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727B1 - 다분할 조리기 - Google Patents

다분할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727B1
KR100359727B1 KR1020000000217A KR20000000217A KR100359727B1 KR 100359727 B1 KR100359727 B1 KR 100359727B1 KR 1020000000217 A KR1020000000217 A KR 1020000000217A KR 20000000217 A KR20000000217 A KR 20000000217A KR 100359727 B1 KR100359727 B1 KR 10035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oking
body housing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015A (ko
Inventor
황윤태
Original Assignee
황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태 filed Critical 황윤태
Priority to KR102000000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7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분리하도록 한 다분할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는 소정 크기의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체결되고 국물의 이동로가 마련되는 원통과, 원통으로부터 신장되고 국물의 이동로가 마련되어 본체하우징과 원통 사이의 조리공간을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과, 원통을 덮는 제1 커버와, 격벽에 의해 분할된 조리공간들을 덮는 제2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분할 조리기{Plural Divisional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을 분리하도록 한 다분할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종류마다 기본재료와 양념이 다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조리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맛을 보거나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기의 뚜껑을 열고 닫는 횟수가 많게 되고 음식물의 종류가 많을수록 열고 닫는 횟수는 그 만큼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조리기에 종류별로 내용물을 분리함으로써 주부나 요리사가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음식물을 공통으로 조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을 분리하도록 한 다분할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분할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분할 조리기의 격벽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하우징 3 : 조립돌출부
4 : 원통 4a,6a : 홀
4b : 리브 6 : 격벽
8 : 제2 커버 10 : 제1 커버
11 : 손잡이 20 : 구절분리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는 소정 크기의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체결되고 국물의 이동로가 마련되는 원통과, 원통으로부터 신장되고 국물의 이동로가 마련되어 본체하우징과 원통 사이의 조리공간을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과, 원통을 덮는 제1 커버와, 격벽에 의해 분할된 조리공간들을 덮는 제2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는 소정 크기의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하우징(2)과, 본체하우징(2) 내의 조리공간을 다수로 분리하기 위한 구절분리기(20)를 구비한다. 본체하우징(2)의 중앙부에는 원기둥 형태의 조립돌출부(3)가 형성된다. 구절분리기(20)는 중앙에 위치한 원통(4)과, 원통(4)으로부터 신장되는 8 개의 격벽들(6)로 구성된다. 격벽(6)은 도 3과 같이 원통(4)의 외주면에서 방사 형태로 신장된다. 이러한 구절분리기(20)는 원통(4)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커트 형태의 리브(rib)(4b)가 본체하우징(2)의 조립돌출부(3)에 압입됨으로써 본체하우징(2)에 조립된다. 원통(4)의 내부공간에는 양념과 물이 넣어지는 조리공간이 마련되며 그 하부에 다수의 홀들(4a)이 형성된다. 원통(4)에 형성된 홀들(4a)은 원통(4)의 내/외부로 국물의 흐름이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리시 원통(4)의 내부에서 조리되는 양념국물은 홀들(4a)을 통하여 원통(4)의 외부로 이동되게 된다. 격벽(6)은 원통(4)과 본체 하우징(2) 사이의 조리공간을 부채꼴 형태를 가지는 8 개의 조리공간들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6)에 의해 마련되는 부채꼴 조리공간들에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본재료들이 넣어지게 된다. 격벽(6)의 하단에는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홀들(6a)이 형성된다. 격벽들(6)에 형성된 홀들(6a)은 격벽들(6)에 의해 분할된 부채꼴 조리공간들 간의 국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격벽들(6)에 의해 마련된 부채꼴 조리공간에는 원통(4)에 형성된 홀들(6a)을 통하여 원통(4) 내의 양념 국물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는 격벽(6)에 의해 마련된 부채꼴 형태의 조리공간들을 덮는 제1 커버(8)와, 원통(4)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제2 커버(10)를 구비한다. 제1 커버(8)의 중앙에는 원통(4)이 삽입되는 환형홀이 형성된다. 이 제1 커버(8)는 격벽(6)에 의해 마련된 부채꼴 조리공간들을 덮는 뚜껑으로 이용되며 일측에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커버(10)는 원통(4)의 개구부에 닫혀짐으로써 원통(4) 내부의 조리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2 커버(10)에는 손잡이(11)가 설치된다.
원통(4)의 내부에는 양념류와 물이 담겨지게 되며, 격벽들(6)에 의해 마련된 8 개의 부채꼴 조리공간들에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기본재료(야채, 육류, 어류 등)와 물이 담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양념, 기본재료 및 물이 담기고 제1 및 제2 커버들(8,10)이 닫혀진 상태에서 조리기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 중에 원통(4)의 내부에서 조리된 양념국물은 홀들(4a,6a)을 통하여 격벽들(6) 사이의 음식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커버(10)만을 열고 가열하게 되면 제1 커버(8)를 열지 않고도 조리기 내에 담겨진 국물이나 음식물이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는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하우징에 원통과 원통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신장되는 격벽들로 이루어진 분리기가조립되고 하나의 조리공간을 양념 조리공간과 기본재료가 조리되는 다수의 조리공간들로 분할하며 양념이 기본재료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과 격벽에 홀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내용물을 분리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다분할 조리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음식물의 종류가 많아지고 그 배치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음식물을 하나의 조리기를 이용하여 조리함으로써 뚜껑의 열고 닫는 횟수를 줄이게 되어 조리하는 음식의 향의 손실을 줄이고 조리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원통을 덮고 있는 뚜껑만을 열고 외주측의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조리하게 되면 국물이나 내용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분할 조리기는 원통의 내부에 양념이나 조리국물의 맛을 내기 위해 쓰이는 재료(멸치, 다시마 등)을 격리시킴으로써 양념류가 음식물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편식이 심한 아이들을 위하여 싫어하는 양념이나 재료(예를 들면 파, 양파, 마늘 등)를 별도의 조리공간 예를 들면, 원통의 내부공간에 격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소정 크기의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체결되고 국물의 이동로가 마련되는 원통과,
    상기 원통으로부터 신장되고 국물의 이동로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하우징과 원통 사이의 조리공간을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과,
    상기 원통을 덮는 제1 커버와,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조리공간들을 덮는 제2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하부에는 상기 원통의 내외부로 국물이 이동되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상기 격벽들에 의해 마련된 조리공간들 사이에 국물이 이동되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원통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조리기.
  5. 삭제
KR1020000000217A 2000-01-04 2000-01-04 다분할 조리기 KR10035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217A KR100359727B1 (ko) 2000-01-04 2000-01-04 다분할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217A KR100359727B1 (ko) 2000-01-04 2000-01-04 다분할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15A KR20000018015A (ko) 2000-04-06
KR100359727B1 true KR100359727B1 (ko) 2002-11-04

Family

ID=1963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217A KR100359727B1 (ko) 2000-01-04 2000-01-04 다분할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2-08-06 문인술 생선조림 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49Y1 (ko) * 2008-03-28 2011-01-05 정원식 인덕션 렌지 용기용 조리 보조구
EP3252381B1 (en) 2016-05-31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ov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67B1 (ko) 2010-04-12 2012-08-06 문인술 생선조림 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15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0078B1 (en) Food steamer
WO2007136169A1 (en) Fry pan for removing odor
KR100359727B1 (ko) 다분할 조리기
KR100764816B1 (ko)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US6525299B2 (en) Electric garlic cooker
US4316447A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KR102239556B1 (ko) 다기능 냄비
JP2003265309A (ja) 電磁プレート及び電子レンジ対応の調理容器
KR200260148Y1 (ko) 육류 구이판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200146072Y1 (ko) 속성 떡볶이 제조기
JPH06125755A (ja) 容器入り冷凍食品
KR200285173Y1 (ko) 컵라면용기
KR200320853Y1 (ko) 조리용 용기
KR200414873Y1 (ko) 향발생구이판
KR100679537B1 (ko) 구이기
KR200235488Y1 (ko) 조리용 용기
KR101945939B1 (ko) 찜기 겸용 전골냄비
KR200297362Y1 (ko)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KR200292211Y1 (ko) 다단의 타공판을 구비한 찜통
KR200294400Y1 (ko)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KR200353633Y1 (ko) 다중 밥솥
KR200393080Y1 (ko) 고기 구이판
KR200257721Y1 (ko) 조리공간이 분할된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