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20Y1 -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 Google Patents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20Y1
KR200439220Y1 KR2020070005024U KR20070005024U KR200439220Y1 KR 200439220 Y1 KR200439220 Y1 KR 200439220Y1 KR 2020070005024 U KR2020070005024 U KR 2020070005024U KR 20070005024 U KR20070005024 U KR 20070005024U KR 200439220 Y1 KR200439220 Y1 KR 200439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ain body
plate
wat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무
Original Assignee
박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무 filed Critical 박찬무
Priority to KR2020070005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판을 가열하는 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가온 되는 열전도 봉을 통해 수용된 물을 데울 수 있게 하여 적정 온도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특히 월남 쌈과 같이 특정 음식재료를 뜨거운 물에 데쳐서 취식해야하는 경우에도 적정 온도로 물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한 용기에 관한 고안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불판(1) 일측으로 일정 길이 삽입되는 열전도 봉(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불판, 월남 쌈, 쌀종이, 라이스 페이퍼

Description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A Used heat bowl of indirect heat source}
도 1은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일 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중 불판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사용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사용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불판 1A: 홈부
1B: 관통홀 2: 열원
3: 용기 3A: 삽입부
4: 쌀종이 10: 본체
11: 수용부 11A: 돌출면
20: 열전도봉 21: 중공부
본 고안은 불판을 가열할 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가온 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불판의 열원과 근접되도록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열전도봉을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봉 타측단에 일정 크기의 수용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열전도봉을 따라 열원의 열이 전달되어 수용부에 수용되는 대상이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온 되게 한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에 관한 것이다.
월남 쌈이란, 채를 썬 야채, 볶은 닭고기, 국수 등과 같은 쌈 재료를 쌀종이(Rice paper)에 적당히 얹혀 싸먹는 요리이다.
이와 같은 월남 쌈은 쌀종이를 끓는 물에 한 장씩 넣어 말랑말랑하게 하여 각종 재료를 넣고 쌈을 싸서 먹는 것이다. 이러한 쌀종이는 개개인이 각자의 쌈을 만들기 위해 준비되어 취식 전에 끓는 물에 데치는 것으로, 하나의 용기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어 각각의 다른 용기를 두고, 이 용기에 뜨거운 물을 담아 이를 통해 데쳐지게 하여 쌈을 싸고 있다.
이러한 음식의 특성상 쌀종이를 데치는 용기에 수용되는 물은, 항상 끓는 정도의 뜨거운 물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나, 월남 쌈 요리가 각종 고기, 야채 등을 불판에 얹혀 굽거나, 용기에 담긴 물에 넣어 삶기 때문에 쌀종이를 데우기 위한 뜨거운 물을 지속적으로 끓일 수 있는 열원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쌀종이를 데쳐서 취식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종업원이 손님의 취식중에 지속적으로 물을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불판을 사용하는 요리에 있어서, 별도의 가온 수단 없이 불판에 사용되는 가열수단을 이용해 물을 가온할 수 있는 가온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불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도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가온 용기의 물이 적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장치는, 불판과 함께 사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내측에 물이 일정 양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측에 불판으로 일정 길이 삽입되는 열전도봉을 구비하여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 바닥 중심측이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면을 형성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판은 중심측에 일정 크기를 갖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 내주면에 측면 관통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수용부는 중심측이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면을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돌출면은 본체 저면이 수용부 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고, 이를 통해 수용부측이 돌출되게 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봉은 내측에 일정 크기의 중공부를 형성하여 일측이 본체의 수용부와 연통되게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일정 크기의 갖는 불판과 함께 사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부(11)를 갖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불판(1) 일측으로 일정 길이 삽입되는 열전도봉(2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1)는, 내부 바닥 중심측이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면(11A)을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면(11A)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10) 저면을 수용부(11)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시키고, 이를 통해 수용부(11)측이 돌출되게 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도봉(20)은 내측에 일정 크기의 중공부(21)를 형성하여 일측 이 본체(10)의 수용부(11)와 연통되게 구비된 것으로, 본체(10)에 수용된 액상의 수용물이 상기 중공부(21)를 통해 불판(1)의 열원(2)으로 근접되어 수용부(11)에 수용된 수용물의 가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과 함께 사용되는 불판은, 중심측에 일정 크기를 갖는 홈부(1A)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1A)에 삽입되는 용기(3)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1A) 내주면에 측면 관통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1B)을 구비하는 불판(1)인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1 도시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원형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 중심측에 일정 높이의 돌출면(11A)이 형성되는 수용부(11)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는 내측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데쳐지는 쌀종이의 형상에 맞게 원형으로 실시되는 것이나, 이는 본 고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면(11A)은 도 2 도시와 같이 본체(10)의 저면이 수용부(11)측으로 돌출되게 함몰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내측에 일정 양의 물을 수용하여 끓게 하고 수용부(11)에 얇은 쌀종이를 넣어 데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쌀종이를 상기 수용부(11)에 넣을 시, 상기 돌출면(11A)이 중심측에 향하도록 얹혀놓고, 쌀종이가 데쳐진 후 젓가락과 같은 집기도구를 이용해 쌀종이를 집어 꺼내게 된다.
이때 쌀종이는 상기 돌출면(11A)에 얹혀지게 되어 돌출면(11A)과 수용부(11) 의 바닥면과의 높이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틈을 통해 쌀종이의 가장자리가 들뜨게 되어 얇은 쌀종이를 손쉽게 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10) 일측면에 일정 길이의 열전도봉(20)을 구비하며, 상기 열전도봉(20) 내측에 중공부(21)를 형성하여 본체(10)의 수용부(11)와 연통되게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 3 도시와 같이 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일정 양의 물이 열전도봉(20) 내측의 중공부(21)로 유입되도록 한 것으로, 열전도봉(21) 끝단이 가온 되면 중공부(21) 내측의 물이 먼저 가온 되고, 물의 흐름으로 인해 수용부(11)에 수용되는 물 측으로 흘러 물이 빠르게 가온 됨과 동시에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열전도봉(20)의 실시 예로서 원형의 관 형태로 실시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로서 당업자기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사각형태의 사각관 또는 다각형 관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한편, 본 고안은 본체(10)의 열전도봉(20)이 불판(1) 일측으로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 4 도시와 같이 일정 크기의 원형 또는 사각의 판 중심측에 일정 크기의 홈부(1A)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1A) 측벽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1B)을 형성하며, 상기 홈부(1A)에 내삽되는 일정 크기의 삽입부(3A)를 갖는 별도의 용기(3)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3)는 내측에 물을 담고, 고기, 야채 등을 담아 물에 데쳐서 취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불판(1)은 도 5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본체(10) 일측의 열전도봉(20)이 하부측으로 삽입되어 중심측 홈부(1A)로 연통되게 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인원 수에 맞춰 다수 삽입하여 개인 용기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이하의 사용 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 예>
본 고안은 도 6 도시와 같이 불판(1)의 하부 일측으로 열전도봉(20)이 삽입되게 하여 중심측의 홈부(1A)의 관통홀(1B)을 통해 관통 삽입되게 하고, 본체(10)의 수용부(11)에 일정 양의 물을 담아 열전도봉(20) 내측으로 물이 채워지게 한다.
이와 같은 본체(10)를 손님의 인원 수에 맞게 그 수를 증감하여 구비하고, 불판 저면에 가스 등과 같은 열원(2)을 이용해 불판(1)을 가온시킨다.
이때 상기 불판(1)의 상기 홈부(1A)는, 상측에 삽입되는 용기(3)를 더 구비하여 물을 일정 양 담고, 이를 하측 열원(2)을 통해 끓게 하여 고기와 야채 등을 데칠 수 있게 사용한다.
한편, 열원(2)을 통해 불판(1)이 가열됨과 동시에 열전도봉(20)이 가열되고, 내측에 수용된 소량의 물이 빠르게 가온 되어 본체(10)의 수용부(11)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물의 흐름은 따뜻한 물이 상측으로 향하고, 차가운 물이 밑으로 향하는 극히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열전도봉(20)의 위치가 본체(10)의 중심에서 낮은 곳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열원(2)을 통해 본체(10)에 수용된 물이 가온 되면 쌀종이(4)를 돌출면(11A)에 얹혀지도록 넣고 쌈을 싸기 위해 적정한 상태로 데친 후, 도 7 도시와 같이 젓가락(5)을 이용해 쌀종이(4) 일측단을 집어 꺼내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열원 없이 불판을 가온시키는 열원을 이용해 음식을 취식하는 동안에도 항상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온수를 제공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의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의 사용으로, 불판을 사용하는 요리에 있어서, 별도의 가온 수단 없이 불판에 사용되는 가열수단을 이용해 물을 가온할 수 있는 가온 용기를 제공하여 종업원이 수시로 물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온 용기가 불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도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물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5)

  1. 일정 크기의 갖는 불판과 함께 사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불판(1) 일측으로 일정 길이 삽입되는 열전도봉(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는, 내부 바닥 중심측이 일정 높이를 갖게 형성되는 돌출면(11A)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11A)은 본체(10) 저면이 수용부(11)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고, 이를 통해 수용부(11)측이 돌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봉(20)은 내측에 일정 크기의 중공부(21)를 형성하여 일측이 본체(10)의 수용부(11)와 연통되게 구비된 것으로, 본체(10)에 수용된 액상의 수용물이 상기 중공부(21)를 통해 불판(1)의 열원(2)으로 근접되어 수용부(11)에 수용된 수용물의 가온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측에 일정 크기를 갖는 홈부(1A)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1A)에 삽입되는 용기(3)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1A) 내주면에 측면 관통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1B)을 구비하는 불판(1)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2020070005024U 2007-03-27 2007-03-27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200439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24U KR200439220Y1 (ko) 2007-03-27 2007-03-27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24U KR200439220Y1 (ko) 2007-03-27 2007-03-27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220Y1 true KR200439220Y1 (ko) 2008-03-27

Family

ID=4164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024U KR200439220Y1 (ko) 2007-03-27 2007-03-27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46Y1 (ko) 2011-06-07 2011-10-10 안회진 라이스 페이퍼 데침 기구
KR101415041B1 (ko) 2013-01-04 2014-07-04 이상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46Y1 (ko) 2011-06-07 2011-10-10 안회진 라이스 페이퍼 데침 기구
KR101415041B1 (ko) 2013-01-04 2014-07-04 이상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7754261B2 (en) Food containment cooking device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101297624B1 (ko) 바 형상 조리장치
KR200439220Y1 (ko)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200445346Y1 (ko) 신선로
CA2837147A1 (en) Suspension device and seasoning
KR101425615B1 (ko) 육수 가열장치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KR101315389B1 (ko)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US10736467B1 (en) Cooking utensil
KR100525055B1 (ko) 수육용기
US20140238998A1 (en) Shaped Cooking Vessel
CN210077367U (zh) 一种火锅用锅具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CN204378850U (zh) 蒸煮并用式电子锅
JP2001017312A (ja) 多機能鍋
US9332595B2 (en) Microwaveable heat retentive container
CN201328666Y (zh) 锅内加热器装置
KR200434697Y1 (ko) 육류 조리기용 보조구
JP3125288U (ja) 保温膳
KR200424627Y1 (ko) 계란후라이와 음료수가열기능을 겸비한 토스터기
TWM325797U (en) Pot with steam cook function
KR20240000021U (ko) 즉석식컵계란찜조리세트
US20140113037A1 (en) Seasoning and suspension device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