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950B1 -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950B1
KR100882950B1 KR1020070038243A KR20070038243A KR100882950B1 KR 100882950 B1 KR100882950 B1 KR 100882950B1 KR 1020070038243 A KR1020070038243 A KR 1020070038243A KR 20070038243 A KR20070038243 A KR 20070038243A KR 100882950 B1 KR100882950 B1 KR 10088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egg
frying
yolk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164A (ko
Inventor
유영모
안종남
채현석
정석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3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9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는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복수의 프라이팬과, 주행하는 복수의 프라이팬을 가열하는 가열기와, 각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공급하는 식용유탱크와, 각 프라이팬에 난백액을 공급하는 난백액탱크와, 각 프라이팬에 난황액을 공급하는 난황액탱크와, 각 프라이팬이 기울어지면서 각 프라이팬에서 떨어지는 계란 프라이를 수용하는 보온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용유, 난황액 및 난백액이 무한궤도 형태로 주행하면서 가열되는 다수의 프라이팬에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다량의 계란 프라이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다.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액란, 난백액, 난황액, 컨베이어

Description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Automatic egg fry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의 프라이팬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 11...구동체인
12...구동스프로킷 13...종동스프로킷
14...메인모터 20...프레임
31...이물질회수대 32...폐식용유회수통
34...청소브러시 41...프라이팬
43...보온용기 51...가열기
52...보온덮개 61...식용유탱크
63...식용유공급관 65,76,86...조절밸브
66...식용유공급브러시 71...난황액탱크
73,83...공급펌프 74...난황액공급관
77,87...위치감지센서 81...난백액탱크
84...난백액공급관 90...제어장치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란을 이용하여 다량의 계란 프라이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란 프라이는 가격이 싸고 조리가 간편하여 소량이 소비되는 가정에서는 손쉽게 조리하여 식탁에 올릴 수 있지만, 학교식당이나 구내식당 등 다량으로 소비되는 곳에서는 급식이 쉽지 않다. 계란 프라이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조리자가 가열된 프라이팬에 직접 계란을 깨뜨려 넣고 계란 프라이가 완성되면 조리자가 뒤지게를 이용하여 완성된 계란 프라이를 프라이팬에서 꺼내야 하기 때문에, 다량으로 조리될 경우 조리작업이 번거롭고 조리 시간이 많이 걸린다.
비록 학교식당이나 구내식당 등 대형식당의 조리실에는 대형 프라이팬이 보급되고 있기는 하지만, 국이나 찌게, 조림 등의 요리와는 달리 계란 후라이는 조리 자가 하나씩 조리해야 하기 때문에 조리작업이 번거로운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87-918호("계란 후라이기")에는 다량의 계란 프라이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 조리장치는 버너가 설치된 숙성로의 내부를 체인기어에 결합된 다수의 프라이팬이 왕복 이동하면서 프라이팬에 공급된 계란이 자동으로 조리되는 것이다. 각 프라이팬에 계란을 공급하기 위해 숙성로의 상부에는 다량의 계란을 저장하는 진동흡퍼와, 진동흡퍼에서 공급되는 계란을 하나씩 깨뜨려 각 프라이팬에 공급하는 브레이커가 설치된다. 진동흡퍼의 진동에 의해 하나씩 브레이커로 떨어지는 계란은 브레이커의 원뿔주에 부딪쳐 깨지고, 이때 액란은 프라이팬으로 떨어지고 껍질은 원뿔주 상부에 걸려 있다가 브레이커가 회동할 때 제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자동 조리장치는 진동흡퍼에 다량의 계란을 투입할 때 계란이 깨져 진동흡퍼가 오염될 수 있고, 계란을 깨뜨리는 브레이커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커에서 깨지는 계란이 오염되기 쉬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량의 계란 프라이를 자동으로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계란 프라이의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는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복수의 프라이팬과, 상기 주행하는 복수의 프라이팬을 가열하는 가열기와, 상기 각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공급하는 식용유탱크와, 상기 각 프라이팬에 난백액을 공급하는 난백액탱크와, 상기 각 프라이팬에 난황액을 공급하는 난황액탱크와, 상기 각 프라이팬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각 프라이팬에서 떨어지는 계란 프라이를 수용하는 보온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는 상기 각 프라이팬이 뒤집히면서 상기 각 프라이팬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프라이팬 하부에 설치되는 이물질회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구동체인과, 상기 한 쌍의 구동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메인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각 프라이팬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프라이팬의 주행 경로 상에는 상기 프라이팬의 상부를 덮는 보온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는 상기 식용유탱크에서 공급되는 식용유를 상기 각 프라이팬에 발라주는 식용유공급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는 상기 각 프라이팬의 주행속도와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팬은 난황액 및 난백액을 수용할 수 있는 액란수용홈과, 난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액란수용홈의 일측에 함몰 구비되는 난황액수용홈을 갖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는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10)에 결합되어 주행되는 복수의 프라이팬(41)과, 프라이팬(41)에 열을 가하는 가열기(51)와, 프라이팬(41)에 식용유를 공급하는 식용유탱크(61)와, 프라이팬(41)에 액란을 공급하는 난황액탱크(71) 및 난백액탱크(81)와, 완성된 계란 프라이를 보온하여 저장하는 보온용기(43)와, 프라이팬(41)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브러시(34)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포함한다.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10)는 한 쌍의 구동체인(11)과, 구동체인(11)을 주행시키는 구동스프로킷(12) 및 종동스프로킷(13)과, 구동스프로킷(12)을 회전시키 는 메인모터(14)를 포함한다. 구동스프로킷(12) 및 종동스프로킷(13)은 프레임(20)에 지지되고 한 쌍의 구동체인(11)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다. 메인모터(14)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프레임(20)의 하부에는 각 프라이팬(41)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회수하는 이물질회수대(31)가 설치된다. 이물질회수대(31)에는 계란 프라이 조각이나 식용유가 떨어지고, 이물질회수대(31)에 떨어지는 식용유는 이물질회수대(31)의 하부에 설치되는 폐식용유회수통(32)으로 회수된다. 이물질회수대(31)와 폐식용유회수통(32)의 사이에는 식용유를 식용유회수통(32)으로 안내하는 배출관(33)이 설치된다.
각 프라이팬(41)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물질회수대(31)의 상부에는 복수의 청소브러시(34)가 설치된다. 이들 청소브러시(34)는 계란 프라이를 보온용기(43)에 떨어뜨리고 뒤집힌 각 프라이팬(41)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각 프라이팬(41)에 남아있는 계란 프라이 조각이나 식용유 등의 이물질을 털어낸다. 청소브러시(34)는 구동모터(35)에 의해 작동되고, 구동모터(35)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청소브러시(34)는 프라이팬(41)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보온용기(43)로부터 먼 쪽에 설치된다.
복수의 프라이팬(41)은 한 쌍의 구동체인(1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프라이팬(41)은 한 쌍의 지지부재(42)에 의해 각 구동체인(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들 각 프라이팬(4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난황액(Y) 및 난백액(A)의 액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액란수용홈(41a)과, 난황액(Y)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액란수용홈(41a)의 대략 중앙에 함몰 구비되는 난황액수용홈(41b)을 구비한다. 액란은 통상의 계란과 같이 난황과 난백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풀어져 있으므로, 액란을 이용하여 계란 프라이를 조리하면 난황의 모양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프라이팬(41)에 액란을 수용할 수 있는 반구형의 난황액수용홈(41b)에 난황액(Y)을 먼저 주입하고 그 위에 난백액(A)을 주입하면 둥근 난황을 갖는 계란 프라이를 만들 수 있다.
가열기(51)는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프라이팬(41)을 가열하기 위해 프라이팬(41)의 주행경로를 따라 복수가 설치된다. 가열기(51)는 프라이팬(41)의 주행경로상 식용유 공급위치보다는 후방이고 난황액 공급위치보다는 전방인 부분에서부터 배치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배치는 식용유가 공급된 프라이팬(41)이 어느 정도 가열된 상태에서 난황액(Y)이 프라이팬(41)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열기(51)는 가스버너나 전기히터 등 프라이팬(41)의 밑면을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가열기(51)는 구동체인(11)과 함께 주행하는 프라이팬(41)만 가열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체인(11) 사이에 설치된다. 각 가열기(51)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 작동되고, 과열시 오프된다.
가열기(51)가 프라이팬(41)을 가열하는 열이 과하여 프라이팬(41)이 과열되면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장치(90)는 프라이팬(41)이 과열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각 가열기(51)를 오프시킨다. 이를 위해, 프라이팬(41)의 주행경로 상에서 프라이팬(41)의 상부를 덮는 보온덮개(52)에는 복수의 온도센서(53)가 설치된다. 제어장치(90)는 온도센서(53)를 통해 보온덮개(52) 내부의 온도를 감지 하면서, 보온덮개(52)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각 가열기(51)를 오프시키고 장치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보온덮개(52)는 가열기(51)에 의해 가열되는 각 프라이팬(41)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못하게 막아 프라이팬(41)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팬(41)의 주행경로 상의 액란 공급위치 이후부터 보온용기(43)의 설치위치 이전까지 보온 터널을 형성한다.
식용유탱크(61)는 프라이팬(41) 주행경로 상의 액란 공급장치 이전에 설치되고, 각 프라이팬(41)에 액란이 공급되기 전에 식용유를 공급한다. 식용유탱크(61)의 상부는 식용유를 보충할 수 있도록 커버(62)로 개폐된다. 식용유탱크(61)의 하부에는 식용유공급관(63)이 프라이팬(41) 쪽으로 연장되고, 식용유공급관(63)의 일측에는 식용유 투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65)가 설치된다. 조절밸브(65)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식용유공급관(63) 끝단의 노즐부(64)의 하부에는 노즐부(64)에서 투출되는 식용유를 각 프라이팬(41)의 안쪽 바닥면에 고르게 공급하는 식용유공급브러시(66)가 설치된다. 식용유공급브러시(66)는 구동모터(67)에 의해 회전하면서 식용유를 프라이팬(41)의 안쪽 바닥면에 고르게 발라준다. 구동모터(67)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난황액탱크(71) 및 난백액탱크(81)는 식용유가 공급된 각 프라이팬(41)에 액란을 공급하기 위해 프라이팬(41)의 이송경로 상의 식용유탱크(61) 이후에 설치된다. 난황액탱크(71)는 액란 중에서 난황액(Y)을 저장하고, 난백액탱크(81)는 액란 중에서 난백액(A)을 저장한다. 여기에서, 난황액(Y)과 난백액(A)의 액란은 현재 시 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난황액탱크(71)는 난황액(Y)이 난백액(A)보다 먼저 프라이팬(41)에 공급될 수 있도록 난백액탱크(81) 보다 앞쪽에 설치된다.
난황액탱크(71)의 상부는 난황액(Y)을 보충할 수 있도록 커버(72)에 의해 개폐된다. 난황액탱크(71)의 하부에는 난황액(Y)을 강제 투출시키는 공급펌프(73)와, 투출되는 난황액(Y)을 각 프라이팬(41)으로 안내하는 난황액공급관(74)이 설치된다. 난황액공급관(74)은 끝단의 노즐부(75)가 주행하는 각 프라이팬(41)에 인접하도록 길게 연장된다. 난황액공급관(74)의 일측에는 난황액(Y)의 투출을 조절하는 조절밸브(76)가 설치된다. 조절밸브(76)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고, 각 프라이팬(41)이 난황액공급관(74)의 노즐부(75) 하부로 이동해오면 난황액공급관(74)의 유로를 일정시간 개방시켰다가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 하나의 프라이팬(41)에는 일정량의 난황액(Y)이 공급된다. 제어장치(90)가 프라이팬(41)이 난황액공급관(74)의 노즐부(75) 하부에 위치하는 시점을 알 수 있도록 난황액공급관(74)의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77)가 설치된다.
난백액탱크(81)는 난황액탱크(71)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난백액탱크(81)의 상부는 난황액 보충을 위해 커버(82)에 의해 개폐되고, 난백액탱크(81)의 하부에는 공급펌프(83)와, 난백액공급관(84)이 설치된다. 난백액공급관(84)은 그 끝단의 노즐부(85)가 주행하는 프라이팬(41)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길게 연장된다. 난백액공급관(84)에는 난백액(A)의 투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86)와, 난백액공급관(84)의 노즐부(85)로 근접하는 프라이팬(41)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 서(87)가 설치된다. 조절밸브(86)는 제어장치(90)에 의해 작동되며 일정시간 열렸다 닫히면서 일정량의 난백액(A)이 프라이팬(41)에 주입되도록 한다.
보온용기(43)는 계란 프라이를 완성한 프라이팬(41)이 뒤집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보온용기(43)는 다량의 계란 프라이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완성된 계란 프라이를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약 60°C의 온도를 유지한다.
제어장치(90)는 조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90)에는 조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91)과 표시램프(92),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93)이 구비된다. 조작버튼(93)을 통해 조리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장치(90)는 메인모터(14), 복수의 가열기(51), 복수의 청소브러시(34), 식용유공급브러시(66), 각종 조절밸브(65)(76)(86), 공급펌프(73)(83) 등의 구성부품을 동작시켜 계란 프라이가 자동으로 조리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리가 시작되면, 메인모터(14)가 도면상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체인(11) 및 다수의 프라이팬(41)이 시계 방향으로 주행하고, 가열기(51)가 작동된다. 그리고, 제어장치(90)는 식용유공급관(63)의 조절밸브(65)를 열어 식용유탱크(61)에 저장된 식용유가 식용유공급관(63)을 통해 노즐부(64)로 조금씩 투출되도록 한다. 이때, 식용유공급브러시(6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투출되는 식용유를 주행하는 프라이팬(41)에 고르게 바른다.
식용유를 공급받은 프라이팬(41)이 난황액공급관(74)의 노즐부(75) 하부에 도달하면 위치감지센서(77)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장치(90)는 공급펌프(73) 및 조절밸브(76)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난황액탱크(71)에 저장된 난황액(Y)을 일정량 프라이팬(41)의 난황액수용홈(41b)에 주입시킨다.
계속해서, 난황액(Y)이 공급된 프라이팬(41)이 주행하여 난백액공급관(84)의 노즐부(85) 하부에 도달하면 위치감지센서(87)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장치(90)는 난백액탱크(81)의 공급펌프(83) 및 조절밸브(86)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난백액탱크(81)에 저장된 난백액(A)을 일정량 난황액(Y)이 주입된 프라이팬(41)의 액란수용홈(41a)에 주입시킨다.
이렇게 식용유, 난백액 및 난황액을 공급받은 프라이팬(41)은 복수의 가열기(51)를 통과하면서 조금씩 가열되고, 프라이팬(41)이 보온덮개(52)의 터널로 유입되어 마지막 가열기(51)를 통과할 때 프라이팬(41)에 공급된 난황액(Y) 및 난백액(A)은 계란 프라이로 조리된다. 그리고, 둥근 난황을 갖도록 완성된 계란 프라이는 보온덮개(52)의 터널 후단부의 프라이팬(41)이 기울어지는 위치에서 보온용기(43)로 떨어져 보온용기(43) 내에 따뜻하게 저장된다.
계란 프라이의 투출 후 프라이팬(41)은 완전히 뒤집힌 상태로 주행되고, 이때 프라이팬(41)에 남아있는 계란 프라이 조각이나 식용유는 이물질회수대(31) 위로 떨어진다. 프라이팬(41)이 뒤집힌 상태로 주행하는 동안 이물질회수대(31) 상부의 청소브러시(34)는 회전하면서 프라이팬(41)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털어내어 이물질회수대(31)로 떨어뜨린다. 이물질회수대(31)로 떨어지는 이물질 중에서 식용유는 배출관(33)을 통해 폐식용유회수통(32)으로 회수된다.
한편,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에 제어장치(90)는 온도센서(53)를 통해 보온덮개(52) 내부의 터널 온도를 체크하고, 프라이팬(41)이 과열되어 터널 내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가열기(51)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장치(90)는 식용유탱크(61), 난황액탱크(71), 난백액탱크(81)에 저장되는 각 내용물이 충분한지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내용물이 부족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창(91)을 통해 부족한 내용물을 표시함과 동시에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각 탱크(61)(71)(81)에 대한 내용물 확인은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장치(90)는 구동체인(11)의 주행속도나 가 가열기(51)의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계란 프라이의 조리 상태를 완숙 또는 반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장치(90)는 난황액공급관(74) 및 난백액공급관(84)의 각 조절밸브(76)(86)의 개방 회수를 통해 조리되는 계란 프라이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고, 이를 디스플레이창(9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계란 프라이의 개수를 미리 설정하면 제어장치(90)는 설정된 개수만큼의 계란 프라이를 조리한 후 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용유, 난황액 및 난백액을 무한궤도 형태로 주행하는 다수의 프라이팬에 차례로 공급하고, 프라이팬을 가열함으로써 다량의 계란 프라이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는 난황액 및 난백액의 액란을 이용함으로써 계란을 하나씩 깨뜨려 프라이팬에 공급하는 종래 조리장치에 비해 위생적으로 계란 프라이를 조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7)

  1.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복수의 프라이팬과, 상기 주행하는 복수의 프라이팬을 가열하는 가열기와, 상기 각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공급하는 식용유탱크와, 상기 각 프라이팬에 난황액을 공급하는 난황액탱크와, 상기 각 프라이팬에 난백액을 공급하는 난백액탱크와, 상기 각 프라이팬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각 프라이팬에서 떨어지는 계란 프라이를 수용하는 보온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팬은 난황액 및 난백액을 수용할 수 있는 액란수용홈과, 난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액란수용홈의 일측에 함몰 구비되는 난황액수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라이팬이 뒤집히면서 상기 각 프라이팬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프라이팬 하부에 설치되는 이물질회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형 컨베이어장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구동체인과, 상기 한 쌍의 구동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메인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 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각 프라이팬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프라이팬의 주행 경로 상에는 상기 프라이팬의 상부를 덮는 보온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탱크에서 공급되는 식용유를 상기 각 프라이팬에 발라주는 식용유공급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라이팬의 주행속도와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7. 삭제
KR1020070038243A 2007-04-19 2007-04-19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KR10088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243A KR100882950B1 (ko) 2007-04-19 2007-04-19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243A KR100882950B1 (ko) 2007-04-19 2007-04-19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164A KR20080094164A (ko) 2008-10-23
KR100882950B1 true KR100882950B1 (ko) 2009-02-10

Family

ID=4015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43A KR100882950B1 (ko) 2007-04-19 2007-04-19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059B1 (ko) * 2010-03-18 2014-09-26 이남재 부침개의 지짐질 장치
RU2745782C1 (ru) * 2020-08-06 2021-03-31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иже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женерно-эконо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ГИЭУ) Двухрезонаторная СВЧ-установка непрерывно-поточ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яи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33B1 (ko) * 2011-12-02 2013-02-26 (주)파머스 계란 프라이 대량 조리설비
US9003959B2 (en) 2013-03-12 2015-04-14 Leonard I. Frenkil, Sr. Apparatus for facilitating preparation of eggs
CN107550322A (zh) * 2017-09-30 2018-01-09 惠州市契贝科技有限公司 煎炸装置
CN108013780A (zh) * 2017-12-26 2018-05-11 张宥 家用全自动煎荷包蛋机
CN108428198A (zh) * 2018-02-09 2018-08-21 成都清水荷花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标准化烹饪厨房系统及其快捷高效式烹饪菜肴的方法
CN108670059B (zh) * 2018-04-26 2020-10-23 浙江星霸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翻转煎蛋机构及煎蛋装置
KR102317899B1 (ko) * 2020-02-14 2021-10-26 모던엠디에스 주식회사 막대형 계란식품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막대형 계란식품 제조방법
KR102656654B1 (ko) * 2021-03-17 2024-04-12 최승정 계란 지단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18Y1 (en) * 1983-02-25 1987-03-14 Kim Bong No Egg frying-pan
US5054384A (en) 1989-10-10 1991-10-08 Louis D. Dunckel System for filling cooking pans with eggs
JPH09271358A (ja) * 1996-04-05 1997-10-21 Bibun Corp 連続卵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18Y1 (en) * 1983-02-25 1987-03-14 Kim Bong No Egg frying-pan
US5054384A (en) 1989-10-10 1991-10-08 Louis D. Dunckel System for filling cooking pans with eggs
JPH09271358A (ja) * 1996-04-05 1997-10-21 Bibun Corp 連続卵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059B1 (ko) * 2010-03-18 2014-09-26 이남재 부침개의 지짐질 장치
RU2745782C1 (ru) * 2020-08-06 2021-03-31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иже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женерно-эконо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ГИЭУ) Двухрезонаторная СВЧ-установка непрерывно-поточ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яи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164A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950B1 (ko)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US8420983B2 (en) Vapor cooker
KR100984964B1 (ko) 튀김기
NO168922B (no) Kokeapparat
KR102087713B1 (ko) 전기 튀김기
JP2001503288A (ja) ガス揚げ鍋用の加熱制御装置
RU26708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ого напитка
KR100318063B1 (ko)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1606651B1 (ko) 전기 회전구이기
JP6267309B2 (ja) 蒸気調理器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CA2478258C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CN210095448U (zh) 自动炒菜机及炒菜与蒸菜一体烹饪机
CN210095449U (zh) 撕膜装置及自动炒菜机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KR20110020551A (ko) 음식물 구이장치
KR101955849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JP6043414B2 (ja) 蒸気調理器
JP6787663B2 (ja) フライヤー
KR200196640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386546Y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JP5797729B2 (ja) 蒸気調理器
JP4987635B2 (ja) 蒸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