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17B1 -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17B1
KR0185617B1 KR1019960030332A KR19960030332A KR0185617B1 KR 0185617 B1 KR0185617 B1 KR 0185617B1 KR 1019960030332 A KR1019960030332 A KR 1019960030332A KR 19960030332 A KR19960030332 A KR 19960030332A KR 0185617 B1 KR0185617 B1 KR 018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edium oil
heat medium
boil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29A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이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수 filed Critical 이동수
Priority to KR101996003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617B1/ko
Publication of KR98000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94Warming devices using heat storage elements or materials, e.g. lava st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 G01K2207/08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with food recipients having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 사용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열매체 기름을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시킨 후 이를 조리용기에 분출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한 후 열매체 기름을 회수하여 보일러에 의하여 재가열시켜 순환되게 하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용기의 가열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매체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에서 장시간 음식물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납한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용기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열수단에 속하는 기술분야이다.
이러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종래의 음식물 가열수단을 살펴보면, 고압가스를 원료로서 고압가스를 분출시킨 후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시켜 점화된 가스불에 의하여 음식물을 담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므로서 조리용기의 바닥부분을 가열하여 조리용기에 열을 전달하고 이 전달된 열로 조리용기에 삽입된 음식물을 끓이므로서 요리를 하게 되는 가스렌지와 또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므로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렌지등이 있어 왔으나, 상기 전자와 같은 가스렌지는 단시간내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가스불의 발열온도보다 조리용기에 가열되는 가열온도가 낮아 많은 열손실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고 조리된 음식물이 끓어넘쳐 가스불이 소화가 되므로 가스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나 또는 가스불의 과열로 인한 화재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세심한 주위를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상기 후자의 전자렌지의 경우에는 사용이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조리용기가 금속성일 경우에는 전자파에 의한 방전이 발생되어 도기로된 조리용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등의 결점이 발생되었고 조리용기의 가열이 전자파에 의존하므로서 과다한 전력소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용기의 크기가 소형용기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때, 상기의 가스렌지의 경우에는 화력이 주로 30-40%정도의 열량만이 직접 조리용기에 전달되고 60-70%정도는 외부로 유실되며, 상기 외부로 유실된 열에 의해 주방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요리 작업을 하는 요리사가 땀을 많이 흘리게 되므로, 이 땀이나 외부의 불순물이 음식물에 유입되어 음식물이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음식의 종류에 따라 음식을 조리하는 온도와 시간은 요리사가 오랜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음식의 맛이 제각기 달라지고, 요리의 종류로는 물에 넣고 끓이는 요리나 볶는 요리 및 데치거나 삶는 요리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요리방법이 있어 동일한 재료라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숙련된 요리사가 하는 요리는 개인마다의 맛을 내는 정도의 차이가 많이 나 요리를 많이해 보지 않은 초보자는 제대로 된 요리를 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되고 또한 제맛을 내지 못하는 요리는 맛이 없는 상태로 먹어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음식물의 조리양이 많은 대형음식점의 경우에는 항상 음식물을 끓여야 하므로 후자와 같이 적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렌지의 활용이 가스렌지에 비해 사용가치가 적을 수밖에 없고 가스렌지의 경우에는 계속적인 가열에 의하여 많은 양의 열손실이 발생되며 가스열의 지속적인 가열로 항상 일정한 온도로서 음식물을 보존할 수 없는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열매체 기름을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시킨 후 이를 조리용기에 분출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한 후 열매체 기름을 회수하여 보일러에 의하여 재가열시켜 순환되게 하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용기의 가열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매체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에서 장시간 음식물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회수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의 A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기구 2 : 보일러
3 : 분사관 4 : 회수관
5 : 콘트롤박스 6 : 회수수단
7 : 조리용기 8 : 열매체기름
9 : 순환펌프 10 : 수납실
11 : 기름탱크 12 : 여과기
13 : 필터 14 : 배출관
15 : 흡입관 16 : 온도감지센서
17 : 밸브 18 : 결합공
19 : 배출공 20 : 공급관
21 : 분출공 22 : 분출관
23 : 회수공 24 : 격벽
25 : 밀폐링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외벽에 단열재(26)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온도센서(16)를 가지는 조리용기(7)가 수납되는 수납실(10)이 형성되며, 수납실(10)의 바닥면 중앙에 결합공(18)이 형성되고 상부 외벽 일측에 배출공(19)이 형성되며 배출공(19)이 형성된 하부 바닥면에 격벽(24)을 가지는 조리기구(1)와, 외부에 구비된 열매체 기름탱크(11)에서 열매체 기름(8)을 공급받아 열매체 기름(8)을 설정된 온도에 따라 가열하여 배출관(14)으로 배출시키고, 순환펌프(9)와 필터(13)가 내장된 여과기(12)가 구비되고, 회수되는 열매체 기름(8)의 회수양을 조절하는 밸브(17)등의 회수수단(6)이 구비된 흡입관(15)을 가지는 보일러(2)와, 상기 조리기구(1)의 수납실(10)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8)에 결합되어 수납실(10)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고 상부에 다수개의 분출공(21)을 가지며 하부에는 조리기구(1)의 외부로 인출되어 보일러(2)의 배출관(14)과 연결된 분사관(3)과, 조리기구(1)의 수납실(10)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9)과 결합되어 순환펌프(9)가 구비된 보일러(2)의 흡입관(15)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관(3)에서 분사된 열매체 기름(8)을 회수하는 회수공(23)이 저면에 다수개 형성된 회수관(4)과, 상기 조리용기(7)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때 보일러(2)의 가열을 저하시키고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일 때 보일러(2)의 가열을 증강시키며, 보일러(2)의 배출관(14)을 통해서 배출되는 열매체 기름(8)의 양과 흡입관(15)을 통해 회수되는 기름의 양에 편차가 발생되었을 때 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는 콘트롤 박스(5)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리기구(1)의 수납실(10) 바닥면에 구비되어 열매체 기름(8)을 보일러(2)에서 공급받아 분사하므로서 수납실(10)에 수납되는 조리용기(7)를 가열하도록 분사관(3)을 도시한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중앙에 공급관(20)이 형성되고 공급관(2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분출공(21)을 가지는 원형의 분출관(22)이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보일러(2)에서 가열된 열매체 기름(8)이 배출관(14)을 통해서 분사관(3)에 공급되면 중앙에 구비된 공급관(20)에 의하여 열매체 기름(8)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분출관(22)을 통해서 분출관(22)의 분출공(21)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제3도는 조리기구(1)의 수납실(10) 상부에 구비되어 분사관(3)에서 분사된 열매체 기름(8)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4)을 도시한 제1도의 B-B선 단면도로서, 수납실(10)과 수납실(10)에 수납된 조리용기(7)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5)의 상부에 구비되고 수납실(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9)에 결합되어 회수관(4)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회수공(23)으로 회수한 열매체 기름(8)을 배출공(19)으로 돌출되어 결합된 보일러(2)의 흡입관(15)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보일러(2)에서 배출된 열매체 기름(8)이 조리기구(1)로 분출된 후 다시 보일러(2)로 회수하여 열매체 기름(8)이 순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회수관(3)에서 펌프(9)의 흡입압력으로 분사관(3)에서 분사된 열매체 기름(8)을 회수하면 회수관(3)이 조리기구(1)의 배출공(19)에 결합된 부위에 형성된 회수공(23)에서 흡입하는 압력과 배출공(19)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회수공(23)에서 흡입하는 압력의 차이가 발생되므로 배출공(19)이 형성된 하방의 수납실(10) 바닥면에는 격벽(24)이 형성되어 배출공(19)이 형성된 위치로 열매체 기름(8)을 회수할 때 회수공(23)에서는 동일한 회수압력으로 열매체 기름(8)을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제4도와 제5도는 보일러(2)의 흡입관(15)에 구비된 회수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회수관(4)과 연결된 흡입관(15)에 회수량을 조절하는 밸브(17)와 열매체 기름(8)을 회수시 열매체 기름(8)에 함유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여과기(12) 및 열매체 기름(8)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9)가 구비되어 펌프(9)의 작동 압력으로 조리기구(1)내로 분출된 열매체 기름(8)을 흡입하여 보일러(2)로 회수하고 이때에 회수되는 열매체 기름(8)에 함유된 불순물이 여과기(12)를 통과하면서 제거가 되는 것이며 보일러(2)에서 배출되는 열매체 기름(8)의 배출량과 흡입관(15)을 통해서 회수되는 회수량의 차이가 발생되면 콘트롤 박스(5)에서 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여 열매체 기름(8)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조리기구(1)내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과기(12)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밸브(17)와 펌프(9)의 사이에 결합되고 회수되는 열매체 기름(8)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밀폐링(25)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결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기구(1)의 조리용기(7)에 요리할 요리 재료를 넣고 뚜껑(27)을 닫은 후 콘트롤 박스(5)에서 요리 종류에 따라 시간과 가열 온도를 설정하여 보일러(2)를 가동시키게 되면 열매체 기름(8)이 설정한 온도까지 상승되고 이 상태에서 흡입관(15)에 구비된 흡입펌프(9)를 작동시키게 되면 흡입펌프(9)의 흡입 압력에 의해 보일러(2)에서 가열된 열매체 기름(8)이 배출관(14)을 통해 분사관(3)으로 공급된 후 분사관(3)의 분출공(21)을 통해 수납실(10)로 유입되게 되는 바, 수납실(10)의 바닥에 형성된 격벽(24)에 의해 열매체 기름(8)이 회수관(4) 방향으로 직접 회수되지 아니하고 조리용기(7)의 사방으로 분산되어 흡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매체 기름(8)에 의해 조리용기(7)가 가열되고, 계속하여 조리용기(7)를 가열한 열매체 기름(8)이 회수관(4)의 회수공(23)을 통해 열매체 기름(8)을 회수되게 되어 흡입관(15)을 통해 여과기(12)를 거쳐 보일러(2)로 재유입이된 후 설정온도로 재가열되어 배출관(14)으로 재공급되어 열매체 기름(8)이 조리기구(1)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기구(1)를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여과기(12)에는 불순물이 상당히 끼게 되고 이러한 여과기(12)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흡입관(15)에서 여과기(12)를 분리시켜 여과기(12)내의 필터(13)를 새것으로 교체하고 다시 역순으로 여과기(12)를 흡입관(15)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열매체 기름을 이용하여 보일러에서 열매체 기름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분사관을 통해서 조리기구에 분출하므로 조리기구내의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조리기구를 가열한 열매체 기름을 회수관을 통해서 보일러로 회수하는 방법으로 열매체 기름을 순환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므로 화재발생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기구에 구비된 감지센서에 의하여 조리기구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보존하여야 하는 음식물의 조리에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 사용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매체 기름을 보일러에서 가열하여 조리기구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서 열매체 기름의 높은 온도가 조리용기에 전달시켜 온도를 높여 주므로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한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외벽에 단열재(26)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온도센서(16)를 가지는 조리용기(7)가 수납되는 수납실(10)이 형성되며, 수납실(10)의 바닥면 중앙에 결합공(18)이 형성되고 상부 외벽 일측에 배출공(19)이 형성되며 배출공(19)이 형성된 하부 바닥면에 격벽(24)을 가지는 조리기구(1)와, 외부에 구비된 열매체 기름탱크(11)에서 열매체 기름(8)을 공급받아 열매체 기름(8)을 설정된 온도에 따라 가열하여 배출관(14)으로 배출시키고, 회수수단(6)이 구비된 흡입관(15)을 가지는 보일러(2)와, 상기 조리기구(1)의 수납실(10)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8)에 결합되어 수납실(10)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고 상부에 다수개의 분출공(21)을 가지며 하부에는 조리기구(1)의 외부로 인출되어 보일러(2)의 배출관(14)과 연결된 분사관(3)과, 조리기구(1)의 수납실(10)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9)과 결합되어 순환펌프(9)가 구비된 보일러(2)의 흡입관(15)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관(3)에서 분사된 열매체 기름(8)을 회수하는 회수공(23)이 저면에 다수개 형성된 회수관(4)과; 상기 조리용기(7)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때 보일러(2)의 가열을 저하시키고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일 때 보일러(2)의 가열을 증강시키며, 밸브(17)의 개폐를 조절하는 콘트롤 박스(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흡입관(15)의 일측에 열매체 기름(8)을 흡입하는 순환펌프(9)와 흡입펌프(9)의 양측에 밸브(17)가 구비되며 흡입펌프(9)와 일측의 밸브(17)사이에 필터(13)가 내장된 여과기(12)가 밀폐링(25)에 의하여 밀폐상태로 결합된 회수수단(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KR1019960030332A 1996-07-25 1996-07-25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KR018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332A KR0185617B1 (ko) 1996-07-25 1996-07-25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332A KR0185617B1 (ko) 1996-07-25 1996-07-25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29A KR980008129A (ko) 1998-04-30
KR0185617B1 true KR0185617B1 (ko) 1999-03-20

Family

ID=1946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332A KR0185617B1 (ko) 1996-07-25 1996-07-25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9086A (zh) * 2011-10-12 2013-03-06 三次火炉工程公司 旋转式夹层大型汤锅
CN106551633A (zh) * 2016-12-07 2017-04-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加热烹饪设备及其油温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8B1 (ko) * 2004-01-16 2006-10-04 주식회사 쥴 튀김용 가열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9086A (zh) * 2011-10-12 2013-03-06 三次火炉工程公司 旋转式夹层大型汤锅
CN106551633A (zh) * 2016-12-07 2017-04-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加热烹饪设备及其油温控制方法
CN106551633B (zh) * 2016-12-07 2019-06-2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加热烹饪设备及其油温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29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00732U (zh) 一种分离式多功能锅
EP3406165A1 (en) Energy-saving safety pot having no steam outlet
KR102034756B1 (ko) 이중가열식 다용도 찜기
CN203662532U (zh) 电饭甑
KR0185617B1 (ko) 열매체 기름을 이용한 조리기구
KR200214880Y1 (ko) 다용도 튀김기
US5992301A (en) Steam cooking system for restaurant
CN107028485A (zh) 家庭用双层蒸锅的密封结构
CN210144542U (zh) 一种无烟bbq火锅一体机
KR101286836B1 (ko) 업소용 대형국솥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CN106724750B (zh) 电饭煲
CN109431251A (zh) 一种具有混热养生功效的智能升降火锅
KR0185618B1 (ko) 냉각수 및 냉매를 이용하여 끓어 넘침을 방지한 조리기구
CN105147047B (zh) 可视汽烧烹饪装置
KR102130609B1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20060096881A (ko) 찜구이기
KR20080006129U (ko) 조리용 진공 솥
CN209915764U (zh) 多功能烤炉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CN220512672U (zh) 一种易取放密封防烫隔水炖锅
CN105747839B (zh) 蒸汽煲
KR200182318Y1 (ko) 다용도 음식물 조리기구
KR102094331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CN204033066U (zh) 一种多用途汽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