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244B1 - 오일 공급형 뒤집개 - Google Patents

오일 공급형 뒤집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244B1
KR101599244B1 KR1020140071418A KR20140071418A KR101599244B1 KR 101599244 B1 KR101599244 B1 KR 101599244B1 KR 1020140071418 A KR1020140071418 A KR 1020140071418A KR 20140071418 A KR20140071418 A KR 20140071418A KR 101599244 B1 KR101599244 B1 KR 10159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ag
cooking
handle
oil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471A (ko
Inventor
정혜원
Original Assignee
정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원 filed Critical 정혜원
Priority to KR102014007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2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죽(dough)과 같은 식재료를 뒤집는 등의 지진 음식의 조리(요리) 도중은 물론 사용자 자신이 원할 때 식용유를 자유롭게 배출시켜 프라이팬에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가 빈 파이프형의 자루; 상기 자루의 일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은 판체형임에 따라 음식물의 뒤집기가 용이한 한편, 상기 자루로부터 연이어져 식용유를 다방향으로 분포시키게 된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더 연이어져 식용유를 하 말단까지 흘러보내도록 하는 다수의 배출안내홈이 상면에 형성된 뒤집기판; 상기 자루의 타 선단부에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 파지가 가능하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내에 수용된 상태로, 외력에 의한 내부압력 팽창시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가 상기 자루와 상기 분배관 및 상기 배출안내홈을 거쳐 상기 뒤집기판 외부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한 오일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 공급형 뒤집개{OIL SUPPLYING TYPE UTILITY TURNER}
본 발명은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죽(dough)과 같은 식재료를 뒤집는 등의 지진 음식의 조리(요리) 도중은 물론 사용자 자신이 원할 때 식용유를 자유롭게 배출시켜 프라이팬에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생활(人間生活, human life)의 세 가지 기본 요소인 의식주(衣食住)는, 말 그대로 입고 먹고 자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어 먹는 것만큼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없다.
이에, 인류탄생의 순간부터 세계 각국에서는 음식문화가 생겨나기 시작했는바,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전(煎, jeon / Assorted Pan-fried Delicacies)과 같은 지진 음식이 발달하였으며, 이러한 지진 음식의 조리(調理, cooking / 요리)를 위해서는 "뒤집개"라 하는 조리기구(調理器具, kitchen utensil)가 반드시 필요하다.
뒤집개(utility turner)의 사전적 의미는, 프라이팬(frypan)에 요리할 때 음식을 뒤집는 기구를 일컫는 것으로, 앞서 말한 전(煎)을 포함하여 계란프라이, 생선구이 등과 같이 프라이팬을 이용한 지진 음식의 조리 도중 해당 음식의 식재료(food reserves)를 1회 이상 뒤집어 골고루 튀기(지짐)고 익히는데 사용한다.
이를 위한 통상의 뒤집개(900)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의 자루(910); 상기 자루(910)의 일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아 음식물을 뒤집고 들어올리는 것이 용이케 된 뒤집기판(920); 상기 자루(910)의 타 선단부에 구성되어, 사용자 파지와 아울러 프라이팬으로부터의 열전도 방지를 통한 장시간 파지에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하는 손잡이(9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대부분의 프라이팬을 이용한 튀김요리를 포함하는 각종 지진 음식은, 15℃에서 완전한 액체상(液體狀)이 되는 식물성 기름인 식용유(食用油, cooking oil)를 사용하여야만 상기한 프라이팬 표면에 음식물이 들러붙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뒤집개(900)는, 단순히 음식물을 뒤집어주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그 이상의 기능성을 나타낼 순 없다. 따라서, 한 손으로는 뒤집개(900)를 부여잡고 음식물을 뒤집어주는 등의 조리작업을, 다른 한 손으로는 식용유용기를 붙잡고 기울여 1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부어주어야만 하는바, 그와 같은 번잡함으로 인해 요리에 집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프라이팬 상에 올려진 음식물을 뒤집어주는데만 너무 신경쓰다 식용유를 적시에 부어주지 못하게 되면 프라이팬 표면에 음식물이 들러붙을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너무 많은 량의 식용유를 붓게 되면 식용유 성분의 과다흡수로 인한 음식의 맛 변화는 물론이거니와 튀김상태가 달라져 원하던 요리를 망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너무 많은 량을 붓는 식용유의 과다소모로 인한 재료의 낭비와 아울러 프라이팬 과열시 식용유의 비산을 유발하여 요리를 하는 이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의 발생의 원인이 되어 왔다.
더욱이, 전술한 각종 문제점들은, 조상의 제사 또는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인 설이나 추석 등과 같이 모든 가족과 친,인척들이 모이는 특별한 날 모두가 먹을 수 있을만한 많은 량의 지진 음식을 요리하는 경우 더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8-0008143호(공개일자 : 1998. 04. 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 내부에 식용유가 저장된 오일통을 추가로 내재수용시켜, 그로부터 원하는 분량의 식용유를 사용자가 직접 배출시켜 프라이팬에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오일 공급형 뒤집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일 부위를 눌러 상기 오일통의 형태변형을 이룰 수 있도록 연질의 탄성 소재로 형성하는 동시에 해당 부위를 투명한 소재로 하여, 손가락 가압력 조절에 따라 식용유 배출량을 달리할 수 있으면서도 오일통 안에 저장된 식용유의 소비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공급형 뒤집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파이프형의 자루; 상기 자루의 일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은 판체형임에 따라 음식물의 뒤집기가 용이한 한편, 상기 자루로부터 연이어져 식용유를 다방향으로 분포시키게 된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더 연이어져 식용유를 하 말단까지 흘러보내도록 하는 다수의 배출안내홈이 상면에 형성된 뒤집기판; 상기 자루의 타 선단부에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 파지가 가능하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내에 수용된 상태로, 외력에 의한 내부압력 팽창시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가 상기 자루와 상기 분배관 및 상기 배출안내홈을 거쳐 상기 뒤집기판 외부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한 오일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오일통의 내재수용을 위한 탑재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일통의 착,탈이 가능토록 일부위가 절개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절개부위 개폐를 위해 상기 통체에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탑재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토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덮개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오일통은,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의 육안확인이 가능토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내측으로 끼워넣기 위한 주둥이가 하 말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마개가 구비결합되고,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의 잔량 파악을 위한 표시눈금이 외면에 인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체에는, 상기 자루와 연통하는 통공이 하단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초입부에는, 상기 오일통의 수밀성 확보를 위한 고무소재의 패킹이 구비결합되며, 상단부 내벽면에는, 상기 오일통의 외단부 가압하여 내재수용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탄성클립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덮개에는, 외력에 의한 탄성변형 및 원형복원이 가능한 연질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가압부가 중앙부에 별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오일 공급형 뒤집개는, 별도의 식용유용기를 준비하지 않고도 지진 음식의 조리 도중 자신이 원하는 때에 적당량의 식용유를 즉시 배출시켜 프라이팬에 흘려보낼 수 있게 됨을 통해, 다른데 신경 쓰지 않고 조리에 더욱 집중하여 최상의 맛을 내는 음식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식용유용기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주방 내 공간활용을 최적화할 수 있으면서도 부가기능 발휘에 따른 사용성 증대와 함께 효율적인 식용유 사용에 따른 재료(첨가물 등)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을 통해, 기존 뒤집개와는 다른 사용자 편의성 추구를 위한 독창성을 발휘에 따른 각종 음식물 조리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소비자의 구매욕구 충족을 통한 요리 및 요식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뒤집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있어, 오일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있어, 손잡이와 오일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있어, 오일통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있어 오일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있어 손잡이와 오일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에 있어 오일통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A)는, 내부가 빈 파이프형의 자루(1)와, 상기 자루(1)의 일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은 판체형을 이룸에 따라 음식물의 뒤집기가 용이한 한편 상기한 자루(1)로부터 연이어져 식용유를 다방향으로 분포시키게 된 분배관(21) 및 상기 분배관(21)으로부터 더 연이어져 식용유를 하 말단까지 흘려보내도록 하는 다수의 배출안내홈(22)이 상면에 형성된 뒤집기판(2)과, 상기 자루(910)의 타 선단부에 추가 구성되어 사용자 파지가 가능하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3)와, 상기 손잡이(3)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력에 의한 내부압력 팽창시 저장된 식용유가 상기 자루(1)와 분배관(21) 및 배출안내홈(22)을 거쳐 상기 뒤집기판(2) 외부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한 오일통(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루(1)는, 뒤집개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뒤집기판(2)과 손잡이(3)를 이격시켜 음식물 조리시의 가열로 뜨거워진 프라이팬의 열원이 사용자 신체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오일통(4)으로부터 배출된 식용유가 뒤집기판(2)으로 배출 흐름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식용유의 배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배출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마련된다.
뒤집기판(2)은, 부침개와 같은 각종 전이나 계란프라이 등과 같은 지진 음식을 만들기 위한 조리과정에서 해당 음식물(식재료)이 골고루 튀겨지고 익을 수 있도록 적어도 1회 이상 뒤집는데 사용되는 수단으로, 음식물을 뒤집거나 쟁반과 같은 그릇에 옮겨 담기에 용이토록 일정 너비를 갖는 판체형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의 상기 배출안내홈(22)은, 상기한 분배관(21)으로부터 외부 노출상태로 말단까지 이어진 내향된 홈의 형태를 이룸으로써, 음식물 뒤집는 과정 중 분배관(21)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식용유가 음식물의 그 표면에 묻어날 수도 있도록 함이 가능하다.
손잡이(3)는, 사용자가 파지와 더불어 그 내부로 상기 오일통(4)을 탑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통(4)의 내재수용을 위한 탑재공간(3a)이 내부에 마련되되, 오일통(4)의 착,탈이 가능토록 된 일부 절개형 통체(31)와, 상기 통체(31)의 절개부위 개폐를 위해 통체(31)에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탑재공간(3a)의 육안확인이 가능토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덮개(3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체(31)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루(1)의 배출로와 연통하는 통공(31a)이 하단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통공(31)의 초입부(初入部)에는 오일통(4)의 수밀성(水密性, watertightness) 확보를 위한 고무소재의 패킹(31a-1)이 함께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체(31)의 상단 탑재공간(3a) 내벽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통(4)의 근접 외단면을 가압하여 수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클립(311)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덮개(32)에는, 상기 통체(31)의 탑재공간(3a)에 내재수용된 오일통(4)의 둘레를 압박함에 따른 내부압력의 상승으로 저장된 식용유가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손가락을 이용한 가압시 탄성 변형 및 원형 복원이 가능한 연질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가압부(321)가 중앙부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오일통(4)은, 상기 손잡이(3) 안에 내재수용된 상태로 프라이팬으로 식용유를 흘려보내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량의 식용유를 담아둘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한편 저장된 식용유의 육안확인이 가능할 수 있게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의 통공(31a) 안으로 끼워넣기 위한 주둥이(41)가 하 말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고, 일정량의 식용유를 내부공간에 채워넣을 수 있도록 상단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마개(42)가 구비결합되며, 저장된 식용유의 잔량 파악을 위한 표시눈금(43)이 외면에 인쇄되어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주둥이(41)의 내면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점성을 갖는 식용유의 임의배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라이팬을 이용한 지진 음식의 조리를 위해 본 발명의 뒤집개(A)를 사용하기에 앞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의 통체(31)로부터 상기한 덮개(32)를 힌지 회동시켜 상기한 통체(31)의 탑재공간(3a)을 개방한다.
그런 다음, 내부공간에 일정량의 식용유를 미리 담아둔 상기 오일통(4)을 탑재공간(3a)에 끼워 넣어 내재수용시키게 되는바, 오일통(4)의 주둥이(41)를 상기 통체(31)의 하 말단 중앙부에 관통된 통공(31a)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오일통(4)에 저장된 식용유가 상기 자루(1)의 배출로를 통해 배출 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둥이(41)는, 상기한 통공(31a)에 끼워짐과 동시에 그 외면에 패킹(31a-1)이 압착됨으로써, 식용유가 다른 곳으로 새나가지 않는 수밀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한 덮개(32)를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체(31)와 상호 간 밀착하는 닫힘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일통(4)의 내재수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파지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본 발명의 뒤집개(A)를 일반적인 뒤집개와 마찬가지로 음식물을 뒤집기 위한 조리기구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그런 음식 조리 도중 또는 조리 전에 식용유를 배출시켜 프라이팬에 흘려보내는 것으로 지진 음식의 조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자신이 원할 때에 식용유를 프라이팬에 흘려보내는바, 상기 손잡이(3)의 덮개(32)에 마련된 상기 가압부(321)를 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탑재공간(3a) 안에 내재수용된 오일통(4)이 더불어 형태가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상기 오일통(4) 내부공간의 압력상승에 의해 오일통(4) 안에 저장되어 있던 식용유가 강제배출되는 것이다. 이때의 식용유의 강제배출량은 손가락의 압력조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으로 주둥이(41)를 통해 오일통(4) 밖으로 배출되는 식용유는, 상기 자루(1)의 배출로로 배출 흐름이 이어지게 되고, 상기 뒤집기판(2)의 분배관(21)들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 더하여 각각의 배출안내홈(22)을 따라 상기한 뒤집기판(2)의 끝단을 지나 프라이팬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과정 도중 상기 뒤집기판(2)을 좌,우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분배관(21)을 통과한 식용유가 뒤집기판(2) 상면에 묻어나도록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음식물의 뒤집기 과정에서 표면에 식용유를 해당 음식물에 묻혀주어야 할 때 그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형 뒤집개(A)를 이용하여 지진 음식 조리를 위한 조리기구로 사용할 수 있음에 더하여 통체(31) 안의 오일통(4)에 저장된 식용유를 배출시켜 프라이팬에 흘려보낼 수 있는 식용유 공급의 수단으로 겸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과 같이 별도의 식용유용기를 준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의 해소는 물론 조리에만 집중할 수 있음에 따른 최상의 음식요리가 가능케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식용유 사용량의 적절한 컨트롤이 가능함으로 인한 재료 사용량 관리와 아울러 별도의 식용유용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른 최적의 주방 공간활용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뒤집개, 1 : 자루, 2 : 뒤집기판
3 : 손잡이, 3a 탑재공간, 4 : 오일통
21 : 분배관, 22 : 배출안내홈, 31 : 통체
31a : 통공, 31a-1 : 패킹, 32 : 덮개
41 : 주둥이, 42 : 마개, 43 : 표시눈금
321 : 가압부, 311 : 탄성클립

Claims (5)

  1. 내부가 빈 파이프형의 자루;
    상기 자루의 일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은 판체형임에 따라 음식물의 뒤집기가 용이한 한편, 상기 자루로부터 연이어져 식용유를 다방향으로 분포시키게 된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더 연이어져 식용유를 하 말단까지 흘러보내도록 하는 다수의 배출안내홈이 상면에 형성된 뒤집기판;
    상기 자루의 타 선단부에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 파지가 가능하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내에 수용된 상태로, 외력에 의한 내부압력 팽창시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가 상기 자루와 상기 분배관 및 상기 배출안내홈을 거쳐 상기 뒤집기판 외부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한 오일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오일통의 내재수용을 위한 탑재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일통의 착,탈이 가능토록 일부위가 절개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절개부위 개폐를 위해 상기 통체에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탑재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토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덮개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공급형 뒤집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통은,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의 육안확인이 가능토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내측으로 끼워넣기 위한 주둥이가 하 말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마개가 구비결합되고,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의 잔량 파악을 위한 표시눈금이 외면에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공급형 뒤집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에는, 상기 자루와 연통하는 통공이 하단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초입부에는, 상기 오일통의 수밀성 확보를 위한 고무소재의 패킹이 구비결합되며,
    상단부 내벽면에는, 상기 오일통의 외단부 가압하여 내재수용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탄성클립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공급형 뒤집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외력에 의한 탄성변형 및 원형복원이 가능한 연질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가압부가 중앙부에 별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공급형 뒤집개.
KR1020140071418A 2014-06-12 2014-06-12 오일 공급형 뒤집개 KR10159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18A KR101599244B1 (ko) 2014-06-12 2014-06-12 오일 공급형 뒤집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18A KR101599244B1 (ko) 2014-06-12 2014-06-12 오일 공급형 뒤집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71A KR20150142471A (ko) 2015-12-22
KR101599244B1 true KR101599244B1 (ko) 2016-03-08

Family

ID=5508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418A KR101599244B1 (ko) 2014-06-12 2014-06-12 오일 공급형 뒤집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551A (zh) * 2016-06-29 2016-08-24 桂峰 一种智能锅铲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237A1 (en) * 2009-01-27 2010-07-29 Kenneth Thomas Cunningham Fluidic utensi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233B1 (ko) 1998-03-11 2001-05-15 한영호 망간-아연페라이트코아(mn­znferritecore)의제조방법
KR20020060666A (ko) * 2002-06-28 2002-07-18 남상채 부침용 뒤집개
KR100623903B1 (ko) * 2004-10-29 2006-09-19 이선재 오일 자동공급 뒤집개
KR101270239B1 (ko) * 2010-12-09 2013-05-31 박혜진 기름 공급 뒤집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237A1 (en) * 2009-01-27 2010-07-29 Kenneth Thomas Cunningham Fluidic utensi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551A (zh) * 2016-06-29 2016-08-24 桂峰 一种智能锅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71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501S1 (en) Poach pod
CA2867788A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US20080229585A1 (en) Seasoning spoon
US2367448A (en) Food frying unit
KR101599244B1 (ko) 오일 공급형 뒤집개
KR101460638B1 (ko) 다기능을 가지는 프라이팬 커버
US11478102B2 (en) Self-contained electronic boiling and straining system
US20050263011A1 (en) Cookware apparatus
US20220346588A1 (en) Kitchen device making the poaching of eggs easier and safer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KR20160004610A (ko)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US20170245684A1 (en) Cooking Utensil With Divider System
GB2538489A (en) Foldable cooking sheets and methods of folding food whilst cooking
KR10076646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구조
US6177663B1 (en) Food mold for microwave oven use
KR200439220Y1 (ko)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JP6896295B2 (ja) コンロ装置
KR200453883Y1 (ko) 결합이 용이한 조리기구
KR20180056331A (ko)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CN210748699U (zh) 一种便于倾倒汤汁的防烫汤锅
KR20130032996A (ko) 국자
CN206324630U (zh) 一种防护型分离式锅具
CN206586320U (zh) 用于制造爆米花的密封搅拌器
US1317071A (en) Submebsible coo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