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760A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760A
KR20140029760A KR1020120095360A KR20120095360A KR20140029760A KR 20140029760 A KR20140029760 A KR 20140029760A KR 1020120095360 A KR1020120095360 A KR 1020120095360A KR 20120095360 A KR20120095360 A KR 20120095360A KR 20140029760 A KR20140029760 A KR 2014002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heater
chamber
stea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364B1 (ko
Inventor
전인기
김선기
정해상
조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64B1/ko
Priority to US13/971,610 priority patent/US9565963B2/en
Priority to EP13181614.2A priority patent/EP2703740B1/en
Priority to CN201310386359.2A priority patent/CN103672988B/zh
Publication of KR2014002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22B1/28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the water being fed by a pump to th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수 처리가 용이하고,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 부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Steam generator and coo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이 조사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음식물 내부의 물 분자를 진동시켜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의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여 음식물의 해동이나 조리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하고,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오븐이나 가스레인지와 비교하여 부피가 작아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다양한 조리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밥을 지을 수 있는 기능, 생선구이 기능, 찜 기능 등 다양한 형태의 조리작업을 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가 개발되고 있고,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또 하나의 가열원으로 히터를 내장하여 오븐 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도 개발되고 있다. 더 나아가, 음식물의 식감을 높이고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조리 중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제공하여 스팀 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리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가 개발되었다.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의해 조리작업을 행하면, 가열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비타민C 등과 같은 영양소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생선과 같은 염장한 음식을 조리할 때에 스팀이 더해져 염분이 감소되고 겉은 바삭하며 속은 촉촉한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리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수 처리가 용이하고,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 부족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공급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물이 담수되는 챔버;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공급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상기 챔버로 물을 펌핑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내장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된 물이 담수되는 제1부 및 상기 제1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 제2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의 저면에는 상기 챔버로부터 물이 입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제1부에 담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입수부는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된다.
상기 제1부에 고인 물이 상기 배수부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부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부의 일측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공급홀과 연결된다.
상기 스팀공급홀에는 스팀공급덕트가 장착되고, 상기 스팀공급덕트와 상기 스팀공급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비된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챔버에는,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는 공급부 및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배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1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부의 상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히터 구동부와 연결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외측면에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된다.
상기 온도 감지센서는 상기 히터의 최상단 위치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공급펌프를 가동시킨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두 개의 케이스가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남아있는 잔수는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챔버로 배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담수되는 제1부; 상기 제1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부; 상기 제1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1부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제1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부에 물을 공급시킨다.
상기 제2부의 상측에는 스팀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부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부의 저면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부 및 상기 제1부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부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에 남아있는 잔수가 상기 배수부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다수 회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상기 히터의 최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조리실로 물이 넘치거나 튀는 것이 방지되고, 스팀발생장치의 잔수 처리가 용이하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해 스팀발생장치의 물 부족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가 조리기기의 측면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할 음식물이 투입되는 조리실(11)이 형성된 본체(10), 조리실(11)을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조리기기(1)의 출력 및 조리시간 등의 다양한 조건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 및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30)은 키 입력부(31), 디스플레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31)를 통해 조리기기의 출력 조정, 조리 기능, 동작 시간 및 취소 등의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 및 이에 따른 동작 상태 등을 문자, 숫자 및 각종 기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11)과 프레임(12) 사이에는 조리실을 감싸도록 단열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조리실(100)의 일측에는 컨벡션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조리실(100)의 타측에는 마그네트론에 의한 고주파 가열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조리실(10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음식물에 직접 복사열을 가하여 조리하기 위한 복사 가열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조리실(100)에는 조리될 음식물이 놓일 수 있는 트레이(40)가 위치될 수 있다. 조리실(100)을 형성하는 본체(10)의 내측벽에는 트레이(40)가 장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레일(14)이 구비될 수 있다.
조리실(100)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일측에는 스팀을 조리실(100) 내부로 분사하는 스팀공급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스팀공급홀(13)은 조리실(10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프레임(12) 및 프레임(12)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스팀발생장치(50)를 포함한다. 프레임(12)의 하단에는 물받이(15) 및 챔버(16)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2)은 바닥부(120)와 측면부(121)를 포함한다.
물받이(15) 및 챔버(16)는 프레임(12)의 바닥부(120)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챔버(16)는, 프레임(12)의 바닥부(120)에 직접 장착될 수 있고, 물받이(15)에 구비된 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물받이(15) 및 챔버(16)는 프레임(12)의 바닥부(1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받이(15)는 안내부(150) 및 저수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부(151)는 안내부(15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안내부(150)는, 조리실(100)로부터 누수된 물이 저수부(151)로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부(150) 양단에 구비된 저수부(151)를 연결하는 돌출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0)로부터 누수된 물은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홈을 통해 저수부(151)로 안내될 수 있다. 물받이(15)는 착탈가능하게 프레임(12)의 바닥부(120) 저면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물받이(15)를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저수부(151)에 고인 물을 버릴 수 있다.
챔버(16)는 공급부(161), 배수부(162) 및 입수부(163)를 포함한다. 공급부(161)를 통해 챔버(16)로부터 스팀발생장치(50)로 물이 공급될 수 있고, 배수부(162)를 통해 스팀발생장치(50)로부터 배수된 물이 챔버(16)로 인입될 수 있다. 입수부(163)에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캡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캡을 개방시켜 입수부(163)를 통해 물을 주입시키거나, 챔버(16)에 저수된 잔수를 따라내 버릴 수 있다.
프레임(12)의 일 측면에는 스팀발생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는 스팀공급홀(13)과 연결되어 조리실(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스팀공급홀(13)에는 스팀공급덕트(130)가 장착되고, 스팀발생장치(50)에는 홀이 형성된 스팀공급부(513)가 구비되고, 연결관(71)에 의해 스팀공급덕트(130)와 스팀공급부(51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발생장치(50)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공급부(513), 연결관(71), 스팀공급덕트(130), 스팀공급홀(13)을 통해 조리실(100)로 공급될 수 있다.
연결관(71)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제조되어, 스팀공급덕트(130)와 스팀발생장치(50)의 스팀공급부(513)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팀공급장치(50)와 스팀공급홀(13)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스팀공급부(513)와 스팀공급홀(13)은 연결관(71)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120)의 상부면에는 펌프(60)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60)는 배수펌프(61) 및 공급펌프(62)를 포함한다. 배수펌프(61) 및 공급펌프(62)는 각각 스팀발생장치(50) 및 챔버(16)와 연결된다.
바닥부(120)에는 챔버(16)에 구비된 공급부(161) 및 배수부(162)가 통과할 수 있는 홀(121, 122)이 형성되고, 상기 홀(121, 122)을 통해 공급부(161)는 공급펌프(62)와 연결되고, 배수부(162)는 배수펌프(61)와 연결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에는 후술할 입수부(515) 및 배수부(516)가 구비되어, 입수부(515)는 공급펌프(62)와 연결되고, 배수부(516)는 배수펌프(6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61)는 스팀발생장치(50)에 잔수된 물을 챔버(16)로 펌핑하고, 공급펌프(62)는 챔버(16)에 저수된 물을 스팀발생장치(50)로 펌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50)는 제1케이스(51), 히터(52), 제2케이스(53), 온도감지센서(55)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51)와 제2케이스(53)는 접합되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의 케이스가 몰딩되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제1케이스(51)와 제2케이스(53)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에는 바디부(511) 및 넥부(512)가 구비된다. 넥부(512)는 바디부(51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바디부(511)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공급펌프(62)에 의해 펌핑된 물은 바디부(511)에 담수될 수 있다. 바디부(511)와 넥부(512)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바디부(511)는 제1부라 할 수 있고, 넥부(512)는 제2부라 할 수 있다.
바디부(511)에는 입수부(515) 및 배수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입수부(515) 및 배수부(516)는, 바디부(511)의 저면에 홀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입수부(515)는 공급펌프(62)와 연결되어, 공급펌프(62)에 의해 챔버(16)에 담수된 물이 펌핑되어 바디부(511)로 공급될 수 있다. 배수부(516)는 배수펌프(61)와 연결되어, 배수펌프(61)에 의해 바디부(511)에 잔수된 물이 펌핑되어 챔버(16)로 배수될 수 있다.
넥부(512)의 일측면에는 스팀공급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513)는 넥부(512)의 일측면에 홀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511)에 담수된 물이 스팀으로 기화되면, 넥부(512)에 형성된 스팀공급부(5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넥부(512)에는 물이 담수되지 않고, 넥부(512)의 폭이 바디부(511)의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되므로, 바디부(511)에서 물이 가열될 때 물이 넘쳐서 스팀공급부(51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에는 히터(53)가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바디부(511)의 상측에는 연결홀(514)이 형성되고, 히터(53)는 연결홀(514)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히터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히터(53)는 다수 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발생장치(50)에 담수된 물과 히터(53)의 접촉면적이 커지므로 담수된 물이 빠르게 가열될 수 있다. 히터(53)의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히터(53)는 스팀발생장치(50)의 바디부(511)에 구비될 수 있다. 히터(53)는 바디부(511)의 내측면으로부터 약 3mm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면에는 온도감지센서(55)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온도감지센서(55)는 바디부(511)에 내장된 히터(53)의 위치에 대응되는 바디부(511)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온도감지센서(55)는 히터(53)의 최상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53)가 1회 절곡되어 스팀발생장치(50)에 내장된 경우, 상측에 위치한 히터(53)의 일부분을 상부히터(520)라 하고, 하측에 위치한 히터(53)의 일부분을 하부히터(521)라 하면, 온도감지센서(55)는 상부히터(5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부히터(5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55)는 히터(5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디부(511) 외측면에 장착되어 히터(53)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50)의 바디부(511)에 담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55)가 바디부(511)에 담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온도감지센서(55)는 히터(53)가 위치된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송받은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 된 경우, 바디부(511)에 물이 충분히 담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공급펌프(62)를 작동시켜 챔버(16)에 저장된 물을 바디부(511)로 공급한다.
상세히, 정상 상태에서는 스팀발생장치(50)의 바디부(511)에 담수된 물은 히터(53)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히터(53)보다 약간 위 수위까지 공급된 상태에서 히터(5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히터(53)가 바디부(511)에 담수된 물에 잠겨 있으면 온도감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는 섭씨 95도~98도이나, 스팀이 발생함에 따라 물의 수위가 낮아져 히터(53)가 물 밖으로 드러나게 되는 경우의 온도는 섭씨 105도~110도 정도로 감지될 수 있다. 스팀 발생 중, 온도감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섭씨 95도~98도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공급펌프(62)를 가동시켜 매 4초마다 물을 1초 동안 바디부(511)에 공급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55)가 감지하는 온도가 섭씨 105도 이상일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공급펌프(62)를 가동시켜 물을 5초 동안 계속해서 바디부(51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물을 바디부(511)에 공급하는 시간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넥부(512)까지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는 시간 또는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55)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경우 바디부(511)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준치는 물이 끓는 온도인 섭씨 100도를 초과하는 온도로서, 스팀발생장치(50)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물이 끓는 온도가 섭씨 100도이므로, 온도감지센서(55)가 섭씨 100도를 훨씬 초과하는 온도(기준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히터(53)가 물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치는 섭씨 105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는 온도감지센서(55)가 감지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히터(53)의 과열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50)에 물이 더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수위감지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온도감지센서(55)에 의해 스팀발생장치(50)의 수위를 감지하여 적절한 시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센서(55)가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면에 구비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장애 발생시 수리가 용이하다.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면에는 과열방지회로부(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과열방지회로부(56)는, 스팀발생장치(50)에 물이 충분히 담수되지 않은 경우에 히터(53)가 계속해서 동작할 경우 히터(53)의 전원을 차단시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온도감지센서(55)에 장애가 발생하여 스팀발생장치(50)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의 고온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히터(53)가 계속해서 작동중인 경우, 과열방지회로부(56)가 히터(53)의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감지센서(55) 및 과열방지회로부(56)는 브라켓(54)에 의해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감지센서(55) 및 과열방지회로부(56)는 브라켓(54)에 스크류 결합되고, 브라켓(54)이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면에 스크류 결합됨으로써 온도감지센서(55) 및 과열방지회로부(56)가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가 조리기기의 측면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50)는 배수펌프(61) 및 공급펌프(62)와 연결되고, 배수펌프(61) 및 공급펌프(62)는 챔버(16)와 연결된다.
온도감지센서(55)에 의해 히터(53)가 과열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스팀발생장치(50)에 물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급펌프(62)를 가동시켜 챔버(16)에 저수된 물을 스팀발생장치(50)로 공급한다. 스팀발생장치(50)로 공급된 물은 바디부(511)에 담수된다. 스팀발생장치(50)의 바디부(511)에 담수된 물은 히터(53)에 의해 가열되고, 히터(53)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넥부(512)로 이동하여 스팀공급부(513)를 통해 배출된다. 스팀공급부(513)는 연결관(71)에 의해 스팀공급덕트(130)와 연결되고, 스팀은 연결관(71), 스팀공급덕트(1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스팀공급홀(13)을 통해 조리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스팀의 공급이 완료된 후, 스팀발생장치(50)에 남아있는 물을 배수시키고자 할 경우, 배수펌프(6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수펌프(61)에 의해 바디부(511)에 남아 있는 물이 펌핑되어 챔버(16)로 옮겨질 수 있다. 스팀 공급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 컨트롤 패널(30)에 마련된 키 입력부(31)의 조작을 통해 배수펌프(61)를 구동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배수펌프(61)가 구동될 수도 있다.
이때 스팀발생장치(50)의 바디부(511)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바닥부(120)로부터 바디부(511) 저면에 구비된 배수부(516) 측의 높이가 입수부(51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바디부(511)에 고인 물이 배수부(516) 측으로 흐르게 되어, 스팀발생장치(50)에 남아 있는 잔수가 배수부(516)를 통해 더욱 잘 배수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발생장치(50)의 잔수가 더욱 잘 배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조리실로 물이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팀발생장치에 남아있는 잔수를 처리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스팀발생장치의 외측면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히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물 부족 여부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Claims (20)

  1.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공급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물이 담수되는 챔버;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공급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상기 챔버로 물을 펌핑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내장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된 물이 담수되는 제1부 및 상기 제1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 제2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의 저면에는 상기 챔버로부터 물이 입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제1부에 담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에 고인 물이 상기 배수부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부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의 일측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공급홀과 연결된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홀에는 스팀공급덕트가 장착되고, 상기 스팀공급덕트와 상기 스팀공급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비된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는 공급부 및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배수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1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의 상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히터 구동부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센서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부에 담수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공급펌프를 가동시키는 조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두 개의 케이스가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되어 형성되는 조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남아있는 잔수는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챔버로 배수되는 조리기기.
  15. 물이 담수되는 제1부;
    상기 제1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부;
    상기 제1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1부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제1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부에 물을 공급시키는 스팀발생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의 상측에는 스팀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부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발생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의 저면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부 및 상기 제1부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구비되는 스팀발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에 남아있는 잔수가 상기 배수부 측으로 흐를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다수 회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상기 히터의 최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스팀발생장치.
KR1020120095360A 2012-08-30 2012-08-30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KR10193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60A KR101931364B1 (ko) 2012-08-30 2012-08-30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US13/971,610 US9565963B2 (en) 2012-08-30 2013-08-20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3181614.2A EP2703740B1 (en) 2012-08-30 2013-08-23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steam generator
CN201310386359.2A CN103672988B (zh) 2012-08-30 2013-08-30 烹饪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60A KR101931364B1 (ko) 2012-08-30 2012-08-30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60A true KR20140029760A (ko) 2014-03-11
KR101931364B1 KR101931364B1 (ko) 2018-12-21

Family

ID=4903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60A KR101931364B1 (ko) 2012-08-30 2012-08-30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5963B2 (ko)
EP (1) EP2703740B1 (ko)
KR (1) KR101931364B1 (ko)
CN (1) CN1036729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045A (ko) 2015-02-06 2016-08-17 박태훈 스팀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6281A1 (de) * 2014-04-02 2015-10-08 BSH Hausgeräte GmbH Betreiben eines Verdampfers eines Haushaltsgeräts
KR102207463B1 (ko) * 2014-04-14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4210670A1 (de) * 2014-06-05 2015-12-17 BSH Hausgeräte GmbH Verdampfer
CN104748180B (zh) * 2015-04-20 2017-05-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底座组件及蒸汽烹饪器具
JP6528125B2 (ja) * 2015-06-12 2019-06-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5193243A (zh) * 2015-06-19 2015-12-30 佛山市海辰科技有限公司 PTCR-xthm电热芯片远红外热源高温蒸汽炉
KR101741553B1 (ko) * 2015-08-04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의 제어방법
KR102549150B1 (ko) * 2016-09-09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7903B1 (ko) * 2017-05-1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AU2018316266A1 (en)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07638071A (zh) * 2017-10-30 2018-01-30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电蒸装置
CN108378686A (zh) * 2018-03-06 2018-08-10 浙江亿田智能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电蒸箱的高温喷雾加热装置
US20190309957A1 (en) 2018-04-09 2019-10-10 Whirlpool Corporation Steam generating system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09717729B (zh) * 2019-03-11 2020-10-30 三门康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蒸箱无水检测方法
US11825976B2 (en) 2019-05-10 2023-11-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servoir for steam cooking
CN110338640A (zh) * 2019-07-16 2019-10-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蒸箱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蒸箱
AU2020347101A1 (en) * 2019-09-12 2022-04-07 Breville Pty Limited An oven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1990894B (zh) * 2020-08-27 2022-04-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烹饪食物营养流失的方法及蒸烤箱
CN112806839B (zh) * 2021-02-07 2021-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控制方法、装置、蒸汽发生器及蒸烤箱
CN113317686B (zh) * 2021-06-30 2022-11-2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以及烹饪设备
CN114145660A (zh) * 2021-12-31 2022-03-0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1545A (en) * 1989-02-17 1991-02-12 Hermann Rabe Steam generator for cooking equipment having a decalcification means
KR20060115332A (ko) * 2005-05-03 2006-11-08 월풀코포레이션 유체 공급 및 배출 용기를 갖는 스팀 오븐
KR20070030314A (ko) * 2004-08-03 2007-03-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조리기
CN201920489U (zh) * 2010-11-25 2011-08-10 王俊岭 食品烹饪炉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1229B1 (fr) * 1993-10-12 1995-12-08 Bourgeois Ste Coop Prod Four à vapeur muni d'un dispositif d'évacuation de la vapeur.
JP3722820B2 (ja) 2004-02-27 2005-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調理器
JP3827013B2 (ja) * 2004-03-19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調理器
JP3868464B1 (ja) 2005-07-26 2007-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8032304A (ja) * 2006-07-28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器用の蒸気発生装置
KR101041077B1 (ko) * 2006-09-28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US7867534B2 (en) * 2006-10-18 2011-01-11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PL2037183T3 (pl) 2007-09-14 2011-06-30 Teka Portugal S A Urządzenie piekarnika parowego i zbiornik wody w nim stosowany
KR101420883B1 (ko) 2008-04-14 2014-07-17 주식회사 동양매직 스팀오븐
KR101418343B1 (ko) 2008-04-15 2014-07-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US20100034526A1 (en) 2008-08-07 2010-02-11 Martin Kleemann Steam generator
KR101136697B1 (ko) * 2009-04-06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DE102009055146A1 (de) 2009-12-22 2011-06-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81739 Dampferzeugungssystem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ampferzeugungssystems
KR20110098444A (ko) 2010-02-26 2011-09-01 박강수 과열스팀조리장치
BR112012027798A2 (pt) * 2010-04-28 2016-08-09 Sharp Kk dispositivo de cozimento
KR101860714B1 (ko) * 2011-04-28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1545A (en) * 1989-02-17 1991-02-12 Hermann Rabe Steam generator for cooking equipment having a decalcification means
KR20070030314A (ko) * 2004-08-03 2007-03-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조리기
KR20060115332A (ko) * 2005-05-03 2006-11-08 월풀코포레이션 유체 공급 및 배출 용기를 갖는 스팀 오븐
CN201920489U (zh) * 2010-11-25 2011-08-10 王俊岭 食品烹饪炉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045A (ko) 2015-02-06 2016-08-17 박태훈 스팀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0339A1 (en) 2014-03-06
KR101931364B1 (ko) 2018-12-21
CN103672988A (zh) 2014-03-26
CN103672988B (zh) 2018-12-04
EP2703740A1 (en) 2014-03-05
EP2703740B1 (en) 2018-07-11
US9565963B2 (en)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760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EP1943902B1 (en) Steam generator,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88678B2 (en) Heating cooker
CA2526761C (e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KR101609390B1 (ko) 조리기기
KR101041077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101041078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41466A1 (en) Water level sensor,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heating cooker having the steam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18328B1 (ja) 温水マット用温水ボイラー
KR102133286B1 (ko) 조리실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KR102433053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102126485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100826925B1 (ko)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24696B1 (ko)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KR20100012726A (ko) 전기 오븐
KR101418343B1 (ko)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JP2011058677A (ja) 加熱調理器
KR101081337B1 (ko) 과열스팀조리장치
JP2011085293A (ja) 水量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