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10A -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10A
KR20160004610A KR1020140083138A KR20140083138A KR20160004610A KR 20160004610 A KR20160004610 A KR 20160004610A KR 1020140083138 A KR1020140083138 A KR 1020140083138A KR 20140083138 A KR20140083138 A KR 20140083138A KR 20160004610 A KR20160004610 A KR 20160004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oking
oil
frying pa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14008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610A/ko
Publication of KR2016000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는, 중앙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이나 부침개와 같은 음식물을 부침용기에서 조리시 외부로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침용기의 상부에 놓이는 부침용기 덮개;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뒤집개부와, 상기 뒤집개부의 타측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조리용 뒤집개; 및 상기 부침용기 덮개 상부의 상기 관통홀의 주위영역에서 상기 관통홀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제공되고, 상단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상기 손잡이부가 통과하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뒤집개부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침용기에서 전이나 부침 등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부침용기나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튀는 기름이 사용자에게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 영역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FRYING PAN COVER HAVING TUNER OF COOKING}
본 발명은 프라이팬과 같은 부침용기에서 전이나 부침개 등과 같은 음식물의 요리시 부침용기를 덮은 상태에서도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뒤집개는 각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프라이팬에 부침개, 전 등의 요리를 행하는 경우 음식물을 뒤집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조리용 뒤집개는 넓적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과공이 형성되는 뒤집개수단과, 뒤집개수단의 후단으로부터 뒤집개수단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파지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용 뒤집개는 사용자가 파지부에 의해 제공되는 파지영역을 파지한 상태에서 뒤집개수단으로 음식물을 뒤집거나 밀면서 요리를 행하게 되는데, 요리 도중 음식물을 뒤집는 경우 음식물로부터 뜨거운 기름이 사용자에게 튀면서 사용자가 국소화상을 입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4-0007002호는 후라이팬의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에 장착되되, 외부프레임 보다 소정크기 만큼 크고 습기방출용 배출홀이 형성된 커버수단을 갖춘 후라이팬 덮개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배출홀을 통해 기름이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프라이팬이나 음식물로부터 비산하는 기름은 주변을 오염시켜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이 통행하면서 바닥에 떨어진 기름을 밟는 경우 기름에 의해 넘어지면서 상해를 입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발바닥에 기름이 묻은 상태로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오염 범위가 확대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기름이 프라이팬의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부침개 등의 요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침용기에서 전이나 부침개 등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부침용기나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튀는 기름이 사용자에게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 영역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침용기를 부침용기 덮개로 닫아 기름이 튀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부침용기 내에서 조리되는 전이나 부침개 등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뒤집으며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는, 중앙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이나 부침개와 같은 음식물을 부침용기에서 조리시 외부로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침용기의 상부에 놓이는 부침용기 덮개;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뒤집개부와, 상기 뒤집개부의 타측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조리용 뒤집개; 및 상기 부침용기 덮개 상부의 상기 관통홀의 주위영역에서 상기 관통홀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제공되고, 상단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상기 손잡이부가 통과하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뒤집개부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는 상기 조리용 뒤집개에 제공되어 상기 부침용기 내에 기름을 주입하는 기름주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부침용기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홀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는 부침용기에서 전이나 부침개 등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부침용기나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튀는 기름이 사용자에게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 영역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는 부침용기를 부침용기 덮개로 닫아 기름이 튀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부침용기 내에서 조리되는 전이나 부침개 등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뒤집으며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기름주입장치에서 기름펌핑구의 공기유통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10)는 부침용기 덮개(100), 조리용 뒤집개(200) 및 벨로우즈(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를 덮는다. 부침용기(1)는 각종 전(煎)이나 부침개 혹은 생선이나 튀김 등의 요리시에 이용될 수 있는 여하한 종류의 주방용기를 의미한다. 일 예로, 부침용기(1)는 프라이팬(frying pa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煎)은 생선이나 고기, 채소 따위를 얇게 썰거나 다져 양념을 한 뒤 밀가루 등을 묻혀 기름에 지진 음식을 통틀어 일컫는다.
따라서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의 상부에 놓여져 부침용기(1)를 커버하면서 부침용기(1)의 뚜껑 역할을 한다. 즉,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 외주연의 상단에 위치되어 전이나 부침개 등과 같은 음식물을 부침용기(1)에서 조리시 부침용기(1)의 외부로 기름이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에서 바라볼때 부침용기(1)가 사각형인 경우라도 부침용기 덮개(1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침용기 덮개(100)는 적어도 부침용기(1)의 사이즈와 같거나 부침용기(1)보다 큰 사이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침용기 덮개(100)가 부침용기(1)의 상부를 커버하여 기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부침용기 덮개(100)의 외주연에는 서로 마주보는 혹은 대향되는 위치에 1쌍의 덮개 핸드(101)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덮개 핸드(101)는 어느 일측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 핸드(101)는 장시간의 요리과정을 통해 뜨거워진 부침용기 덮개(100)로 부침용기(1)를 닫거나 열때 사용자가 잡고 부침용기 덮개(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침용기 덮개(100)는 커버부(110)와 연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부침용기(1)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어 요리과정에서 기름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부(110)는 외주연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차가 형성되어 중앙부는 높고 외주연부는 낮게 전체적으로 급하지 않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110)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관통홀(111)에는 후술하는 조리용 뒤집개(200)의 손잡이부(220)가 통과한다.
또한, 커버부(110)의 일정 위치에는 증기배출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증기배출공(112)은 부침용기(1)에 부침용기 덮개(100)를 덮은 상태에서 요리시 높은 온도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나 에어(air), 가스(gas) 등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연장부(120)는 커버부(110)의 외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부침용기 덮개(100)가 부침용기(1)를 닫을 때 부침용기(1)의 상단 외주연에 놓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120)는 부침용기(1)의 상단 외주연의 외측벽과 맞닿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연장부(120)는 커버부(110)의 외주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110)의 외주와 연장부(1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부침용기 덮개(100)가 부침용기(1) 상에 놓일 때 부침용기(1)의 상단 외주연에 위치되어 걸림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커버부(110)의 외주와 연장부(120)의 사이에는 걸림턱(113)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0)의 외측부는 부침용기(1)의 내측벽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이 제공되는 부침용기 덮개(100)의 구조는 부침용기 덮개(100)가 부침용기(1)를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를 닫은 상태에서 부침용기(1) 내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체크하여 뒤집어주는 등의 조리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부침용기 덮개(100)는 부침용기(1)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일 예로 부침용기 덮개(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유리 혹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침용기 덮개(100)의 중앙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조리용 뒤집개(200)는 일측에 형성되는 뒤집개부(210)와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뒤집개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211)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뒤집개부(22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이나 부침개 등의 음식물을 쉽게 뒤집거나 밀어줄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뒤집개부(220)에는 다수의 장공(211)이 형성되어 음식물을 뒤집거나 밀어주는 과정에서 묻은 기름이 장공(211)을 통과해 다시 부침용기(1)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220)는 뒤집개부(210)의 타측에서 관통홀(111)을 통과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부(220)는 원기둥 또는 육면체 형상 등의 바(bar)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벨로우즈(300)는 부침용기 덮개(100)가 부침용기(1)를 덮는 경우 부침용기 덮개(100) 상부의 관통홀(111)의 주위영역에서 관통홀(111)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벨로우즈(300)는 연질의 실리콘,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300)는 유연성 또는 밀폐·밀봉성 등이 우수한 주름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3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벨로우즈(300)는 대외경부와 소내경부가 교대로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어느 형태로 형성되든 벨로우즈(300)는 하단은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개구된 상태이어야 하고 상단은 닫힌 상태로 제공된다.
벨로우즈(300)는 상단에 고정홀(301)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손잡이부(220)가 통과하면서 손잡이부(220)를 고정함과 동시에 뒤집개부(21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침용기 덮개(100)의 관통홀(111)은 벨로우즈(300) 상단의 고정홀(301)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홀(301)은 손잡이부(200)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손잡이부(220)를 끼움삽입하여 탄성력에 의해 일정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있다. 반면에 관통홀(111)은 뒤집개부(210)가 부침용기(1) 내의 전체영역에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직경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관통홀(111)은 고정홀(30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기름주입장치에서 기름펌핑구의 공기유통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10)는 기름주입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름주입장치(400)는 조리용 뒤집개(200)에 제공되어 부침용기(1) 내에 기름을 주입할 수 있다.
기름주입장치(400)는 기름저장통(410), 기름펌핑구(420) 및 기름주입라인(4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름저장통(410)은 손잡이부(220)의 상단에 제공된다. 기름저장통(410)의 외부면은 상기 파지영역으로 제공된다. 기름저장통(410)의 내부에는 기름을 저장하는 저장공간(411)이 형성된다. 기름저장통(410)의 상단 개구부(412)는 저장공간(411)으로 식용유 등의 기름을 주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단 개구부(412)를 통하여 기름저장통(410)에 기름을 주입한 후에는 상단 개구부(412)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41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름펌핑구(420)는 기름저장통(410)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4)에 설치된다. 돌출부(414)는 저장공간(411)의 하부측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414)는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 바닥에는 기름저장통(410)의 저장공간(411)과 연통하는 압력유통공(415)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기름펌핑구(420)는 돌출부(414) 위의 개구된 상부를 밀봉하는 상태로 배치된 후 결합밴드(416)에 의하여 돌출부(414)를 감싼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기름펌핑구(420)는 기름저장통(410) 내부와 연통되면서 기름저장통(410) 내부에 저장된 기름을 밀어내는 압력을 작용시킨다. 기름펌핑구(420)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예: 실리콘 등)로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누르면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기름저장통(410)의 저장공간(411)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기름펌핑구(420)에는 공기유통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기름펌핑구(42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였을 때에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유통구조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기름펌핑구(420)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421)의 중앙부위에 '-' 또는 '+'형으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는 공기유통공(422)이 제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름주입라인(430)은 손잡이부(220) 및 뒤집개부(21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기름주입라인(430)의 일단(431)은 상기 기름저장통의 하단과 연결된다. 기름주입라인(430)의 타단(432)은 뒤집개부(210)의 하부면까지 연장되어 부침용기(1) 내로 저장공간(411)의 기름을 주입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기름주입장치(400)를 통해 기름을 부침용기(1)에 주입하고자 할 때에는 기름저장통(410)을 쥐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기름펌핑구(420)를 눌러준다. 그러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저장공간(411)에 있는 기름은 저장공간(411)에 연결된 기름주입라인(430)의 일단(431)으로 유입되어 기름주입라인(430)을 따라 흘러서 뒤집개부(210)의 저부로 연장되는 기름주입라인(430)의 타단(43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펌핑구(420)에 형성된 공기유통구조는 기름펌핑구(420)를 누를 때에는 공기유통공(422)이 닫힌 상태가 되며, 기름펌핑구(420)가 원래 상태로 탄성복원될 때에는 공기유통공(422)이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기름펌핑구(420)는 연속적으로 눌러주는 작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구성된 공기유통구조는 기름펌핑구(420)의 요부(421)에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 공기유통공(422)이 기름펌핑구(420)를 눌렀을 때에는 저장공간(411)에 있는 공기압의 반력에 의해 닫혀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공기유통구조는 압착된 후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될 때에는 저장공간(411)의 내부압보다 높은 외부의 대기압에 의해 절개된 공기유통공(422)이 순간적으로 개방되면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기름펌핑구(420)의 복원 작동이 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침용기(1)에서 전이나 부침개 등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부침용기(1)나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튀는 기름이 사용자에게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 영역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침용기(1)를 부침용기 덮개(100)로 닫아 기름이 튀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부침용기(1) 내에서 조리되는 전이나 부침개 등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뒤집거나 밀면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부침용기 10 :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100 : 부침용기 덮개 101 : 홀더
110 : 커버부 111 : 관통홀
120 : 연장부 200 : 조리용 뒤집개
210 : 뒤집개부 211 : 장공
220 : 손잡이부 300 : 벨로우즈
301 : 고정홀 400 : 기름주입장치
410 : 기름저장통 420 : 기름펌핑구
430 : 기름주입라인

Claims (4)

  1. 중앙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이나 부침개와 같은 음식물을 부침용기에서 조리시 외부로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침용기의 상부에 놓이는 부침용기 덮개;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뒤집개부와, 상기 뒤집개부의 타측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조리용 뒤집개; 및
    상기 부침용기 덮개 상부의 상기 관통홀의 주위영역에서 상기 관통홀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제공되고, 상단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상기 손잡이부가 통과하면서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뒤집개부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뒤집개에 제공되어 상기 부침용기 내에 기름을 주입하는 기름주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용기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홀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KR1020140083138A 2014-07-03 2014-07-03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KR20160004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38A KR20160004610A (ko) 2014-07-03 2014-07-03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38A KR20160004610A (ko) 2014-07-03 2014-07-03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10A true KR20160004610A (ko) 2016-01-13

Family

ID=5517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38A KR20160004610A (ko) 2014-07-03 2014-07-03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6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62A (ko) * 2018-06-04 2019-12-12 문지영 조리용 용기 뚜껑
US11707155B2 (en) * 2021-01-06 2023-07-25 Domonique Simone Jackson Means for stirring contents of a pot through a covered l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62A (ko) * 2018-06-04 2019-12-12 문지영 조리용 용기 뚜껑
US11707155B2 (en) * 2021-01-06 2023-07-25 Domonique Simone Jackson Means for stirring contents of a pot through a covered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2825A1 (en) Device to efficiently cook foods using liquids and hot vapors
US3130288A (en) Food-service device
US20170150744A1 (en) Device for storing, marinating, transporting and serving food including warming cover and cutting board and method therefor
CA2867788A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US20180192820A1 (en) Multi level configurable countertop roaster oven
KR101649585B1 (ko) 접이식 식판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KR101322408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KR20160004610A (ko)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KR20150047589A (ko)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
US11478102B2 (en) Self-contained electronic boiling and straining system
JP5711034B2 (ja) 調理装置
KR20170000014U (ko) 프라이팬
CN212326181U (zh) 烤盘及具有其的烤箱
KR101599244B1 (ko) 오일 공급형 뒤집개
US20140061206A1 (en)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102094602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KR101562308B1 (ko) 냄비
WO2021021530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KR101628808B1 (ko) 조리용기용 덮개
KR20180056331A (ko)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