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283B1 -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0283B1 KR101650283B1 KR1020160014669A KR20160014669A KR101650283B1 KR 101650283 B1 KR101650283 B1 KR 101650283B1 KR 1020160014669 A KR1020160014669 A KR 1020160014669A KR 20160014669 A KR20160014669 A KR 20160014669A KR 101650283 B1 KR101650283 B1 KR 101650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oking
- lid
- check valv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후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조리실을 진공 가능하게 하는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체크밸브를 통해 넘치는 국물 및 거품을 간편하게 받아 내도록 함으로써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향상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과정에서 체크밸브를 통해서 넘치는 국물 및 거품을 간편하게 받아 내도록 뚜껑 상면에 수용실을 형성함으로써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향상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과정에서 체크밸브를 통해서 넘치는 국물 및 거품을 간편하게 받아 내도록 뚜껑 상면에 수용실을 형성함으로써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향상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 후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조리실을 진공 가능하게 하는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체크밸브를 통해 넘치는 국물 및 거품을 간편하게 받아 내도록 함으로써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향상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는 용기, 용기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용기를 가열하면 뚜껑에 장착된 체크밸브를 통해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므로 평상시와 같은 조리용기 즉, 냄비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조리 후 더 이상 가열하지 않게 되면 식는 과정에서 용기의 조리실 내부가 수축하면서 체크밸브와 뚜껑을 당김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조리실을 진공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는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3-0113398호 및 공개번호 제10-2014-0140531호를 통해서 제안되어 있다.
상기의 양 공보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진공냄비를 끓일 때 조리실 내부가 팽창하여 체크밸브를 통해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고, 식는 과정에서 용기의 조리실 내부가 수축하면서 체크밸브 및 뚜껑을 당김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진공 상태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진공을 해제하고자 하면 상기 체크밸브를 당겨서 올려주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진공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조리될 음식종류 특히, 밥이나 국물 요리를 조리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가열하게 되면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개방된 체크밸브를 통해서 국물 혹은 거품이 배출되어 뚜껑 상면을 통해서 흘러내려 주방을 지저분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 과정에서 체크밸브를 통해서 넘치는 국물 및 거품을 간편하게 받아 내도록 함으로써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향상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조리실을 개폐하며, 가장자리 하측으로는 상기 용기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고,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 손잡이가 설치되는 뚜껑; 상기 뚜껑 손잡이의 관통공 상에 설치되어서 용기 가열시 조리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뚜껑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 가장자리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실을 형성함으로써 조리시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서 배출되는 거품과 국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체크밸브를 위로 당겨 올려주면 용기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는 내벽과 외벽의 이중으로 구성되되, 적어도 하면에는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가열시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리실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의 내벽과 외벽은 서로 겹쳐진 부분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펀칭하여 서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과정에서 체크밸브를 통해서 넘치는 국물 및 거품을 간편하게 받아 내도록 뚜껑 상면에 수용실을 형성함으로써 주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향상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뚜껑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 손잡이를 보인 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의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뚜껑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 손잡이를 보인 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의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용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뚜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10)는 크게 용기(100), 뚜껑(200), 체크밸브(300) 및 커버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100)는 내벽(110)과 외벽(120)의 이중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면에는 상기 내벽(110)과 외벽(120)이 일정거리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중공부(140)가 형성된다. 이 중공부(140)는 용기(100)를 가열할 때 열을 고르게 분산시키면서도 용기(100) 바닥이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실(130) 내부 온도의 급상승을 방지하고,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부(140)에는 용기 가열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원석 성분을 매개로 제조한 보조판(150)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용기(100)가 이중벽으로 구성되는 경우, 내벽(110)과 외벽(120)을 서로 접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착제와 같은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인체에 무해하기 위해 도 2의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벽(110)과 외벽(120)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의 어느 한 부분을 펀칭하여서 펀칭할 때 발생되는 볼록부를 매개로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도 좋다. 이 펀칭은 내부에서 외부 혹은 외부에서 내부로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의 부착방법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명백히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를 구성하는 외벽(120)의 상단에는 용기(1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외향된 용기 손잡이(16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용기 손잡이(160)는 내벽에도 형성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상기 뚜껑(200)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100)의 상면에서 조리실(130)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하측으로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패킹(210)이 구비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공(222)이 형성된 뚜껑 손잡이(2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200)에 구비되는 패킹(210), 뚜껑 손잡이(220)의 구성은 종래의 기술에서도 이미 언급하고 있는 바, 본원에서는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손잡이(220)의 경우 뚜껑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나 중심을 벗어난 어느 일측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 손잡이(220)에 형성된 관통공(222)에 형성된 안치부(224)에는 상기 체크밸브(300)가 안치되어 상기 관통공(222)을 막음하고 있다. 상기 체크밸브(300)는 인체에 무해한 내열성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며, 상기 안치부(224)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플랜지부(310), 상기 안치부(224)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플랜지부(320)로 구성되고, 내부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향 개방된 유입실(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플랜지부(310,320) 사이에는 상기 유입실(330)과 외부를 연통하기 위한 배출공(3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기술에서도 충분히 언급하고 있어 본원에서는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커버체(400)는 도 1 및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 손잡이(220)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수용실(410)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체(400)는 상기 뚜껑 손잡이(220)를 형성할 때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그 일측에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20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뚜껑(200)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부(42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커버체(400)를 매개로 형성된 수용실(410)은 상기 체크밸브(300)를 통해서 넘치는 거품이나 국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용함으로써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 뚜껑 손잡이(220) 및 커버체(400)의 다른 일실시예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 손잡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 손잡이(220')는 관통공(222)에 형성된 안치부(224)가 최상단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뚜껑 손잡이(220)의 외관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형상을 본원에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인지해야 된다.
도 5 및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커버체(400', 400")는 뚜껑 손잡이(2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결합하였을 때 뚜껑 손잡이(220) 외측으로 수용실(4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커버체(400', 400")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조리될 음식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5의 경우에는 상기 커버체(400')를 손잡이(220)의 상측에서 하향 결합하여 외벽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도 6의 경우에는 뚜껑 손잡이(220)의 상단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어떤 방식이던 커버체(400', 400")와 뚜껑 손잡이(220) 사이에 수용실(410)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체(400)를 결합함에 있어 미도시 하고 있으나 볼팅 체결방식으로도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다양한 형상 및 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어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뚜껑 손잡이(220)의 외측으로 수용실(410)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상기 커버체(400)는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세척도 용이한 실리콘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체(400)는 불필요할 때에는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일체형으로도 가능함을 인지해야 되며 이를 한정하지 않음을 명백히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의 진공 가능하나 조리용기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을 취하여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의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용기(100)의 조리실(130)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뚜껑(200)을 덮은 상태에서 용기(100) 바닥면을 가열함으로써 조리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 조리실(130) 내부가 팽창하게 되고, 곧 공기는 뚜껑 손잡이(220)에 장착된 체크밸브(30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즉,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리실(130) 내부 공기는 체크밸브(300)를 상승시키게 되고, 체크밸브(300)의 상승으로 인해 뚜껑 손잡이(220)의 안치부(224) 상측으로 배출공(340)이 노출되는데, 이 배출공(340)으로 화살표와 같이 조리실(130) 내부 공기가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기(100)를 계속해서 가열하게 되면 밥 혹은 국물이 많은 음식물 같은 경우에는 개방된 체크밸브(300)의 배출공(340)을 통해서 일부 배출되기도 하는데, 체크밸브(300)를 통해서 배출된 거품이나 음식물은 뚜껑 손잡이(220)의 외측에 형성된 수용실(410)로 수용됨에 따라 용기(100)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깨끗한 주방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실(410)에 적정 수위 이상으로 음식물이 고이게 되면 뚜껑(200)을 열고 용기(100) 내부로 다시 붓게 되면 음식물 낭비도 없이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주방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용실(410)을 형성하는 커버체(400)를 착탈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음식물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조리 후, 식는 과정에서 조리실(130) 내부가 수축하면서 체크밸브(300)를 당겨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면서, 뚜껑(200) 또한 같이 당겨 밀착시킴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진공화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체크밸브(300)를 살짝 올려 주면 외부공기가 조리실로 유입되면서 해제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100 : 용기
110 : 내벽 120 : 외벽
130 : 조리실 140 : 중공부
150 : 가열체 160 : 손잡이
200 : 뚜껑 210 : 패킹
220 : 손잡이 222 : 관통공
224 : 안치부 300 : 체크밸브
310 : 상부플랜지부 320 : 하부플랜지부
330 : 유입실 340 : 배출공
400 : 커버체 410 : 수용실
110 : 내벽 120 : 외벽
130 : 조리실 140 : 중공부
150 : 가열체 160 : 손잡이
200 : 뚜껑 210 : 패킹
220 : 손잡이 222 : 관통공
224 : 안치부 300 : 체크밸브
310 : 상부플랜지부 320 : 하부플랜지부
330 : 유입실 340 : 배출공
400 : 커버체 410 : 수용실
Claims (4)
-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이 형성된 용기(100);
상기 용기(100)의 조리실을 개폐하며, 가장자리 하측으로는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패킹(210)이 구비되고,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공(222)이 형성된 뚜껑 손잡이(220)가 설치되는 뚜껑(200);
상기 뚜껑 손잡이(220)의 관통공(222) 상에 설치되어서 용기 가열시 조리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밸브(300); 및
상기 뚜껑(200)의 상면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220) 가장자리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실(410)을 형성함으로써 조리시 상기 체크밸브(300)를 통해서 배출되는 거품과 국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커버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체크밸브(300)를 위로 당겨 올려주면 용기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는 내벽(110)과 외벽(120)의 이중으로 구성되되, 적어도 하면에는 상기 내벽(110)과 외벽(120) 사이에 중공부(140)가 형성되어 가열시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리실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의 내벽(110)과 외벽(120)은 서로 겹쳐진 부분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펀칭하여 서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4669A KR101650283B1 (ko) | 2016-02-05 | 2016-02-05 |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4669A KR101650283B1 (ko) | 2016-02-05 | 2016-02-05 |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0283B1 true KR101650283B1 (ko) | 2016-08-22 |
Family
ID=5685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4669A KR101650283B1 (ko) | 2016-02-05 | 2016-02-05 |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02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6822B1 (ko) * | 2017-01-24 | 2018-10-11 | 원영훈 | 내열을 이용한 이중가열식 조리기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0601Y1 (ko) * | 2006-06-12 | 2006-11-13 | 최정호 |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
KR20120002101U (ko) * | 2010-09-14 | 2012-03-23 | 황석환 |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
KR20130113141A (ko) * | 2012-04-05 | 2013-10-15 | 주식회사 해피콜 | 진공 가능한 냄비 |
KR101396596B1 (ko) * | 2013-07-31 | 2014-05-23 | (주)홍산경금속 | 음식물 넘침 방지용 조리 용기 |
-
2016
- 2016-02-05 KR KR1020160014669A patent/KR1016502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0601Y1 (ko) * | 2006-06-12 | 2006-11-13 | 최정호 |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
KR20120002101U (ko) * | 2010-09-14 | 2012-03-23 | 황석환 |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
KR20130113141A (ko) * | 2012-04-05 | 2013-10-15 | 주식회사 해피콜 | 진공 가능한 냄비 |
KR101396596B1 (ko) * | 2013-07-31 | 2014-05-23 | (주)홍산경금속 | 음식물 넘침 방지용 조리 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6822B1 (ko) * | 2017-01-24 | 2018-10-11 | 원영훈 | 내열을 이용한 이중가열식 조리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02507B2 (ja) | マイクロ波蒸気調理容器システム | |
TWI232092B (en) | Container for microwave cooking | |
MXPA06010291A (es) | Recipiente metalico calentable con microondas. | |
US20210106161A1 (en) | Automatic spill-proof lid | |
ES2339978T3 (es) | Olla de coccion o calentamiento provisto de un dispositivo ajustable para ventilacion de vapores internos. | |
US9675197B2 (en) | Steam cooker | |
KR101650283B1 (ko) |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 |
KR101244277B1 (ko) | 중탕기 | |
JP2001287776A5 (ko) | ||
JP3163168U (ja) | 調理器具 | |
KR20070035051A (ko) | 환기구를 갖춘 1회용 포장용기 | |
KR200437807Y1 (ko) | 밀폐형 용기 뚜껑 | |
JP6352667B2 (ja) | 透視性の軟質シリコーン樹脂製の被せ蓋 | |
JP2011168311A (ja) | 電子レンジ用容器 | |
KR200472073Y1 (ko) |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 |
KR101953359B1 (ko) | 가마솥 뚜껑 | |
CN206691713U (zh) | 可加热快餐容器 | |
KR20160006331A (ko) | 냄비 뚜껑 어셈블리 | |
JP2011183105A (ja) | 電子レンジ調理容器 | |
KR200478961Y1 (ko) | 다중구조냄비 | |
CN214548803U (zh) | 一种利用余热的烹饪器具 | |
JP2008000376A (ja) | 電気ポット用蓋付き耐熱茹で容器。 | |
KR20180056331A (ko) |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 |
KR200491879Y1 (ko) | 조리용기 뚜껑 | |
KR101720428B1 (ko) |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