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408B1 -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408B1
KR102204408B1 KR1020190092792A KR20190092792A KR102204408B1 KR 102204408 B1 KR102204408 B1 KR 102204408B1 KR 1020190092792 A KR1020190092792 A KR 1020190092792A KR 20190092792 A KR20190092792 A KR 20190092792A KR 102204408 B1 KR102204408 B1 KR 10220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upling rod
container
plat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영 filed Critical 김미영
Priority to KR102019009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47J27/64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 고기, 곡물 등과 같은 조리재료를 조리수에 담근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하거나 식사를 할 때, 사용자의 조리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조리명령에 따라 조리재료가 놓인 조리판을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는, 밑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제1 결합봉(112)이 설치된 용기 본체(110)와, 밑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결합봉(122)이 설치된 조리판(120)을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밑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3 결합봉(212)이 설치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 방향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20)과,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가열판(230)으로 구성되는 본체부(200)와;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3 결합봉(212)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36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용기 위치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Steam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adjustable location of cooking containers}
본 발명은 가열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 고기, 곡물 등과 같은 조리재료를 조리수에 담근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하거나 식사를 할 때, 사용자의 조리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조리명령에 따라 조리재료가 놓인 조리판을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 민족들은 전통적으로 상 위에 신선로를 놓고 다양한 음식재료를 끓여가면서 먹었는데, 일반적으로 신선로는 구리나 놋쇠와 같은 굽 높은 대접 비슷하게 만든 것으로서, 가운데에 숯불을 담는 통이 있고, 통 둘레에 여러 가지 음식을 끓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사람은 전기나 가스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신선로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에는 일반적이지는 않은 상황이다.
한편, 최근 들어 식생활의 웰빙화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많은 사람이 지방질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샤브샤브를 즐겨 먹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샤브샤브는 가스나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의 내부에 들어있는 육수를 가열하면서 다양한 고기나 야채를 육수에 넣어 살짝 익혀 먹어야 하기 때문에 가열기구가 신선로와 같이 식탁 위에 배치하거나 식탁의 중앙부분을 도려낸 전용식탁에 조리 용기를 설치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9219호 (2013년05월23일)에는 냄비의 본체에 내장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며 유입홀과 배출홀을 가져 샤브샤브, 데우기 찜 등의 요리가 가능하고, 요리시에 본체에서 조리되고 있는 조리수나 요리 대상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서 유입되는 증기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리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2455호 (2018년11월21일)에는 찜과 같은 요리는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 샤브샤브 등의 여러 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이고, 컨트롤박스에서 출력을 조절하여 자동조절밸브로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작동시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영업용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조리용기의 내부에 조리수를 넣은 상태에서 대략 100도 범위 내에서 조리재료를 조리수를 일정 시간 직접 또는 간접방식으로 가열하면서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먹기 때문에 식사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조리수의 맛이 지나치게 짜져 염분 함유량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용기의 밑판에 조리재료가 쉽게 눌러 붙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조리수의 내부에 조리재료를 넣은 상태에서 조리를 할 때, 사용자의 조작명령 또는 설정에 따라 조리판에 올려진 조리재료가 조리수의 바깥으로 상승하거나 다시 조리수의 내부로 하강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가열식 조리기기는, 가열판의 상부면에 평평한 형상의 조리용기의 밑면이 서로 면접 되도록 배치되는데, 용기 본체의 밑면이 가열판으로 부터 오랜 시간 열을 받게 되면, 용기 본체의 밑면의 중심부분의 형상이 최초 평평한 형상에서 하측이나 상측 방향으로 변형되어, 결국 가열판의 상부면에 용기 본체의 밑면이 안착될 때 중심부에서 일정한 간극이 발생되어 가열판에서 상부방향으로 제공되는 열의 전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9219호 (2013년05월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2455호 (2018년11월21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직접 가열방식의 조리기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채, 고기, 곡물 등과 같은 조리재료를 조리수에 담근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하거나 식사를 할 때, 사용자의 조리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조리명령에 따라 조리재료가 놓인 조리판을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판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용기 본체의 밑면이 가열판으로 부터 오랜 시간 열을 받게 되더라도 용기 본체의 밑면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리판 또는 용기 본체가 용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안착시, 용기 장착부의 결합봉의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의 이동으로 인해 조리판 또는 용기 본체에 걸렸던 자장의 잔류 자력의 세기를 약화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는,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제1 결합봉(112)이 설치된 용기 본체(110)와, 밑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결합봉(122)이 설치된 조리판(120)을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 본체(110)가 안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3 결합봉(212)이 설치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방향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20)과,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가열판(230)으로 구성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제3 결합봉(21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3 결합봉(212)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제1 영구자석(360) 또는 전자석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용기 위치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리판(120)은 상기 영구자석(350) 또는 전자석의 승강 또는 하강시 상기 제1 영구자석(360) 또는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에 따르면, 야채, 고기, 곡물 등과 같은 조리재료를 조리수에 담근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하거나 식사를 할 때, 사용자의 조리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조리명령에 따라 조리재료가 놓인 조리판을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중간에 조리수의 염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리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조리수를 자체적으로 구비한 히터를 이용하여 직접 끓여 가면서 먹는 종래의 방식보다는 조리재료를 쉽게 건질 수 있어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이 공통체가 함께 식사할 때에 위생적인 식생활을 갖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판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용기 본체의 밑면이 가열판으로 부터 오랜 시간 열을 받게 되더라도 용기 본체의 밑면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열판에서 용기 본체로 전달되는 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판 또는 용기 본체가 용기 장착부의 상부면에 안착시, 용기 장착부의 결합봉의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의 이동으로 인해 조리판 또는 용기 본체에 걸렸던 자장의 잔류 자력의 세기를 약화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시 조리 용기를 용기 본체에서 분리하거나 용기 본체를 용기 장착부에서 분리시 용기 장착부의 결합봉에 잔류하는 자력 저항이 약회되거나 상쇄되어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본체부 및 용기 위치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조리판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가열판과 용기 본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에 두개의 영구자석이 설치된 경우 자력의 상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본체부 및 용기 위치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는,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관형상의 제1 결합봉(112)이 설치며, 외주면에 용기 한 쌍의 손잡이(114)가 형성된 용기 본체(110)와, 밑면 중심부에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제2 결합봉(122)이 설치된 조리판(120)과,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일정 폭의 단턱(118)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용기 뚜껑(130)을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용기 본체(110)가 안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 중심부에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제3 결합봉(212)이 설치되는 용기 장착부(210)와,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방향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20)과, 용기 장착부(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가열판(230)과, 하우징(22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전면 돌출부(2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리명령을 인가 또는 설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부(240)와, 조작 패널부(240), 가열판(230), 및 용기 위치 조절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작 패널부(240)의 조리명령에 따라 가열판(230) 및 용기 위치 조절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로 구성되는 본체부(200)와, 제3 결합봉(21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3 결합봉(212)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제1 영구자석(360) 또는 전자석(미도시)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용기 위치 조절부(300)로 구성된다.
한편, 조리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 중심부에 상부방향으로 관형상의 제2 결합봉(122)이 설치된 원형의 밑판(121)과, 조리재료를 일정 높이로 수용하기 위해 용기 본체(110)의 상부 내벽에 거취 되도록 밑판(121)의 외주면에서 상측 및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 테두리부(128)와, 조리재료는 통과되지 않으나 조리수는 통과되는 크기로 밑판(121) 및 걸림 테두리부(128)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조리수 배출공(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밑판(121) 및 걸림 테두리부(128)는 물에 접촉되어도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레스나 코팅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결합봉(122)은 자석 또는 영구자석에 붙는 철(Fe)성분이 포함된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 테두리부(1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판(120)의 상부면에 놓이는 음식재료의 용량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음식재료가 용기 본체(110)의 내부나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조리판(120)의 높이(h2)는 용기 본체(110)의 높이(h2')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 뚜껑(130)의 상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뚜껑 손잡이(132)와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3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이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에 삽입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의 내경(d2)은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경(d1) 보다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경(d1)은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내경(d3) 보다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결합봉의 내경은 d2>d1>d3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의 상단면 및 하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에 삽입된 상태로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 및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상단면은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상단면(113)이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상단면(213)에 안착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하단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봉(112), 제2 결합봉(122), 제3 결합봉(21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 또한 밑면 중심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열판(230)은 시스 히터(sheath heater) 또는 유도 히터(induction heater)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30)의 상단면에는 중심부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 형상의 제1 돌출면(236)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가열판(230)의 상단면에 형성된 환형 형상의 제1 돌출면(236)에 상응하는 용기 본체(110)의 밑면에도 제1 돌출면(236)의 상부면에 안착 되도록 환형의 제2 돌출면(116)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 본체(110)의 상단면에 형성된 환형 형상의 제2 돌출면(116)에 상응하는 조리 용기(120)의 밑판(121)에도 제2 돌출면(116)의 상부면에 안착 되도록 환형의 제3 돌출면(126)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10)가 용기 장착부(210)의 상부에 장착된 가열판(23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조리 용기(120)가 용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30)의 중심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환형 형상의 제1 돌출면(236)과 제1 돌출면(236)의 좌우측에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비돌출면의 상부면에, 용기 본체(110)의 밑면에 형성된 제2 돌출면(116)과 제2 돌출면(116)의 좌우측에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비돌출면이 간극이 없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밑면에 형성된 제2 돌출면(116)과 제2 돌출면(116)의 좌우측에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비돌출면의 상부 면에, 조리 용기(120)의 밑판(121)에 형성된 제3 돌출면(126)과 제3 돌출면(126)의 좌우측에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비돌출면이 간극이 없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10)의 밑면이 가열판(230)으로 부터 오랜 시간 열을 받게 되더라도 용기 본체(110)의 밑면의 강도가 향상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판(230)에서 용기 본체(110)로 전달되는 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 돌출면(236), 제2 돌출면(116), 또는 제3 돌출면(126)은 각각의 가열판(230)의 밑면, 용기 본체(110)의 밑면, 조리판(120)의 밑판(121)의 전체 면적 대비 40~60% 돌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돌출면(236), 제2 돌출면(116), 또는 제3 돌출면(126)의 형상 또는 환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조작 패널부(240)에는 상승버튼, 하강버튼, 자동상승/하강버튼, 표시판, 전원버튼, 조리시간 설정버튼, 조리메뉴버튼을 구성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위치 조절부(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용기 장착부(210)의 밑면에 위치하는 하우징(220)의 설치공간에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고정판(310)의 밑면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20)와, 모터(320)의 구동축에 연결되도록 고정판(3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모터(320)의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응하게 회전되며,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기어이(332)가 형성된 회전 기어봉(330)과, 회전 기어봉(330)의 수직 설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고정판(31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회전 기어봉(330)의 외측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편(340)과, 안내편(340)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내주면은 기어이(332)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봉(3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응하게 기어이(332)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원통형의 이송 케이스(350)와, 이송 케이스(35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영구자석(3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안내편(340)은 한 쌍의 안내편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나, 내부가 보이지 않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안내편으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회전 기어봉(330) 또한 회동 가능한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회전 기어봉(330)의 내부에 수직 베이스(미도시)를 삽입하고, 수직 베이스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조리판(120)의 상승모드 또는 하강모드의 실행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회전방향과 회전수로 모터(3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회전 기어봉(330) 또한 모터(320)의 구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제1 영구자석(360)을 구비한 이송 케이스(350)가 회전 기어봉(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332)를 따라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 또는 하부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은 제1 영구자석(360)의 승강 또는 하강시 제3 결합봉(212)의 중심부로 잡아당기도록 제1 영구자석(360)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한다.
여기서, 영구자석은 전류의 공급과 상관없이 항상 자기(磁氣)를 유지할 수 있는 자석으로,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동심원 모양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석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전자석에는 자석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하단부에는 도 4,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봉(212)의 중심부로 잡아당기는 제1 영구자석(360)의 자장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제3 결합봉(21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자력을 갖는 제2 영구자석(370) 또는 전자석(미도시)이 구비되되, 제1 영구자석(360)에서 발생되는 자력의 크기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2 영구자석(370)은 용기 본체(110) 또는 조리판(120)을 분리시킬 때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영구자석(360)의 이동으로 인해 조리판(120) 또는 용기 본체(110)에 걸렸던 자장의 잔류 자력의 세기를 약화시키거나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영구자석(370)의 자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제1 영구자석(360)의 자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조리판(120)의 상부에 조리재료가 많이 올라간 경우에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이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시 조리 용기(120)를 용기 본체(110)에서 분리하거나 용기 본체(110)를 용기 장착부(210)에서 분리시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에 잔류하는 자력 저항이 약회되거나 상쇄되어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용기 장착부(210)의 상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110)의 안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원차단 스위치(216)를 구비하며, 제어부(250)는 전원차단 스위치(216)가 용기 장착부(210)의 상부면에 조리 용기(110)가 안착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의 조리명령이 인가되더라도 전원 공급부에서 가열판(230)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1) 가열식 조리기기의 초기화 상태 준비
사용자가 조리 용기부(100)의 용기 본체(110)를 용기 장착부(210)에 안착시키고,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조리수를 조리용량에 맞게 넣은 후 조리판(120)을 용기 본체(220)의 밑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시키고, 조리판(120)의 상부면에 적정량의 조리재료를 올려 놓는다.
(2)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조리동작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 패널부(240)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조리메뉴(예를 들어, 샤브샤브, 훈제, 밥 등) 중 원하는 조리메뉴와 복수의 조리분량(예를 들어, 1인분, 2인분, 3인분, 4인분 등) 중 원하는 조리분량을 선택하고, 조리시작 버튼을 누른다.
이때,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인가한 조리명령에 따라 가열부재(230)를 동작시켜 용기 본체(110)에 담긴 조리수를 가열한다.
이때 사용자는 조리판(120)의 상단면에 올려놓은 상태로 조리중인 조리재료의 상태에 따라 조작 패널부(240)를 조작하여 조리판(120)을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상승버튼을 선택하거나, 조리판(120)을 미리 설정된 하부 위치(용기 본체(110)의 밑면에 안착되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하강버튼을 선택하거나, 또는 조리판(120)을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하강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자동 상승/하강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식의 종류와 조리특성에 따라 짜거나 타지 않도록 조리판(120)을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키거나, 하부 위치까지 하강시키면서 만들어진 음식을 먹을 수 있다.
(3) 가열식 조리기기의 조리판의 상승 또는 하강모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이 제1 영구자석(360)의 승강 또는 하강시 제1 영구자석(360)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조리판(120)의 상승모드 또는 하강모드의 실행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회전방향과 회전수로 모터(3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선택된 모드에 상응하도록 상승모드에서는 정회전 방향으로 3초간 회전시키고, 하강모드에서는 역회전 방향으로 3초간 회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모터(32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되는데,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회전 기어봉(330)이 모터(320)의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응하게 회전된다.
이때, 제1 영구자석(360)을 구비한 이송 케이스(350)가 회전 기어봉(330)의 회전에 상응하게 회전 기어봉(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332)를 따라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 또는 하부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은 철 성분이 포함된 금속재질이므로, 제1 영구자석(360)에서 제3 결합봉(212)의 중심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걸리는 자력에 의해서 제1 영구자석(360)의 상승 또는 하강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4) 조리판 또는 용기 본체의 분리
사용자는 세척과 같이 필요에 따라 조리판(120)을 용기 본체(110)로 부터 분리하거나 용기 본체(110)를 용기 장착부(210)으로 부터 분리할 수 있는데,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하단부에 제3 결합봉(212)의 중심부로 잡아당기는 제1 영구자석(360)의 자장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3 결합봉(21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자력을 갖는 제2 영구자석(370)이 구비되어 있어,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영구자석(360)의 이동으로 인해 조리판(120) 또는 용기 본체(110)에 걸렸던 자장의 잔류 자력의 세기를 약화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조리 용기(120)를 용기 본체(110)에서 분리하거나 용기 본체(110)를 용기 장착부(2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조리 용기부 110 : 용기 본체
112 : 제1 결합봉 113 ; 상단면
114 : 용기 손잡이 116 : 제2 돌출면
118 : 단턱 120 : 조리판
121 : 밑판 122 : 제2 결합봉
124 : 조리수 배출공 126 : 제3 돌출면
128 : 걸림 테두리부 130 : 용기 뚜껑
132 : 뚜껑 손잡이 134 : 배출공
200 : 본체부 210 : 용기 장착부
212 : 제3 결합봉 213 : 상단면
216 : 전원차단 스위치 220 : 하우징
222 : 전면 돌출부 230 : 가열판
236 : 제1 돌출면 240 : 조작 패널부
250 : 제어부
300: 용기 위치 조절부 310 : 고정판
320 : 모터 330 : 회전 기어봉
332 : 기어이 340 : 안내편
350 : 이송 케이스 360,370 : 영구자석

Claims (7)

  1.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제1 결합봉(112)이 설치된 용기 본체(110)와, 밑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결합봉(122)이 설치된 조리판(120)을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 본체(110)가 안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3 결합봉(212)이 설치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방향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20)과,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가열판(230)으로 구성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제3 결합봉(21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3 결합봉(212)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360) 또는 전자석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용기 위치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리판(120)은 상기 영구자석(360) 또는 전자석의 승강 또는 하강시 상기 영구자석(360) 또는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부(10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일정 폭의 단턱(118)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용기 뚜껑(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리명령을 인가 또는 설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부(240)와, 상기 조작 패널부(240), 상기 가열판(230), 및 상기 용기 위치 조절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 패널부(240)의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가열판(230) 및 상기 용기 위치 조절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에 삽입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의 내경(d2)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경(d1) 보다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내경(d1)은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내경(d3) 보다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에 삽입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 및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상단면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제1 결합봉(112)의 상단면(113)이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12)의 상단면(213)에 안착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막힌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반면 하단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120)은,
    밑면에 상부방향으로 상기 제2 결합봉(122)이 설치된 밑판(121)과;
    조리재료를 일정 높이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부 내벽에 거취 되도록 상기 밑판(121)의 외주면에서 상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 테두리부(128)와;
    조리재료는 통과하지 않으나 조리수는 통과되는 크기로 상기 밑판(121) 및 상기 걸림 테두리부(128)에 형성된 다수개의 조리수 배출공(1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230)의 상단면에는 중심부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 형상의 제1 돌출면(236)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면(236)에 상응하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밑면에도 상기 제1 돌출면(236)의 상부면에 안착 되도록 환형의 제2 돌출면(116)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위치 조절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용기 장착부(210)의 밑면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220)의 설치공간에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밑면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320)의 구동축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판(3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320)의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응하게 회전되며,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기어이(332)가 형성된 회전 기어봉(330)과;
    상기 회전 기어봉(330)의 수직 설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고정판(3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 기어봉(330)의 외측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편(340)과;
    상기 안내편(340)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내주면은 상기 기어이(332)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봉(3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응하게 상기 기어이(332)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내부에 상기 영구자석(360)을 구비한 이송 케이스(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190092792A 2019-07-31 2019-07-31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KR10220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92A KR102204408B1 (ko) 2019-07-31 2019-07-31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92A KR102204408B1 (ko) 2019-07-31 2019-07-31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408B1 true KR102204408B1 (ko) 2021-01-18

Family

ID=7423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92A KR102204408B1 (ko) 2019-07-31 2019-07-31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4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300Y1 (ko) * 2004-08-12 2004-11-04 김성곤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1269219B1 (ko) 2011-03-03 2013-05-30 오재탁 다기능 조리용기
CN208096622U (zh) * 2017-09-13 2018-11-16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火锅炒菜机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8-11-27 정동헌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KR102046804B1 (ko) * 2019-07-04 2019-11-21 김미영 조리용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식 조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300Y1 (ko) * 2004-08-12 2004-11-04 김성곤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1269219B1 (ko) 2011-03-03 2013-05-30 오재탁 다기능 조리용기
CN208096622U (zh) * 2017-09-13 2018-11-16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火锅炒菜机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8-11-27 정동헌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KR102046804B1 (ko) * 2019-07-04 2019-11-21 김미영 조리용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식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455B2 (en) Pasta cooking device and method
US960997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EP2705780A2 (en) Pressure cooker for cooking noodles
EP1696774B2 (en) Fryer
US20040159244A1 (en) Electric wok having food processor with automatic feed
CN106361175A (zh) 一种具有烤箱及炒锅功能的多功能空气炸锅
KR2015005254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CN109044083B (zh) 一种具有翻炒功能的炒菜机
CN204427667U (zh) 一种自动炒锅
KR101443456B1 (ko) 히터의 높낮이 조절식 양면 전기 구이 그릴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102204408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CN213882822U (zh) 一种自动炒菜机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2178997B1 (ko) 가열식 조리기기
KR20060095245A (ko) 곡물 볶음 냄비
CN105559516B (zh) 全自动电炒锅
CN210354289U (zh) 一种自动烹饪机
JP7190728B2 (ja) 電磁調理器用食器
CN205410938U (zh) 一种加工汉堡的滑槽烤盘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CN205410930U (zh) 汉堡的活动支架烤盘
CN209172056U (zh) 烤盘组件和烹饪装置
KR101280021B1 (ko) 다기능 구이판
KR102446195B1 (ko) 볶음류용 자동 음식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