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671Y1 - 뚝배기 - Google Patents

뚝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671Y1
KR200385671Y1 KR20-2005-0007293U KR20050007293U KR200385671Y1 KR 200385671 Y1 KR200385671 Y1 KR 200385671Y1 KR 20050007293 U KR20050007293 U KR 20050007293U KR 200385671 Y1 KR200385671 Y1 KR 200385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uxiliary
main
cooking
casser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술
Original Assignee
문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술 filed Critical 문인술
Priority to KR20-2005-0007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뚝배기는 조리물 공간을 주재료를 조리하는 주공간(10)과 보조재료를 조리하는 보조공간(20)으로 구분하고, 상기 주공간(10)과 보조공간(20)을 구분하는 격벽(30)에 국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뚝배기는 주공간에는 찌개나 국 등 주 음식물을 조리하고 보조공간에는 김치나 조개, 굴 등 보조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주공간에서 생성되는 국물과 보조공간에서 생성되는 국물이 관통공을 통하여 서로 혼합하게 하여 주공간에서 조리된 음식물이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조리한 통상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고 보조공간의 김치, 굴, 조개 등은 특별반찬으로 선택적으로 먹거나 선택적으로 먹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뚝배기{EARTHEN BOWL}
본 고안은 찌개나 국을 끓일 때 이용되는 뚝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재료를 넣어 조리하는 조리 공간을 주공간과 보조공간으로 구분하고 그 사이에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주공간에서는 찌개나 국 등, 주 재료를 넣어 끓이고 보조공간에는 김치나 조개, 굴 등 보조재료를 넣어 끓이고 주공간에서 생성되는 국물과 보조공간에서 생성되는 국물이 관통공을 통하여 서로 혼합하게 함으로써 주공간의 조리물이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조리한 통상의 경우와 동일한 맛을 내게 하고 보조공간의 김치, 조개 등은 특별반찬으로 선택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뚝배기라 함은 찌개나 지짐이 따위를 끓이거나 설렁탕 따위를 담을 때 쓰는 오지그릇이다. 양은, 스텐 등 금속으로 된 냄비는 조리할 때 열을 가하면 쉽게 뜨거워져 조리물이 신속하게 조리되므로 건더기로부터 영양분이 덜 빠져나온 상태에서 조리가 완료되고, 또한 냄비는 조리가 완료되어 열원으로부터 이탈하면 쉽게 식어버려 조리된 음식물을 먹는 동안에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이에 비하여 뚝배기는 흙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자체적인 열흡수율이 양호하여 조리물에 대하여 서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서 건더기에서 영양분이 국물에 완전히 추출된 상태에서 조리가 완료되며 조리된 음식물을 먹기 위하여 뚝배기를 열원으로부터 이탈시켜도 자체의 열기에 의하여 계속해서 음식물에 열을 가하므로 먹는 동안에도 따뜻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뚝배기는 김치찌개, 설렁탕 등 건더기에서 영양분을 오래 추출하는 음식을 조리하는 데에 적합하다.
종래의 뚝배기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내부의 조리공간이 하나로 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 김치, 조개 등을 보조 재료들을 한꺼번에 넣어 조리를 하곤 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칼국수를 뚝배기에서 조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칼국수 재료와 조개, 김치, 굴 등의 보조재료를 뚝배기의 조리공간에 한꺼번에 넣어 조리를 하였다. 그리고 조리된 음식물을 먹을 때에는 주식품인 칼국수를 먹으면서 동시에 김치, 조개 등 보조식품도 먹는다.
그런데 사람의 취향에 따라서는 조개, 김치, 굴 등의 보조식품은 주식품인 칼국수와 함께 먹지 않고 별도로 먹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 특히 조개는 알맹이를 빼 먹기가 불편하므로 칼국수와 함께 먹는 것이 불편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삶아진 김치나 굴 등도 별미로 별도로 먹고자 하는 사람이 있으며 또한 보조식품인 김치나 굴 등은 아예 먹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뚝배기는 모든 종류의 재료를 한꺼번에 넣어 조리를 하므로 전술한 주식품을 먹을 때에 보조식품도 함께 먹어 보조식품을 특별반찬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또한 힘들게 보조식품을 분리하면서 먹어야 하는 불편을 겪는다. 또한 보조식품을 먹을 수 없는 사람은 아예 주식품까지 먹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주재료와 보조재료를 분리하여 조리를 하면서도 주재료의 맛을 주재료와 보조재료를 혼합하여 조리하는 경우와 같도록 하고 먹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주재료로 된 음식물을 편리하게 먹으면서 보조재료의 음식물은 특별반찬으로 먹든지 아니면 선택적으로 먹지 않을 수도 있게 하는 뚝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뚝배기는 조리 공간을 주재료를 조리하는 주공간과 보조재료를 조리하는 보조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주공간과 보조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에 국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뚝배기는 또한 상기 주공간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 양측에 각각 보조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뚝배기는 내부의 조리물 공간이 격벽(30)에 의하여 주재료를 조리하는 주공간(10)과 보조재료를 조리하는 보조공간(20)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공간(10)과 보조공간(20)을 구분하는 격벽(30)에는 국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뚝배기는 큰 부피의 상기 주공간(10)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 양측에 각각 작은 부피의 보조공간(20)을 형성하고 있다.
주공간(10)은 칼국수 등 주재료를 넣어 조리하는 공간으로서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하고, 보조공간(20)은 김치, 굴, 조개 등 보조재료를 넣어 조리하는 공간으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도록 형성한다. 보조공간(20)에 넣어 조리하는 보조식품은 주로 주재료의 맛과 어울려 전체적인 맛을 향상시키는 재료가 선택되어 진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공간(10)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주공간(10)의 양측에 보조공간(20)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변형예로서 주공간(10)의 일측에 1개의보조공간(20)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3개 이상의 보조공간(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조공간(20)의 수 및 그 배치, 그리고 크기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뚝배기는 평면도에서 보아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관통공(31)은 국물은 통과할 수 있으나 다른 재료는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뚝배기는 종래의 제조방법과 같이 흙을 빗어 만들어 진다. 그러나 본 고안은 흙으로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인레스 스틸 등 다른 금속으로 만들 수도 있고, 흙과 금속을 결합시켜 만들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뚝배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조리 공간의 주공간(10)에는 주재료인 칼국수, 김치찌개 등 통상의 조리물을 넣는다. 이하에서는 칼국수를 조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칼국수를 조리할 때 별미로서 조개나 김치, 굴 등 보조재료를 집어넣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보조재료는 보조공간(20)에 넣는다. 예를 들어 일측의 보조공간(20)에 조개를 넣고 타측의 보조공간(20)에 장기간 숙성된 김치 및 굴을 넣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뚝배기를 열원 위에 올려놓고 아래에서 열을 가하면 국물이 끓으면서 조리가 진행되는데 주공간(10)에서는 주재료의 영양분이 추출되고 보조공간(20)에서는 보조재료의 영양분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공간에서 영양분이 추출된 국물은 격벽(30)의 관통공(31)을 통하여 주공간(10)에서 보조공간(20)으로, 그리고 보조공간(20)에서 주공간(10)으로 흐르면서 서로 혼합된다. 따라서 국물의 맛은 통상적으로 주재료와 보조재료를 모두 하나의 조리공간에 넣어 조리하는 경우와 동일한 맛을 낸다.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뚝배기를 열원에서 이탈시켜 식탁에 올려놓고 먹는데 먹는 자의 취향에 따라 주공간(10)의 음식물을 먹으면서 보조공간(20)의 음식물을 특별반찬으로 하여 먹을 수도 있고 보조공간(20)의 음식물 중 본인이 싫어하는 음식물은 먹지 않을 수도 있다.
주공간(10)의 음식물을 먹을 때에는 조개 등 먹는데 불편한 음식물은 주음식물에 혼합되지 않았으므로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취향에 따라서 먹지 못하는 보조식품은 아예 먹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뚝배기는 칼국수, 찌개 등 주재료와 김치, 조개, 굴 등 보조재료를 분리하여 조리를 하면서도 주재료의 맛을 종래 주재료와 보조재료를 혼합하여 조리하는 경우와 같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람의 취향에 따라 주재료로 된 주식품을 편리하게 먹으면서 보조재료의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특별반찬으로 먹든지 아니면 일부 음식물을 아예 먹지 않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요공간 20: 보조공간
30: 격벽 31: 관통공

Claims (2)

  1. 음식물을 조리하는 뚝배기에 있어서,
    조리 공간을 주재료를 조리하는 주공간(10)과 보조재료를 조리하는 보조공간(20)으로 구분하고, 상기 주공간(10)과 보조공간(20)을 구분하는 격벽(30)에 국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공간(10)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 양측에 각각 보조공간(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KR20-2005-0007293U 2005-03-17 2005-03-17 뚝배기 KR200385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93U KR200385671Y1 (ko) 2005-03-17 2005-03-17 뚝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93U KR200385671Y1 (ko) 2005-03-17 2005-03-17 뚝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671Y1 true KR200385671Y1 (ko) 2005-06-02

Family

ID=4368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93U KR200385671Y1 (ko) 2005-03-17 2005-03-17 뚝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2-08-06 문인술 생선조림 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2-08-06 문인술 생선조림 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671Y1 (ko) 뚝배기
JP2007068943A (ja) 調理容器セット
KR200416760Y1 (ko) 뚝배기의 격벽 결합구조
JP2007209458A (ja) 味噌味食品の調理器具及び調理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19447B1 (ko) 육수 및 그 제조방법
CN207506380U (zh) 鸳鸯火锅
KR200365864Y1 (ko) 두맛 요리 조리용 냄비
Oussedik Food and cuisine: Part of the migration process
CN206603648U (zh) 一种新型蒸篮以及蒸锅
TWM463098U (zh) 鍋具結構
KR200323743Y1 (ko) 복수의 조리공간을 갖는 조리용기
CN105265915A (zh) 一种花生辣酱配方
KR200238975Y1 (ko) 다중조리용 냄비.
CN202184608U (zh) 炖涮一体锅
Magness Early Islamic Pottery: Evidence of a Revolution in Diet and Dining Habits?
CN211060190U (zh) 一种西安臊子面食加工专用炉具
KR101894504B1 (ko) 라면 조리 용기
JPH02291816A (ja) 区分した煮物容器
CN211354935U (zh) 火锅
CN201328666Y (zh) 锅内加热器装置
JP2004255003A (ja) 鍋の仕切り容器
Muhammad et al. Impact of Technology Advancement on the Malaysian Ethnics Festival Foods and its Foodways
JPS6117708Y2 (ko)
KR200262943Y1 (ko) 간편히 섭취할 수 있는 눌은밥
KR200328008Y1 (ko) 수육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