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063B1 - 다기능 조리용 뚜껑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리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063B1
KR101096063B1 KR1020090109420A KR20090109420A KR101096063B1 KR 101096063 B1 KR101096063 B1 KR 101096063B1 KR 1020090109420 A KR1020090109420 A KR 1020090109420A KR 20090109420 A KR20090109420 A KR 20090109420A KR 101096063 B1 KR101096063 B1 KR 10109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oking
container
pres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763A (ko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102009010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0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물 요리가 많은 한국인들의 음식문화습관에 맞추어 음식물이 끓을 때 넘침이 방지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도록 하고, 나아가 조리용 용기 내부에서 진행되는 요리와는 별도로 만두 내지 떡과 같은 간편한 찜 요리를 병행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였으며, 나아가 조리용 용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용기에서는 사용이 가능한 소위 다기능 조리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뚜껑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부;
조리용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결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과 상면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내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기능부; 및
상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뚜껑, 넘침 방지, 프리 사이즈, 순환, 경사, 곡면, 대류, 찜

Description

다기능 조리용 뚜껑{MULTIPURPOSE COOKING LID}
본 발명은 조리용 용기를 덮는 뚜껑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물 요리가 많은 한국인들의 음식문화습관에 맞추어 음식물이 끓을 때 넘침이 방지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도록 하고, 나아가 조리용 용기 내부에서 진행되는 요리와는 별도로 만두 내지 떡과 같은 간편한 찜 요리를 병행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였으며, 나아가 조리용 용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용기에서는 사용이 가능한 소위 다기능 조리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냄비 내지 후라이팬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 용기에서 뚜껑이란 용기의 개구를 덮어 음식물을 빨리 익히게 하는 등 조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아이템이다.
그런데 상기 이러한 뚜껑은 용기 크기에 맞물려서 딱 맞는 사이즈로 제작이 되어야지, 용기와 뚜껑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이를 같이 사용하기 매우 불 편하고 특히 용기가 크고 뚜껑이 작은 경우에는 아예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용기마다 이 사이즈에 맞는 갯수의 뚜껑이 필요하게 되어,
결국 갯수가 많아 관리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용기에 맞추어 뚜껑을 같이 보관하여야 하기에 큰 보관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보관 작업 또한 쉽지 않다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뚜껑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에 사용 가능한 프리-사이즈(Free Size) 개념의 뚜껑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공개실용신안 제90-15326호(1990.09.01)『다단의 밀폐층을 가진 후라이팬 뚜껑』을 비롯하여 공개실용신안 제93-10358호(1993.06.23)『사이즈 프리 개념의 다목적 뚜껑』, 등록실용신안 제20-0368210호(2004.11.09)『범용 냄비 뚜껑』, 공개특허 제10-2006-0056929호(2006.05.25)『조리용기의 뚜껑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뚜껑의 가장자리를 계단식 다단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들이 그 크기에 맞는 뚜껑의 단에 맞춰짐으로써 용기가 뚜껑에 덮여져 사용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그 이상의 추가적인 기능(찜기능 및 국문 넘침 방지 기능 등)은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인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9-00700170호(2009.07.01)『뚝배기의 이중 뚜껑 구조 』에서는 뚜껑을 상부뚜껑과 하부뚜껑과 같은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하부 뚜껑에는 복수의 수증기 유동홀이 형성되어져 있는 뚝배기의 뚜껑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 제10-2009-0070170호에서는 명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뚜껑과 하부뚜껑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또한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찜 공간으로 대용 가능하다는 점은 있으나,
본 발명의 뚜껑과는 달리 상기 공개특허의 기본 목적 자체가 음식물의 찜이 가능한 뚜껑을 개시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비롯하여
이로 인해 상기 공개특허는 상부뚜껑 및 하부뚜껑이 분리 형성되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과,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용기 내부에서 끓어 넘치는 국물과 같은 내용물의 넘침 방지를 갖는 효율적인 구조는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 등에서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발명과는 명확한 차이가 있고 한계를 보인다.
특히 국, 숭늉 등과 같은 국물 요리를 함에 있어 강한 화력에 의해 내용물이 끓어올라 순식간에 용기 외부로 넘쳐 흐르게 되어, 가스레인지를 비롯한 조리용 용기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경우를 주부라면 빈번하게 경험을 하게 되는데,
한번 음식물이 넘쳐 흐르게 되면, 가스레인지 주변을 닦는 등 사용자 입장에서는 음식물 요리 후 뒷처리가 하나 더 늘게 되어 상당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조리용 용기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 용기의 덮개로 사용되는 근본적인 기능 외에도 조리용 용기 속의 내용물이 끓게 되더라도 조리를 함에 있어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켜 조리용 용기 속의 내용물이 끓더라도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조리용 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넘침 방지를 위해 제공되는 구조 또한 단순히 내용물에 대한 넘침방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 요리가 진행되는 것과는 별도로 뚜껑 자체에서 음식물을 간단히 찔 수 있고 또한 용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용기와의 밀착력 또한 확보가 되는 다기능 조리용 뚜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조리용 뚜껑은,
뚜껑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부;
조리용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결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과 상면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내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와 결 합되는 기능부; 및
상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부를 구성하는 상기 내면은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간부에 대한 편리한 찜기능 확보를 위해 상기 커버부는 상기 기능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기능부의 측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에는 뚜껑과 용기의 밀착을 위한 패킹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뚜껑에는 간단한 구조에 의한 내용물 넘침 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갑자기 내용물이 끓어오르게 되는 경우라도 쉽게 내용물이 넘치지 않게 되어 용기 및 가열기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매번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었으며,
더욱이 넘침 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채택된 본 발명의 뚜껑 구조는 이와 동시에 메인 요리와는 별도로 만두, 떡 등과 같은 음식물을 간단히 찔 수 있는 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뚜껑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에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면서도 밀착력 또한 보완된 구조이기에
편의성이 기존 뚜껑에 비교시 보다 증진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뚜껑의 일면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뚜껑이 조리용 용기에 덮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c 또한 뚜껑의 일면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인데,
본 발명은 이하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서라면 어느 형태로든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형태라 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이라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뚜껑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뚜껑은 뚜껑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21)과 측면(22)과 내면(23)으로 이루어진 기능부(20)와, 그리고 상기 커버부와 기능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부(10)는 내부 관찰이 용이한 유리 재질로 형성시키고, 상기 기능부(20)는 열전도가 가능한 스텐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서로 다른 재질의 커버부와 기능부의 접합은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을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뚜껑은 손잡이(50)가 형성되고 조리시 조리용 용기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홀(40)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뚜껑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는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의 외곽 가장자리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넘침방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와 기능부 사이에는 만두, 떡과 같은 간단히 쪄서 먹을 수 있는 음식물이 안치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를 공간부(30)라 한다.
물론, 도 1a 내지 1c에서는 손잡이(50)를 커버부(10)에 형성시켰으나, 상기 손잡이는 도 1d에서와 같이 기능부(20)의 측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뚜껑은 뒤집어 사용하게 되는 경우 도 1d에서와 같이 그릇 대용으로도 쓰임이 가능하다 할 것인데, 이 경우 손잡이(50)를 커버부(10)가 아닌 기 능부(20)에 형성시킴으로써 바닥면에 대한 안정적인 안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릇으로의 사용은 공간부(30)에서 이루어진 찜 요리가 완성된 경우, 이를 별도로 꺼내어 다른 그릇에 담을 필요 없이 본 발명의 뚜껑을 찜이 완성된 음식물이 안치된 채로 뒤집어서 바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부(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리용 용기(V)의 내부와 상기 공간부(3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210)가 형성된 상면(21)과, 상기 상면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결형성되는 측면(22)과, 상기 측면과 상면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내면(23)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된 상면의 외측단이라 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을 형성하게 되는 외곽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것이고, 상면의 내측단이라 함은 연통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면 내측에 형성된 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연통부(210)를 통해서 음식물(감자, 만두, 떡 등과 같이 간단히 찜을 할 수 있는 음식물)을 공간부에 안치시키는 것이어서,
상기 연통부(210)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보장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측면(22)과 상면(21)을 연결하게 되는 내면(23)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이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진 내면은 편평한 평면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넘침 방지 기능은 기능부 즉, 경사진 형태의 내면(23) 및 연통부가 형성된 상면(21)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할 것인데,
통상적으로 용기 속의 내용물이 끓게 되면 뚜껑이 덮여져 있다 하더라도 용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뚜껑이 요동치게 되고, 용기와 뚜껑 사이로 내용물이 넘쳐 흘러 가스레인지 등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뚜껑 내면 및 상면의 구조에 의해 해결을 하게 되었다.
이는 상기 내면(23) 및 상면(21)의 구조를 통해 끓는 내용물에 의해 형성된 수증기를 보다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인데,
구체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속에서 형성된 수증기는 뚜껑에 구비된 내면(23)의 구조에 의해 뚜껑 밖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V)의 중앙을 향해 경사진 내면(23)을 타고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올라간 수증기의 일부는 용기 내부로 하강하고 일부는 상기 상면(21)에 형성된 연통부(210)를 통해 공간부(30)까지 진입하여 상기 공간부를 순환한 후 다시 용기 내부로 하강을 하면서 용기 내부에서 자체적인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넘침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수증기는 조리용 용기 외곽에서 형성된 수증기에 대한 움직임을 설명한 것이라면, 반대로 음식물 중앙에서 형성된 수증기의 움직임을 설 명하면 상기 형성된 수증기는 상승을 하되 일부는 연통부(210)를 관통하여 공간부(30)를 거치면서 조리용 용기 내부로 하강을 할 수도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경사진 내면(23)을 타고서 용기 내부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역시 뚜껑 외부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 내부에서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넘침을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진 내면(23)은 곡면으로 마감을 하였기에 형성된 수증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내면을 타고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넘침 방지 기능을 보강시켰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경사진 내면(2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용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는 주된 기능 외에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내면의 구조로 인해, 소위 프리 사이즈(Free-size) 뚜껑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으로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살펴보면, 도 1에서는 곡면을 형성하면서 경사져있던 내면(23)이 계단식의 다단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뚜껑을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용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함인데, 도 2와 같이 내면을 곡면이 아닌 단계적인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용기에 쉽고 안정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2에서와 같이 내면을 계단형태의 다단으로 구성하였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중앙에서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이기에 수증기의 순환 유도에는 문제가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뚜껑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에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있다 할 것인데, 이러한 범용성은 내면의 형상에 따라 용기와의 밀착(안착)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기 뚜껑을 용기에 단순히 안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범용성과 함께 특정 크기의 용기에는 뚜껑이 정확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마감부(60)가 함께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전용마감부(60)는 뚜껑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용 용기와 접하게 되는 기능부(20)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구비함으로써 용기에 뚜껑 안착시 특정 형태의 용기에는 단순히 안치되는 것 이상으로 보다 밀착되어 용기를 덮개 된다.
상기와 같은 전용마감부(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부(20)의 측면과 밀착되는 부분과 조리용 용기(V)의 내면과 밀착되는 부분을 함께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기능부의 측면과 조리용 용기 내면과의 밀착이 가능한 형태라면 도면에 도시된 전용마감부의 형상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할 것이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뚜껑은 도 2a 및 도 2b의 뚜껑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임을 알 수 있는데, 도 2c는 본 발명이 도 1d에서와 같이 그릇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c에서는 커버부에 형성된 홀(40)을 커버부(10) 상부쪽이 아니라 측면쪽에 형성을 시켜 그릇 용도로 사용시 홀(40)을 통해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빠져나가 바닥면이 지저분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나아가 도 2c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내면(23)은 계단식의 다단으로 형성이 되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채반(P)과 같은 주방용품을 걸쳐놓고 사용을 할 수 있는 용도로도 그 쓰임이 가능하고, 물론 바닥면과의 안정된 안치를 위해 손잡이(50)는 도 1d에서와 같이 기능부(20)에 형성시켰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용 뚜껑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라 할 것인데, 커버부(10)와 기능부(20)를 결합시킴에 있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10)가 기능부(2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이들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10)가 기능부(20)에 대해 완전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면이 체결된 상태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는 공간부에 대한 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면에 형성된 연통부(210)를 통해서 음식물을 삽입하거나 인출시키는데 있어 초래될 수 있는 불편함이 도 3에서와 같은 힌지결합에 따른 기능부와 커버부 결합 구조에 의해 개선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커버부가 원치 않는 순간에 기능부로부터 이탈되어 공간부가 개방되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일면에서는 커버부를 기능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 마련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커버부(10)와 기능부(20) 결합에 의해 공간부(30)가 개방될 수 있는 구조는 편리한 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라 할 것이나,
주로 본 발명의 공간부에서 이루어지는 찜 요리는 메인 요리가 아니라 메인 요리를 하면서 간단히 음식물을 찌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인 것으로,
음식량이 많지 않고 부피 또한 만두, 떡과 같이 작은 음식물이 대부분이기에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구조로도 충분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연통부(2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를 형성하게 되는 해당면을 공간부와 조리용 용기 내부를 차단시키는 막(210a)으로 마감을 하되, 상기 막(210a)에는 음식물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순환을 위한 스팀공(210b)을 다수 개 형성시켜 기능부의 내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넘침 방 지 기능을 보완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임을 알 수 있는데, 기능부(20)를 형성하는 측면(22) 구조를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달리하였다.
즉, 상기 측면에는 홈부(22a)를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홈부(22a)에 뚜껑(C)과 용기(V)와의 밀착을 위한 패킹부재(22b)를 장착시켰다.
상기 패킹부재(22b)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인 것으로 상기 홈부(22a)에 손쉽게 사용자가 필요시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홈부(22a)와 패킹부재(22b)를 측면(22)에 형성함으로써 용기(V)에 채워진 물 높이(L1)가 추가 음식물의 삽입 등의 이유로 처음 형성된 물 높이(L1)에서 상승하게 되는 경우(L2)가 발생되더라도 용기 밖으로 물이 새어나가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홈부(22a)가 형성된 측면을 경사진 형태로 도시를 하였으나 직선으로 형성을 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태 내지 구성을 갖는 뚜껑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V: 조리용 용기 C: 조리용 뚜껑
10: 커버부
20: 기능부 21: 상면 22: 측면 23: 내면
22a: 홈부 22b: 패킹부재
210: 연통부 210a: 막 210b: 스팀공
30: 공간부 40: 홀 50: 손잡이 60: 전용마감부

Claims (4)

  1. 조리용 용기의 개구를 덮는 조리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뚜껑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부;
    조리용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결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과 상면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내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기능부; 및
    상기 커버부와 기능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 뚜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 대한 편리한 찜기능 확보를 위해 상기 커버부는 상기 기능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 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에는 뚜껑과 용기의 밀착을 위한 패킹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1020090109420A 2009-11-13 2009-11-13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101096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20A KR101096063B1 (ko) 2009-11-13 2009-11-13 다기능 조리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20A KR101096063B1 (ko) 2009-11-13 2009-11-13 다기능 조리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63A KR20110052763A (ko) 2011-05-19
KR101096063B1 true KR101096063B1 (ko) 2011-12-19

Family

ID=4436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420A KR101096063B1 (ko) 2009-11-13 2009-11-13 다기능 조리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237U (ja) * 1983-07-28 1985-02-19 須田 和笑 即席調理兼用の肉収容した蓋
JPS6024238U (ja) 1983-07-28 1985-02-19 須田 和笑 即席調理兼用の肉収容した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237U (ja) * 1983-07-28 1985-02-19 須田 和笑 即席調理兼用の肉収容した蓋
JPS6024238U (ja) 1983-07-28 1985-02-19 須田 和笑 即席調理兼用の肉収容した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63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KR101252443B1 (ko) 다기능 냄비
KR101096063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20080005447U (ko) 다용도 솥
KR20090005536A (ko) 다용도 주방용기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JP3046000U (ja)
KR101138925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GB2554533B (en) A teapot
JPH09108114A (ja) 茹で物の水切り具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20200094042A (ko) 다용도 용기 뚜껑
KR200457983Y1 (ko)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CN212465747U (zh) 滤糖蒸笼和烹饪器具
JPH08270029A (ja) 流し台
CN212815915U (zh) 多功能蒸笼和烹饪器具
WO2021021530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CN207949659U (zh) 一种电饭锅蒸盆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KR200332974Y1 (ko) 조리용기 덮개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