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624B1 - 바 형상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바 형상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624B1
KR101297624B1 KR1020130059354A KR20130059354A KR101297624B1 KR 101297624 B1 KR101297624 B1 KR 101297624B1 KR 1020130059354 A KR1020130059354 A KR 1020130059354A KR 20130059354 A KR20130059354 A KR 20130059354A KR 101297624 B1 KR101297624 B1 KR 10129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grill
bar
main body
heater
cook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윤
Original Assignee
장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윤 filed Critical 장상윤
Priority to KR102013005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그릴통과 히터를 포함하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가정에서도 예를 들어 계란액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신속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이 바 형상으로 조리된 후 별도의 인출기구 없이도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바 형상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는, 상부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베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수직그릴통과,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그릴통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 형상 조리장치{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TO BAR SHAPED FOOD}
본 발명은 바 형상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계란액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신속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말이는 불판을 가열한 상태에서 기름을 두룬 후 적당히 푼 계란액을 불판 위에 부어 얇게 편 다음, 계란액이 적당하게 익혀지기 시작하면 일측부터 두루말이처럼 말아 바 형상으로 만든 다음 칼로 적당한 폭으로 자르는 과정을 통해 조리된다. 이와 같이 계란액을 이용하여 계란말이와 같은 바 형상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37962호(2001.06.30. 등록)에는 전기히터에 의해서 가열되는 불판과, 상기 불판 위를 왕복작동하면서 회전하여 계란을 말아주는 계란말이 롤러와, 상기 계란말이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계란말이 롤러를 상기 불판 위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수직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불판 위에 식용유를 칠해주는 기름공급 롤러와, 상기 기름공급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기름공급 롤러를 불판 위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수직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불판 위의 계란 찌꺼기를 쓸어내기 위한 찌꺼기 제거판과, 상기 찌꺼기 제거판을 불판 위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롤러들과 수직구동수단 및 찌꺼기 제거판과 그 회전구동수단을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불판 위를 왕복운동하는 수단과, 상기 불판 위에 계란액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국자형의 계란통과, 상기 계란통을 기울여서 그 속의 계란액이 불판 위에 투입되도록 하는 계란통 구동수단과, 상기 기름공급 롤러에 식용유를 공급하기 위한 기름공급수단을 구비하여, 계란액을 자동으로 불판 위에 펼쳐서 튀겨낸 다음 두루말이 형태로 말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말이장치가 게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29439호(2013.01.29. 등록)에는 계란액을 가열하여 조리하도록 히트플레이트가 설치된 조리유닛과, 상기 조리유닛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계란액을 상기 조리유닛에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히트플레이트에서 조리된 계란과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폴딩롤러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히트플레이트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조리된 계란을 마는 폴딩유닛을 포함하는 자동 계란말이장치가 게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계란말이장치는 상당한 복잡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대형으로 형성되어 대형 음식점을 제외한 일반 가정이나 소형 음식점에서는 구매하여 사용할 엄두를 낼 수 없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계란말이 외에 다른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직그릴통과 히터를 포함하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가정에서도 예를 들어 계란액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신속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대상물이 바 형상으로 조리된 후 별도의 인출기구 없이도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바 형상 조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베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수직그릴통과,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그릴통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히터가 감겨진 수직그릴통을 둘러싸 보온공간을 형성하는 보온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그릴통에 투입된 조리대상물을 하부로 긁어내리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레이퍼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그릴통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연질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와, 상기 축봉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마개플레이트와, 상기 축봉의 상단에 상기 마개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파지시에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패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부에는 전원접속용 소켓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베이스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접속용 소켓이 접속되는 전원접속플러그가 함입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터는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감겨지는 나선히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터는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어 둘러싸는 원통히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통히터는 원통형 면상발열체와, 상기 원통형 면상발열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둘러싸며 운모판재를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원통형 운모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그릴통의 내경은 28 내지 35mm이고, 상기 수직그릴통의 높이는 160 내지 190mm이며, 상기 수직그릴통의 두께는 1.6 내지 2.6mm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그릴통은 상기 히터에 의해 9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그릴통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수직그릴통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유입구는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그릴통은 상기 본체 내에 2개 이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에 의하면, 수직그릴통과 히터를 포함하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 제조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상용될 수 있고, 히터에 전원을 제공하여 수직그릴통을 예열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유입구를 통해 수직그릴통 내로 투입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기만 하면 바 형상의 음식이 신속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수직그릴통 내로 투입되어 조리되면서 단백질의 변성에 의해 체적이 증대됨과 동시에 계란액에 포함된 수분이 가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조리완료된 바 형상의 음식을 상부로 밀어올림에 따라 조리완료와 동시에 바 형상의 음식이 수직그릴통의 상부로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에 의하면, 본체가 텀블러와 유사한 크기로 컴팩트하게 제조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본체의 하부에 본체보다 넓은 지지베이스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시 안정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에 의하면, 소시지, 맛살 또는 또띠아 등을 계란액에 조합하여 다양한 바 형상의 음식을 신속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의 단면구조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가정에서도 예를 들어 계란액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신속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리대상물이 바 형상으로 조리된 후 별도의 인출기구 없이도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베이스(13)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21)이 형성되며 상단은 유입구(11)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수직그릴통(20)과, 수직그릴통(20)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수직그릴통(20)을 가열하는 히터(30, 30')와, 본체(10)에 설치되고 히터(30, 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투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바닥면에 면접되는 지지베이스(13)가 구비된다.
본체(10)의 유입구(11)는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유입구(11)를 통해 자연적으로 수직그릴통(2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하단은 수직그릴통(20)의 개방 상단과 연통된다.
지지베이스(13)는 본체(1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의 직립상태를 바닥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부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마찰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와 지지베이스(13)는 커피포트와 유사한 전원공급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체(10)는 지지베이스(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베이스(13)의 상부에는 전원접속용 소켓(13a)이 돌출형성되고 지지베이스(13)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선(13b)이 구비되며, 본체(10)의 하부면에는 전원접속용 소켓(13a)이 접속되는 전원접속플러그(17)가 함입형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외주면에는 본체(10)의 파지시에 손과 본체(1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패드(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슬립방지패드(15)는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1개씩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는 휴대 및 사용, 보관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텀블러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수직그릴통(2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수직그릴통(20)은 내부로 유입된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히터(30, 30')로부터 가해지는 열을 통해 바 형상으로 조리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21)이 형성되며 상단은 유입구(11)와 연통되도록 개방된다.
수직그릴통(2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조되며, 내주면에는 통상의 불판이나 프라이팬과 같이 조리대상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테프론코팅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가 휴대 및 사용, 보관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텀블러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수직그릴통(20)의 내경은 28 내지 35mm이고 상기 수직그릴통의 높이는 160 내지 190mm이며 상기 수직그릴통의 두께는 1.6 내지 2.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그릴통(20)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각통을 비롯한 다양한 단면형상통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그릴통(20)의 하측 외주면에는 온도센서(23)가 구비되는데, 이 온도센서(23)는 수직그릴통(20)의 온도를 검출하여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40)로 전달함으로써, 수직그릴통(20)이 적정 온도로 예열되었는지 또는 수직그릴통(20)이 과열되는 것을 아닌지 등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으로,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등에 적용되는 통상의 서머스탯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수직그릴통(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 내에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 내에 2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수직그릴통(20)의 외주면에는 히터(30, 30')가 설치되는데, 이 히터(30, 30')는 수직그릴통(20)의 내부로 투입된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가열에 의해 바 형상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수직그릴통(20)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히터(30, 3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그릴통(20)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감겨지는 나선히터로 형성(도면부호 30에 해당)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그릴통(20)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어 둘러싸는 원통히터(도면부호 30'에 해당)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원통히터(도면부호 30'에 해당)는 면상발열체를 원통형상으로 감아 고정한 원통형 면상발열체(31)와, 원통형 면상발열체(31)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둘러싸며 운모판재를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원통형 운모재(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종래의 히터보다 열전달효율이 배가되어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훨씬 빨리 조리될 수 있으며 소비전력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에는 컨트롤러(40)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러(40)는 외부전원을 히터(30, 30')로 공급하거나 공급중단함으로써 히터(30, 30')의 작동, 즉 발열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온도센서(23)와 히터(30, 30')를 제어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스위치, 전원공급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램프, 적정 예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 등을 포함한다.
수직그릴통(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3)와 수직그릴통(20)을 가열하는 히터(30, 30')를 제어연결하는 컨트롤러(40)의 구성은 조리시에 수직그릴통(20)의 온도가 90 내지 130℃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온도조절장치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 내에 보온통(50)이 수직그릴통(20)의 외측 둘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보온통(50)은 히터(30, 30')가 감겨진 수직그릴통(20)의 외측 둘레를 둘러쌈에 따라 수직그릴통(20)과의 사이에 보온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내열합성수지재 또는 세라믹재와 같은 내열재로 제조되고 내주면은 단열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는 수직그릴통(20)에 조리대상물을 투입한 후 수직그릴통(20)의 내벽에 붙은 조리대상물을 하부로 밀어넣거나 긁어내리는 스크레이퍼(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스크레이퍼(6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봉(61)과, 축봉(61)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직그릴통(2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연질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63)와, 축봉(61)의 상측에 결합되고 본체(10)의 유입구(11)를 개폐하는 마개플레이트(65)와, 축봉(61)의 상단에 마개플레이트(65)와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6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레이핑 플레이트(63)는 내열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의 경우에는, 수직그릴통(20)과 히터(30, 30')를 포함하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 제조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상용될 수 있고, 특히 전원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나선스위치(10)에 전원을 제공하여 수직그릴통(20)을 적적 온도로 예열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수직그릴통(20) 내로 투입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기만 하면 바 형상의 음식이 신속용이하게 조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계란액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수직그릴통(20) 내로 투입되어 조리되면서 계란액에 포함된 단백질의 변성에 의해 자체 체적이 증대됨과 동시에 계란액에 포함된 수분이 가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조리완료된 바 형상의 음식을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올림에 따라 조리완료와 동시에 바 형상의 음식이 수직그릴통의 상부로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어 별도의 인출기구가 전혀 필요 없으며, 소량의 조리대상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꼬치용 막대를 수직그릴통(20) 내로 수직 상태로 거치시켜 두기만 하면 차후 꼬치용 막대를 이용하여 조리완료된 바 형상의 식품을 수직그릴통(20)의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의 경우에는, 본체(10)가 텀블러와 유사한 크기로 컴팩트하게 제조됨에 따라 사용,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본체(10)의 하부에 본체(10)보다 넓은 지지베이스(15)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시 안정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 조리장치(1)의 경우에는, 소시지, 맛살 또는 또띠아 등을 계란액에 조합하여 다양한 바 형상의 음식을 신속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다.
1 : 바 형상 조리장치
10 : 본체
20 : 수직그릴통
30, 30' : 히터
40 : 컨트롤러
50 : 보온통
60 : 스크레이퍼

Claims (13)

  1. 상부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베이스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을 바 형상으로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수직그릴통;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그릴통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본체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히터가 감겨진 수직그릴통을 둘러싸 보온공간을 형성하는 보온통을 포함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그릴통에 투입된 조리대상물을 하부로 긁어내리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그릴통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연질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와, 상기 축봉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마개플레이트와, 상기 축봉의 상단에 상기 마개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부에는 전원접속용 소켓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베이스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선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접속용 소켓이 접속되는 전원접속플러그가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파지시에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감겨지는 나선히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수직그릴통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어 둘러싸는 원통히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통히터는 원통형 면상발열체와, 상기 원통형 면상발열체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둘러싸며 운모판재를 원통형상으로 성형한 원통형 운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그릴통의 내경은 28 내지 35mm이고, 상기 수직그릴통의 높이는 160 내지 190mm이며, 상기 수직그릴통의 두께는 1.6 내지 2.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그릴통은 상기 히터에 의해 9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그릴통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수직그릴통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그릴통은 상기 본체 내에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형상 조리장치.
KR1020130059354A 2013-05-24 2013-05-24 바 형상 조리장치 KR10129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354A KR101297624B1 (ko) 2013-05-24 2013-05-24 바 형상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354A KR101297624B1 (ko) 2013-05-24 2013-05-24 바 형상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624B1 true KR101297624B1 (ko) 2013-08-22

Family

ID=4922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354A KR101297624B1 (ko) 2013-05-24 2013-05-24 바 형상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6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72B1 (ko) 2013-07-10 2014-03-13 (주)케이엠인터내셔널 조리 장치
KR101514383B1 (ko) * 2014-10-30 2015-04-22 주식회사 경창산업 음식 조리장치
CN106135329A (zh) * 2016-08-22 2016-11-23 温州精宇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燃气蛋肠机
KR101950966B1 (ko) 2018-07-20 2019-02-21 허윤정 에그바 조리장치
KR101964900B1 (ko) * 2018-07-20 2019-08-07 허윤정 에그바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에그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152U (ko) * 1990-03-01 1991-11-19
KR200393115Y1 (ko) 2005-06-02 2005-08-17 최길영 가래 떡 구이기
US20110256302A1 (en) * 2008-08-11 2011-10-20 Marc Shoshan Assembly for cooking elongated food produ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152U (ko) * 1990-03-01 1991-11-19
KR200393115Y1 (ko) 2005-06-02 2005-08-17 최길영 가래 떡 구이기
US20110256302A1 (en) * 2008-08-11 2011-10-20 Marc Shoshan Assembly for cooking elongated food products
WO2012006413A2 (en) 2010-07-09 2012-01-12 Kedem Llc. Assembly for cooking elongated food produc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72B1 (ko) 2013-07-10 2014-03-13 (주)케이엠인터내셔널 조리 장치
KR101514383B1 (ko) * 2014-10-30 2015-04-22 주식회사 경창산업 음식 조리장치
CN106135329A (zh) * 2016-08-22 2016-11-23 温州精宇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燃气蛋肠机
KR101950966B1 (ko) 2018-07-20 2019-02-21 허윤정 에그바 조리장치
KR101964900B1 (ko) * 2018-07-20 2019-08-07 허윤정 에그바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에그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624B1 (ko) 바 형상 조리장치
US7166822B1 (en) Cooking apparatus employing centrally located heat source
US20170251872A1 (en) Electric roasting oven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KR100882950B1 (ko)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US3432642A (en) Cooking pan suitable for the preparation of dietetic and nondietetic foods
US1990412A (en) Sandwich cooker
KR900006642B1 (ko) 빵 겸용 식품의 조리장치
CN203447117U (zh) 电加热煎蛋器
US20220287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food
KR102154970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KR101785979B1 (ko) 멀티 히터봉 착탈식 간접 가열형 가마솥 장치
KR10166434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KR200439220Y1 (ko)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101372572B1 (ko) 조리 장치
US2056941A (en) Electrically heated liquid container
CN206629904U (zh) 可控温的双层不锈钢茶叶烘焙装置
US1692547A (en) Portable electric cooker
KR101615261B1 (ko) 스팀 프라이팬
CN211832610U (zh) 多用烘烤机
WO2006071137A2 (fr) Dispositif pour preparer le cafe 'hot sand'
CN211721774U (zh) 肉加工用熬煮装置
KR200479898Y1 (ko) 원적외선 구이장치
KR20100081426A (ko) 간접열 방식을 이용한 족발 삶는 솥
RU555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кофе "хот сэнд"
KR101478198B1 (ko) 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