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726Y1 - 냄비 - Google Patents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726Y1
KR200455726Y1 KR2020090016825U KR20090016825U KR200455726Y1 KR 200455726 Y1 KR200455726 Y1 KR 200455726Y1 KR 2020090016825 U KR2020090016825 U KR 2020090016825U KR 20090016825 U KR20090016825 U KR 20090016825U KR 200455726 Y1 KR200455726 Y1 KR 200455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main body
space
rail
pou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637U (ko
Inventor
권우상
Original Assignee
(주) 씨제이오쇼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제이오쇼핑 filed Critical (주) 씨제이오쇼핑
Priority to KR2020090016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2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따르기 홈이 마련되어 냄비에서 조리되는 내용물 중 액체 성분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고, 냄비의 손잡이를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냄비를 씻어 보관할 때 공간 활용성을 높인 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공간부에서 조리되는 내용물 중 액체 성분을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부쪽에 마련되는 따르기홈; 상기 본체의 상단부 중 상기 따르기 홈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레일; 상기 따르기홈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 상단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냄비{Pot}
본 고안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따르기 홈이 마련되어 냄비에서 조리되는 내용물 중 액체 성분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고, 냄비의 손잡이를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냄비를 씻어 보관할 때 공간 활용성을 높인 냄비에 관한 것이다.
냄비란 조리를 할 때 내용물에 열을 가하기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방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조리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냄비는 일반적으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손잡이(2) 및 냄비 뚜껑(3), 뚜껑 손잡이(4)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냄비를 보관할 때에는 적재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작은 크기의 본체를 가진 냄비를 큰 크기의 본체를 가지는 냄비속에 집어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냄비를 보관할 때 손잡이는 작은 냄비를 큰 냄비에 집어 넣을때 방해되는 요소이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을 하면서 냄비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냄비에서 조리되는 내용물 중 액체 성분을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국자를 사용하기도 하고 냄비를 들어 액체 성분을 따라내기도 하는데, 국자를 사용하는 경우 깔끔하게 액체성분을 옮길 수 있지만 국자의 용량이 적어 여러 번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많은 양의 액체 성분을 옮기는 경우에는 냄비를 직접들어 그 속의 액체 성분을 따라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액체 성분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곳에 흐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종래의 냄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손잡이와 관련된 문제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하면서 냄비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된 음식물 중 액체 성분을 보다 깔끔하게 따라낼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공간부에서 조리되는 내용물 중 액체 성분을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부쪽에 마련되는 따르기홈;
상기 본체의 상단부 중 상기 따르기 홈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레일;
상기 따르기홈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 상단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경기술에서 기술된 냄비의 손잡이와 관련된 문제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하면서 냄비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된 음식 물 중 액체 성분을 보다 깔끔하게 따라낼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냄비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Ⅴ-Ⅴ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Ⅵ-Ⅵ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여러 개의 냄비를 보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냄비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따르기 홈(20), 레일(30), 손잡이(40) 및 뚜껑(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그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11)를 가진다.
상기 따르기 홈(20)은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단부쪽에 마련되는 홈이다.
상기 레일(30)은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중 상기 따르기 홈(20)을 제외한 부분에 마련되며, 도 4 및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쪽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따르기 홈(2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쪽에 끼워지며 레일(30)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뚜껑(5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쪽에 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된 각 구성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 다.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공간부(11)를 가져 그 공간부 내에서 음식이 조리된다. 물론 음식물을 조리하지 않고, 단순히 물을 끓이거나 빨래를 삶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따르기 홈(20)은 본체(10)의 공간부(11)에서 조리되는 음식 물 중 액체성분을 본체(10)의 외부로 따를 때 보다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냄비의 경우 이러한 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액체를 따를때 흘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본 고안에 의할 경우 따르기 홈(20)을 따라서만 액체 성분을 따를 수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가 해결되는 기능, 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따르기 홈(20)은 상기 손잡이(40)를 레일(30)에 끼우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본체(10)를 운반할 때 사용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만 따르기 홈(20)을 통하여 레일(30)에 끼워 사용하게 되며, 보관할 때 등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손잡이(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여러 개의 냄비가 포개져 보관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40)가 본체(10)에 고정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으로 냄비를 겨쳐서 보관할 수 없는데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40)를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여러 개의 냄비를 보관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작용 및 효과를 수행한다.
상기 뚜껑(50)은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폐쇄한 경우 공간부(11)에서 음식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기도 하고, 조리 중에 이물질이 음식물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냄비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냄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냄비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Ⅴ-Ⅴ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Ⅵ-Ⅵ선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여러 개의 냄비를 보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따르기 홈
30 : 레일 40 : 손잡이
50 : 뚜껑

Claims (1)

  1.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공간부에서 조리되는 내용물 중 액체 성분을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부쪽에 마련되는 따르기홈;
    상기 본체의 상단부 중 상기 따르기 홈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공간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레일;
    상기 따르기홈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 상단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KR2020090016825U 2009-12-24 2009-12-24 냄비 KR200455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25U KR200455726Y1 (ko) 2009-12-24 2009-12-24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25U KR200455726Y1 (ko) 2009-12-24 2009-12-24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37U KR20110006637U (ko) 2011-06-30
KR200455726Y1 true KR200455726Y1 (ko) 2011-09-21

Family

ID=4508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825U KR200455726Y1 (ko) 2009-12-24 2009-12-24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70A (ko) 2018-05-21 2019-11-29 박기운 냄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47Y1 (ko) * 1993-07-13 1996-03-06 금덕현 주방용 남비
JP2004174188A (ja) 2002-11-27 2004-06-24 Masao Nakamura 鍋の柄を360度着脱を随意に出来る様にした片手鍋及び両手鍋の兼用鍋とその柄
KR20070000036U (ko) * 2006-12-12 2007-01-05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KR20080085417A (ko) * 2007-03-20 2008-09-24 임기태 다기능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47Y1 (ko) * 1993-07-13 1996-03-06 금덕현 주방용 남비
JP2004174188A (ja) 2002-11-27 2004-06-24 Masao Nakamura 鍋の柄を360度着脱を随意に出来る様にした片手鍋及び両手鍋の兼用鍋とその柄
KR20070000036U (ko) * 2006-12-12 2007-01-05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KR20080085417A (ko) * 2007-03-20 2008-09-24 임기태 다기능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70A (ko) 2018-05-21 2019-11-29 박기운 냄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37U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0120A (ko) 다기능 조리용기
CN211795799U (zh) 烹饪器具
KR200455726Y1 (ko) 냄비
CN201855112U (zh) 多功能防溢锅
CN202698935U (zh) 一种漏勺
KR101190506B1 (ko) 덮개가 구비된 국자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CN211380756U (zh) 电饭煲
KR200391537Y1 (ko) 채반이 형성된 면류용 냄비
KR101146362B1 (ko) 조리용기
CN103099559A (zh) 半网汤瓢
CN217488378U (zh) 一种多用锅套装
JP3175357U (ja) 急須
JP3124688U (ja) 調理鍋及び電子レンジ用調理鍋
CN211212695U (zh) 一种便于开合的不滴水锅盖
KR200337208Y1 (ko) 양면 프라이팬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KR20130032996A (ko) 국자
KR20190135628A (ko) 구멍 냄비
RU181192U1 (ru) Крышка чайника
CN202027395U (zh) 家用的防油溅的锅
JPH11244138A (ja) 炊飯器
CN209807982U (zh) 一种多功能电煮锅
KR20110006635U (ko) 냄비
JP3211624U (ja) 電子レンジ調理用蒸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