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331A - 냄비 뚜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냄비 뚜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331A
KR20160006331A KR1020140085349A KR20140085349A KR20160006331A KR 20160006331 A KR20160006331 A KR 20160006331A KR 1020140085349 A KR1020140085349 A KR 1020140085349A KR 20140085349 A KR20140085349 A KR 20140085349A KR 20160006331 A KR20160006331 A KR 20160006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ing
pot
main body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탁
오진훈
Original Assignee
오재탁
오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오진훈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102014008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331A/ko
Publication of KR2016000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7Milk-boiling vessels with water or steam jackets, e.g. with sign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0Funnel-like inserts; Grooved plates to be placed on the bottom of cooking utensils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에 구비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삶거나 빨래를 삶는 경우에 발생하는 거품 등의 부유물이 본체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통하여 냄비의 조리부를 폐쇄하는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함으로서 조리부를 덮음으로서 삶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거품이 뚜껑과 냄비 사이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부를 덮는 덮개부를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구비하여 삶는 양에 따라 뚜껑의 양면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냄비 뚜껑 어셈블리{BOIL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냄비에 구비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삶거나 빨래를 삶는 경우에 발생하는 거품 등의 부유물이 본체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통하여 냄비의 조리부를 폐쇄하는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함으로서 조리부를 덮음으로서 삶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거품이 뚜껑과 냄비 사이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부를 덮는 덮개부를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구비하여 삶는 양에 따라 뚜껑의 양면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나 빨래를 삶는 경우에는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거품의 압력에 의해 뚜껑이 움직여 냄비 외부로 물이 새어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거품이나 국물 등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7-0114088호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인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냄비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상기 제1 손잡이와 테두리부 사이의 일측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개폐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의 뚜껑으로서 원형을 이루며 제2 손잡이를 구비하는 개폐구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구 덮개는 그 위에 내열강화 유리로 된 투명창을 구비함으로서 냄비 속 내용물이 끓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내용물 상태를 확인하기 편리하게 하는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59499호 『넘침 방지 냄비뚜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음식물이 끓어서 뜨거운 수증기가 발산될 때 수증기가 냄비 뚜껑의 상면에 깔리면서 외부로 퍼져 나가게 하여 손잡이에 뜨거운 수증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고, 수증기 배출부의 측면 하단부에 반원형의 수증기 배출구를 형성하여 수증기 배출구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며, 프랜지 뚜껑 상면에 다수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스팀발생부와 프랜지 뚜껑 상면의 물에 의한 표면장력을 없애 프랜지 뚜껑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넘침 방지 냄비뚜껑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내용물이 끓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구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을 하는 경우 불편함을 초래하여 위생적이지 못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21129호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음식물이 조리시에 냄비 본체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증기가 액화되어 물방울이 되도록 하고, 액화된 증기의 물방울을 다시 본체로 유입시켜, 조리시 본체에서 발생하여 상단까지 올라온 거품을 꺼트려 제거하고, 아울러 본체로 유입되는 낮은 온도의 물방울이 본체 상단의 온도를 떨어뜨려 증기압을 낮춤으로써, 조리시에 뚜껑이 들썩거리지 않도록 하고,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며, 냄비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서 하부로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 상부에 형성되고, 냄비 본체에서 생성되는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함몰부 하부에 형성되고, 증기가 액화된 물방울이 상기 본체로 유출되는 유출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로 유출되는 증기를 액화시켜 물방울이 되도록 하여 거품을 꺼트려 제거하는 것으로서, 거품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거품을 모두 제거하기 어려워 냄비뚜껑을 들썩거려 거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699호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용기의 뚜껑에 거품의 넘침을 방지하는 망체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하고, 또한 용기로부터 발생되는 냄새와 습기를 뚜껑에 연결되는 관체에 의해 후드쪽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한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을 제공하기 위해, 용기뚜껑의 하부면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도록 설치된 탄성후크와 그릇 형태로 된 망체의 상단에 상기 탄성후크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고리부가 형성된 거품망과 상기 용기뚜껑에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구멍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멍과 연통되도록 증기배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부 및 금속관체로 되고,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굴절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장착부의 증기배출공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증기유도관으로 구성되는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망체를 통하여 거품의 넘침을 방지하는 것으로, 국수를 삶거나, 빨래를 삶는 경우 등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 이 거품을 모두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냄비 뚜껑 어셈블리에 있어서,
본체에 구비되어, 냄비의 조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를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 뒷면의 제2 덮개부로 구비하여, 조리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조리 시 발생되는 거품 등의 부유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를 구비하여, 부유물에 의해 냄비 뚜껑이 들썩거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부유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방지부재를 더 구비한 냄비 뚜껑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에는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이 구비되는 패킹결합부재에 제1 및 제2 패킹수용부를 구비하여 제1 덮개부를 이용하거나 제2 덮개부를 이용하는 모든 경우에 패킹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는
냄비의 조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배출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배출부; 및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패킹이 결합되는 패킹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는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뒷면에 구비되는 제2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는 냄비의 조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본체에 구비되하되, 상기 덮개부를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로 구비하여 조리되는 양에 따라 양이 많은 경우에는 제1 덮개부를 이용하고,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제2 덮개부를 이용하여 조리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본체에는 배출부가 구비되어 조리를 하는 경우, 특히 국수를 삶거나 빨래를 삶는 경우 발생되는 많은 양의 거품이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됨에 따라 거품의 압력에 의해 뚜껑이 들썩거려 냄비 밖으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거품은 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넘침방지부재에 의해 뚜껑 밖으로 거품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냄비 사이에 패킹을 구비할 수 있는 패킹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패킹결합부재는 제1 패킹수용부와 제2 패킹수용부로 이루어져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덮개부에 패킹을 결합할 수 있어, 뚜껑과 냄비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의 패킹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냄비(B) 뚜껑 어셈블리(A)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부(B1)가 구비된 냄비(B)를 개폐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조리 시 발생하는 거품 등의 부유물을 배출하는 배출부(20) 및 상기 본체(1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패킹결합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냄비(B)'라 함은 뚜겅을 개폐하며,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냄비(B)류의 그릇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는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일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에는 냄비(B)의 조리부(B1)를 개폐하는 덮개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중앙에는 음식물, 특히 국수 등의 면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부유물(특히 국수 등을 삶는 경우 발생하는 거품을 말하며, 하기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품이라 지칭하도록 한다.)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21)으로 이루어진 배출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배출공(2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원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조리 시 발생하는 거품이 상기 배출공(21)을 따라서 냄비(B)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거품에 의해 본체(10)가 들썩거리고, 들썩거리는 본체(10)에 의해 거품이 냄비(B) 외부로 새어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본체(10)의 덮개부(11)가 상기 조리부(B1)를 일부 폐쇄함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1)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 덮개부(111)와, 상기 제1 덮개부(111)의 뒷면에 구비되는 제2 덮개부(1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111)(112)를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를 기준으로 본체(10)의 하면에 위치하는 덮개부(11)를 제1 덮개부(111)로, 본체(10)의 상면에 위치하는 덮개부(11)를 제2 덮개부(112)로 정하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제1 덮개부(111)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상면으로 돌출되어 라운드 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덮개부(111)와 상기 조리부(B1) 사이에는 이격부(111A)가 형성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본체(10)를 뒤집어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부(112)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폐쇄하면 상기 본체(10)의 라운드진 형상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조리부(B1)를 침범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를 하기 위한 음식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덮개부(111)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폐쇄함에 따라 이격부(111A)를 통해 조리부(B1)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양이 적은 경우, 제2 덮개부(112)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폐쇄하여 조리부(B1)의 부피를 감소시켜 조리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10)의 중앙에 구비되는 배출공(21)으로 이루어진 배출부(20)에 의해 조리 시 발생하는 거품이 배출되는데, 제1 덮개부(111)로 조리부(B1)를 덮는 경우, 상기 거품은 배출부(20)를 통해 나와 상기 제2 덮개부(112)의 외면을 따라 본체(10)의 가장자리로 흘러가며, 상기 제2 덮개부(112)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덮는 경우에는 거품이 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되면 제1 덮개부(111)의 기울기에 의해 다시 배출부(20)를 통해 투입되거나, 거품의 양에 따라 제1 덮개부(111)에 위치하여, 본체(10)가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A)는 국수와 같이 거품이 많이 나는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냄비(B)를 이용하여 빨래를 삶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리'의 대상체를 음식으로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A)는 상기 본체(10)와 냄비(B)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되는 패킹(50)이 결합하는 패킹결합부재(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패킹결합부재(30)는 상기 본체(10)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패킹(50)과 결합되는 제2 및 제1 패킹수용부(3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31)와 본체(10)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킹결합부재(30)의 일측을 절단한 후, 상기 본체(10)의 테두리가 상기 결합부(31)에 안착시키도록 위치시키고, 절단된 부분을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결합부(31)의 하부와 상부에는 제1 및 제2 패킹수용부(33)(35)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1)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3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절곡부(311)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10)가 상기 패킹결합부재(30)의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돌기(3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312)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패킹(50)과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한 평탄부를 형성하는 제1 패킹수용부(3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패킹(50)이 상기 제1 패킹수용부(33)에 결합함에 따라 제1 덮개부(111)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본체(10)와 냄비(B) 사이의 틈새를 패킹(50)을 이용하여 밀착하여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 4 는 상기 제2 덮개부(112)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 2 와는 방향이 반대로 뒤집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를 기준으로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31)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절곡부(314)에 연장되어 상기 본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돌기(3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315)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패킹(50)을 수용하기 위한 평탄부를 형성하는 제2 패킹수용부(3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덮개부(11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수용부(33)를 통해 본체(10)와 냄비(B) 사이에 패킹(50)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덮개부(11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패킹수용부(35)를 통해 본체(10)와 냄비(B) 사이에 패킹(50)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체(10)의 양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덮개부(111)(112)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31)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손잡이(317)가 결합되어, 본체(10)를 뒤집거나, 조리 시 본체(10)를 개폐하는 경우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상기 본체(10)를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냄비 뚜껑 어셈블리(A)의 패킹결합부재(30)에는 넘침방지부재(40)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넘침방지부재(40)는 상기 제1 패킹수용부(33)의 내측(본체(10)의 중심 방향을 내측이라 한다.)면에 구비되는 제1 넘침방지부(41)와, 상기 제2 패킹수용부(35)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넘침방지부(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넘침방지부(41)(43)는 상기 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본체(10) 외면을 따라 흘러나오는 거품이 본체(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덮개부(111)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덮는 경우에.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2 넘침방지부(43)에 의해 거품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덮개부(112)를 이용하여 조리부(B1)를 덮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넘침방지부(41)가 본체(10)의 상면에 돌출 구비됨에 따라 거품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킹결합부재(30)에 구비되는 패킹(50)에 대하여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패킹(50)은 상기 제1 패킹수용부(33) 또는 제2 패킹수용부(35)에 구비되는 장착부(51)와, 상기 장착부(51)의 단부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531)를 형성하고 냄비(B)의 안쪽으로 개방되는 개방부(533)를 형성하는 밀착부(53)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밀착부(53)는 냄비(B)의 단부와 접하는 날개부(535)와, 상기 날개부(535)와 장착부(51)를 연결하는 연결부(5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패킹(50)이 장착되는 뚜껑 구조 및 패킹(50) 구조에 따라 상기 연결부(537)는 날개부(535) 내지 장착부(51)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B)의 가열에 따라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밀착부(53)에 형성된 공간부(531)가 확장되면서도 냄비(B)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는 날개부(535)에 의해 냄비(B) 내부 부유물이 새어나가지 못하게 함으로서 냄비(B)와 뚜껑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킹결합부재(30)가 냄비(B)에 밀착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패킹(50)의 밀착부(53)와 장착부(51)가 겹쳐 중첩배열됨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밀폐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냄비 뚜껑 어셈블리 B : 냄비
B1 : 조리부 10 : 본체
11 : 덮개부 111 : 제1 덮개부
112 : 제2 덮개부 111A : 이격부
20 : 배출부 21 : 배출공
30 : 패킹결합부재 31 : 결합부
311 : 제1 절곡부 312 : 제1 이탈방지돌기
314 : 제2 절곡부 315 : 제2 이탈방지돌기
317 : 손잡이 33 : 제1 패킹수용부
35 : 제2 패킹수용부 40 : 넘침방지부재
41 : 제1 넘침방지부 43 : 제2 넘침방지부
50 : 패킹 51 : 장착부
53 : 밀착부 531 : 공간부
533 : 개방부 535 : 날개부
537 : 연결부

Claims (4)

  1. 냄비의 조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부유물을 배출하는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배출부; 및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패킹이 결합되는 패킹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는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뒷면에 구비되는 제2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결합부재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결합부재는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패킹과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패킹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패킹은
    상기 제1 패킹수용부 또는 제2 패킹수용부에 구비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냄비의 안쪽으로 개방되는 개방부를 형성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1020140085349A 2014-07-08 2014-07-08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20160006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49A KR20160006331A (ko) 2014-07-08 2014-07-08 냄비 뚜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49A KR20160006331A (ko) 2014-07-08 2014-07-08 냄비 뚜껑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331A true KR20160006331A (ko) 2016-01-19

Family

ID=5530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349A KR20160006331A (ko) 2014-07-08 2014-07-08 냄비 뚜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3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425A (zh) * 2018-11-22 2020-05-29 宁波旭磊电子科技有限公司 排气阀定时释放机构
KR102149034B1 (ko) 2019-03-18 2020-08-27 최삼규 식품 조리 및 가공용 선철 소재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425A (zh) * 2018-11-22 2020-05-29 宁波旭磊电子科技有限公司 排气阀定时释放机构
CN111202425B (zh) * 2018-11-22 2021-05-25 江苏宏威重工机床制造有限公司 排气阀定时释放机构
KR102149034B1 (ko) 2019-03-18 2020-08-27 최삼규 식품 조리 및 가공용 선철 소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3265B2 (ja) 中皿付き容器
KR101269219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0845585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80060271A (ko) 내부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절기가 달린 냄비
KR101252443B1 (ko) 다기능 냄비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100918310B1 (ko)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
JP6007710B2 (ja) 即席食品用容器
KR20080005447U (ko) 다용도 솥
JP6523990B2 (ja) 炊飯器
US11478102B2 (en) Self-contained electronic boiling and straining system
CN212066509U (zh) 防溅防溢锅盖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WO2012150496A9 (en) A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JP2006275546A (ja) おかゆ調理用の計量カップ
KR100221649B1 (ko)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KR20160004610A (ko)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357933Y1 (ko) 전자렌지용 솥의 신호장치
KR20150002901U (ko) 링 부재를 구비한 뚜껑
KR101445857B1 (ko) 소리나는 냄비뚜껑
KR101516794B1 (ko)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조리용기용 뚜껑
KR101650283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KR20190138162A (ko) 조리용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