(2)과 차단판(3)이 설치되어 있어 가열기구에 의하여 직접 가열하면서 고온으로 되는 몸체(1)와 해산물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해산물이 고온에 의하여 타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바닥판(2)은 몸체(1)의 내부 바닥에서 물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같이 있게 되므로 바닥판(2)이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판(3)은 상부 외측 사방에 절곡부(6)가 형성되어 있어 몸체()와 차단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차단판(3)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해산물을 가열할 때 몸체(1)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단판(3)의 한쪽이나 양측에 보조 조리용기(4)(4')를 삽입하여 같이 가열하면 해산물 이외에 보조 서비스 요리를 먹을 수가 있다.
상기에서 보조 조리용기에 들어가는 음식을 예로 들면 계란찜, 또는 미역국이나 어묵을 넣어 가열되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의 내부에 들어 있는 해산물이 다 익게 되면 뚜껑을 열고 해산물을 먹으면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차단판(3)의 전후에 사람이 앉는 전면에 각각 보관통(7)(7')을 구성한 것으로, 해산물이 익었을 경우 먹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조개 껍데기에서 조갯살을 분리하여 보관통(7)(7')에 넣어 두면 보관통(7)(7')의 사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8)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1)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관통공(8)을 통하여 조갯살과 접하게 됨으로써 조갯살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갯살이 증기에 의하여 항상 수분이 있게 되므로 맛있고 편리하게 먹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조개나 새우 등 껍데기를 분리하여야 하는 작업을 한번에 다 한 다음 손을 물수건이나 티슈로 씻은 상태에서 해산물을 먹게 되므로 자주 손을 씻을 필요가 없어 물수건이나 티슈의 낭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
1. 몸체 2. 받침판
3. 차단판 4. 4'. 보조 조리용기
5. 8. 관통공 6. 절곡부
7. 7'. 보관 통

Claims (3)

  1. 가열용기(100)의 상부에 올려지며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도록 되고 양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1);
    상기 몸체(1)의 내부 상측에 삽입 체결되며, 해산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상면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 한쪽에 손잡이가 설치된 받침판(2);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된 뚜껑(101)으로 이루어진 해물 찜 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의 상부에 올려지며, 몸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받침판(2)를 눌러 고정하고, 몸체(1)의 내부에서 가열용기와 해산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몸체(1)의 내부에 있는 물이 가열되어 발생하는 증기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사면 수직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5)을 형성하여서 된 차단판(3);
    상기 차단판(3)의 한쪽이나 양측 상부에서 수직으로 삽입되는 보조 조리용기(4)(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물 찜 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은 상부 사방 외측으로 절곡부(6)가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6)의 내측 사면에 관통공(5)이 형성된 수직벽이 구성된 것으로, 절곡부(6)가 몸체(1)의 상부에 닿아 차단판(3)을 몸체(1)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 몸체와 해산물이 고온의 몸체(1)에 붇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물 찜 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의 내측 전후에 어패류의 살점을 보관할 수 있도록 관통공(8)이 형성된 보관통(7)(7')을 일체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물 찜 용 용기.
KR2020120011174U 2012-11-30 2012-11-30 해물 찜 용 용기 KR200467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74U KR200467523Y1 (ko) 2012-11-30 2012-11-30 해물 찜 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74U KR200467523Y1 (ko) 2012-11-30 2012-11-30 해물 찜 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23Y1 true KR200467523Y1 (ko) 2013-06-19

Family

ID=5138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74U KR200467523Y1 (ko) 2012-11-30 2012-11-30 해물 찜 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92Y1 (ko) * 2015-07-14 2016-01-22 김정한 해물찜용 로스터
KR101893293B1 (ko) 2017-04-04 2018-08-29 고윤한 증기를 이용한 찜장치
KR102050669B1 (ko) 2018-07-20 2020-01-08 고윤한 무압 증기발생장치
KR102398383B1 (ko) 2021-04-05 2022-05-16 고경운 해산물 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126A (ko) * 2002-03-16 2003-09-22 김원제 증기 가열 조리기 구조
KR20060059386A (ko) * 2004-11-29 2006-06-02 이복용 찜기
WO2008100788A1 (en) 2007-02-12 2008-08-21 Allaire Pascal M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with steam
KR20110002894U (ko) * 2009-09-16 2011-03-23 이경애 해물찜용 로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126A (ko) * 2002-03-16 2003-09-22 김원제 증기 가열 조리기 구조
KR20060059386A (ko) * 2004-11-29 2006-06-02 이복용 찜기
WO2008100788A1 (en) 2007-02-12 2008-08-21 Allaire Pascal M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with steam
KR20110002894U (ko) * 2009-09-16 2011-03-23 이경애 해물찜용 로스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92Y1 (ko) * 2015-07-14 2016-01-22 김정한 해물찜용 로스터
KR101893293B1 (ko) 2017-04-04 2018-08-29 고윤한 증기를 이용한 찜장치
KR102050669B1 (ko) 2018-07-20 2020-01-08 고윤한 무압 증기발생장치
KR102398383B1 (ko) 2021-04-05 2022-05-16 고경운 해산물 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8569A (en) Poultry frying apparatus
US20170251872A1 (en) Electric roasting oven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EP2433529A2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KR200467523Y1 (ko) 해물 찜 용 용기
JP2018529502A (ja) モジュール式バーベキュ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キット
US1569544A (en) Frying basket
US7743697B2 (en) Steam cooker
KR101434156B1 (ko) 플레이트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0475450Y1 (ko) 찜 용 조리 용기
US20180098665A1 (en) Cooking accessory and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ooking accessory
JP2014516555A (ja) 懸吊具及び調味料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US20100236424A1 (en) Container With Suspended Rack
KR20110002894U (ko) 해물찜용 로스터
JP3547126B2 (ja) 殻付き貝用蒸し鍋
CN206933940U (zh) 一种升降式火锅
JP2008061905A (ja) 炊飯器および炊飯器用蒸し網
CN211795987U (zh) 一种竹蛏烧烤装置
JPH0556965B2 (ko)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CN214259081U (zh) 一种厨房用食品油炸锅
KR200475935Y1 (ko) 수분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육받침판
CN208447279U (zh) 一种电饭煲的蒸架
US11937729B2 (en) Food steamers and steamer baskets
CN206324630U (zh) 一种防护型分离式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