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455B1 -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455B1
KR101922455B1 KR1020170184592A KR20170184592A KR101922455B1 KR 101922455 B1 KR101922455 B1 KR 101922455B1 KR 1020170184592 A KR1020170184592 A KR 1020170184592A KR 20170184592 A KR20170184592 A KR 20170184592A KR 101922455 B1 KR101922455 B1 KR 10192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container
discharg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헌
Original Assignee
정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헌 filed Critical 정동헌
Priority to KR102017018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선히터(191)를 갖춘 가열부(190)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여 내장된 가열부(190)에서 가열하는 전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저수통(160)을 감싸고 보호 수용하는 본체케이스(110)와, 이 본체케이스(110)의 상부에 지지 고정되어 조리용기(130)를 수용하여 받쳐 줄 수 있도록 저수통(160) 상부에 받침대(162)에 의해 받쳐져 조립되는 용기받침통(120)과, 상기 본체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되어 증기 가열에 의한 조리에 필요한 조건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내장된 컨트롤박스(14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받침통(120) 저면에는 조리용기(130)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증기조절배출부(180)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받침통(120)의 바닥면 중앙에는 증기조절배출부(180)의 증기배출관(184)에 연결되어 증기를 조리용기(130) 내부로 배출할 수 있는 돌출 설치되는 증기배출부(170)가 설치되며, 상기 증기조절배출부(180)는 저수통 내에서 가열부에 의해 발생된 증기가 빠져나오는 증기공급관(163)과 연결되어 있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Steam type multi functional cooker}
본 발명은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찜과 같은 요리는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 샤브샤브 등의 여러 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이고, 컨트롤박스에서 출력을 조절하여 자동조절밸브로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작동시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영업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활의 다양함과 외식산업의 발전으로 외식문화가 번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음식점에서는 다양한 메뉴에 한정하여 구이, 전골, 볶음요리 등 다양한 음식 메뉴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음식을 요리하는 냄비는 그 용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식물 요리 종류에 따라 맞는 냄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찌개나 조림 등과 같이 조리 대상물을 물에 끓여 익힘과 동시에 끓는 물의 일부는 증기로 증발시켜 간을 맞추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조리 대상물이 담길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냄비를 사용하고, 밥을 취사하고자 할 때는 증기가 새어나가 밥이 설거나 뜸이 덜 들지 않도록 압력솥을 사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고구마, 감자, 만두, 생선 등의 찜 요리에는 찜통 등을 사용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냄비는 그 용도가 정해져 있어, 다른 용도로 요리를 하는데 사용할 수 없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냄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요리를 하나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었다면 좋겠다는 요구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종래 음식점 등에서의 음식 조리는 선택된 메뉴에 맞게 구이용 로스터, 전골 또는 볶음용 로스터를 통하여 조리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음식점들에서는 원형이나 사각테이블의 중앙에 가열용 로스터를 설치하여 즉석에서 고기류나 찌개류 등을 조리해 가며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점에 설치된 로스터는 단일 메뉴에 한해서 조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구이용 로스터에서는 육류 등을 굽기 위한 로스터로만 사용하고, 찌개류 등을 조리할 경우에는 별도의 휴대용 로스터를 별도로 테이블 위에 올려 조리하거나 음식점의 주방에서 별도로 조리하여 손님들에게 제공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7631호(2013.6.21. 공고)에는 복합조리용 로스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277631호에 개시된 복합조리용 로스터는 1열 및 2열 가열버너를 구비하는 로스터를 제공함으로써, 한 곳에서 다양한 볶음요리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조리 요리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복합조리용 로스터는 테이블 상면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용 화력을 발생하기 위한 1열 및 2열의 가열버너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부설되어 가열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화조절스위치와, 상기 가열버너의 상단부에 구획 수납되어 각각의 조리용 음식들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버너의 가열을 받는 조리용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요리들이 개별 또는 동시에 조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음식 테이블에서 다양한 복합 요리를 조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복합조리용 로스터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85417호(2008.9.24, 공개), 등록특허공 제1269219호(2013.5.30,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2087호(2004.2.14. 공고)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최근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가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는 바, 본 출원인은 증기 가열식의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꾸준히 연구 개발하여 새로운 형태의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7631호(2013.6.21. 공고, 명칭: 복합조리용 로스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85417호(2008.9.24. 공개, 명칭: 다기능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 세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 제1269219호(2013.5.30, 공고, 명칭: 다기능 조리용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2087호(2004.2.14. 공고, 명칭: 다기능 조리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찜과 같은 요리는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 샤브샤브 등의 여러 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이고, 컨트롤박스에서 출력을 조절하여 자동조절밸브로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작동시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영업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선히터를 갖춘 가열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여 내장된 가열부에서 가열하는 전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저수통을 감싸고 보호 수용하는 본체케이스와, 이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지지 고정되어 조리용기를 수용하여 받쳐 줄 수 있도록 저수통 상부에 받침대에 의해 받쳐져 조립되는 용기받침통과, 상기 본체케이스와 별도로 마련되어 증기 가열에 의한 조리에 필요한 조건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내장된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받침통 저면에는 조리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증기배출조절부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받침통의 바닥면 중앙에는 증기조절배출부의 증기배출관에 연결되어 증기를 조리용기 내부로 배출할 수 있게 돌출 설치되는 증기배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증기배출조절부는 저수통 내에서 가열부에 의해 발생된 증기가 빠져나오는 증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통의 상단면에는 저수통의 상단에서 가열부쪽으로 관통 설치되어 저수통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와, 저수통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와, 저수통 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 및 과도한 증기압으로 인해 저수통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조절부는 증기 흐름통로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증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증기공급관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증기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증기조절밸브 및 구동모터는 고정브라켓을 통해서 용기받침통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를 분할판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하고, 각각 분할된 구역에 증기배출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증기 가열방식에 의해 두 가지 조리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배출부는 증기배출관과 연결되면서 내부에 증기배출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용기받침통의 저면에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된 형태로 밀착 설치되어 용기받침통의 바닥면 위로 일부가 돌출 형성된 원통 구조의 증기배출받침대와, 이 증기배출받침대의 상단에서 증기배출통로 상에 삽입 안착되어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해서 증기배출통로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가 수용되어 일정 간극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다수의 증기배출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조리용기의 증기배출부설치공을 통해서 조리용기 내부로 돌출 배치된 증기배출받침대의 상단부위에 끼워져 조립되는 증기배출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가열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찜과 같은 요리는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 샤브샤브 등의 여러 가지 요리가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로 활용될 수 있고, 제어판에서 출력을 조절하여 자동조절밸브로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작동시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영업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전자적인 제어밸브를 적용하여 컨트롤박스에서 터치만 하면 증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온도, 압력, 증기량과 같은 조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 압력제어, 온도 제어와 같은 각종 조건들을 지능형으로 자동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최우선 시 하면서 고효율의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가 조리용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의 외관 구성을 보여주는 실물 샘플사진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각 부위를 분리한 상태의 실물 샘플사진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본체케이스 내 가열부와 조리용기의 분리된 조립상태의 실물 샘플사진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의 가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요부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서 조리용기와 증기배출부의 배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요부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서 증기배출부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서 증기배출부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와 증기배출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서 증기배출부의 제1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예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서 증기배출부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에서 증기배출부의 제2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예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가 분할판으로 분할되어 증기배출부가 각각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판으로 분할된 조리용기와 증기배출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양측면", "저면", "상방", "하방" 등과 같은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혹은 명칭)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부여되는 용어로써, 용어 자체의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 및 배열 관계의 변화에 따라 방향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른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 자체 또한 변경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구성에 대해서 도시하거나 기술하지 않고 생략될 수 있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테이블(2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로써, 증기를 발생시켜서 찜과 같은 요리는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 샤브샤브 등의 여러 가지 요리가 가능하고, 영업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구(100)이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테이블(200) 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조리기구(100) 자체를 외부로 그대로 노출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의 조리기구(100)는 전기를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여 증기(즉, 스팀)를 발생시켜 조리를 하는 조리기구인 관계로,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곳에 배치하여 사용해야 함은 당연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크게,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부(190)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스(110)와, 이 본체케이스(110)의 상부에 지지 고정되어 조리용기(130)를 수용하여 받쳐 줄 수 있는 용기받침통(120)과, 증기 가열에 의한 조리에 필요한 조건을 자동 제어할 수 있게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내장된 컨트롤박스(1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0)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금속재 재질로 제작되어 가열부(190)를 보호하면서 조리기구(100)의 외관미를 살려주는 조리기구의 본체이다.
상기 본체케이스(1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200) 상면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열부(190)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있는 관계로, 가열부(19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빠르게 냉각시켜 줄 수 있는 다수의 통기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하단부위에는 본체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190)는 물(예를 들어, 청수)을 공급받아 수용한 다음,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열선히터(191, 도 5 참조)를 통해서 가열함으로써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물공급관(113)과, 가열부(190)의 저수통(160, 도 5 참조)에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배출할 수 있는 배수관(112)을 갖추고 있다.
물론, 상기 본체케이스(110) 내부의 가열부(19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114)도 본체케이스(110)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기받침통(120)은 본체케이스(11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조리용기(130)를 수용함과 아울러, 증기를 조리용기(130)로 공급할 수 있게 증기배출부(170)를 갖추고 있다.
상기 용기받침통(160)은 테이블(200) 위로 덮어져 장치 내부를 보호하면서 조리용기(130)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130)의 형상에 맞춰 플랜지 형태의 테두리가 형성된 형상구조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위에 증기배출부(170)가 용기받침통(120) 저면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용기받침통(120) 상에 조리용기(130)를 수용하지 않은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 형태의 덮개(151)를 덮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케이스(110) 및 용기받침통(120)의 직경은 대략 360㎜ 크기를 갖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이러한 규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이나 영업장 등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수요가 발생하게 되면, 얼마든지 그 규격은 설계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조리용기(130)는 찜이나 샤브샤브와 같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혹은 냄비) 형태의 용기로써, 용기받침통(120)에 안착시킬 수 있는 규격으로 설계된다.
물론, 상기 조리용기(130)는 음식을 조리하는 용기인 관계로, 조리용기(130)로 사용될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코팅 가능한 주지 관용적인 금속재 재질로 제조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조리용기(130)는 용기받침통(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선을 따라 플랜지 형태로 절곡된 용기테두리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조리용기(130)의 바닥면 중앙에는 증기배출부(170)를 관통 설치하기 위한 증기배출부설치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30)는 조리 과정에서 조리열을 보호하기 위한 뚜껑(150)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뚜껑(15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 부위에 강화유리와 같이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원반형 형태의 뚜껑(15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리용기(130) 측으로 증기 공급하기 위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부(190)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가열부(19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와 차단을 통해서 보호되게 된다.
상기 가열부(190)는 저수통 내에서 물과 접촉하여 발열에 위해 가열할 수 있는 열선히터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열선히터(191)는 통상적인 대략 원형에 가까운 형태의 열선을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발생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계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열선히터(191)는 하부플랜지판(192)과 상부플랜지판(193)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일정 높이에서 물을 가열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바, 이는 본 발명에 가열부(19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할 뿐 열선히터(191)의 배열 및 배치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열부(190)는 저수통(160) 내부에 삽입 수용되어 물과 접촉하는 관계로, 저수통(160)의 플랜지부(161)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가열부(190)의 하단에 원형의 가열부지지판(194)이 형성되고, 이 가열부지지판(194)은 지지대(195)를 통해 일정 높이로 지지 고정되게 된다.
상기 하부플랜지판(192)과 상부플랜지판(193) 사이에는 다수개의 보조지지대(196)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저수통(160) 내에 가열부(190)가 삽입 수용되어 물을 가열하는 관계로, 저수통(160) 내부에는 강한 증기압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도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100)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저수통(160)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따라 형성되는 증기압 조절 및 온도 조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들의 상태를 감지하고 조리기구(100)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저수통(160) 상에 다양한 감지센서 및 안전 보호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160)의 상단면에는 저수통(160)의 상단에서 가열부(190)쪽으로 관통 설치되어 저수통(160)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164)와, 저수통(160)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165)와, 저수통(160) 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167) 및 과도한 증기압으로 인해 저수통(160)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16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160) 상부로는 저수통(160) 내에서 발생된 증기를 조리용기 쪽으로 보내기 위한 증기공급관(163)이 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수통(160)은 용기받침통(120)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바, 이를 위해 저수통(160)의 상단면에 삼각 지지대 형태의 받침대(1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대(162) 상에 용기받침통(120)의 저면에 볼트 체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리기구는 조리되는 음식 종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리시간에 따라 조리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증기 공급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상기 저수통(160)에서 발생된 증기가 증기공급관(163)을 통해서 조리용기 내부로 전달될 때, 자동조절밸브로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용기받침통(120)의 저면쪽에 증기공급관(163)과 연결된 증기배출조절부(180)를 마련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배출조절부(180)는 증기 흐름통로(즉, 유로)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증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증기공급관(163)과 연결되어 구동모터(181)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증기조절밸브(18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증기조절밸브(183) 및 구동모터(181)는 고정브라켓(182)을 통해서 용기받침통(120)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조절밸브(183)의 일측에는 배출량이 조절된 증기를 조리용기(130) 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증기배출관(18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관(184)은 용기받침통(120)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 설치되는 증기배출부(17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17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증기배출부(170)의 구성을 2 개의 실시예로써 보여주고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부(170)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배출부(170)는 증기배출관(184)과 연결되면서 내부에 증기배출통로(172a)가 형성된 원통 구조의 증기배출받침대(171a)와, 이 증기배출받침대(171a)의 상단에서 증기배출통로(172a) 상에 삽입 안착되어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해서 증기배출통로(172a)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구(175a)와, 상기 개폐구(175a)가 수용되어 일정 간극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다수의 증기배출공(174a)이 일정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증기배출덮개(173a)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받침대(171a)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용기받침통(120)의 저면에 밀봉부재(176a)에 의해 밀봉된 형태로 밀착 설치되어 용기받침통(120)의 바닥면 위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증기배출받침대(171a)에 형성된 증기배출통로(172a) 중 일부 구간은 증기배출받침대(171a) 상단쪽에서 아래쪽으로 역삼각형 단면구조의 원뿔형의 통로 구조가 형성되며, 이 역삼각형 구조의 증기배출통로(172a) 상에 역삼감형 단면구조의 원뿔형 개폐구(175a)가 삽입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구(175a)가 삽입 안착된 증기배출받침대(171a) 부위는 조리용기(130)의 증기배출부설치공(131)을 통해서 조리용기(130) 내부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조리용기(130) 내부로 돌출 배치된 증기배출받침대(171a)의 상단부위에는 삿갓 형태로 상단면이 곡면지고 저면이 평탄한 원반형 구조의 증기배출덮개(173a)가 끼워져 조립되게 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덮개(173a)의 조립 부위에는 개폐구(175a)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이곳으로 증기배출관(184)을 통해 전달되는 증기가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증기는 증기배출덮개(173a)의 사방 측면으로 형성된 미세한 증기배출공(174a)을 통해서 조리용기(130)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부(170)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증기배출받침대(171b)의 형상에서 증기배출통로(172b)의 형상이 약간 변경됨과 아울러, 증기배출통로(172b)의 변경에 따라 개폐구(175b)의 형상이 탄알 형태로 변경된 것에 차이가 있을 뿐으로 그 배치 및 작용 관계를 유사하다.
즉, 상기 증기배출받침대(171b)의 상단 부위가 십자형으로 절개되어 증기가 빠져 나갈 수 있는 통로로 형성되어 있고, 증기배출받침대(171b) 내의 증기배출통로(172b)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증기배출통로(172b) 상에 탄알 형태의 개폐구(175b)가 삽입 안착되어 증기압에 의해서 상하 이동됨으로써, 증기배출받침대(171b)의 상단 부위에 형성된 증기배출통로(172b)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십자형으로 절개된 증기배출받침대(171b)의 상단 내주면에는 잠김와셔(177b)가 삽입 장착되어 상승하는 개폐구(175b)의 상단 부위를 잡아 주어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증기배출받침대(171b) 상단에 끼워지는 증기배출공(714b)이 형성된 증기배출덮개(173b) 및 밀봉부재(176b)는 제1실시예에서의 증기배출덮개(173a) 및 밀봉부재(176a)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상 구조 및 작용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리용기(130)에서 두 가지의 조리를 병행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130)를 분할판(133)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하고, 각각 분할된 구역에 증기배출부(170)를 설치함으로써, 증기 가열방식에 의해 두 가지 조리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68은 전원제어부(168)로 가열부(19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제어하고, 컨트롤박스(140)와 연결되어 각종 제어신호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면상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케이스(110) 내부의 가열부(190) 일측면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모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의 설치와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음식점이나 가정등의 테이블(200) 중심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테이블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조리기구의 본체케이스(110) 및 용기받침통(120)이 매립되는 형태로 삽입하여 조립하고, 그 테이블(200) 일측에 컨트롤박스(140)를 조립하여 사용자가 조작 및 제어 설정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10) 일측에 구비된 물공급관(113)과 생수통 혹은 정수기를 연결하여 저수통(160)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때, 물은 증기 상태로 조리용기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는 관계로 광천수 혹은 정수기로 정제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수기 등이 없는 경우에는 조리용기에 유입되도 문제가 없는 최대한 깨끗한 청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조리 후에 뜨거운 물이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관(112)을 열어서 저수통(16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바, 배수할 때에는 조리기구(100) 내 증기압력이 없음을 확인하고, 인체에 위해(危害)를 가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각종 전자적인 제어밸브를 적용하여 컨트롤박스(140)에서 터치만 하면, 증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온도, 압력, 증기량과 같은 조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 압력제어, 온도 제어와 같은 각종 조건들을 지능형으로 자동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100)는 용기받침통(120)의 상단부에 수용되는 개별 조리용기(130)에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조리요리(찜, 전골요리, 샤브샤브 등)등 다양한 조리 요리를 한 테이블(200)에서 바로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리용기(130)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다른 조리요리를 바로 조리할 수 있어 다양한 메뉴 선택에 따른 요리들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조리기구 110 : 본체케이스
111 : 통기공 112 : 배수관
113 : 물공급관 114 : 전원코드
120 : 용기받침통 130 : 조리용기
131 : 증기배출부설치공 132 : 용기테두리부
133 : 분할판 140 : 컨트롤박스
150 : 뚜껑 151 : 덮개
152 : 찜용 선반 160 : 저수통
161 : 플랜지부 162 : 받침대
163 : 증기공급관 164 : 온도감지센서
165 : 압력감지센서 166 : 안전밸브
167 : 수위감지센서 168 : 전원제어부
170 : 증기배출부 171a, 171b : 증기배출받침대
172a, 172b : 증기배출통로 173a, 173b : 증기배출덮개
174a, 174b : 증기배출공 175a, 175b : 개폐구
176a, 176b : 밀봉부재 177b : 잠금와셔
180 : 증기배출조절부 181 : 구동모터
182 : 고정브라켓 183 : 증기조절밸브
184 : 증기배출관 190 : 가열부
191 : 열선히터 192 : 하부플랜지판
193 : 상부플랜지판 194 : 가열부지지판
195 : 지지대 196 : 보조지지대

Claims (5)

  1.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선히터(191)를 갖춘 가열부(190)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여 내장된 가열부(190)에서 가열하는 전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저수통(160)을 감싸고 보호 수용하는 본체케이스(110)와,
    이 본체케이스(110)의 상부에 지지 고정되어 조리용기(130)를 수용하여 받쳐 줄 수 있도록 저수통(160) 상부에 받침대(162)에 의해 받쳐져 조립되는 용기받침통(120)과,
    상기 본체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되어 증기 가열에 의한 조리에 필요한 조건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내장된 컨트롤박스(14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받침통(120) 저면에는 조리용기(130)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증기조절배출부(180)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받침통(120)의 바닥면 중앙에는 증기배출조절부(180)의 증기배출관(184)에 연결되어 증기를 조리용기(130) 내부로 배출할 수 있게 돌출 설치되는 증기배출부(170)가 설치되며, 상기 증기배출조절부(180)는 저수통(160) 내에서 가열부(190)에 의해 발생된 증기가 빠져나오는 증기공급관(163)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증기배출조절부(180)는 증기 흐름통로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증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증기공급관(163)과 연결되어 구동모터(181)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증기조절밸브(18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증기조절밸브(183) 및 구동모터(181)는 고정브라켓(182)을 통해서 용기받침통(120)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증기배출부(170)는 증기배출관(184)과 연결되면서 내부에 증기배출통로(172a)가 형성된 상태에서 용기받침통(120)의 저면에 밀봉부재(176a)에 의해 밀봉된 형태로 밀착 설치되어 용기받침통(120)의 바닥면 위로 일부가 돌출 형성된 원통 구조의 증기배출받침대(171a)와, 이 증기배출받침대(171a)의 상단에서 증기배출통로(172a) 상에 삽입 안착되어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해서 증기배출통로(172a)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구(175a)와, 상기 개폐구(175a)가 수용되어 일정 간극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다수의 증기배출공(174a)이 일정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조리용기(130)의 증기배출부설치공(131)을 통해서 조리용기(130) 내부로 돌출 배치된 증기배출받침대(171a)의 상단부위에 끼워져 조립되는 증기배출덮개(173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60)의 상단면에는 저수통(160)의 상단에서 가열부(190)쪽으로 관통 설치되어 저수통(160)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164)와, 저수통(160)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165)와, 저수통(160) 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167) 및 과도한 증기압으로 인해 저수통(160)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16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30)를 분할판(133)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하고, 각각 분할된 구역에 증기배출부(17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증기 가열방식에 의해 두 가지 조리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5. 삭제
KR1020170184592A 2017-12-29 2017-12-29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KR10192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92A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7-12-29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92A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7-12-29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455B1 true KR101922455B1 (ko) 2018-11-27

Family

ID=6460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92A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7-12-29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4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72B1 (ko) * 2019-02-22 2019-11-25 김미영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94332B1 (ko) * 2019-07-12 2020-03-27 김미영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94331B1 (ko) 2019-06-26 2020-04-24 김미영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178997B1 (ko) 2019-06-28 2020-11-16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기
KR102204408B1 (ko) 2019-07-31 2021-01-18 김미영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820A (ja) * 2010-11-09 2012-05-31 Zojirushi Corp 蒸し調理装置
KR101615261B1 (ko) * 2015-08-25 2016-05-13 장왕윤 스팀 프라이팬
CN106419516A (zh) * 2016-12-23 2017-02-22 姜学春 一种多功能蒸汽水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820A (ja) * 2010-11-09 2012-05-31 Zojirushi Corp 蒸し調理装置
KR101615261B1 (ko) * 2015-08-25 2016-05-13 장왕윤 스팀 프라이팬
CN106419516A (zh) * 2016-12-23 2017-02-22 姜学春 一种多功能蒸汽水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72B1 (ko) * 2019-02-22 2019-11-25 김미영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94331B1 (ko) 2019-06-26 2020-04-24 김미영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178997B1 (ko) 2019-06-28 2020-11-16 김미영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94332B1 (ko) * 2019-07-12 2020-03-27 김미영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204408B1 (ko) 2019-07-31 2021-01-18 김미영 위치조절이 가능한 조리판을 구비한 가열식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455B1 (ko)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RU26243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на пару
JP3208581U (ja) フードスチーマ
US8067716B1 (en) Cooking apparatus
US6516709B1 (e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AU2017383228B2 (en) Modular steamer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cooking food contained in a container
EP3030116B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US20060249136A1 (en) Steam oven with fluid supply and drain vessel
EP0517681A2 (en) Steam cooking oven
CA2927480A1 (en) Cooktop steamer with self-filling cup
KR101845949B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US7538300B1 (en) Polygonal cooking apparatus with a pressurizable condensate jacket
JP6913824B2 (ja) 浄水機能を有する多機能食品調理器
JP2000041838A (ja) 電気鍋
KR102034756B1 (ko) 이중가열식 다용도 찜기
CA2324747C (en) Boiling sink cooking system for a kitchen
CN209733475U (zh) 一种蒸烤组合机
AU2004262465B2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or steam cooking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EP3865042B1 (en) Heat recovery oven with dishwasher
KR101845950B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EP3736502A1 (en) Cooking hob integrated with steam system
JP3227791U (ja) 食品保温器
CN214964440U (zh) 一种炖煮、空炸一体机
KR101857861B1 (ko) 덮개타입 스팀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팀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