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98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98B1
KR101478198B1 KR1020130124845A KR20130124845A KR101478198B1 KR 101478198 B1 KR101478198 B1 KR 101478198B1 KR 1020130124845 A KR1020130124845 A KR 1020130124845A KR 20130124845 A KR20130124845 A KR 20130124845A KR 101478198 B1 KR101478198 B1 KR 10147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ner cylinder
heating
doug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케이엠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3012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반죽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이 수용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이 상기 내통에 착탈됨으로써 조리통을 분리시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ER}
본 발명은 반죽을 익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조리기가 제공되어 있다. 통상적인 오븐(oven)은 이러한 조리기들중 대표적인 것이다. 여러 가지 형태의 단순한 오븐이 수세기동안 가정, 제과점, 취사장 및 식당 등에서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오븐은, 예를 들어 스토브의 상부 유니트와 함께 또는 별개로 캐비넷에 영구적으로 설치된 스타일의 것 등, 다양한 모델 및 크기로 제공되어 있다. 종래의 오븐 중에는 휴대용 디자인의 것도 있다. 종래의 오븐은 식당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기본적인 필수 조리기이지만 이러한 오븐도 그 나름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오븐은 예를 들어 조리시간이 길고 그래서 사용자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중에 하나로서 초단파 오븐(전자레인지)이 개발되어 대중화되었다.
초단파 오븐은 조리 속도가 빠른 반면 마찬가지로 그 나름대로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초단파 오븐에서는 식품을 갈색으로 구울 수가 없다.
또한, 전통적인 오븐 또는 초단파 오븐의 경우 반죽을 익히기 위해서는 반죽을 담을 별도의 용기를 마련하는 등의 사전 준비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반죽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4-0008234에는 고속기류를 이용하여 매우 빠른 고속의 열교환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반죽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구성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4-0008234
본 발명은 반죽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반죽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이 수용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은 상기 내통에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반죽이 수용되는 조리통을 내통을 통해 가열함으로써 반죽을 용이하게 익힐 수 있다.
이때, 조리통과 가열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내통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통을 분리시켜 세척 등의 유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로 내통에 면접촉되는 PTC 열선을 이용함으로써 조리통 전체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통 내에 수용된 반죽이 고르게 익을 수 있으며 익혀진 반죽, 소위 핫바가 조리통 내부의 증기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조리통의 외부로 밀려나올 수 있다.
또한, 조리통의 온도 범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최적의 온도로 다양한 반죽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서 익혀진 반죽이 밀려나오는 현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서 익혀진 반죽이 밀려나오는 현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는 반죽이 수용되는 조리통(110) 및 반죽이 익도록 조리통(110)을 가열하는 가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통(110)은 반죽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반죽은 식용 가능한 각종 가루에 물을 부어 이겨낸 것일 수 있다. 이외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반죽은 계란과 같은 각종 식용 가능한 각종 동물의 알을 포함할 수 있다. 반죽의 점성은 다양할 수 있다. 조리통(110)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반죽의 점성은 계란의 점성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통(110)의 수용 공간은 반죽이 수용되는 동시에 반죽이 익혀지는 장소이다. 다시 말해 조리통(110)은 반죽이 담기는 용기이자 반죽을 가열하는 가열 용기가 된다. 반죽은 액체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나 열에 의해 익혀진 후에는 고체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조리통(110)의 수용 공간에서 익혀진 반죽은 수용 공간의 형상을 갖게 된다.
조리통(1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조리통(110)에는 조리 대상인 반죽이 유입되고 익혀진 반죽이 유출되는 출입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조리통(1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출입구는 조리통(11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통(110)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반죽의 출입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익혀진 반죽이 조리통(110)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조리통(110)은 반죽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포함하고 출입구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폐쇄될 수 있다.
반죽에 포함된 물 등의 액체 성분은 가열에 의해 기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팽창한다. 다시 말해 조리 과정에서 조리통(1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증가된 압력은 조리통(110)에서 유일하게 개방된 부위인 출입구를 향하게 된다. 그런데 출입구 쪽에는 이미 익혀진 반죽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기화에 의해 증가된 조리통(110)의 내부 압력은 익혀진 반죽을 출입구 쪽으로 밀게 되며, 익혀진 반죽은 자연스럽게 출입구를 통해 조리통(110)의 외부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도 2에 도시되고 있다.
도 2의 (a)에 조리 전의 상태가 개시되고 있다. 조리통(110)에 반죽(200)이 수용되면 중력에 의해 반죽은 출입구(111)가 형성된 조리통(110)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부터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조리통(110)에 반죽이 수용된 후 가열부(130)로 조리통(110)을 가열시키면 반죽에 대한 조리가 진행된다. 조리 과정에서 반죽에 포함된 액체 성분이 기화되고 기화된 일부 증기는 출입구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또다른 일부 증기는 반죽과 조리통(1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반죽을 출입구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익혀진 반죽은 도 2의 (b)와 같이 출입구를 통해 조리통(110)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반죽의 유출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급작스런 반죽의 유출에 의한 안전 사고는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조리통(110) 내에서 반죽이 익혀지므로 반죽이 익혀진 소위 핫바의 제거 후에 반죽 찌꺼기 등이 조리통(110) 내부에 남을 수 있다. 이러한 잔존 찌꺼기는 부패 등 청결상 문제가 되므로 가능한 최소화시키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반죽의 조리전 조리통(110) 내부에는 기름이 발라지는 것이 좋다. 도면과 같이 조리통(110)이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기름을 조리통(110) 내면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분무기로 기름을 분사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기름을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기름 역시 조리 완료 후 세척되어져야 할 찌꺼기에 해당되므로 기름의 도포로는 조리통(110)의 청결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조리통(110), 가열부(130), 케이스 유니트 등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전체를 세척하는 것으로 조리통(110)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30) 등 각종 전기 수단이 마련된 조리 장치 전체에 대한 세척은 곤란하다.
조리통(110)의 용이한 세척을 위해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내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통(120)은 조리통(11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조리통(110)은 내통(120)에 착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통(120)을 케이스 유니트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리통(110)을 내통(120)에 삽입하여 조리를 수행하고, 조리 완료 후 조리통(110)을 내통(120)으로부터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다.
다만, 조리통(110)과 내통(120)의 분리 구조로 인해 조리통(110)의 가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점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대비로 우선 내통(120)에 조리통(110)이 장착될 때 조리통(110)과 내통(120)을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리통(110)이 내통(120)에 수용되므로 조리통(110)의 외면과 내통(120)의 내면이 밀착되고 서로 접촉되는 것이 좋다. 조리통(110)의 장착시 적어도 조리통(110)의 측면이 내통(12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반죽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가능한 조리통(110)과 내통(120)의 많은 면적이 서로 밀착 및 접촉되도록 조리통(110) 단면의 외면 형상과 내통(120) 단면의 내면 형상,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내통(120)과 조리통(110)은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가열부(130)는 내통(120)을 가열할 수 있다. 조리통(110), 내통(120), 가열부(130)의 배치 상태는 가열부(130)-내통(120)-조리통(110)일 수 있다.
가열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내통(12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30)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선은 조리통(110)에 감기거나 내통(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내통(120)의 측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반죽의 신뢰성 있는 조리를 위해 또한 조리된 반죽이 기화 압력으로 밀려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조리통(110)은 고르게 가열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열선은 조리통(110)에 면접촉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 가열부(130)는 내통(120)의 외면에 면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내통(120)의 외면을 가열하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PTC 히터는 PTC 서미스터를 이용한 전기발열체 소자이다. 예를 들면, 티탄산바륨계(BaTiO3계) 반도체와 같이 특정 온도 이상에서 급격한 저항값 증가를 나타내는 저항체에 전기를 통하여 발열시키면, 자신의 저항치가 증가, 전류를 제한하여 외기의 온도나 전원 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그 온도는 거의 일정하게 된다. 발열체와 온도 센서와 전력 콘트롤러의 세 가지 작용을 겸비하고 과열의 걱정이 없는 자기제어히터이다.
PTC 히터를 이용함으로써 가열부(130)를 내통(120)의 외면에 면접촉되는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가열부(130) 자체의 온도를 고르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되는 내통(120)과 조리통(110) 역시 전 부위가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PTC 히터가 가열부(130)로 내통(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통(120)의 측면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되고 있다. PTC 히터가 내통(120)의 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내통(120)의 가열 효율을 증가되나 생산성에서 문제될 수 있다. 생산성의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안전성 개선의 목적으로 단열부(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
조리통(110), 내통(120), 가열부(130)가 케이스 유니트의 내부에 수용될 때 가열부(130)는 케이스 유니트에 대면할 수 있다. 가열부(130)에서 생성된 열이 케이스 유니트로 전도됨으로써 케이스 유니트가 훼손되고, 케이스 유니트를 다루는 사용자의 화상 등이 예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유니트와 가열부(130)의 사이에는 유리솜 등의 단열부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우선 가열부(130)의 열이 케이스 유니트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는 내통(12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열부(130)의 열은 단열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온전히 내통(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부로 내통(120) 전체(적어도 측면 전체)를 감싸면 가열부(130)에서 생선된 열을 조리통(110) 전체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단열부는 가열부(130)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로, 단열부는 내통(120)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열부(130)는 단열부와 내통(120)의 사이, 또는 단열부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발생된 열이 내통(120)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단열부는 가열부(130)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리 장치의 파손 및 각종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 가열부(130)의 열은 대부분 내통(120)을 거쳐 조리통(110)으로 전달된다.
반죽의 신뢰성 있는 조리와 조리 완료 후 조리통(110) 내부의 증기 압력으로 핫바가 원활하게 조리통(110)으로부터 밀려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리통(110)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조리 장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미도시)는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된 내통(120) 또는 조리통(110)의 온도가 설정 범위를 만족하도록 가열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온도 조절부는 내통(120) 또는 조리통(110)의 온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가열부(13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온도 조절부의 정상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온도 조절부는 내통(120) 또는 조리통(110)의 온도를 획득하는 수단과 획득된 온도에 따라 가열부(130)의 구동을 온오프(on-off)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를 획득하는 수단은 내통(120)에 설치되거나 조리통(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획득 수단이 내통(120)에 설치된 경우 내통(120)의 온도를 설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온도 획득 수단이 조리통(110)에 설치된 경우 조리통(110)의 온도를 설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가열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는 조리통(110)의 온도가 복수 단계로 조절되도록 가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부는 2개의 온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온도 범위가 100~120도이고, 제2 온도 범위가 200~220도로 설정된 경우 100도와 120도에서 구동되는 제1 바이메탈, 200도와 220도에서 구동되는 제2 바이메탈로 온도 조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바이메탈로 온도 조절부를 구성할 경우 온도 획득 수단과 가열부(130) 구동 수단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바이메탈은 열팽창계수, 즉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수축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을 포개어 붙여서 만든다. 온도가 높아지면 열팽창계수가 큰 쪽이 더 많이 팽창하면서 반대쪽으로 휜다. 그리고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팽창이 잘 되지 않는 금속으로 니켈(Ni)과 철(Fe)의 합금이 사용되며, 팽창이 잘 되는 금속은 니켈-망가니즈-철의 합금, 니켈-몰리브데넘-철의 합금, 니켈-망가니즈-구리의 합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가열부(130)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한 온도 조절 레버(170) 등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되는 내통(120) 및 조리통(110)은 대단히 높은 온도까지 상승될 수 있으므로 반죽이 없는 상태에서 가열되는 것은 불합리한 동시에 안전 사고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조리 장치에는 안전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안전부는 조리통(110)에 수용되는 반죽을 감지하고 반죽이 감지되지 않으면 온도 조절 레버(170)의 조작과 무관하게 가열부(130)의 구동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조리통(110)과 내통(12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과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중력 방향 상으로 조리통(110)과 내통(120)의 동일 위치를 투명하게 형성하고, 발광부-내통(120)-조리통(110)-내통(120)-수광부 순으로 발광부와 수광부를 서로 다른 측에 배치하면 조리통(110) 내의 반죽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부는 발광부의 빛이 수광부에서 감지되면 조리통(110)에 반죽이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발광부의 빛이 수광부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조리통(110)에 반죽이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 장치는 내통(120) 및 가열부(130)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통(110)에 반죽이 출입되는 출입구가 마련될 때 케이스 유니트에는 조리통(110)의 출입구를 꼭지점으로 하는 깔대기 형상의 안내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안내부(15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반죽을 조리통(110)의 출입구로 안내할 수 있다.
안내부(152)의 꼭지 부근에는 조리통(110)의 출입구가 위치하며 안내부(152)와 조리통(110)이 맞닿는 부위에는 패킹(156)이 설치될 수 있다. 패킹(156)에 의하면 반죽이 안내부(152)와 출입구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통(120)에 수용되는 조리통(110)을 원활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케이스 유니트에는 이탈부(160) 및 장착부(157)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부(160)는 내통(120)에 조리통(110)이 장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조리통(110)을 밀어낼 수 있다. 도면에서 내통(120)의 위 단부로 조리통(110)이 수용되고 있으며, 아래 단부에 이탈부(160)가 끼워지고 있다. 이를 위해 내통(120)의 양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탈부(160)는 내통(120)에 수용된 조리통(110)이 안착되는 받침대(161), 받침대(161)를 조리통(110)이 장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체(1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부(160)에 의하면 조리통(110)은 내통(120)으로부터 위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통(120)으로부터 돌출된 조리통(110)을 용이하게 잡아 빼낼 수 있다.
조리통(110)을 신뢰성 있게 가열하기 위해서 조리통(110)은 내통(120)에 거의 대부분의 부위가 수용되는 것이 좋다. 이탈부(160)에 의하면 이러한 요구가 제한되므로 이탈부(160)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장착부(157)가 제공될 수 있다.
장착부(157)는 조리통(110)을 장착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면에서 케이스 유니트는 내통(120)을 둘러싸는 몸체부(151), 몸체부(151)에 체결되고 내통(120) 및 이탈부(160)가 설치되는 받침부(158), 몸체부(151)에 체결되는 안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51)와 안내부(152)의 사이에 장착부(157)가 개재되고 장착부(157)를 몸체부(151)에 고정시키면 이탈부(160)에 의해 조리통(110)이 내통(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부(157)는 평면상으로 조리통(110)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조리통(110)의 단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157)를 몸체부(151)에 고정시키는 요소로 안내부(152)가 이용되고 있다.
안내부(152)는 몸체부(151)에 착탈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몸체부(151)와 안내부(152)에는 나사산 등의 착탈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몸체부(151)에 직접 나사산을 형성하는 대신 나사산이 형성된 착탈부(155)를 몸체부(151)에 체결시키고 있다.
안내부(152)는 착탈부(155)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장착부(157)를 이탈부(160)의 동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착탈부(155)에 장착됨으로써 이탈부(160)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안내부(152)와 장착부(157)의 사이에 패킹(156)이 개재되고 있다.
만약, 착탈부(155)로부터 안내부(152)를 해제시키면 패킹(156), 장착부(157), 조리통(110)을 조리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혹시라도 패킹(156)을 통과하여 유출되는 반죽이 몸체부(151)의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부(157)는 몸체부(151)의 내경의 크기를 갖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탈부(160)에 의해 조리통(110)이 내통(120)으로부터 완전히 튀어나오게 되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탈부(160)에 의한 조리통(110)의 이탈 정도는 조리통(110)의 일부 부위으로 한정되는 것이 좋다.
받침부(158)에는 가열부(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와 온도 조절 레버(170)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부(158)에는 가열부(1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예열 LED, 외부 전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LED 등의 표시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80)에는 조리통(110)의 온도가 내려가 설정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안전 LED가 마련될 수 있다. 안전 LED는 조리통(110)의 온도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온(on)될 수 있다. 또는 설정값 초과인 경우 온(on)되고 설정값 이하이면 오프(off)될 수 있다. 안전 LED에 의하면 사용자는 조리통(110)의 온도가 식었는지 확인한 후 조리통(110)을 내통(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표시부(180)는 청각적 음성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받침부(158)는 외부의 전력 공급선, 소위 전기 코드선이 착탈되는 커넥터(159)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는 안내부(152)를 덮는 덮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53)에 의하면 반죽의 조리시 외부로 유출되는 증기를 가둘 수 있어 반죽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안내부(152)에 덮인 덮개(153)에서 평면상으로 조리통(110) 출입구의 중앙에는 조리된 반죽, 소위 핫바에 끼워지는 젓가락 등의 손잡이가 끼워지는 통공(154)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가열에 의해 반죽이 굳기 전에 통공(154)에 끼워지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조리통 111...출입구
120...내통 130...가열부
151...몸체부 152...안내부
153...덮개 154...통공
155...착탈부 156...패킹
157...장착부 158...받침부
159...커넥터 160...이탈부
161...받침대 162...탄성체
170...온도 조절 레버 180...표시부
200...반죽

Claims (16)

  1. 반죽이 수용되는 조리통;
    상기 조리통이 수용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내통 및 상기 가열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은 상기 내통에 착탈되며,
    상기 케이스 유니트에는 상기 내통을 둘러싸는 몸체부, 상기 내통에 상기 조리통이 장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리통을 밀어내는 이탈부, 상기 조리통을 상기 장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리통은 상기 장착부의 해제시 상기 이탈부에 의해 상기 장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의 크기를 갖는 판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에 상기 조리통이 장착될 때 상기 조리통과 상기 내통은 서로 밀착되는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의 장착시 적어도 상기 조리통의 측면은 상기 내통에 밀착되는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 단면의 외면 형상과 상기 내통 단면의 내면 형상은 동일한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은 상기 반죽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구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폐쇄된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내통에 접촉되는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통의 측면에 접촉되는 조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통의 외면을 가열하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PTC 히터는 상기 내통에 면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조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에 수용되는 상기 반죽을 감지하고 상기 반죽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안전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가열부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조리통 전체에 고르게 전달하는 조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통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단열부와 상기 내통의 사이, 또는 상기 단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내통 또는 상기 조리통의 온도가 설정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조리통의 온도가 복수 단계로 조절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조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및 상기 가열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통에서 상기 반죽이 출입되는 출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유니트에는 상기 출입구를 꼭지점으로 하는 깔대기 형상의 안내부가 마련되는 조리 장치.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의 온도가 내려가 설정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KR1020130124845A 2013-10-18 2013-10-18 조리 장치 KR10147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845A KR101478198B1 (ko) 2013-10-18 2013-10-18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845A KR101478198B1 (ko) 2013-10-18 2013-10-18 조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250A Division KR101372572B1 (ko) 2013-07-10 2013-07-10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198B1 true KR101478198B1 (ko) 2014-12-31

Family

ID=5268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845A KR101478198B1 (ko) 2013-10-18 2013-10-18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115Y1 (ko) * 2005-06-02 2005-08-17 최길영 가래 떡 구이기
US20110256302A1 (en) * 2008-08-11 2011-10-20 Marc Shoshan Assembly for cooking elongated food produ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115Y1 (ko) * 2005-06-02 2005-08-17 최길영 가래 떡 구이기
US20110256302A1 (en) * 2008-08-11 2011-10-20 Marc Shoshan Assembly for cooking elongated food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0983B2 (en) Vapor cooker
US10722063B2 (en) Multifunctional pot
CA297034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ange top coils for cooking
US20080314258A1 (en) Rice and Egg Cooker
JP6017493B2 (ja) エコ調理器具
CN109744851B (zh) 用于糕点制品的烹饪设备
KR101372572B1 (ko) 조리 장치
KR101478198B1 (ko) 조리 장치
JP2010207378A (ja) 加熱調理器
US10750903B2 (en) Baking toa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340648B1 (ko) 조리기구
JP6219471B2 (ja) 高周波を用いたフライヤー
KR101725975B1 (ko)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KR200480805Y1 (ko) 대용량 조리용 솥
CN109744850B (zh) 用于糕点制品的烹饪设备
CN103349489B (zh) 一种便携式食品制作装置
CN209733607U (zh) 烤盘组件和烹饪装置
CN209269365U (zh) 烹饪器具
KR101195358B1 (ko) 다용도 히팅캡
KR101615261B1 (ko) 스팀 프라이팬
CN110754964A (zh) 一种手持式电烹调器
CN211609364U (zh) 一种蛋糕机
CN104739257A (zh) 一种自动控温电烧烤炉
CN205162856U (zh) 一种煎烤机
KR20130086197A (ko) 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