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826Y1 - 다목적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26Y1
KR200442826Y1 KR2020070009566U KR20070009566U KR200442826Y1 KR 200442826 Y1 KR200442826 Y1 KR 200442826Y1 KR 2020070009566 U KR2020070009566 U KR 2020070009566U KR 20070009566 U KR20070009566 U KR 20070009566U KR 200442826 Y1 KR200442826 Y1 KR 200442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annular frame
container
cooking vesse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현
Original Assignee
노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현 filed Critical 노주현
Priority to KR2020070009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리용기몸체, 상기 조리용기몸체의 상부와 나사결합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조리용기몸체의 크기와 대응하며 상하면이 개방된 보조용기, 상기 보조용기의 상부로 안착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용기는 상하면이 개방된 환형프레임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양단이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에 결합하는 격벽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분할된 공간 중 적어도 한 부분의 하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격벽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하며 홀이 형성된 가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면을 삶은 후 삶아낸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물기제거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물기제거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보관상 간편한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찬을 담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별도의 반찬을 담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튀김류를 조리할 때 튀김의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조리용기, 가로막, 라면, 파스타, 메밀소바, 짜파게티

Description

다목적 조리용기{Multipurpose Cook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보조용기의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보조용기의 상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사용상태도
※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조리용기몸체 20 : 보조용기 21 : 환형프레임
22 : 격벽 23 : 가로막 24 : 스토퍼
30 : 용기뚜껑
본 발명은 다목적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각종 면류를 삶고 삶아낸 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조리시 사용되고 있는 냄비, 프라이팬, 들통 등 조리용 취사도구 가운데 면류를 삶는데에는 냄비가 사용되고 있다. 각종 면류는 바쁜 현대인의 식생활 문화에서 주식으로 크게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한 끼 식사 대용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독신자의 증가와 함께 1인용 면류 전용 냄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면류를 끓이는 용기로 일반 양은 냄비나 스테인리스 스틸 냄비 등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각종 면류마다 물의 양의 조절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조리 중에 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조리한 음식과 함께 먹는 김치나 단무지 등을 별도의 그릇에 담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종 면류 중 라면(짜파게티®, 비빔면 등), 메밀소바, 파스타 등과 같이 면을 삶은 후 물을 제거한 후 면만을 이용해서 조리해야 하는 경우 물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물을 별도의 용기 없이 제거하기 위해 냄비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이다가 면이 냄비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생기는 등 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가정에서 조리되는 것 중에서 면류 외에 튀김류 등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냄비류는 튀겨낸 음식의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소정의 채반 또는 기름제거용 받침대 등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면을 삶은 후 삶아낸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냄비와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는 다목적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반찬을 담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다목적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튀김류를 조리할 때 튀김의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다목적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다목적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리용기몸체; 상기 조리용기몸체의 상부와 나사결합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조리용기몸체의 크기와 대응하며 상하면이 개방된 보조용기; 상기 보조용기의 상부로 안착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는 상하면이 개방된 환형프레임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양단이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에 결합하는 격벽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분할된 공간 중 적어도 한 부분의 하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격벽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하며 홀이 형성된 가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조용기의 격벽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형프레임은 외측면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조리용기몸체와 결합시 일정한 지점까지만 결합하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환형프레임은 외측면에 조절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홈으로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절홈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홈과 나사결합하는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또한, 환형프레임은 외측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소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는 조리용기몸체(10), 보조용기(20), 용기뚜껑(30)으로 구성된다.
조리용기몸체(10)는 조리할 음식물 또는 음식재료를 담을 수 있는 냄비형태이며, 외측면에 대향된 손잡이(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후술할 보조용기(20)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용기(20)는 환형프레임(21), 격벽(22), 가로막(23), 스토퍼(24)로 구성된다.
환형프레임(2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프레임이며, 후술할 스토퍼(24)의 하부로 상술한 조리용기몸체(10)와 결합하도록 나사홈(21a)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24)의 상부 일측에는 조절홈(21b)이 형성된다. 이때 조절홈(21a)의 내측에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홈으로 나사결합하는 회전손잡이(21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홈(21b)는 환형프레임(21)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통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프레임(21)의 높이는 3cm 내지 7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22)은 환형프레임(2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환형프레임(21)의 내주연에 양단이 결합한다. 또한, 격벽(21)의 중앙부는 일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a)를 가질 수 있다.
가로막(23)은 격벽(22)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적어도 한 부분의 하부가 폐쇄되도록 일 측은 격벽(22)과 결합되고 타측은 환형프레임(21)의 내주연을 따라서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가로막(23)은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벽(22)과 가로막(23)에는 가로막(23)의 상부로 위치하게 되는 조리된 면류 등의 물 또는 기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4)는 환형프레임(21)이 상술한 조리용기몸체(10)의 내측으로 결합할 때 일정한 높이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환형프레임(2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용기뚜껑(3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몸체(31)와 지지대(32)로 구성된다. 뚜껑몸체(31)는 상기 보조용기(20)의 상부 개방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부재이며, 그 소재로는 유리 또는 소정의 금속부재일 수 있다.
만약, 상술된 바와 같이 보조용기(2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지 않고, 보조용기(20)를 완전히 조리용기몸체(10)와 결합고정시키게 되면 조리 후 조리용기를 세척할 때 용이하지 못하므로 세척시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32)는 상기 뚜껑몸체(31)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뚜껑몸체(31)가 상기 보조용기(20)에 안착된 후 외부의 요동 또는 충격에 의해 뚜껑몸체(31)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몸체(31)의 외주연의 내측으로 상기 환형프레임(21)의 두께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용기(20)는 조리용기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11)으로 보조용기(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홈(21a)을 삽입회전시켜 결합하되, 스토퍼(24)에 맞닿을 때까지 보조용기(20)를 회전시켜 상기 조리용기몸체(1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조리용기(A)를 보관하게 되면 보조용기(20)의 분실도 막을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용기뚜껑(30)은 돌출부(32)가 상기 보조용기(20)의 내측면과 맞닿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조리용기몸체(10)와 보조용기(20)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된 조리용기(A)에 조리할 음식재료를 넣고 조리를 하다가 물의 양이 너무 많거나, 음식재료의 양이 너무 많아 물이 끓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이 급하게 끓어서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환형프레임(21)의 조절홈(21b)에 결합된 회전손잡이(21c)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조용기(20)가 상부로 이동하여, 조리용기몸체(10)의 내부공간이 확대되고 상승된 보조용기(20)의 높이만큼 조리용기(A)의 높이가 높아져 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회전손잡이(21c)가 없다면 상기 조절홈(21b)으로 젓가락 등의 긴 막대모양의 부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조리할 음식재료의 양이 조리하기 전 예상보다 약간 더 많을 경우 상기 보조용기(20)를 상승시켜 내부공간을 확대함으로써 용이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를 종래 조리용기와 비교하면, 조리용기에 들어가는 재료가 많아 물이 끓어 올라 넘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조리할 음식재료가 많을 때 조리용기 크기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별도의 큰 조리용기를 마련해야 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큰 조리용기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파스타, 메밀소바, 자장면 등의 면을 삶은 후 삶은 물을 제거한 후 면만을 이용해서 조리해야하는 경우에는 종래는 채반 또는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수단을 별도로 마련하여 물을 제거해야 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A)는 단지 가로막(23)이 형성된 부분으로 조리용기를 기울이기만 하면 건더기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삶은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물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조리된 면류 등을 먹기 위해 종래에는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별도의 수단으로서 접시 또는 그릇을 사용하거나 1인용 냄비를 사용하는 경우 덜어서 먹는 별도의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 냄비에 있는 면류를 섭취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A)는 가로막(23)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리된 면류를 얹어 놓고 섭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면류가 너무 뜨거운 경우 잠시 동안 식힐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덜어서 먹는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서도 조리된 면류를 쉽게 먹을 수 있다.
한편, 만약 조리하는 음식이 튀김류의 경우 튀김의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를 사용하면, 가로막의 상부로 튀겨낸 튀김을 얹어 놓게 되면 기름기가 가로막에 형성된 통공으로 빠질 수 있어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튀김의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22)에 형성된 돌출부(22a)의 내측에 조 리한 음식에 곁들여 먹는 반찬으로서 김치, 단무지 등을 놓을 수 있어 반찬을 놓기 위한 별도의 그릇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는 면을 삶은 후 삶은 면을 유출시키지 않으면서 삶아낸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물기제거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는 물기제거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보관상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는 보조용기의 상승으로 인해 제한된 조리용기의 내부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는 반찬을 담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별도의 반찬을 담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용기는 튀김류를 조리할 때 튀김의 기름기 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다목적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리조리용기몸체;
    상기 조리조리용기몸체의 상부와 나사결합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조리조리용기몸체의 크기와 대응하며 상하면이 개방된 보조용기;
    상기 보조용기의 상부로 안착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는 상하면이 개방된 환형프레임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양단이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에 결합하는 격벽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분할된 공간 중 적어도 한 부분의 하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격벽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하며 홀이 형성된 가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격벽은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프레임은 외측면에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프레임은 외측면에 조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홈과 나사결합하는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프레임은 외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용기
KR2020070009566U 2007-06-11 2007-06-11 다목적 조리용기 KR200442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6U KR200442826Y1 (ko) 2007-06-11 2007-06-11 다목적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6U KR200442826Y1 (ko) 2007-06-11 2007-06-11 다목적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826Y1 true KR200442826Y1 (ko) 2008-12-11

Family

ID=4164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566U KR200442826Y1 (ko) 2007-06-11 2007-06-11 다목적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78B1 (ko) *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651079B1 (ko) *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894504B1 (ko) 2017-08-01 2018-09-04 이금준 라면 조리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78B1 (ko) *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651079B1 (ko) * 2016-01-21 2016-08-25 (주)성우금속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894504B1 (ko) 2017-08-01 2018-09-04 이금준 라면 조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US20110247504A1 (en) Perforated vessel for food preparation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KR101425615B1 (ko) 육수 가열장치
CN212326110U (zh) 一种组合锅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JP3081841B1 (ja) 多機能鍋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KR200450880Y1 (ko) 조립식 조리 기구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90011597U (ko) 간단하고 편리한 라면 전용 냄비
CN218651375U (zh) 一种蒸格
KR20200094042A (ko) 다용도 용기 뚜껑
JP3079120U (ja) 蒸し鍋
KR102375501B1 (ko) 반찬그릇 겸용 뚜껑과 그릇
CN212815915U (zh) 多功能蒸笼和烹饪器具
CN213371384U (zh) 一种压力锅
KR200321487Y1 (ko) 구이판겸용 솥
KR100966143B1 (ko) 수분유지 및 보온기능을 갖는 음식받침대
Nadeau Furniture and Equipment in the Royal Kitchens of Early Modern Spain
KR20240000552U (ko) 프라이팬용 음식 거치대
KR200485728Y1 (ko) 숯불 신선로
KR200299306Y1 (ko) 음식물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