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43B1 -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43B1
KR101664343B1 KR1020150188973A KR20150188973A KR101664343B1 KR 101664343 B1 KR101664343 B1 KR 101664343B1 KR 1020150188973 A KR1020150188973 A KR 1020150188973A KR 20150188973 A KR20150188973 A KR 20150188973A KR 101664343 B1 KR101664343 B1 KR 10166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er
frying
high frequency
food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트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트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트랜
Priority to KR102015018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43B1/ko
Priority to JP2016178877A priority patent/JP621947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4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heated with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Frying-Pans Or Fry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길 때 튀김통 내측에 담긴 기름을 가열부에서 공급하는 열원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튀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한 튀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튀김통이 설치되는 튀김본체와, 튀김통 내측에 위치되는 튀김바구니에 고주파를 인가하는 고주파튀김부와, 튀김통 내측에 담긴 기름을 유도가열방식으로 튀김을 할 수 있도록 튀김통 외측에 설치되는 유도가열부와, 고주파튀김부 및 유도가열부에서 필요한 전원의 공급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튀김본체에 설치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의 튀김바구니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기름에 튀겨지는 음식물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조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한 느낌을 주는 튀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Frying device using high frequency wave}
본 발명은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의 식탁 또는 주방에 설치해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길 때 튀김통 내측에 담긴 기름을 가열부에서 공급하는 열원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튀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한 튀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장치는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튀김용 기름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튀김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튀김장치는 기름의 온도를 대략 150℃에서 220℃ 정도로 가열한 후, 상기 음식물을 가열된 기름에 의해 익혀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름을 가열하는 방식에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한 전열기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가스방식에 따른 튀김장치는 기름이 채워진 용기의 하단부에 마련된 가열수단 및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온도계의 측정치에 따라 가열수단의 on-off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장치가 부가된다.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가열수단을 점화(on)시킨 후, 온도계로부터 측정된 기름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데, 온도계에서 검출된 기름의 온도가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 가열수단을 소화(off)시켜 기름의 온도가 기준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계에서 검출된 기름의 온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가열수단의 점화를 지시하여 통상적인 온/오프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튀김 장치는 기름의 온도를 가열수단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가스나 전기를 이용한 히터를 가열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튀김 적정 온도에 도달되어 히터를 오프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여도 히터의 잔열에 의해 튀김 온도 이상으로 기름이 가열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튀김의 적정 온도로 170℃를 설정할 경우 기름의 온도가 170℃에 도달될 때 히터에 의한 가열이 중단되어 음식물을 튀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에서 튀겨지는 음식물을 기름에 넣으면, 기름의 온도가 일시적으로 낮아져 겉과 속이 동일한 속도로 익혀지지 않고, 또한, 내부에 수분이 많아 질척거리거나 또는 튀김의 내부가 촉촉함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온도를 올리는 경우 튀김의 겉이 타버리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420724호(2014.07.29. 공고)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튀김장치"는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기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튀김 챔버를 포함하는 튀김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튀김 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상기 하우징 상면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일단에 설치되는 인덕션 히터와, 상기 거치대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인덕션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공기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인덕션 히터에 연통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배관 구조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용전원과 인덕션 히터를 연결하는 전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션히터가 튀김챔버 내측 중간부부에 위치하므로 많은 양의 튀김을 할 때 인덕션히터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튀김을 제때에 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튀김을 하기 위한 기름이 순환펌프, 고주파세정기 및 여과통을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의 온도가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부분과, 순환펌프, 고주파세정기 및 여과통 만큼 기름이 더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튀김통의 하부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튀김의 찌꺼기가 튀김통 하부에 모여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기름이 순화되지 않는 문제점과 찌꺼기에 의해 순환펌프와 세정기 및 여과통에 잔류하게 되어 기름 산패의 진행이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420724호(2014.07.2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길 때 튀김통 내측에 담긴 기름을 가열부에서 공급하는 열원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튀길 수 있도록 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음식물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한 느낌이 들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튀김이 빠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튀길 때 튀김통 내측에 담긴 기름을 가열부에서 공급하는 열원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튀겨지도록 하며, 튀김이 끝난 후 가열부에서 잔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기름의 산패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뚜껑을 설치하며, 음식물을 튀길 수 있도록 기름이 담기는 튀김통이 설치되며, 튀김통 내측에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배수트램은 배출관과 연결되며, 배출관 일단에 콕크밸브가 설치되어 기름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튀김본체와; 음식물이 담겨 튀김통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튀김바구니와, 상하 좌우에 밀착돌기를 가지며 튀김바구니 상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뚜껑 일측에 구비되는 바구니덮개와, 바구니덮개가 탄성 작용에 의해 튀김바구니 상부에 밀착되게 바구니덮개와 결합하여 뚜껑에 설치되는 덮개지지체와, 뚜껑의 내측으로 입설되어 바구니덮개에 고주파를 인가하는 고주파공급선과, 튀김바구니의 하부, 상부 측면 및 바구니덮개 일측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재, 상부지지부재 및 세라믹바를 포함하는 고주파튀김부와; 튀김통 내부에 담긴 기름의 온도를 상승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튀김통 외측에 설치되는 가열부와; 가열부와 고주파튀김부를 제어하여 튀김통 내부에 담긴 기름 온도의 유지 및 음식물의 튀김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튀김본체에 설치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가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튀김통 외측에 설치하는 금속재질의 가열부재와; 복수의 튀김통 외측에 고정되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복수의 브래킷과; 브래킷에 설치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과; 코일을 외측에 설치되는 자석과; 자석을 코일 일측에 고정하는 자석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열부는 튀김통 내측으로 위치되어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시즈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열관과; 상기 가열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튀김통 내측에 담긴 기름이 안착홈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튀김통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열부는 LPG 또는 LNG 가스를 연료로 하여 열원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버너 일측에 설치되어 내측에 지그재그 형태의 격판이 설치되어 버너의 열원이 머무룰 수 있도록 튀김통 하부에 설치하는 가열부재와; 가열부재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원을 가두어둘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된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지지부재, 상부지지부재 및 세라믹바는, 튀김통에서 음식물이 튀겨질 때,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음식물의 겉은 바삭하고 음식물 내부는 촉촉하게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본 발명은 음식점의 식탁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 또는 매립된 상태에서 소비자들이 직접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식물(해물, 야채, 고기 등)을 튀겨 먹을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의 신선함 및 기름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리를 하므로 건강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슬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식탁 위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식탁의 면적을 좁게 차지하고, 매립시에는 뚜껑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식탁의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튀김바구니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기름에 튀겨지는 음식물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조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한 느낌을 주는 튀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름 및 음식물이 위치되는 공간의 튀김통을 식약처에서 인정하는 재질을 사용하므로 건강한 음식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튀김통 외측에 가열부재를 설치하여 유도가열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음식물이 튀겨지는 적정온도의 유지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튀겨지는 음식물 내부에 깊숙이 침투해 심부에서 발열을 일으켜 내부와 외부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하여 식감이 우수한 튀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튀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가열부의 결합구성을 발취하여 나탄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바구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바구니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9의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튀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가열부의 결합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바구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바구니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9의 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는 튀김본체(100)와, 고주파튀김부(200)와, 가열부(300)와,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튀김본체(10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에 안착공(101)을 형성하고, 안착공(101)이 형성된 일측에 힌지를 축으로 개폐 가능하게 뚜껑(110)을 설치하며, 상기 안착공(101)에는 음식물을 튀길 수 있도록 기름이 담기는 튀김통(120)을 설치한다.
상기 튀김통(120)은 습기에 녹이 슬지 않고, 온도에 변형이 적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스테인리스는 음식물에 사용이 허가된 재질, 즉, 식약처에서 허가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통(120)에는 기름을 교환할 수 있도록 튀김통(120) 바닥에 배수트랩(130)을 설치하고, 상기 유도가열부(200)에 의해 튀김통(120)에 담긴 기름을 가열한 상태에서 기름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튀김통(120) 외측에 보온재(120-1)가 설치되며, 배수트랩(130)에는 기름 및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마개(131)를 설치하며, 상기 배수트랩(130)의 일측에서 튀김본체(100) 일측으로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관(132)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132)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콕크밸브(133)를 설치한다.
상기 튀김통(120)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튀김통(120)은 3중 구조로 구성하여 유도가열부(200)에서 인가되는 열 전도가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내측과 외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하고, 스테인리스 재질 사이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3중 구조로 튀김통(120)을 구성하므로 열 전도가 빠르고, 열전도가 빠르게 일어나 튀김을 하기 위한 온도의 설정이 매우 용이하고, 온도가 단시간에 상승되므로 전기를 절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주파튀김부(200)는 기름에 의해 튀겨질 수 있도록 음식물을 담아 튀김통(120)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튀김바구니(210)를 구성하고, 상기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뚜껑(110) 일측에 바구니덮개(220)를 구비하며, 상기 바구니덮개(220)가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바구니덮개(220)와 결합하여 뚜껑(110)에 덮개지지체(2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바구니덮개(220)를 통해 튀김바구니(210)로 공급되는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지지체(230)와 뚜껑(110) 사이에 절연체(24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튀김바구니(210)로 고주파가 인가될 수 있도록 뚜껑(110) 내측에 설치되어 바구니덮개(220)와 고주파공급선(250)을 연결한다.
상기 튀김바구니(210)의 하부 모서리 부분과 상부 모서리 부분에 세라믹재질의 하부지지부재(211)와 상부지지부재(212)를 각각 설치하여 튀김통(120)과 일정한 거리가 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세라믹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튀겨지는 음식물 내부에 깊이 침투해 심부에서 발열을 일으켜 내외부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구니덮개(220) 일측에는 세라믹재질의 세라믹바(222)를 설치하여 뚜껑(110)을 닫았을 때 기름에 접촉되게 하며, 상기 세라믹바(222)에 가해지는 열원에 의해 원적외선이 발생된다. 상기 원적선이 음식물 내부로 깊숙이 침투되게 하여 심부에서 발열을 일으켜 내부와 외부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바구니덮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구니덮개(220)는 복수의 유증안내돌기(223)를 형성하여 튀김이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110)을 열었을 때 유증에 의한 기름이 튀김본체(100) 상부로 떨어져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열부(300)는 전자기유도 가열방식에 의해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유도가열부(31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가열부(310)는 유도가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튀김통(120) 외측에 금속재질의 가열체(311)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튀김통(120) 외측에 고정되어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브래킷(312)을 설치하며,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와 연결하여 브래킷(312)에 코일(313) 설치하고, 코일(313)의 외측에는 자석(314)을 설치하여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자석(314)이 코일(313) 일측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자석고정부재(315)를 설치한다.
상기 유도가열부(310)의 가열체(3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열체(311)는 튀김통(120) 외측에 분체도장을 통해 금속재질의 금속코팅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코팅층을 형성하면, 브래킷(312)과 코일(313) 및 자석(314)이 설치되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함과 동시에 브래킷(312)을 튀김통(1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입력부(410), 마이컴(420), 출력부(430), 표시부(440), 체크부(450) 및 전원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410)는 튀김본체(100) 상부에 설치한 튀김통(12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411)과, 튀김통(120)에 담긴 기름에 의해 음식물이 튀겨지는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버튼(412)과, 튀김통(120)에 담긴 음식물이 튀겨지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413)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420)은 입력부(410)에서 설정한 온도와 시간을 통해 튀김통(120)에 담긴 음식물이 전자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튀겨질 수 있도록 유도가열부(310)를 제어하고, 동시에 튀겨지는 음식물에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체크부(45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기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튀김통(120)에 담긴 기름의 양을 체크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기름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430)는 마이컴(420)의 제어를 통해 전원부(160)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튀김통(120) 외측에 설치한 유도가열부(310)에 인가하여 전자유도에 의해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며, 상기 뚜껑(110) 일측에 설치한 바구니덮개(220)를 거쳐 튀김바구니(310)로 고주파를 인가한다.
상기 표시부(440)는 튀김본체(100) 상부 일측에 설치한 입력부(410)에 의해 설정한 시간과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부(450)는 튀김통(120)에 설치하는 온도센서(451) 및 레벨센서(452)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451)는 입력부(410)를 통해 설정한 기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름 온도를 체크하여 마이컴(420)으로 인가하고, 상기 레벨센서(452)는 튀김통(120)에 담긴 기름의 양이 일정 수위 이상인지 아니면 일정 수위 이하인지 체크하여 마이컴(420)으로 인가한다.
상기 전원부(460)는 마이컴(420)의 제어를 받아 고주파튀김부(200), 유도가열부(310), 입력부(410), 마이컴(420), 출력부(430), 표시부(440), 체크부(45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는 도 1 내지 6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 및 8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는 튀김본체(100)와, 고주파튀김부(200)와, 가열부(300)와,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튀김본체(100), 고주파튀김부(200) 및 컨트롤러(400)의 구성은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따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 및 10의 구성에서 튀김본체(100)의 튀김통(120)과 가열부(300)의 구성만 다르게 구성됨으로 이에 따른 구성만 설명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열부(300)는 히터가열부(3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가열부(320)는 튀김통(120) 내측에 기름이 담길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안착홈(121)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121)은 상기 히터가열부(320)가 결합되며, 상기 히터가열부(320)의 결합에 의해 튀김통(120)에 담긴 기름이 안착홈(121)을 통해 튀김본체(100) 쪽으로 넘치는걸 방지한다.
상기 히터가열부(320)는 튀김통(120) 내부에 담긴 기름을 가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즈히터(Sheath Heater)와, 상기 시즈히터의 일측에는 안착홈(121)에 결합하는 결합부재(322)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재(322)에는 튀김통(120)의 측면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323)을 형성한다.
상기 시즈히터(Sheath Heater)는 금속 보호관에 전열선을 코일 모양으로 내장하고 절연 분말인 산화마그네숨을 함께 충진하여 연선과 보호관을 절연한 관 모양의 히터이다. 상기 시즈히터는 제조업체에서 튀김통(120)의 내부 형상에 맞게 제작해 사용하거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는 도 1 내지 10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1 내지 13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튀김본체(100)와, 고주파튀김부(200)와, 가열부(300)와,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튀김본체(100)와, 고주파튀김부(200) 및 컨트롤러(400)의 구성은 도 1 내지 8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도 1 내지 10의 구성과 다르게 구성되는 튀김본체(100)의 튀김통(120)과 가열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튀김통(120)은 그 하부에 가스가열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22)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
상기 가스가열부(330)는 LPG 또는 LNG를 연료로 하여 온풍을 공급하는 버너(331)와, 상기 버너(331)와 연결되는 가열부재(332)와, 상기 가열부재(332) 일측에 결합하여 배기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튀김본체(100)에 배출부재(334)를 결합한다.
상기 가열부재(332)는 버너(331)와 배출부재(334) 사이에 설치되어 내측에 열기가 직접 배출되지 않고 최대한 열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격판(333)을 설치하고, 상기 격판(333)은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열기가 돌아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열부재(332)는 제조업체에서 튀김장치의 구조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332)는 버너(331)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일정시간 가두었다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가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334)는 소정 형상으로 구성하여 내측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부재(322)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를 잠시 가두어놓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334)는 가열부재(332)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결합공(335)을 형성하고,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결합공(335)이 형성된 위치에 대향되게 배기구(33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8에 도시한 구성을 기준해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튀기기 위해서는 먼저, 튀김통(120)에 일정량의 기름을 넣는데 이때, 튀김통(120)에 설치한 레벨센서(452) 이상으로 기름을 넣어 이를 센싱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튀김통(120)에 기름을 넣은 상태에서 튀김을 하기 위해 사용자는 컨트롤러(400)의 온도조절버튼(412)을 눌러 온도를 설정하면, 유도가열부(310)의 코일(313)로 전원이 인가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코일(313)은 자석(314)과 함께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가열체(311)가 유도 가열되면서 튀김통(120) 내부에 담긴 기름으로 열이 전달되어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튀김통(120)에 담긴 기름의 온도가 상승되면, 사용자는 음식물을 튀김바구니(210)에 넣은 후, 튀김바구니(210)를 튀김통(120)에 넣는다. 이때 시간설정버튼(413)을 눌러 음식물이 튀겨지는 시간을 설정해 튀겨지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튀김통(120)에 튀김바구니(210)를 넣은 상태에서 뚜껑(110)을 닫으면, 뚜껑(110) 일측에 설치한 바구니덮개(220)가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밀착되는데, 이때 바구니덮개(220) 일측에 설치한 덮개지지체(230)의 탄성력에 의해 튀김바구니(210) 상부를 누르면서 밀착된다.
상기 밀착은 바구니덮개(210) 상하, 좌우(도면 1 기준)에 형성한 밀착돌기(221)가 눌려지면서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밀착된다.
상기 바구니덮개(210)의 밀착돌기(221)가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밀착되면, 컨트롤러(400)와 연결된 고주파공급선(250)을 통해 바구니덮개(210)로 고주파가 인가되고, 상기 고주파는 다시 밀착돌기(221)를 통해 튀김바구니(210)로 전달된다.
상기 튀김바구니(210)로 고주파가 인가되면, 튀김바구니(210)에 담긴 음식물이 튀겨지면서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증발되면서 빠르게 튀겨진다.
상기 고주파가 바구니덮개(210)를 통해 인가되면, 고주파는 튀김통(120)으로 인가되지 않고 음식물에만 인가되는데, 이는 음식물을 튀길 때 사용하는 기름과 튀김바구니(210)에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1) 및 측면지지부재(212)가 절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주파는 다른 부재로 누설되지 않고 음식물에만 인가된다.
상기 고주파튀김부(200)와 유도가열부(300)에 의해 튀김이 완료되어 뚜껑(110)을 오픈하면, 바구니덮개(220)에 맺힌 유증이 세라믹바(222)에 가이드 되면서 튀김통(120) 내부로 떨어지므로 튀김본체(100) 상부가 기름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뚜껑(110)을 오픈 한 상태에서 집게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긴 튀김바구니(210)를 꺼내어 튀긴 음식물을 다른 용기에 담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유도가열부(310)에 의해 기름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는 것은 물론 튀김이 완료된 후 전원을 차단하면, 유도가열부(310)에서는 잔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름이 산패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또한, 고주파튀김부(200)를 통해 고주파가 인가되어 음식물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킴으로 음식물이 튀겨지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겉은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한 느낌이 들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식감이 좋은 튀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튀김본체 101: 안착공
110: 뚜껑 120: 튀김통
121: 안착홈 122: 결합홈
130: 배수트랩 131: 마개
132: 배출관 133: 콕크밸브
200: 고주파튀김부 210: 튀김바구니
211: 하부지지부재 212: 상하부지지부재
220: 바구니덮개 221: 밀착돌기
222: 세라믹바 230: 덮개지지체
240: 절연체 250: 고주파공급선
300: 가열부 310: 유도가열부
311: 가열체 312: 브래킷
313: 코일 314: 자석
315: 자석고정부재 320: 히터가열부
321: 가열관 322: 결합부재
323: 결합홈 330: 가스가열부
331: 버너 332: 가열부재
333: 격판 334: 배출부재
335: 결합공 336: 배기구
400: 컨트롤러 410: 입력부
411: 전원버튼 412: 온도조절버튼
413: 시간조절버튼 420: 마이컴
430: 출력부 440: 표시부
450: 체크부 451: 온도센서
452: 레벨센서 460: 전원부

Claims (6)

  1.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뚜껑(110)을 설치하며, 음식물을 튀길 수 있도록 기름이 담기는 튀김통(120)이 설치되며, 튀김통(120) 내측에 배수트랩(130)을 설치하고, 배수트랩(130)은 배출관(132)과 연결되며, 배출관(132) 일단에 콕크밸브(133)가 설치되는 튀김본체(100)와;
    음식물이 담겨 튀김통(120)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튀김바구니(210)와, 상하 좌우에 밀착돌기(221)를 가지며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뚜껑(110) 일측에 구비되는 바구니덮개(220)와, 바구니덮개(220)가 탄성 작용에 의해 튀김바구니(210) 상부에 밀착되게 바구니덮개(220)와 결합하여 뚜껑(110)에 설치되는 덮개지지체(230)와,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뚜껑(110) 일측에 설치되는 절연체(240)와, 뚜껑(110)의 내측으로 입설되어 바구니덮개(220)에 고주파를 인가하는 고주파공급선(250)과, 튀김바구니(210)의 하부, 상부 측면 및 바구니덮개(220) 일측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재(211), 상부지지부재(212) 및 세라믹바(222)을 포함하는 고주파튀김부(200)와;
    튀김통(120) 내부에 담긴 기름의 온도를 상승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튀김통(120) 외측에 설치되는 가열부(300)와;
    고주파튀김부(200)와 가열부(300)를 제어하여 튀김통(120) 내부에 담긴 기름 온도 조절 및 음식물의 튀김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튀김본체(100)에 설치하는 컨트롤러(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0)는,
    유도가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튀김통(120) 외측에 설치하는 금속재질의 가열부재(310)와;
    복수의 튀김통(120) 외측에 고정되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복수의 브래킷(312)과;
    브래킷(312)에 설치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313)과;
    코일(313)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석(314)과;
    자석(314)을 코일(313) 일측에 고정하는 자석고정부재(315);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부(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0)는,
    튀김통(120) 내측에 위치되어 기름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시즈히터로 이루어지는 가열관(321)과;
    상기 가열관(321)의 일측에 설치되어 튀김통(120) 내측에 담긴 기름이 안착홈(121)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튀김통(120)에 결합하는 결합부재(322);
    를 포함하는 히터가열부(320)를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통(120)에는 복수의 레벨센서(452)를 설치하고,
    튀김통(120)에 담기는 기름이 레벨센서(45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음식물이 튀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211), 상부지지부재(212) 및 세라믹바(222)는,
    튀김통(120)에서 음식물이 튀겨질 때,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음식물의 겉은 바삭하고 음식물 내부는 촉촉하게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KR1020150188973A 2015-12-29 2015-12-29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KR10166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973A KR101664343B1 (ko) 2015-12-29 2015-12-29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JP2016178877A JP6219471B2 (ja) 2015-12-29 2016-09-13 高周波を用いたフライヤ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973A KR101664343B1 (ko) 2015-12-29 2015-12-29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343B1 true KR101664343B1 (ko) 2016-10-10

Family

ID=5714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973A KR101664343B1 (ko) 2015-12-29 2015-12-29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19471B2 (ko)
KR (1) KR1016643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48A1 (ko) * 2016-12-16 2018-06-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튀김기
KR101886364B1 (ko) * 2016-12-16 2018-08-09 범일산업 주식회사 정제기가 설치된 인덕션 튀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248A (ja) * 2011-06-10 2012-12-27 Kanaji Tatsuo フライヤー用高電場形成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フライヤー
JP2013005851A (ja) * 2011-06-23 2013-01-10 Denshi Kogaku:Kk フライヤー用電場処理装置
KR20130116432A (ko) * 2012-03-19 2013-10-24 이재철 인덕션코일이 유조의 외부에 장착된 인덕션튀김기
KR101420724B1 (ko) 2013-01-24 2014-07-29 휴먼플랜텍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튀김장치
KR20140100801A (ko) * 2013-02-07 2014-08-18 강성회 튀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86A (ja) * 1995-04-03 1996-10-22 Sharp Corp 高周波フライヤー
JP4345086B2 (ja) * 2004-10-06 2009-10-14 株式会社イー・サイエンス フライヤー用電界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248A (ja) * 2011-06-10 2012-12-27 Kanaji Tatsuo フライヤー用高電場形成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フライヤー
JP2013005851A (ja) * 2011-06-23 2013-01-10 Denshi Kogaku:Kk フライヤー用電場処理装置
KR20130116432A (ko) * 2012-03-19 2013-10-24 이재철 인덕션코일이 유조의 외부에 장착된 인덕션튀김기
KR101420724B1 (ko) 2013-01-24 2014-07-29 휴먼플랜텍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튀김장치
KR20140100801A (ko) * 2013-02-07 2014-08-18 강성회 튀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48A1 (ko) * 2016-12-16 2018-06-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튀김기
KR101886364B1 (ko) * 2016-12-16 2018-08-09 범일산업 주식회사 정제기가 설치된 인덕션 튀김기
CN110072415A (zh) * 2016-12-16 2019-07-30 凡一产业株式会社 电磁油炸锅
US11337555B2 (en) 2016-12-16 2022-05-24 Bumil Industrial Co., Ltd. Induction f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9471B2 (ja) 2017-10-25
JP2017119082A (ja)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8111A (en) Multiple purpose cooking appliance
US5567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iabatic cooking
CN107105939B (zh) 加热烹调装置
US6265695B1 (en) Food therm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5948301A (en) Food thermalization device
TWI617269B (zh) Heating conditioner
US20170251872A1 (en) Electric roasting oven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KR101120397B1 (ko) 가열조리기와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조리 방법
US10575679B1 (en) Air or deep fryer
CN110353470A (zh) 烹饪器具、烹饪的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US5809871A (en) Cooking apparatus
US6414274B1 (en) Electrical heater lid
KR20030074042A (ko) 전기 조리기
KR10166434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CN111214122A (zh) 一种烹饪器具的控制方法
JP2000041838A (ja) 電気鍋
KR102154970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KR102393566B1 (ko) 밥솥
KR20050116268A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및 그 방법
CN105559515A (zh) 智能型电饭锅
KR101425615B1 (ko) 육수 가열장치
US10667336B2 (en) Food cooking system
KR101664341B1 (ko) 전자유도가열 튀김기
CN110604463A (zh) 用于运行烹饪设备的方法和烹饪设备
KR101717978B1 (ko) 중탕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