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331B1 -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331B1
KR102094331B1 KR1020190076017A KR20190076017A KR102094331B1 KR 102094331 B1 KR102094331 B1 KR 102094331B1 KR 1020190076017 A KR1020190076017 A KR 1020190076017A KR 20190076017 A KR20190076017 A KR 20190076017A KR 102094331 B1 KR102094331 B1 KR 10209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urface portion
housing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영 filed Critical 김미영
Priority to KR102019007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야채나 고기와 같은 조리재료를 자체적으로 공급되는 증기나 증기에 의해 가열된 육수에 익히도록 조리하거나 가열된 증기를 이용하여 훈증하도록 조리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서, 조리시 증기를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부를 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내부에 분사하여 조리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증기 분사구(120)가 관통 장착된 용기 본체(110)를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용기 본체(110)가 상부면을 따라 포개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증기를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밑면부에 관통 장착된 증기 분출부(220)를 구비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단부에 용기 장착부(210)가 결합되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30)과,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물통부(25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Steam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나 고기와 같은 조리재료를 자체적으로 공급되는 증기나 증기에 의해 가열된 육수에 익히도록 조리하거나 뜨거운 증기 만을 이용하여 훈증하도록 조리하기에 용이한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민족들은 전통적으로 상 위에 신선로를 놓고 다양한 음식재료를 끓여가면서 먹었는데, 일반적으로 신선로는 구리나 놋쇠와 같은 굽 높은 대접 비슷하게 만든 것으로서, 가운데에 숯불을 담는 통이 있고, 통 둘레에 여러 가지 음식을 끓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기나 가스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신선로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에는 일반적이지는 않은 상황이다.
한편, 최근들어 식생활의 웰빙화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지방질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샤브샤브를 즐겨 먹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샤브샤브는 가스나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의 내부에 들어있는 육수를 가열하면서 다양한 고기나 야채를 육수에 넣어 살짝 익혀 먹어야 하기 때문에 가열기구가 신선로와 같이 식탁 위에 배치하거나 식탁의 중앙부분을 도려낸 전용식탁에 조리 용기를 설치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2455호 (2018년11월2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88591호 (2018년08월06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직접 가열방식의 조리기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야채나 고기와 같은 조리재료를 자체적으로 공급되는 증기나 증기에 의해 가열된 육수에 익히도록 조리하거나 가열된 증기를 이용하여 훈증하도록 조리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증기를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부를 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내부에 분사하여 조리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증기 분사구(120)가 관통 장착된 용기 본체(110)를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용기 본체(110)가 상부면을 따라 포개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증기를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밑면부에 관통 장착된 증기 분출부(220)를 구비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단부에 용기 장착부(210)가 결합되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30)과,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물통부(25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조리판(130)과;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1 단턱(112)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조리판(140)과; 용기 본체(110)의 제1 단턱(112)의 외측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2 단턱(114)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용기 뚜껑(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기 분사구(120)는, 상부는 밀폐되면서 외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증기 분출공(121)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122)의 폭 만큼 상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가 형성되며,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의 내주면에 일정 길이의 암나사(124)가 형성되며, 밀폐된 상부의 내측면에 스프링 장착부재(125)가 삽입되며, 일측은 스프링 장착부재(125)에 고정되며, 타측은 분사노즐 결합구(123)을 따라 스프링(126)이 설치되는 분사노즐 헤드부(120a)와;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에 결합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숫나사(127)가 형성되며, 내부는 스프링(126)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도록 결합봉(128)이 관통 형성되며, 결합봉(128)의 하부 밑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사노즐 헤드부(120a)와 결합시 분사노즐 결합구(123)와 맞닿도록 결합 지지판(129)이 형성된 분사노즐 몸체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증기 분출공(121)을 통한 증기의 유량은 40~60ml/min 갖으며, 분출압력은 0.01~0.03Mp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기 분출부(220)는, 용기 장착부(210)의 밑부분에 고정되며,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장착판(222)과; 상단은 장착판(222)의 밑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은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224)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분기노즐(225)과; 분기노즐(225)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26)와; 장착판(222)의 삽입공의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증기를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증기 분출봉(227)과; 증기 분출봉(227)의 상부면에 삽입 설치되어, 용기부(100)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부재(2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부(200)는, 하우징(230)의 내부에 장착되어 물통부(25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공급하는 펌프부재(260)와;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펌프부재(260)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펌프부재(26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만들어 증기 분출부(220)로 공급하는 증기 발생부재(270)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조리 중 임의의 조리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조작하기 위해 하우징(2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부(310)와; 조작 패널부(310)의 조작명령에 따라 펌프부재(260) 및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30)의 외주면은 본체부(200)의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230)의 전면 외주면에는 측면 및 후면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더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면 연장부(230a)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30)의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증기 발생부재(270)의 출력단의 누수로 부터 상기 제어부(3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방수용 구획벽(230b)이 형성되며; 하우징(230)과 전면 연장부(230a)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30)의 내부공간에는 펌프부재(260), 증기 발생부재(270), 조작패널부(310) 및 제어부(320)가 물통부(250)와 물리적으로 구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부(2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은,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 제1 상면부(231)와; 제1 상면부(231)의 내측 끝단면에서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측면부(233)와; 상면부(231) 및 내면부(233)의 끝단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제1 및 제2 결합홈(234,236)이 일정 길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와; 제1 상면부(231), 제1 내측면부(233) 및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 형성된 제1 밑면부(239)와;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 중 임의의 측면부(235)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물주입구(23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물통부(250)는, 제1 상면부(231)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 상면부(251)와; 제2 상면부(251)의 끝단면에서 하우징(230)의 내측면부(233)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를 갖게 형성된 제2 내측면부(253)와; 제2 상면부(251) 및 제2 내측면부(25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제3 및 제4 돌출부(254,256)가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와; 제2 상면부(251), 제2 내측면부(253) 및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제1 밑면부(239)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제2 밑면부(259)와; 제1 및 제2 측면부(255,257) 중 임의의 측면부(255)에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물배출구(258)와; 제2 상면부(251), 제2 내면부(253),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 및 제2 밑면부(259)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하우징(230)의 외주면과 이어지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주면부(241)와; 상면부(251) 및 외주면부(241)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입구 캡(245)을 구비하는 물 주입구(2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의 밑면에 잠금돌기(232)가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며; 물통부(250)의 제1 상면부(251)에는 잠금돌기(232)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홈(251a)이 형성되고, 물통부(250)의 외주면부(241)에는 일정 형상으로 손잡이 홈(242)이 형성되어, 설치홈(251a)와 손잡이 홈(242) 사이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돌기(232)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가 되는 잠금키(25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부(250)가 하우징(2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물통부(250)의 제2 상면부(251) 및 제2 밑면부(259)가 제2 내측면부(253)이 제1 내측면부(233)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 및 제1 밑면부(239)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의 제3 및 제4 돌출부(254,256)가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의 제1 및 제2 결합홈(234,236)에 끼움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물주입구(238)가 물배출구(258)에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는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상승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물통부(250)의 내부에 물이 들어 있을 경우 무게중심이 하우징(230)의 내측방향으로 쏠리게 하며; 물배출구(258)의 내측에 위치하는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에는 일정 크기의 물 수용홈(258a)이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내부에 분사하여 조리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증기 분사구(120)가 관통 장착된 용기 본체(110)를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용기 본체(110)가 상부면을 따라 포개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증기를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밑면부에 관통 장착된 증기 분출부(220)를 구비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단부에 용기 장착부(210)가 결합되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측면 또는 후면 외측면에 물통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30)과,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물통부(25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물통부(250)가 하우징(23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경우, 물통부(250)의 제2 상면부(251) 및 제2 밑면부(259)가 하우징(230)의 개구부의 제1 상면부(231) 및 제1 밑면부(239)에 끼워질 때 발생하는 제1 결합력과; 물통부(250)의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가 하우징(230)의 개구부의 제1 상면부(231)의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에 끼워질 때 발생하는 제2 결합력과; 물통부(250)의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구(258)와 하우징(230)의 개구부의 하부에 형성된 물주입구(238)가 일정 길이 겹치도록 결합되는 제3 결합력에 의해 결합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결합력은 제2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제2 결합력은 제3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통부(250)의 외주면에 설치된 잠금키(252)를 하우징(230)에 형성된 잠금돌기(232)에 잠금할 때 발행하는 제4 결합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야채나 고기와 같은 조리재료를 자체적으로 공급되는 증기나 증기에 의해 가열된 육수에 익히도록 조리하거나 가열된 증기를 이용하여 훈증하도록 조리할 수 있어, 육수를 자체적으로 구비한 히터를 이용하여 직접 끓여 가면서 먹는 종래의 방식보다는 더욱 건강한 요리를 조리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증기를 만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부를 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물통을 이송호스를 사용하여 본체부로 공급하는 종래의 방식 보다 더욱 세련되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조리 용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증기 분사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증기 분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서 하우징과 물통부의 결합 또는 분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조리 용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는, 크게 용기 뚜껑부(100), 조리 용기부(200) 및 본체부(300)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리 용기부(200)가 본체부(300)의 상단부에 착탈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내부에 분사하여 조리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증기 분사구(120)가 관통 장착된 용기 본체(110)를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용기 본체(110)가 상부면을 따라 포개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증기를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밑면부에 관통 장착된 증기 분출부(220)를 구비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단부에 용기 장착부(210)가 결합되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30)과,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물통부(25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물통부(250)를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개구부로 정의될 때, 물통부(250)가 하우징(23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경우, 물통부(250)의 제2 상면부(251) 및 제2 밑면부(259)가 하우징(230)의 개구부의 제1 상면부(231) 및 제1 밑면부(239)에 끼워질 때 발생하는 제1 결합력과, 물통부(250)의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가 하우징(230)의 개구부의 제1 상면부(231)의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에 끼워질 때 발생하는 제2 결합력과, 물통부(250)의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구(258)와 하우징(230)의 개구부의 하부에 형성된 물주입구(238)가 일정 길이 겹치도록 결합되는 제3 결합력에 의해 결합력을 유지하며, 제1 결합력은 제2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제2 결합력은 제3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230)의 제1 밑면부(239)와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가 서로 면접하는 제1 결합면적과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과 물통부(250)의 제2 상면부(251)가 서로 면접하는 제2 결합면적의 합이, 하우징(230)의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 및 물통부(250)의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가 면접하는 제3 접촉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통부(250)의 외주면에 설치된 잠금키(252)를 하우징(230)에 형성된 잠금돌기(232)에 잠금할 때 발행하는 제4 결합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조리판(130)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리판(13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 조리판 손잡이(13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조리판(130)의 상부면에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다수개의 타공(134)과 타공이 형정되지 않은 비타공 영역(136)이 형성된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조리판(140)이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1 단턱(112)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리판(14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 조리판 손잡이(14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조리판(140)의 상부면에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다수개의 타공(144)과 타공이 형정되지 않은 비타공 영역(146)이 형성된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뚜껑 손잡이(152)와 공기를 빼내기 위한 통공(154)이 형성된 용기 뚜껑(150)가 용기 본체(110)의 제1 단턱(112)의 외측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2 단턱(114)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증기 분사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 헤드부(120a)와 분사노즐 몸체부(120b)가 용기 본체(110)를 사이에 두고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분사노즐 헤드부(120a)는 상부는 밀폐되면서 외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증기 분출공(121)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122)의 폭 만큼 상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가 형성되며,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의 내주면에 일정 길이의 암나사(124)가 형성되며, 밀폐된 상부의 내측면에 스프링 장착부재(125)가 삽입되며, 일측은 스프링 장착부재(125)에 고정되며, 타측은 분사노즐 결합구(123)을 따라 스프링(126)이 설치된다.
반면, 분사노즐 몸체부(120b)는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에 결합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숫나사(127)가 형성되며, 내부는 스프링(126)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도록 결합봉(128)이 관통 형성되며, 결합봉(128)의 하부 밑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사노즐 헤드부(120a)와 결합시 분사노즐 결합구(123)와 맞닿도록 결합 지지판(129)이 형성된 분사노즐 몸체부(120b)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개의 증기 분출공(121)을 통한 증기의 유량은 40~60ml/min 갖으며, 분출압력은 0.01~0.03Mpa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장착부(210)의 밑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전원차단 스위치(2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가 용기 장착부(210)의 밑면부에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20)에 전달하여, 제어부(420)가 용기 본체(110)가 용기 장착부(210)에 장착여부에 따라 펌프부재(260) 및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10)가 용기 장착부(210)에 안착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조리명령을 인가하여도 제어부(420)는 전원공급을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용기 장착부(210)의 밑면부에 돌출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14)는 조리 용기(110)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420)로 전달하여, 제어부(420)가 미리 설정된 조리 용기(110)의 최대 온도 (예를 들어, 130℃)를 초과하는 경우 펌프부재(260) 및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증기 분출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장착부(210)의 밑부분에 고정되며,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장착판(222)과, 상단은 장착판(222)의 밑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은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224)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분기노즐(225)과, 분기노즐(225)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26)와, 장착판(222)의 삽입공의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증기를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증기 분출봉(227)과, 증기 분출봉(227)의 상부면에 삽입 설치되어, 용기부(100)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부재(228)로 구성된다.
한편, 본체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0)의 내부에 장착되어 물통부(25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공급하는 펌프부재(260)와,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펌프부재(260)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펌프부재(26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만들어 증기 분출부(220)로 공급하는 증기 발생부재(270)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조리 중 임의의 조리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조작하기 위해 하우징(2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부(310)와, 조작 패널부(310)의 조작명령에 따라 펌프부재(260) 및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230)의 외주면은 본체부(200)의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230)의 전면 외주면에는 측면 및 후면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더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면 연장부(230a)가 더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30)의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증기 발생부재(270)의 출력단의 누수로 부터 상기 제어부(3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방수용 구획벽(230b)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30)과 전면 연장부(230a)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30)의 내부공간에는 펌프부재(260), 증기 발생부재(270), 조작패널부(310) 및 제어부(320)가 물통부(250)와 물리적으로 구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부(2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 제1 상면부(231)와, 제1 상면부(231)의 내측 끝단면에서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측면부(233)와, 상면부(231) 및 내면부(233)의 끝단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제1 및 제2 결합홈(234,236)이 일정 길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와, 제1 상면부(231), 제1 내측면부(233) 및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 형성된 제1 밑면부(239)와,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 중 임의의 측면부(235)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물주입구(23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물통부(250)는, 제1 상면부(231)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 상면부(251)와, 제2 상면부(251)의 끝단면에서 하우징(230)의 내측면부(233)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를 갖게 형성된 제2 내측면부(253)와, 제2 상면부(251) 및 제2 내측면부(25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제3 및 제4 돌출부(254,256)가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와, 제2 상면부(251), 제2 내측면부(253) 및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제1 밑면부(239)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제2 밑면부(259)와, 제1 및 제2 측면부(255,257) 중 임의의 측면부(255)에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물배출구(258)와, 제2 상면부(251), 제2 내면부(253),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 및 제2 밑면부(259)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하우징(230)의 외주면과 이어지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주면부(241)와, 상면부(251) 및 외주면부(241)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입구 캡(245)을 구비하는 물 주입구(2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의 밑면에 잠금돌기(232)가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며, 물통부(250)의 제1 상면부(251)에는 잠금돌기(232)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홈(251a)이 형성되고, 물통부(250)의 외주면부(241)에는 일정 형상으로 손잡이 홈(242)이 형성되어, 설치홈(251a)와 손잡이 홈(242) 사이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돌기(232)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가 되는 잠금키(25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통부(250)가 하우징(2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부(250)의 제2 상면부(251) 및 제2 밑면부(259)가 제2 내측면부(253)이 제1 내측면부(233)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 및 제1 밑면부(239)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기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의 제3 및 제4 돌출부(254,256)가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의 제1 및 제2 결합홈(234,236)에 끼움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물주입구(238)가 물배출구(258)에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는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상승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물통부(250)의 내부에 물이 들어 있을 경우 무게중심이 하우징(230)의 내측방향으로 쏠리게 하며, 물배출구(258)의 내측에 위치하는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에는 일정 크기의 물 수용홈(258a)이 물통부(250)의 제2 밑면부(259)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초기화 상태 준비
사용자가 조리 용기부(200)의 용기 본체(110)를 용기 장착부(210)에 안착시키고, 조리를 시작하기 전이나 조리 도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조리판(130)을 용기 본체(220)의 밑면 및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시키거나, 제2 조리판(140)을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1 단턱(112)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시킨 후, 용기 뚜껑(150)을 용기 본체(110)의 제1 단턱(112)의 외측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2 단턱(114)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시킨다.
(2)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조리동작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 패널부(31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조리메뉴(예를 들어, 샤브샤브, 훈제 등) 중 원하는 조리메뉴와 복수의 조리분량(예를 들어, 1인분, 2인분, 3인분, 4인분 등) 중 원하는 조리분량을 선택하고, 조리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때,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인가한 조리명령에 따라 펌프부재(260)를 동작시켜 물통부(250)에 저장중인 물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증기 발생부재(270)로 공급한다.
이때, 증기 발생부재(27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현재 물의 수용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저 수위에 이르면 제어부(320)는 펌프부재(26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조작 패널부(31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물 보충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어, 제어부(320)는 증기 발생부재(270)의 내부를 뜨거운 증기가 발생하기까지 계속 가열시키도록 제어하는데, 증기 발생부재(27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균일한 기압이 형성되면, 증기 발생부재(270)는 뜨거운 증기를 증기 분출부(220)의 증기 공급관(224) 및 증기 분출봉(227)을 통하여 증기 분사구(120)의 분사노즐 헤드부(120a) 및 분사노즐 몸체부(120b)로 공급하고, 뜨거운 증기가 분사노즐 헤드(120a)의 양측단에 형성된 다수의 증기 분출공(121)을 통하여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분출될 수 있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들어있는 조리재료나 육수를 간접 방식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이때의 증기의 유량은 40~60ml/min 갖으며, 분출압력은 0.01~0.03Mp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메뉴 및 조리분량에 따라 증기 발생부재(270)에서 발생된 증기의 공급량과 보충량을 조절할 수 있다.
(3)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의 작동원리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부재(27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 및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며, 주기적으로 각각의 수위 및 온도 감지값을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발생부재(270)의 내부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에서 전달하는 각각의 감지값에 따라 펌프부재(260) 또는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제어하여 증기의 공급량 및 보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용기 장착부(210)의 밑면부에 돌출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14)에서 증기 공급량과 무관하게 증기 발생부재(270) 또는 용기 본체(22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온도 130℃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420)는 펌프부재(260) 및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조리 용기부 110 : 용기 본체
112 : 제1 단턱 114 : 제2 단턱
120 : 증기 분사구 120a : 분사노즐 헤드부
120b : 분사노즐 몸체부 121 : 증기 분출공
122 : 단턱 123 : 분사노즐 결합구
124 : 암나사 125 : 패킹부재
126 : 스프링 127 : 결합봉
128 : 숫나사 129: 걸림판
130 : 제1 조리판 132 : 제1 조리판 손잡이
134 : 타공 136 : 비타공 영역
140 : 제2 조리판 142 : 제2 조리판 손잡이
144 : 타공 146 : 비타공 영역
150 : 용기 뚜껑 152 : 뚜껑 손잡이
154 : 통공
200 : 본체부 210 : 용기 장착부
212 : 전원차단 스위치 214 : 온도감지 스위치
220 : 증기 분출부 222 : 장착판
224 : 증기 공급관 225 : 분기노즐
226 : 온도감지센서 227 : 증기 분출봉
228 : 패킹부재 230 : 하우징
230a : 전면 연장부 230b : 구획벽
231 : 상면부 232 : 잠금돌기
233 : 내측면부 234, 236 : 제1 및 제2 결합홈
235, 237 : 측면부 239 : 밑면부
238 : 물주입구 250 : 물통부
251 : 상면부 251a : 설치홈
252 : 잠금키 253 : 내측면부
254, 256 : 제1 및 제2 돌출부 255, 257 : 측면부
259 : 밑면부 258 : 물배출구
241 : 외주면부 242 : 손잡이 홈
243 : 물 주입구 245 : 주입구 캡
260 : 펌프부재 270 : 증기 발생부재
310 : 조작패널부 320 : 제어부

Claims (9)

  1.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내부에 분사하여 조리하도록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밑면부에 증기 분사구(120)가 관통 장착된 용기 본체(110)를 구비하는 조리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 본체(110)가 상부면을 따라 포개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밑면부에 관통 장착된 증기 분출부(220)를 구비하는 용기 장착부(210)와, 상단부에 상기 용기 장착부(210)가 결합되며,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에서 하측 및 밑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30)과, 상기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물통부(25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물통부(25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공급하는 펌프부재(260)와;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상기 펌프부재(260)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부재(26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만들어 상기 증기 분출부(220)로 공급하는 증기 발생부재(270)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조리 중 임의의 조리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조작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부(310)와;
    상기 조작 패널부(310)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펌프부재(260) 및 상기 증기 발생부재(270)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조리판(130)과;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일정 폭의 제1 단턱(112)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단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조리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분사구(120)는,
    상부는 밀폐되면서 외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증기 분출공(121)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122)의 폭 만큼 상기 상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의 내주면에 일정 길이의 암나사(124)가 형성되며, 밀폐된 상부의 내측면에 스프링 장착부재(125)가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스프링 장착부재(125)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분사노즐 결합구(123)을 따라 스프링(126)이 설치되는 분사노즐 헤드부(120a)와;
    상기 개방된 분사노즐 결합구(123)에 결합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숫나사(127)가 형성되며, 내부는 상기 스프링(126)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도록 결합봉(128)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128)의 하부 밑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 헤드부(120a)와 결합시 상기 분사노즐 결합구(123)와 맞닿도록 결합 지지판(129)이 형성된 분사노즐 몸체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분출부(220)는,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밑부분에 고정되며,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장착판(222)과;
    상단은 상기 장착판(222)의 밑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224)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분기노즐(225)과;
    상기 분기노즐(225)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26)와;
    상기 장착판(222)의 삽입공의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 분사구(120)로 공급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증기 분출봉(227)과;
    상기 증기 분출봉(227)의 상부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용기부(100)의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부재(2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0)의 전면 외주면에는 측면 및 후면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더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면 연장부(230a)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30)의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증기 발생부재(270)의 출력단의 누수로 부터 상기 제어부(3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방수용 구획벽(230b)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2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230)의 측면 또는 후면은,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 제1 상면부(231)와; 상기 제1 상면부(231)의 내측 끝단면에서 상기 용기 장착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측면부(233)와; 상기 상면부(231) 및 상기 제1 내측면부(233)의 끝단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제1 및 제2 결합홈(234,236)이 일정 길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와; 상기 제1 상면부(231), 상기 제1 내측면부(233)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 형성된 제1 밑면부(239)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 중 임의의 측면부(235)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물주입구(23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물통부(250)는,
    제1 상면부(231)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 상면부(251)와; 상기 제2 상면부(251)의 끝단면에서 상기 하우징(230)의 제1 내측면부(233)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를 갖게 형성된 제2 내측면부(253)와; 상기 제2 상면부(251) 및 상기 제2 내측면부(25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제3 및 제4 돌출부(254,256)가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와; 상기 제2 상면부(251), 상기 제2 내측면부(253) 및 상기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밑면부(239)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제2 밑면부(259)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255,257) 중 임의의 측면부(255)에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물배출구(258)와; 상기 제2 상면부(251), 제2 내면부(253),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 및 제2 밑면부(259)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230)의 외주면과 이어지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주면부(241)와; 상기 상면부(251) 및 상기 외주면부(241)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입구 캡(245)을 구비하는 물 주입구(2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의 밑면에 잠금돌기(232)가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물통부(250)의 제1 상면부(251)에는 상기 잠금돌기(232)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홈(251a)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부(250)의 외주면부(241)에는 일정 형상으로 손잡이 홈(242)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251a)와 상기 손잡이 홈(242) 사이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돌기(232)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가 되는 잠금키(2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250)가 상기 하우징(2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물통부(250)의 제2 상면부(251) 및 제2 밑면부(259)가 상기 제2 내측면부(253)이 상기 제1 내측면부(233)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230)의 제1 상면부(231) 및 제1 밑면부(239)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3 및 제4 측면부(255,257)의 제3 및 제4 돌출부(254,256)가 제1 및 제2 측면부(235,237)의 제1 및 제2 결합홈(234,236)에 끼움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물주입구(238)가 상기 물배출구(258)에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190076017A 2019-06-26 2019-06-26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9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17A KR102094331B1 (ko) 2019-06-26 2019-06-26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17A KR102094331B1 (ko) 2019-06-26 2019-06-26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331B1 true KR102094331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17A KR102094331B1 (ko) 2019-06-26 2019-06-26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2820A (ja) * 2011-01-17 2011-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20110058134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용 스팀용기
KR20180088591A (ko)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8-11-27 정동헌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134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용 스팀용기
JP2011072820A (ja) * 2011-01-17 2011-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20180088591A (ko)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922455B1 (ko) 2017-12-29 2018-11-27 정동헌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709B1 (e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US65827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and/or heating comestibles with hot gaseous fluid
CN104706208B (zh) 使用蒸汽加热和/或烹饪食物的电设备
US10918243B2 (en) Grill accessory
KR102187401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CN108175263A (zh) 用蒸汽加热和/或烹饪食物的方法和设备
KR102034756B1 (ko) 이중가열식 다용도 찜기
KR101406689B1 (ko) 진공냄비를 이용한 간접조리기
KR102094331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1116227B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KR102164871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WO2008128609A1 (en) Highly flexible coffeepot for the production of a coffee based beverage
KR10204827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313712B1 (ko) 스팀 발생장치를 갖는 에어 프라이어
KR10209433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JP2000342462A (ja) 複合調理器具
CN209202965U (zh) 搅拌机
CN209202969U (zh) 搅拌机
CN209203015U (zh) 搅拌机
CN216047564U (zh) 适合用于空气炸锅的蒸汽发生装置
KR102553882B1 (ko) 식품조리기
CN215650671U (zh) 带蒸煮功能的翻盖式空气炸锅
KR0185617B1 (ko)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CN217959821U (zh) 一种多功能食品加工机
KR102537581B1 (ko) 중탕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