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04B1 - 라면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라면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04B1
KR101894504B1 KR1020170097873A KR20170097873A KR101894504B1 KR 101894504 B1 KR101894504 B1 KR 101894504B1 KR 1020170097873 A KR1020170097873 A KR 1020170097873A KR 20170097873 A KR20170097873 A KR 20170097873A KR 101894504 B1 KR101894504 B1 KR 10189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resent
spiral portion
noodles
ra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준
Original Assignee
이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준 filed Critical 이금준
Priority to KR102017009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를 상하로 이분할하도록 설치되어 국물과 면을 서로 분리시켜 나트륨 함량이 많은 국물을 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망체를 구비한 라면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면 조리 용기{POT FOR COOKING INSTANT-NOODLES}
본 발명은 라면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본체를 상하로 이분할하도록 설치되어 국물과 면을 서로 분리시켜 나트륨 함량이 많은 국물을 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망체를 구비한 라면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 국수 등과 같은 각종 면류는 바쁜 현대인의 식생활 문화에서 한 끼 식사 대용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면류는 전용 조리기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보통 가정에서 조리시 사용되고 있는 냄비를 이용하여 조리하고 있다.
이러한 면류 중 라면은 국수를 증기로 익히고 기름에 튀겨서 말린 즉석 식품으로서,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에 적정량의 물을 투입하여 물이 끓을 때까지 일정 시간 가열한 후, 끓는 물에 라면과 스프(분말/건더기) 등을 넣어 라면을 익혀 조리한다.
그러나, 라면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스프에는 나트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라면 국물을 다량 섭취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트륨은 다량 섭취시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몸에 붓기가 발생하는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참고로, 라면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라면 한 봉지를 조리한 후 라면을 섭취할 때, 면만 섭취할 경우에는 645mg, 국물 1/2만 섭취할 경우에는 1.245mg, 국물을 모두 섭취할 경우에는 1.840mg 정도의 나트륨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면만 섭취하는 경우 나트륨을 32% 정도 섭취하는데 반해, 국물을 모두 섭취하는 경우에는 무려 나트륨을 92%까지 섭취하게 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KR 10-2013-0059171 A, 2013. 06. 05. KR 20-0442826 Y1, 2008. 12. 05. KR 10-2016-0134027 A, 2016. 11. 2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라면을 조리한 후 라면을 섭취할 때 면과 국물을 상하로 서로 분리시켜 나트륨 함량이 많은 국물을 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나트륨 과대 섭취로 인한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라면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및 외주면이 상기 용기본체의 나선부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상하로 이분할하고, 상기 나선부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선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망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국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부에 안착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망체는 회전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공은 상기 지지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부에 체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의 수용공간을 상하로 이분할하도록 설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망체를 구비한 라면 조리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따라 국물의 섭취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라면을 조리한 후 라면을 섭취할 때 면과 국물을 상하로 서로 분리시켜 나트륨 함량이 많은 국물을 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나트륨 과대 섭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망체가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면 조리 용기를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망체를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승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라면 조리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를 이용한 라면 조리 및 섭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망체가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면 조리 용기를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10)는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부(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의 나선부(111)에 지지되어 용기본체(11)를 상하로 이분할하는 망체(12)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는 라면을 조리하기 위해 물과 라면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도 3과 같이, 망체(12)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나선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나선부(111)는 망체(12)의 외주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용기본체(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망체(12)는 도 2와 같이, 용기본체(11)에 수용된 국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판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본체(11)의 나선부(111)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턱(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턱(121)은 바람직하게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망체(12)는 젓가락과 같은 회전부재(1, 도 4참조)를 이용하여 망체(12)를 용기본체(11)의 나선부(111)를 따라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턱(121)에 걸림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공(12b)은 지지턱(121)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용기본체(11)를 파지하기 위해 일측부에 체결된 손잡이(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망체를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승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라면 조리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망체(12)를 용기본체(11)의 나선부(1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걸림공(12b)에 젓가락과 같은 회전부재(1)를 끼운 후 회전부재(1)를 이용하여 망체(12)를 나선부(111)를 따라 회전시키면, 망체(12)는 회전부재(1)에 의해 나선부(111)를 따라 회전하고, 그 회전방향에 따라 용기본체(11)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를 이용한 라면 조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6은 라면을 끓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익은 라면을 국물과 분리시켜 섭취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망체(12)를 용기본체(11)의 나선부(1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라면(2)이 국물(3)에 잠길 수 있도록 회전부재(1)를 걸림공(12b)에 끼운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망체(12)를 용기본체(11)의 바닥면에 가깝게 근접하도록 하강시킨다.
이후, 통상적인 조리방법으로 용기본체(11)를 가열하여 라면(2)을 일정 시간 동안 끓인 후 끓는 물에 라면(2)과 스프(분말/건더기) 등을 넣어 라면(2)을 익혀 조리한다.
라면(2)을 익혀 조리가 완료되면, 라면을 섭취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다시 회전부재(1)를 걸림공(12b)에 끼운 후 망체(12)를 시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망체(12)를 용기본체(11)이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망체(12)의 상부에 안착된 라면(2)은 망체(12)와 함께 상승하여 국물(3)과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 용기(10)는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부재(1)를 이용하여 망체(12)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따라 국물(3)의 섭취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결국, 라면(2)을 조리한 후 라면(2)을 섭취할 때 라면(2)과 국물(3)을 상하로 서로 분리시켜 나트륨 함량이 많은 국물(3)을 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나트륨 과대 섭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회전부재
2 : 라면
3 : 국물
10 : 라면 조리 용기
11 : 용기본체
12 : 망체
12a : 관통공
12b: 걸림공
13 : 손잡이
111 : 나선부
121 : 지지턱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부(11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용기본체(11);
    판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2a)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본체(11)의 나선부(111)에 지지되도록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지지턱(12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턱(121)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부재(1)가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공(12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본체(11)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되게 하면서 상기 회전부재(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턱(121)들이 상기 나선부(111)를 따라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하는 망체(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부에 체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조리 용기.
KR1020170097873A 2017-08-01 2017-08-01 라면 조리 용기 KR10189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73A KR101894504B1 (ko) 2017-08-01 2017-08-01 라면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73A KR101894504B1 (ko) 2017-08-01 2017-08-01 라면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504B1 true KR101894504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73A KR101894504B1 (ko) 2017-08-01 2017-08-01 라면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10Y1 (ko) * 2004-06-04 2004-09-07 천광식 다용도 조리기
KR200442826Y1 (ko) 2007-06-11 2008-12-11 노주현 다목적 조리용기
KR200462799Y1 (ko) * 2012-01-31 2012-09-28 권원선 다층 구조를 갖춘 압력솥
KR20130059171A (ko) 2011-11-28 2013-06-05 유장희 라면용 조리용기
KR20160134027A (ko)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이케이쿡웨어 라면용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10Y1 (ko) * 2004-06-04 2004-09-07 천광식 다용도 조리기
KR200442826Y1 (ko) 2007-06-11 2008-12-11 노주현 다목적 조리용기
KR20130059171A (ko) 2011-11-28 2013-06-05 유장희 라면용 조리용기
KR200462799Y1 (ko) * 2012-01-31 2012-09-28 권원선 다층 구조를 갖춘 압력솥
KR20160134027A (ko)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이케이쿡웨어 라면용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1926A (en) Combination of cooking utensils
CN104757543A (zh) 一种补益脾胃的养生糍粑
KR101894504B1 (ko) 라면 조리 용기
KR100519447B1 (ko) 육수 및 그 제조방법
CN105231412A (zh) 一种肉酱及其制备方法
Handy My favourite recipes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KR101961046B1 (ko) 우렁이를 함유하는 볶음 양념장 제조방법
Rorer Fifteen New Ways for Oysters
CN105265915A (zh) 一种花生辣酱配方
CN104905288A (zh) 一种暖胃酱香排骨的制备方法
KR20080001781U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 간식용 다기능 음식조리기
CN205306787U (zh) 可调整空间的蒸笼结构
CN205286083U (zh) 一种锅具用带孔内胆
KR102098543B1 (ko) 김치류를 내장한 익힘용 삼겹살 및 그 제조방법
TWM557076U (zh) 兼具蒸、煮、烤之鍋具結構
CN107969927A (zh) 一种电饭煲的蒸架
TWM548502U (zh) 具蒸煮功能之火鍋
CN206586833U (zh) 一种组合式防粘锅垫
KR200385671Y1 (ko) 뚝배기
KR20220021180A (ko) 산야초소금의 제조방법 및 용기
JP2007244363A (ja) 料理本の機能を持つ下ごしらえ済み食材のセット方法及びセット食品とその容器
CN109549163A (zh) 一种鸽精制备工艺及其制备的鸽精
KR20200082953A (ko) 컵형 누룽지
TWM514280U (zh) 蒸煮用容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