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067B1 - 생선조림 솥 - Google Patents

생선조림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067B1
KR101171067B1 KR1020100033542A KR20100033542A KR101171067B1 KR 101171067 B1 KR101171067 B1 KR 101171067B1 KR 1020100033542 A KR1020100033542 A KR 1020100033542A KR 20100033542 A KR20100033542 A KR 20100033542A KR 101171067 B1 KR101171067 B1 KR 10117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w
broth
pot
fish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102A (ko
Inventor
문인술
Original Assignee
문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술 filed Critical 문인술
Priority to KR102010003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0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을 무, 김치와 함께 조림을 할 때 이들 조림재료와 조림국물을 별도로 준비하고, 조림재료에 열기를 가함과 동시에 조림재료에 국물을 분출하면서 조리하여, 서로 밀착되어 조리되는 생선, 무, 김치의 성분들을 서로에게 상호 효과적적으로 스며들게 하고, 또한 조림국물의 성분이 조림재료에 스며들게 하여 조림재료의 맛을 한층 높이며, 조리사에 의한 교반 없이 업소에서 대량으로 조리하여도 조림재료가 솥 바닥에 눌러 붙지 않게 하는 생선조림 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은 생선, 김치, 무와 같은 조림재료(1)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넣은 것을 것으로서 국물이 내부와 외부를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철망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 상기 솥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들을 받치는 것으로서 열기 및 국물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망 형태로 되어 있는 받침망(30), 상기 받침망(3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솥 본체(10)의 내측면에 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1), 그리고 솥 본체(10)의 하부에 있는 조림국물(2)을 끌어올려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의 상부로 분출하는 분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생선조림 솥{Kettle for boiling fishes in spiced soy sauce}
본 발명은 고등어, 갈치 등 생선을 조리는 생선조립 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선을 무, 김치와 함께 조림을 할 때 이들 조림재료와 조림국물을 별도로 준비하고, 조림재료에 열기를 가함과 동시에 조림재료에 국물을 분출하면서 조리하여, 서로 밀착되어 조리되는 생선, 무, 김치의 성분들을 서로에게 상호 효과적적으로 스며들게 하고, 또한 조림국물의 성분이 조림재료에 스며들게 하여 조림재료의 맛을 한층 높이며, 조리사에 의한 교반 없이 업소에서 대량으로 조리하여도 조림재료가 솥 바닥에 눌러 붙지 않게 하는 생선조림 솥에 관한 것이다.
생선조림은 생선요리의 한 형태로서 주로 고등어, 갈치와 같은 생선을, 김치, 무 또는 감자, 양념, 대파, 고추 등과 함께 조린 요리이다. 종래 생선을 조리는 방법은 조림용기에 무 또는 감자를 먼저 넣고 그 위에 토막 낸 생선을 올려놓으며 그 위에 김치와, 간장, 고춧가루, 식초, 다진 마늘, 다진 파, 참기름, 후추 등으로 만들어진 양념을 넣은 후 약간의 물을 넣고 조린다. 처음에는 센 불로, 중반 이후에는 약한 불로 조린다.
이와 같은 조리를 할 때에 생선, 무 또는 감자, 김치에 양념의 성분이 스며들고 아울러 생선, 무 또는 감자, 그리고 김치의 성분들이 서로에게 상호 스며들어 여러 성분이 혼합된 맛있는 요리가 조리된다.
그런데 무 또는 감자는 조리 중에 수분을 많이 흡수하므로 조리 중에 조림재료들이 솥 바닥에 달라붙어서 탈 수가 있다. 그리고 조림재료의 중간 높이 하부는 조림국물에 담겨진 상태이므로 비교적 조리가 잘 되지만 중간 높이 상부는 조림국물에 담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되므로 조리 후 조림의 맛을 느낄 수 없다,
특히 가정에서 조리할 때에는 조림재료를 뒤집으면서 조리하여 상하부가 어느 정도 균일하게 조리되지만 업소에서 대량으로 조리할 때에는 조림국물을 골고루 조림재료에 접촉하게 할 수 없으므로 상하부에 있는 조림재료의 맛이 다를 정도로 균일하지 않게 조리된다. 특히 업소에서 대량으로 생선을 조림할 때에는 조리재료가 솥 바닥에 쉽게 달라붙으므로 조리사가 계속에서 수작업으로 조림국물을 저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업소에서 생선조림을 다량으로 요리할 때에 조림재료들이 용기바닥에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속 조림재료들을 뒤집거나 교반하는 경우에는 생선, 김치, 무 또는 감자가 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흩뜨려지게 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생선조림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업소에서 대량으로 생선을 조릴 수 있고, 조리사가 수작업으로 조림재료를 뒤집거나 교반하지 않아도 조림재료가 솥 바닥에 눌러 붙지 않으며, 조림재료인 생선, 김치, 무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이 조리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으며, 또한 조림재료인 생선, 김치, 무가 서로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리되어 각각의 성분이 서로에게 효과적으로 스며들어 조리재료의 각각의 맛이 한층 향상된 생선조림 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은 솥 본체와 솥뚜껑을 포함하는 생선조림 솥에 있어서, 조림재료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넣은 것을 것으로서 국물이 내부와 외부를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철망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조림재료상자, 상기 솥 본체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를 받치는 것으로서 열기 및 국물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망 형태로 되어 있는 받침망, 상기 받침망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솥 본체의 내측면에 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 그리고 솥 본체의 하부에 있는 조림국물을 끌어올려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의 상부로 분출하는 분출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은 또한 상기 분출장치가 일단이 솥 본체의 바닥에 배치되어 조림국물을 흡입하고 타단이 솥 본체의 상부로 뻗도록 배치된 하부 흡입파이프, 일단이 상기 하부흡입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솥뚜껑으로 뻗은 상부 흡입파이프, 상기 하부 흡입파이프와 상부 흡입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 유입구가 상기 상부 흡입파이프에 연결되고 솥뚜껑에 설치된 펌프,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펌프에서 토출된 조림국물을 솥뚜껑 하부로 이송하는 토출파이프, 상기 토출파이프에서 토출된 조림국물을 일시 저장하면서 솥뚜껑 하부로 분출하는 것으로서 솥 본체의 내부에 골고루 분출되도록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분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선조립 솥은 조림재료들이 솥뚜껑의 바닥에 눌러 붙지 않고 조림국물을 자동으로 조림재료에 공급하므로 업소에서 대량으로 생선을 조릴 수 있고, 조리사가 수작업으로 조림재료를 뒤집거나 교반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림사가 계속하여 달라붙어 조리를 하지 않아도 되며 조림재료인 생선, 김치, 무를 뒤집거나 교반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이 조리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으며, 또한 조림재료인 생선, 김치, 무가 서로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리되어 각각의 성분이 서로에게 효과적으로 스며들어 조리재료의 각각의 맛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의 구성부품인 조림재료상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솥 본체(10)와 솥뚜껑(20)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들을 받치는 받침망(30), 그리고 분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 김치, 무와 같은 조림재료(1)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넣은 것을 것으로서 국물이 내부와 외부를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철망으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는 모서리는 굵은 철사로 되어 있고 육면은 모두 철망으로 되어 있다. 덮개(52)는 상자본체(51)에 일측은 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타측은 잠금핀(53)에 의하여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덮개(52)의 잠금파이프(55a)와 상자본체(51)의 잠금파이프(55b)의 홀(hole)에 잠금핀(53)을 끼워 넣으면 덮개(52)가 잠기게 되고 잠금핀(52)을 빼면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조림재료상자(50)에는 조림재료(1), 즉, 무, 김치, 생선 등이 들어간다.
받침망(30)은 상기 솥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들을 받치는 것으로서 열기 및 국물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망 형태로 되어 있다. 받침망(30)은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들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받침망(30)의 중앙에는 손잡이(31)가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31)는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를 받침망(30)과 함께 외부로 들어올리고 내려놓을 때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망(30)을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내측면에는 지지대(11)가 환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분출장치는 솥 본체(10)의 하부에 있는 조림국물(2)을 끌어올려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의 상부로 분출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솥 본체(10)의 바닥에 배치되어 조림국물(2)을 흡입하고 타단이 솥 본체(10)의 상부로 뻗도록 배치된 하부 흡입파이프(41), 일단이 상기 하부흡입파이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이 솥뚜껑(20)으로 뻗은 상부 흡입파이프(42), 상기 하부 흡입파이프(41)와 상부 흡입파이프(42)를 연결하는 커플링(43), 유입구가 상기 상부 흡입파이프(42)에 연결되고 솥뚜껑(20)에 설치된 펌프(40), 상기 펌프(4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펌프(40)에서 토출된 조림국물을 솥뚜껑(20) 하부로 이송하는 토출파이프(44), 상기 토출파이프(44)에서 토출된 조림국물을 일시 저장하면서 솥뚜껑(20) 하부로 분출하는 것으로서 솥 본체(10)의 내부에 골고루 분출되도록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분출구(分出具)(45)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흡입파이프(42)는 플렉시블한 것을 이용하여 커플링(43)을 연결한 후에 자연스럽게 솥뚜껑(20)을 솥 본체(10)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각각의 조림재료상자(50)에 무, 김치, 생선토막 등 조림재료를 집어넣는다. 그리고 이들 조림재료상자(50)들을 받침망(30) 위에 올려놓는다.
한편 솥 본체(10)에는 간장, 고춧가루, 배 조각, 식초, 다진 마늘, 다진 파, 참기름, 후추 등을 물에 넣은 조림국물을 만들어 넣는다.
그리고 조림재료상자(50)가 놓여진 받침망(30)을 손잡이(31)를 취부하여 손 본체(10)의 내부로 집어놓는다. 이 때 받침망(30)은 솥 본체(10) 내부의 지지대(11)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플링(30)을 연결하여 상부 흡입파이프(42)와 하부 흡입파이프(41)를 연결하고 솥뚜껑(20)을 솥 본체(10)에 올려놓는다. 솥 본체(10)에 화력을 가하여 조리를 시작한다.
화력을 가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펌프(40)를 작동시켜 하부 흡입파이프(41) 및 상부 흡입파이프(42)를 통하여 끌어올리고 이를 토출파이프(44)를 통하여 분출구(45)로 보낸다. 분출구(45) 내의 조림국물에는 어느 정도 압력이 걸려 있으므로 조림국물이 분출공을 통하여 사방으로 분출하여 조림재료상자(50)들 위에 뿌려진다.
조림국물들은 조림재료상자(50)의 내부로 스며들기도 하며 아래로 흘러내리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면서 조림재료는 조림국물(2)에 의하여 익혀지기도 하고 조림국물 상부 공간의 열에 의하여 익혀지기도 한다.
조림국물(2)에는 천연의 단맛을 내기 위하여 배가 함유되어 있는데, 당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지라도 조림국물(2)은 계속 흐르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솥 본체 바닥에 눌러 붙지 않는다.
일정시간 지나 조림이 완료되면 솥뚜껑(20)의 손잡이(21)를 잡고 솥뚜껑(20)을 들어올리면서 커플링(43)을 분리한다.
그리고 받침망(30)의 손잡이(31)를 잡고 받침망(30)을 들어올리면 그 위에 조림재료상자(50)가 일시에 솥 본체(50)로부터 꺼내진다. 조림재료상자(50)의 잠금핀(53)을 빼내어 덮개(52)를 조림재료를 조림재료상자(50)로부터 꺼낸다. 조림재료는 조림국물과 함께 뚝배기에 놓여져 2차 요리를 한 후 고객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생선조림 솥은 조림재료들이 솥 본체(10)의 바닥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조리되므로 바닥에 눌러 붙지 일이 없으며 조림재료상자(50) 내부에서 서로 밀접한 상태에서 익혀지고 조림국물의 열과 열기에 의하여 익혀지므로 서로의 성분이 서로에게 스며들고 조림재료(1)의 형태가 처음 집어넣었을 때의 형태 그대로 유지되며, 조림국물(2)이 계속하여 흐르므로 모든 성분이 골고루 스며들어 생선, 무, 김치 각각의 맛이 한층 좋게 된다.
또한 조림국물(2)에는 천연의 당(糖)이 포함된다 하더라고 솥 본체 바닥에 눌러 붙지 않고, 그에 따라 대량으로 요리를 하더라도 조리사가 계속 달라붙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조림재료 2 : 조림국물
10 : 솥 본체 11 : 지지대
20 : 솥뚜껑 21 : 손잡이
30 : 받침망 31 : 손잡이
40 : 펌프 41 : 하부 흡입파이프
42 : 상부 흡입 파이프 43 : 커플링
44 : 토출파이프 45 : 분출구
50 : 조림재료상자 51 : 상자본체
52 : 덮개 53 : 잠금핀
54 : 힌지축 55a, 55b : 잠금파이프

Claims (2)

  1. 솥 본체(10)와 솥뚜껑(20)을 포함하는 생선조림 솥에 있어서,
    조림재료(1)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넣은 것을 것으로서 국물이 내부와 외부를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철망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
    상기 솥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를 받치는 것으로서 열기 및 국물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망 형태로 되어 있는 받침망(30),
    상기 받침망(3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솥 본체(10)의 내측면에 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1), 그리고
    솥 본체(10)의 하부에 있는 조림국물(2)을 끌어올려 상기 다수의 조림재료상자(50)의 상부로 분출하는 분출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조림 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장치는 일단이 솥 본체(10)의 바닥에 배치되어 조림국물(2)을 흡입하고 타단이 솥 본체(10)의 상부로 뻗도록 배치된 하부 흡입파이프(41), 일단이 상기 하부흡입파이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이 솥뚜껑(20)으로 뻗은 상부 흡입파이프(42), 상기 하부 흡입파이프(41)와 상부 흡입파이프(42)를 연결하는 커플링(43), 유입구가 상기 상부 흡입파이프(42)에 연결되고 솥뚜껑(20)에 설치된 펌프(40), 상기 펌프(4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펌프(40)에서 토출된 조림국물을 솥뚜껑(20) 하부로 이송하는 토출파이프(44), 상기 토출파이프(44)에서 토출된 조림국물을 일시 저장하면서 솥뚜껑(20) 하부로 분출하는 것으로서 솥 본체(10)의 내부에 골고루 분출되도록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분출구(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조림 솥.
KR1020100033542A 2010-04-12 2010-04-12 생선조림 솥 KR101171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542A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0-04-12 생선조림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542A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0-04-12 생선조림 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02A KR20110114102A (ko) 2011-10-19
KR101171067B1 true KR101171067B1 (ko) 2012-08-06

Family

ID=4502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542A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0-04-12 생선조림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334B (zh) * 2019-01-31 2023-07-07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口味包的运行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27B1 (ko) 2000-01-04 2002-11-04 황윤태 다분할 조리기
JP2003339336A (ja) 2002-05-24 2003-12-02 Nakai:Kk 製餡用豆類の煮炊き装置
KR200385671Y1 (ko) 2005-03-17 2005-06-02 문인술 뚝배기
KR200416760Y1 (ko) 2006-02-17 2006-05-22 문인술 뚝배기의 격벽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27B1 (ko) 2000-01-04 2002-11-04 황윤태 다분할 조리기
JP2003339336A (ja) 2002-05-24 2003-12-02 Nakai:Kk 製餡用豆類の煮炊き装置
KR200385671Y1 (ko) 2005-03-17 2005-06-02 문인술 뚝배기
KR200416760Y1 (ko) 2006-02-17 2006-05-22 문인술 뚝배기의 격벽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02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8569A (en) Poultry frying apparatus
US8426787B2 (en) High speed, spill-proof cooking container
US20210198024A1 (en) Food Products For Multifunction Pressure Cookers
CN109527415A (zh) 一种汽锅及汽锅甲鱼的蒸制方法
KR101171067B1 (ko) 생선조림 솥
CN104824585A (zh) 一种米粉辣椒及其制备方法
US4316447A (en) Steam cooking apparatus
CA2401092C (en) Method of cooking complete meal in one vessel
CN103070604A (zh) 一种电蒸锅
KR102239556B1 (ko) 다기능 냄비
KR200433838Y1 (ko) 다기능 쿠커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CN208837586U (zh) 一种智能升降火锅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KR101841579B1 (ko) 다용도 양면 냄비
JPS5836355A (ja) 調理米飯の処理方法
KR20090008649A (ko) 즉석 냉동 잡채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62912A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1171066B1 (ko) 생선조림 솥
KR102339990B1 (ko) 산나물밥 돈까스 및 그 제조방법
JP2007130000A (ja) 調理済み冷凍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JPH01192318A (ja) 蛇紋石その他岩石を素材とする食品調製用その他の器具
JPS5988050A (ja) 含水食品の焼成調理方法とその器具
KR200232889Y1 (ko) 닭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