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589A -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 - Google Patents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589A
KR20150047589A KR1020157007634A KR20157007634A KR20150047589A KR 20150047589 A KR20150047589 A KR 20150047589A KR 1020157007634 A KR1020157007634 A KR 1020157007634A KR 20157007634 A KR20157007634 A KR 20157007634A KR 20150047589 A KR20150047589 A KR 2015004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container
kitchen appliance
kitchen utensils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노 테렌
안드레아스 힐렌마이어
Original Assignee
휘슬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슬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휘슬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4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77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05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개구 에지(31,31')를 가지는 용기(30,30')상에 설치하기 위한 주방 기구(10)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 타입의 기능 유닛(20,20')이 임시 도입되는 리세스를 가지고 제 1 재료로 제조된 판형 본체(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5)는 조개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본체(15)는 오목측과 볼록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적어도 조개 형상 본체(15)의 볼록측에서, 접촉면(40)은 제 2 재료로 제조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고, 접촉면(40)의 제 2 재료는, 본체(15)의 제 1 재료보다, 용기(30,30')의 재료와의 접촉에서 더 큰 마찰력을 유발한다.

Description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Kitchen Appliance for Placement on a Vessel, Kitchen Appliance Set, Comprising Kitchen Appliance and Various Functional Units}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 설치되는 주방기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 타입의 기능 유닛이 임시 도입되는 리세스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한다. 교환가능한 기능 유닛은 따라서 리세스로 도입되어 음식물을 준비하고 처리하며 예를 들어, 슬라이서나 강판과 같은 것들이다. 본 발명은 따라서 상기 주방 기구와 다양한 교환가능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기구셋트에 관한 것이다. 과일과 야채와 같은 음식물들은 예를 들어 주방기구에 의해 분쇄되고, 다음 직접 각각의 기능유닛으로부터 그 아래 위치한 용기로 투하된다. 유리한 실시예의 경우, 주방 기구는 동시에 또한 용기의 뚜껑으로도 이용된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특허 명세서 DE 37 19 649 C2는 주방 기구를 개시하는데, 둥근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에 대한 뚜껑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편평한 뚜껑이 제공되는데, 그 에지가 슬라이서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 개구에 대해 마찰 감합에 의해 외피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서는 뚜껑으로부터 독립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는데, 리세스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세스는 그때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어 예를 들어 사전에 음식물이 슬라이스된 용기에 대한 뚜껑으로서 온전히 뚜껑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주방 기구와 타 주지의 주방기구는,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서 사용되는 용기의 특정 직경에 대해서만 연동된다는 단점이 있는데, 음식물 준비에 대해 용기상에 뚜껑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음식물이 힘과 압으로 슬라이서상에서 수평 이동할 때 뚜껑은 미끄러져서는 안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뚜껑이 형상 끼워맞춤을 통해 용기상에 유지되는 것을 이용하는, 기계적 요소에 대한 제공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졌다. 뚜껑에는 따라서 종종 노치가 제공되는데, 노치는 용기의 개구 에지와 형상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고 상기 방식으로 용기상에서 반경방향 변위에 대향하여 뚜껑을 고정한다. 특별한 경우, 뚜껑은 복수의 노치를 갖출수 있다. 상기 주방 기구가 동시에 슬라이서, 강판 및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항상 특정 크기의 용기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심지어 성형시에도 연동된다. 또, 다른 추가적인 용도로 이용할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동근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주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다양한 기능 유닛 형태에서 사용되기 위한 베이스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방 기구는 따라서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용기상에서 설치될 수 있고 가능한한 쉽게 그리고 미끄러지지 않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독립항 제 1 항을 따르는 주방기구에 의해 해결된다. 주방 기구의 추가적인 유리한 점들은 종속항인 제 2 항 내지 제 13항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독립항인 제 14항을 따르는 주방 기구 셋트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주방 기구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인 제 15 항을 따른다.
본 발명을 따르는 주방 기구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 설치되는것에 적합하고, 적어도 일 타입의 기능 유닛이 임시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리세스를 가지는 제 1 물질로 제조된 판형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는 조개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본체는 요철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조개형 본체의 볼록측에서, 제 2 물질로 제조된 접촉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접촉면의 제 2 물질은 따라서 본체의 제 1 물질보다 용기의 재료와의 접촉에서 더 큰 마찰력을 유발한다.
본체의 제 1 물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금속일 수 있고,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생리학적으로 주방 영역에서 문제가 없으며, 주방 기구에 적합한 면 특성을 부여하여 양호한 형상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사한 물질로 구성되는 용기와 본체 물질간의 직접 접촉에 반응하여, 주방 기구가 용기의 개구에지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슬라이서나 강판과 같은 기능 유닛을 이용할 때 불리한데, 용기의 에지상에서 앞뒤로 주방 기구를 슬라이딩하는 수평력이 과일, 야채 또는 치즈와 같은 음식물 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들에게 가해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 2 물질로 제조되는 접촉면은, 용기 물질과의 물질 조합에서, 본체 물질보다 더 큰 마찰 계수를 생성하며, 적어도 조개형 본체의 볼록측에서 형성된다. 접촉면/용기의 물질 조합의 경우 발생되는 마찰력은 따라서 본체/용기 물질 조합의 경우보다 크다. 주방 기구는 따라서 둥근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서 볼록한 바닥측으로 위치할 수 있고, 접촉면이 없는 경우보다 상기 위치에서 더 확실하게 고정된다. 충분히 큰 마찰 계수의 경우, 주방 기구는, 특히 음식물을 갈거나 슬라이스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수평력에 반응한 의도하지 않은 미끄러짐에 대항하여 아주 양호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면의 제 2 물질은 따라서 특히 고무같은 플라스틱인, 플라스틱이며, 단단한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조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산토프렌(SantopreneTM) 제품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니트릴 고무(NBR), 또는 실리콘 탄성중합체가 선택될 수 있다. 주방 영역에서 용기에 대해 언급된 전형적인 물질과의 조합에서, 상기 그룹의 물질들은 매우 높은 마찰 계수를 유발하여, 주방기구가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통해 용기상에서 그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독립적인 이동이나 미끄러짐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기 물질들은 세척가능하고 열에 강하여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에도 사용가능하다.
주방기구의 적어도 부분영역에서 조개형상으로 인해, 상기 기구는 상기 영역에서 용기의 실질적인 원형 개구 에지에 대항하여 더 잘 안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든 둘레에서 용기에 접촉하고, 접촉면의 높은 마찰 계수가 사방에서 작용할 수 있어, 주방 기구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고무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접촉면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주방 기구는 따라서 용기상에 설치되어 특히 요리 과정에 따라 밀봉을 형성한다.
그러나, 주방 기구가 설치되는 용기는, 반드시 완전한 원형 개구 에지를 가질 필요는 없고, 그러나 또한 간극을 에워쌀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조 병마개(pouring lip) 형태일 수 있다. 또, 주방 기구는 가능한 곧은 형태로 용기상에 설치될 필요가 없고 약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주방기구의 볼록 바닥측상의 접촉면의 치수는 따라서 바람직하게, 주방 기구가 경사지게 위치한 때에도 용기 에지와 둘레 접촉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각 접촉면의 반경 확장이 매우 크게 실현되는 경우, 주방 기구가 다양한 크기의 용기상에 설치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을 가진다. 특정 직경까지의 큰 용기의 경우, 주방 기구는 둘레에 가깝게 각 용기의 개구 에지에 대해 안착하는 한편, 더 작은 용기의 경우 본체의 중간영역에 대해 더욱 안착한다. 상기 목적으로 본체의 바닥측은 예를 들어, 접촉면으로 거의 완벽하게 덮일 수 있다.
용기의 최대로 가능한 직경은 따라서 주방 기구의 본체의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한편, 용기의 최소로 가능한 직경은, 상이한 기능 유닛이 도입되는 리세스의 크기와 위치에 의해 대략 제공된다. 음식물이 각각의 기능 유닛에 의해 처리되고 아래에 위치한 용기로 떨어진다는 사실로 인해, 예를 들어, 슬라이스, 줄질(rasps), 방울(drops)등의 형상으로, 용기는 유리하게 적어도 기능 유닛과 함께 리세스만큼의 크기가 될 수 있고, 따라서 각 음식물은 용기에 완벽하게 담겨진다.
강판, 슬라이서, 자동 드립 시스템, 스티머 찜기, 및/또는 주스 추출기가 예를 들어 기능 유닛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용기용 뚜껑으로서 삽입되는 기능 유닛 없이 주방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용기내 위치한 음식물은 리세스를 통해 보여지고 접근가능하다. 상기 이용 형태에서, 예를 들어 믹서는 리세스를 통해 안내되고, 주방 기구가 소용돌이 치는 음식물 부분에 대한 튐 방지기(splash guard)로 이용될 수 있다. 주방 기구는 또한 삽입되는 기능 유닛없이 팬 상에서 튐 방지기로 이용될 수 있다.
폐쇄판이 리세스로 추가 삽입되어 폐쇄 뚜껑이 생긴다. 상기 뚜껑은 튐 방지기로 기능하고 또한 요리 과정에서 팬이나 팟(pot)위에 위치할 수 있다. 페쇄판은 따라서 투명 혹은 불투명일 수 있다. 투명 폐쇄판은 아래에 위치한 음식물을 볼 수 있도록 하고, 그러나 리세스에서 폐쇄판으로 주방 기구는 단순히 과일 및 야채와 같은 음식물용 외피나 저장고로 이용될 수 도 있다.
볼록측에서, 주방 기구는 따라서 용기상에 주방기구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임의 형상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주방 기구가 용기에 대해 특정 방사 위치에서 위치 설정되게 하는 노치, 돌기, 멈추개 또는 그루브와 같은 요소들은 따라서 존재할 필요가 없다. 용기에 대한 주방 기구의 고정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개구 에지와 주방 기구의 접촉면간의 마찰을 통해서만 발생한다.
본체의 외피 형상은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는 적어도 제 1 부분영역에서 돔형상 또는 콘형상일 수 있고, 본체의 오목 및 볼록부가 형성된다. 돔형상의 본체는 따라서 더 동글납작하고, 콘 형상은 중앙부를 향해 경사진 직선의 벽을 가진다.
돔형상 본체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구결(spherical segement)의 표면에서 곡선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구결 또는 구 영역은, 각각 평면이 볼(구형상의 캡/구형상의 주형(pig))과 교차할 때 생성된다. 그와 같은 돔형상 본체는 따라서 이하 구결 형상(spherical segment-shaped)으로 식별되고 구결 형상 본체의 반경은 따라서 선택되고 커질수도 있어, 대략 콘형상 형태가 획득된다. 그러나, 구결 형상은, 주방 기구가 원형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 위치할 때 각 용기에 대한 최적의 지지면을 유발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주방 기구를 가상의 회전 중심에 대해 회전하거나 또는 주방 기구를 용기상에 중심을 벗어나 변위하는 것에 대해, 각각 상기 최적 지지면이 유지되고, 밀봉 기능을 가지는 주방 기구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리세스는 본체의 돔형상 또는 콘형상 제 1 부분영역으로 직접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그러나, 본체는 적어도 제 2 부분 영역에서 편평하고 제 1 부분 영역은 링형상 방식으로 상기 편평한 제 2 부분 영역을 둘러싼다. 리세스는 다음 편평한 제 2 부분 영역에서 형성된다. 편평한 바닥면은, 리세스가 위치하고, 외피의 중심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기능 유닛이 경사면으로 삽입되지 않고 편평한 면으로 삽입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특히 강판, 슬라이서 및/또는 폐쇄판이 편평한 상부측으로 구현되고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로 도입될 수 있다. 중앙부에서 리세스는 특히 주방 기구의 최저점에서, 음식물과 특히 액체가 미끄러지거나 리세스를 향해 자동적으로 흐른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본체가 중심에서 편평하도록 구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편평하거나다르게 형성된 영역들에 대한 제 1 부분 영역의 외측 에지상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측 둘레의 편평한 에지가 존재하거나 후크 및/또는 링이 에지에 형성되어 주방 기구를 매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체의 둘레는 그러나 원형이고 제 1 부분 영역은 본체의 둘레에 완전히 도달한다.
기능 유닛을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삽입하기 위해 리세스는, 본체의 볼록측에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포위된다. 충분한 측 안정성을 가지는 수용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적어도 일 타입의 기능 유닛이 임시로 상기 측벽 내에 도입될 수 있다. 기능 유닛을 리세스 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유닛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본체에 제공한다. 특히, 리세스 영역내에서 잠금 수단으로 적어도 일 측벽상에 예를 들어 구현될 수 있다.
본체의 볼록측에 돌출한 측벽은 편평한 기능 유닛이 리세스내로 도입되어 오목측과 수평을 이룬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그러나 돌기 및/또는 레지(ledge)가 본체의 오목측에 존재하는 경우, 그러나 측벽이 또한 오목측상에서 돌출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측벽을 포기하고 리세스 내에 기능 유닛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타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기능 유닛이 리세스 내 장소로 잠기는 수단에 의해 기능 유닛 자체에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스프링 부하 볼로서, 예를 들어, 기능 유닛을 도입하는 것에 반응하여, 기능 유닛이 리세스내로 밀리는 정도로 리세스의 에지를 통해 카운터싱크(countersink)로 밀린다. 볼은 리세스 에지를 통과하자마자, 스프링력으로 인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리세스 에지 아래로 자리를 잡는다. 그러나, 상기 방식이 고정 수단은 주변 측벽 또는 리세스 내 타 요소와 결합하여 볼이 개구 또는 그루브와 함께 상기 요소들내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고마찰 계수를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의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접촉면이, 본체의 제 1 물질에 의해 방해를 받는, 링을 이루는 방식으로 조개형상 부분 영역의 볼록측에서 서로 분리되어 부착될 수 있다. 개별 접촉면은, 주방 기구가 안정적으로 용기의 개구 에지상에 위치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세개의 접촉면은, 서로 120도의 각도로 원에서 배치되고, 목적에 맞게 적응한다. 주방 기구가 용기의 개구 에지상에서 상기 접촉면에 대해 안착하더라도, 선택 물질과 접촉면의 폭에 따라 충분히 미끄럼 방지 고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주방 용기상의 주방 기구의 밀봉 기능은 포기하게 되는데, 특히 증기 및/또는 액체가 개별 접촉면간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이 연속적인 둘레 링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링으로, 주방 기구는 완전하게 용기의 개구 에지에 대해 안착하고, 지지면의 증가로 인해 미끄러짐 방지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누설방지를 제공할 수 있다. 주방 기구가 다양한 크기의 용기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둘레 링은 아주 넓어서, 작거나 큰 용기의 경우, 주방 기구는 항상 용기 에지에 대해 링형상 접촉면으로 안착할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이 본체의 에지를 넘어 본체의 볼록측으로부터 본체의 오목측으로 연장한다. 접촉면은 따라서 본체의 에지를 둘러싸고 따라서 U-형상 에지 보호를 형성한다. 링은 따라서 완전하게 에지를 주위에서 둘러싸고 부분에서 오목측만을 향해 연장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잡기 탭은 본체의 오목측상의 둘레 링상에 구현되고, 링은 본체의 중심점을 향해 부분에서 넓어진다. 또는 그러나, 링은 또한 본체의 오목측상 부분에서 두꺼워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잡기 탭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따라서 본체의 오목측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주방기구는 상기 잡기 탭상에서 안정적으로 잡힐 수 있고, 접촉면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본체의 재료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주방기구 사용에 반응하여, 잡기 탭은 또한 팟(pot) 또는 팬에 대한 뚜껑으로서 열로부터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데, 본체는 조리 과정에 있어서 뜨거워지는데 직접적으로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실리콘 탄성 중합체 또는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과 같은 재료의 경우, 잡기 탭은 전형적으로 본체보다 높은 열저항을 가지므로, 주방 기구는 잡기 탭으로 잡을 수 있어서 사용자 손가락에 화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접촉면의 경우, 본체의 에지를 완전하게 둘러싸고, 사용자들은 또한 주방 기구의 에지상에서 화상을 입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주방 기구 세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실시예중 하나를 따르는 주방 기구와 주방기구의 리세스로 임시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을 포함한다. 상이한 기능 유닛과 리세스의 형상과 크기는 따라서 서로 보완적이고 주방 기구는 다양한 기능 유닛에 대해 구체적인 이득을 제공한다.
삽입되는 기능 유닛은 예를 들어, 강판, 슬라이서, 자동 드립 시스템, 스티머 찜기, 쥬스 추출기 및/또는 폐쇄판일 수 있다. 기언급한 바와 같이,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주방 기구는 강판과 슬라이서의 경우 유리한데, 실시예로 인해, 주방 기구가 미끄럼 방지 방식으로 용기상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방 기구는 예를 들어, 강판상에서, 광일, 야채, 또는 치즈와 같은 음식물의 강력한 수평 이동에 있어서도 미끄러지지 않아서,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측에서 오목한 주방기구의 상대적으로 큰 반경으로 인해, 적합한 작업면이 또한 삽입되는 기능 유닛의 외측을 형성하여, 각각의 음식물은 수직압력으로 편평한 외피에서 앞뒤로 밀려서, 예를 들어 강판의 절단에지를 가로질러 반복적으로 안내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강판은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로 삽입되어 수평을 이루고, 강판과 본체의 오목측 면은 오직 강판의 절단날이 돌출하는 대략적인 연속면을 형성한다. 음식물 분쇄를 위한 타 기능 유닛 또는 슬라이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음식물 분쇄 이후, 각각의 사용된 기능 유닛은 리세스로부터 제거되고, 외피내 수집된 음식물 조각들은 리세스를 향해 용이하게 가압되고 리세스를 통해 용기로 안내된다. 동일하게 쥬스 추출기와 같은 기능 유닛에도 적용된다. 수평을 이루도록 리세스내로 삽입되지 않더라도, 주방 기구의 오목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주스 추출 이후 제거될 수 있으며, 쥬스는 용기내로 즉시 흐르지 않고 외피내에 수집되고 리세스를 통해 용기로 흐른다. 가능한 최소한의 액체만이 손실된다.
예를 들어, 와인이 팟의 함유물로 추가되어 자동 드립 시스템에 의해 계량될 수 있고, 자동 드립 시스템은 또한 주방 기구의 오목측상에 돌출한다. 반대로, 스티머 찜기는 리세스로 삽입되어 수평을 이루고, 찔 음식물은 주방 기구의 조개형상 본체에 분배될 수 있다. 물이 그 때 주방 기구 아래 용기에서 가열되어 물증기가 스티머 찜기를 통해 찔 음식물로 유동할 수 있다. 질 음식물이 덮이는 뚜껑에 대한 제공이 가능하여 물 증기가 찔 음식물 영역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용도의 주방 기구의 경우, 주방 기구가 둘레상의 접촉면으로 용기상에 밀접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한데, 물 증기가 용기와 부착물간의 간극을 통해 유출되지 않으면서 스티머 찜기의 개구를 통해 유동하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재료 사용으로,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응용 선택에 있어서 상당히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는 주방기구는 이용이 단순하고 다양한 용도에도 불구하고 세척이 용이하다. 디스크형 주방 기구는 판과 같이 직립하여 식기세척기에 넣을 수 있고, 음식물 조각들이 불리한 방식으로 수집되어 힘들게 제거될 수 밖에 없는, 접근할 수 없는 간극, 구멍, 홈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사용된 기능 유닛은 식기 세척기에서 주방기구로부터 분리되어 세척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점, 특성 및 개선 사항들은 도면을 통해 예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종속항들을 통해 알 수 있다.
도 1a는 기능 유닛이 없는, 본 발명을 따르는 주방 기구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제 1의 3차원 상면도이다.
도 1b는 도 1a를 따르는 조방 기구에 대한 3차원 저면도이다.
도 1c는 삽입되는 기능 유닛(강판)과 함께, 본 발명을 따르는 주방 기구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제 2의 3차원 상면도이다.
도 2a는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부착된 주방 기구를 가지는 제 1 크기의 용기를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부착된 주방 기구를 가지는 제 1 크기의 용기를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부착된 주방 기구를 가지는 제 2 크기의 용기를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용기의 개구 에지와 주방 기구의 접촉면간의 접촉에 대한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5는 삽입된 기능 유닛을 가지는 부착된 주방기구를 구비하는 용기의 3차원 단면도이다.
도 6은 주입 간극과 경사지게 위치한 주방 기구를 가지는 용기를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1a는 제 1의 3차원 도면에서 본 발명을 따르는 주방 기구(10)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방 기구(10)는 실질적으로 판형상으로, 조개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형 본체(15)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의 오목 및 볼록측은 따라서 생겨나고, 주방 기구(10)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 볼록측으로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도면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주방 기구(10)의 조개형상이 본체(15)에 의해 달성되고, 적어도 부분에서 구결형상이다. 그러나, 본체(15)는 편평한 조개처럼 구현되고, 구형 단면의 반경은 커서 본체(15)의 형상이 또한 대략 도면에서는 콘 형상으로 보인다. 편평한 외피는, 매우 큰 개구 에지를 가지는 용기상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 주방 기구(10)의 볼록한 바닥측이, 용기안으로 깊게 돌출하지 않아 상부로부터 수용되는 음식물을 위한 공간을 많이 줄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오직 도 2b가 작은 반경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유리한 구결형상이 더욱 선명하게 식별된다.
주방 기구(10)의 볼록측에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17)이 둘러싸는 리세스(13)가 본체(15)의 중심에서 제공된다. 이는 도 1b의 저면도로부터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리세스(13)의 영역에서, 본체(15)는 구결형상이 되도록 구현되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된다. 본체(15)의 구결형상 부분영역(11)은 따라서 링형상방식으로 상기 편평부 영역(12)을 둘러싸고, 편평한 바닥을 가지는 편평한 외피가 두 개의 부분영역들(11,12)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15)의 편평부 영역(12)은 예를 들어 둥글게 형성된다. 직사각 리세스(13)는 그러나 둥근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편평부 영역(12)에서 형성된다. 모서리를 둥글게 해서 날카로운 에지를 방지하고 주방 기구의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편평부 영역(12)으로부터 리세스(13)의 측벽(17)으로의 전이는 또한 둥글게 이루어진다. 리세스(13)는 그러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둥글게 또는 타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유닛(미도시)는 리세스(13)로 도입될 수 있고, 본체(15)는 본체(15)에 기능 유닛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수단은 예를 들어, 잠김 코나 잠김 비드(14)가, 측벽(17)의 내면상에 대향측에서 도시되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경우에 형성된다. 상기 잠금 비드(14)는 리세스(13) 내부로 돌출하고 압력하에서 잠금 비드(14)와 함께 자리를 잡는 방식에 따라서 기능 유닛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영역이 구현된다. 기능 유닛은 본 방식으로 리세스(13)내에서 유지되고 그러나 상부로부터 특정 견인력 또는 바닥으로부터 압축력을 가하여 다시 리세스(13)밖으로 당겨지거나 밀릴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리세스(13)의 영역에서 또는 리세스(13)의 영역내에서 기능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유닛에서 상응하는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구멍, 그루브, 탭, 슬릿, 핀, 후크등일수 있다. 그러나, 리세스의 둘레 측벽(17)에서 고정 수단이 특히 유리한데, 편평부 영역(12)의 표면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이며, 따라서 예를 들면 강판갈기와 슬라이스 처리에 대해 장애가 되지 않는다. 바요넷 폐쇄부(bayonet closures)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특히 원형 리세스의 경우, 마찬가지로 원형인 기능 유닛이 리세스로 삽입되어 바요넷 폐쇄부가 잠그는 방식으로 돌려진다.
본체(15)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 금속 및 세라믹이 가능하다. 스테인리스 스틸이 본 발명의 예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재료가 주방 영역에서 생리학적으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주방 기구에 양호한 형상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 리세스(13)와 본체(15)의 상이한 부분 영역(11,12)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는 적어도 바닥측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40)이며, 즉, 본체(15)의 볼록측이다. 도 1a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는 완전히 둘레 링(40)이며, 볼록측으로부터 둘레를 가로질러 본체(15)의 오목측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U 형상 방식으로 에지(16)를 둘러싸고 전체에서 편평하게 본체(15)에 대해 안착한다.
바람직하게, 실리콘 탄성중합체 또는 니트릴 고무와 같은 고무형 플라스틱이 접촉면(40)에 대한 재료로 선택된다. 산토프레네 제품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적합할 것이다. 용기에 대한 일반적인 재료와의 재료 조합으로서, 상기 재료들은 주방 영역에서 상당히 높은 마찰 계수를 제공하고 특히 접촉 혹은 마찰면 각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적합하다. 상기 접촉면은 또 분사와 프레싱 방법와 같은 알려진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본체(15)에 부착될 수 있다. 또, 기계적 연결도 가능하다.
본체(15)의 볼록측상에서, 접촉면(4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링의 형상이고, 바람직하게 편평부 영역(12) 및 따라서 리세스(13)에까지 완전하게 도달한다. 반대로, 링은 상기 링이 본체(15)의 오목측상에서 본체를 확실하게 폐쇄하는 정도로 본체(15)의 에지 주변에 도달할 수만 있다.
본체(15)의 오목측에서, 그러나, 링(40)은 본체(15)의 중앙부를 향해 부분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잡기 탭이 형성되고 도 1a의 상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데, 사용자가 주방기구(10)를 잡는 두 개의 대향하는 잡기 탭(41,41')이 부분에서 링(40)을 넓힘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위치에서, 주방 기구(10)는 또한 엄지에 의해 용기상으로 아래로 밀릴 수 있다.
도 1b는 도 1a를 따르는 주방 기구에 대한 저면도를 도시하는데, 기능 유닛은 또한 리세스(13)로 삽입되지 않는다. 본체의 원형의 편평부 영역(12)에는 리세스(13)가 형성되어 보여진다. 구결형상 경사부 영역(11)이 상기 편평부(12)를 둘러싸고 도 1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구결형상 경사 영역이 바닥에서 접촉면(40)에 의해 완전하게 덮인다.
제 2 잠금 비드(14')는 측벽(17)의 내측에서 제 1 잠금 비드(14)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도 1b를 통해 알 수 있다. 주방 기구(10)의 바닥측에서, 측벽(17)은 조개 형상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도 1b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측벽(17)의 에지(18)는 안쪽으로 구부러지게 구현된다. 기능 유닛에 대한 지지 혹은 정지면은 각각 타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생성된다. 날카로운 에지는 부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본 방식에서는 회피된다.
도 1c는 복수의 절단날(21)을 가지는 강판(20)인, 삽입된 기능 유닛을 가지는 주방 기구(10)에 대한 3차원의 상면도이다. 리세스(13)처럼, 강판(20)은 둥근 모서리를 가지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구현되고 리세스(13)로 삽입되어 같은 높이를 이루어서, 편평부 영역(12)과 함게 절단날(21)만이 돌출하는 연속면을 형성한다. 주방 기구(10)는 용기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잡기 탭(41,41')을 한 손으로 잡아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는 과일, 야채 또는 치즈를 강판(20)을 가로지르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갈린 음식물은 바닥측의 각 용기로 떨어진다.
도 2a는 용기(30)상에 위치한 주방 기구(10) 단면을 도시하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용기(30)이며, 예를 들어, 팬일 수 있다. 주방 기구(10)는 링형상 접촉면(40)으로 용기(30)의 개구 에지(31)에 대해 안착하며, 외측 영역에서 발생한다. 본체(15)의 볼록한 바닥측 상에서, 접촉면(40)은 편평부 영역(12)으로부터 구결형상 또는 콘형상부 영역(11)을 각각 가로질러 또 본체의 외측 에지(16)를 가로질러 본체(15)의 오목한 상부측까지 완전하게 연장되어, 접촉면(40)은 U 형상 방식으로 본체의 둘레(16)를 둘러싼다.
기능 유닛으로서, 편평부 영역(12) 또는 본체(15)의 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내장되는 폐쇄판(20')이 편평부 영역(12)에서 리세스에 삽입된다. 폐쇄판(20')의 요소들은 따라서 형상에 맞추어서 두 개의 잠금 비즈(14,14')로 제자리에 고정되고, 폐쇄판(20')은 리세스에서 유지되고 안으로 곡선을 이루는 측벽(17)의 에지(18)에 안착한다. 폐쇄판(20')의 상부측은 본체(15)의 내면과 대략 편평한 면을 이룬다. 주방기구(10)의 이와 같은 응용에서, 폐쇄판을 이용하는 경우는 용기(30)에 대한 뚜껑 및/또는 튐방지기로 이용되는 예시가 될 수 있다. 접촉면으로, 주방 기구(10)는 용기(30)의 개구 에지(31) 전 둘레에 대해 안착할 수 있고 밀봉할 수 있다.
도 2b는 부착된 주방 기구를 가지는 동일한 용기를 도시하고, 본체(15)의 제 1 부분 영역(11)의 구결형상이 더 작은 반경으로 인해 더욱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이다. 그러나, 반경이 너무 작아서 주방 기구(10)가 용기(30) 내부로 너무 멀리 돌출하거나, 큰 크기의 용기의 경우 용기내에 위치한 음식물을 건드리는 반경이 선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결형상부 영역(11)은 리세스(13)로 완전히 곧바로 돌출하여 편평한 제 2 부분 영역은 형성되지 않는다.
절단 에지(21)를 가지는 강판(20)형태로 기능 유닛이 다시 리세스(13)라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응용을 도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강판(20)의 본체가 또한 리세스(13)내에 내장되어 본체(15)의 내측과 수평을 이루고, 강판(20)의 적어도 하나의 절단 에지(21)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과일, 야채 및/또는 치즈는 따라서 압력에 의해 외피내에서 전후로 움직이고, 각 음식물의 부분들은 절단 에지(21)에 의해 절단되어 용기(30')로 떨어진다. 각 음식물은 따라서 경사영역(11)내에서 편평부 영역(12)을 넘어 이동되고, 본체(15)의 오목측에서 경사영역(11)과 편평부 영역(12)간의 각도 α는 아주 크게 선택되어 가능한한 부드럽고 매끄러운 두 영역간의 전이를 제공한다.
도 3에서, 주방 기구(10)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용기(30')상에 위치하고, 본 발명을 따르는 주방 기구(10)는 상기 용기 크기상에 고정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는데, 접촉면(40)이 주방 기구(10)의 볼록측을 대략 완전하게 덮기 때문이며 따라서 전체 바닥측이 양호한 접착특성을 가지는 마찰면으로서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용기(30)의 개구 에지(31)와 주방 기구(10)의 접촉면(40)간의 접촉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용기(30)의 에지(31)는 특정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고 예를 들어 조개형상 주방 기구의 반경 또는 경사에 따라 채택되는데, 주방 기구(10)는 용기(30)의 최고 지점 또는 최고 둘레 에지에 대해 단순히 안착한다.
평균 크기의 용기(30)에 주방 기구(10)를 배치하는 것은 도 5의 3차원 도면으로부터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유닛으로서, 강판(20)은 따라서 리세스(13)로 다시 한번 삽입된다. 그러나, 주방 기구(10)는 수평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용기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디스크형 주방 기구(10)가 실질적으로 똑바로 중심에 있도록 용기에 위치하고 용기의 개구 에지에 대해 완전하게 안착한다. 또, 주방 기구(10)는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직선에서 경사위치로 바르게 방향을 가지도록 가압될 수도 있는데, 도 6은 단계 없이 발생할 수 있는 이심 위치를 도시한다. 상기 경사위치에서, 예를 들어 용기(30)로부터 액체가 주입되는 주입 간극(50)이 용기(30)의 개구 에지와 주방 기구(10) 에지(16)상의 접촉면(40) 사이에서 생겨난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결 형상 본체로 인해, 주방 기구(10)는 용기(30)의 잔여 에지에 대해 아주 단단하게 안착하여 미끄러지지 않으며 또한 간극(50)의 폭은 문제없이 일정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엄지를 사용하여 주방 기구(10)를 측면에서 살짝 용기의 에지(31)상으로 밀 수 있다.
10 : 주방 기구
11 : 돔 형상, 구결 형상, 콘 형상의 제1 부분 영역,
12 : 편평한, 제 2 부분 영역
13 : 리세스, 수용부
14,14' : 잠금 수단, 잠금 비즈
15 : 본체
16 : 본체 에지
17 : 리세스의 측벽
18 : 측벽 에지
20,20' : 기능 유닛, 폐쇄판, 강판
21 : 절단 날
30, 30' : 용기, 볼(bowl), 팟
31,31' : 개구 에지
40 : 접촉면, 실리콘 링
41,41' : 잡기 탭
50 : 주입 간극
α: 오목측에서 평편부와 경사부 영역간의 각도

Claims (15)

  1. 실질적으로 원형의 개구 에지(31,31')를 가지는 용기(30,30')에 위치하는 주방 기구(10)로서, 적어도 일 타입의 기능 유닛(20,20')이 임시 도입되는 리세스(13)를 가지고 제 1 재료로 제조되는 판형 본체(15)를 포함하고,
    본체(15)는, 오목측과 볼록측을 가지는 본체(15)가 형성됨으로써 조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조개 형상 본체(15)의 볼록측에서, 제 2 재료로 제조된 접촉면(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고, 접촉면(40)의 제 2 재료는, 본체(15)의 제 1 재료보다, 용기(30,30')의 재료와의 접촉에서 더 큰 마찰력을 유발하는,
    주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재료는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의 금속인,
    주방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재료는, 특히 실리콘 탄성 중합체인 플라스틱, 또는 니트릴 고무인,
    주방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개 형상 본체(15)는, 적어도 제 1 부분영역(11)에서 돔 형상 또는 콘 형상이어서, 본체(15)의 오목측 및 볼록측이 형성되는
    주방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조개 형상 본체(15)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부분 영역(11)에서 구결형상(spherical segment-shaped)인,
    주방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5)는 적어도 제 2 부분 영역(12)에서 편평하고, 제 1 부분 영역(11) 은 링 형상 방식으로 제 2 부분 영역(12)을 둘러싸고, 리세스(13)는 편평부 영역(12)에서 형성되는,
    주방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13)는, 적어도 일 측벽(17)이 둘러싸고, 상기 일 측벽(17)은 본체(15)의 볼록측에서 돌출하고, 적어도 일 타입의 기능 유닛(20,20')이 상기 측벽(17)내에 임시 도입되는,
    주방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기능 유닛(20,20')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수단(14,14')이 본체(15)에 제공되는,
    주방 기구.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5)의 둘레는 원형이고 제 1 부분 영역(11)이 본체(15)의 둘레에 완전히 도달하는,
    주방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면이 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본체(15)의 볼록측에서 서로 분리되어 부착되고, 본체(15)의 제 1 재료에 의해 단절되는,
    주방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접촉면이 연속적인 둘레 링(40)에 의해 형성되는,
    주방 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접촉면(40)이 본체(15)의 볼록측으로부터 본체(15)의 에지(16)를 넘어 본체(15)의 오목측으로 연장되는,
    주방 기구.
  13. 제 11 항 또는 제 12항을 따르는 주방 기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잡기 탭(41,41')이 본체(15)의 오목측 상에서 둘레 링(40)상에 구현되어, 링(40)은 본체(15)의 중심점을 향해 부분적으로 넓어지고 및/또는 부분적으로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14. 주방 기구 세트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주방 기구(10)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20,20')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유닛은 주방 기구(10)의 리세스(13)로 임시 도입될 수 있는,
    주방 기구 세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은 강판(20'), 슬라이서, 자동 드립 시스템, 스티머 찜기, 쥬스 추출기 및/또는 폐쇄판(20)인,
    주방 기구 세트.












KR1020157007634A 2012-08-27 2013-06-10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 KR20150047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7862.9A DE102012107862A1 (de) 2012-08-27 2012-08-27 Küchengerät zum Aufsetzen auf ein Gefäß; Küchengeräte-Set, umfassend Küchengerät und verschiedene Funktionseinheiten
DE102012107862.9 2012-08-27
PCT/EP2013/061887 WO2014032824A1 (de) 2012-08-27 2013-06-10 KÜCHENGERÄT ZUM AUFSETZEN AUF EIN GEFÄß; KÜCHENGERÄTE-SET, UMFASSEND KÜCHENGERÄT UND VERSCHIEDENE FUNKTIONSEINHEI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589A true KR20150047589A (ko) 2015-05-04

Family

ID=4862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634A KR20150047589A (ko) 2012-08-27 2013-06-10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225145A1 (ko)
EP (1) EP2887851B1 (ko)
JP (1) JP2015527143A (ko)
KR (1) KR20150047589A (ko)
CN (1) CN104736028B (ko)
DE (1) DE102012107862A1 (ko)
HK (1) HK1205894A1 (ko)
RU (1) RU2015110989A (ko)
WO (1) WO2014032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9204B1 (en) * 2014-07-18 2019-10-09 PI-Design AG Kitchen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tuff
DK178724B1 (da) * 2015-02-13 2016-12-05 Sylvester Gregers Vantore Multifunktionelt rive-/snittelåg
KR101616815B1 (ko) * 2015-04-28 2016-04-29 노신영 월남쌈 용기
US20170020341A1 (en) * 2015-07-20 2017-01-26 Duane Farmer Multi-function kitchen utensil
CN110753766B (zh) * 2017-06-02 2023-12-01 芒果街控股有限公司 用于浸泡衣服等的集成式过滤器及容器
EP3620279A1 (de) * 2018-09-05 2020-03-11 Cong Qiang Lu Schneidgerät für obst und gemüs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7714A (en) * 1947-10-27 1948-08-24 Richards Lillian Dennis Food grater
US2601087A (en) * 1949-08-05 1952-06-17 William L Buedingen Kitchen tool and utensil
US2615486A (en) * 1950-01-14 1952-10-28 Marcus William Vegetable grater
US2741286A (en) * 1953-09-23 1956-04-10 Ethel M Bittle Grater
GB1211993A (en) * 1969-01-07 1970-11-11 Maurice Locker Grater or shredder for foodstuffs
US3698460A (en) * 1970-12-30 1972-10-17 Dart Ind Inc Food grater
US4037793A (en) * 1976-02-27 1977-07-26 Puustinen Lois J Citrus grater
DE3604477A1 (de) * 1985-09-03 1987-03-05 Schumm Erich Gmbh Rohkost-zerkleinerungsgeraet
US4733589A (en) 1986-07-17 1988-03-29 Dart Industries Inc. Food slicer
JPH0712297Y2 (ja) * 1989-04-21 1995-03-22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おろし器付容器蓋
US5088392A (en) * 1990-11-08 1992-02-18 M. Kamenstein, Inc. Kitchen unit
JPH0738168Y2 (ja) * 1991-05-16 1995-08-30 ダイニチ株式会社 食器用蓋
JPH0595439U (ja) * 1992-05-27 1993-12-27 株式会社ナルトヤ 調理用のおろし器
DE10054174B4 (de) * 2000-11-02 2004-01-22 Börner Kunststoff- und Metallwarenfabrik GmbH Küchengerät zum Schneiden von Schneidgut
USD507159S1 (en) * 2004-03-15 2005-07-12 Hung Sang Metal Plastic Factory Limited Salad grater
US20060151511A1 (en) * 2005-01-07 2006-07-13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 Suction cup lid
JP3125855U (ja) * 2006-07-21 2006-10-05 イノマタ化学株式会社 調理用おろし器
US8381640B1 (en) * 2010-04-01 2013-02-26 Wiloreed LLC Spaetzle preparation apparatus
JP2012050715A (ja) * 2010-09-01 2012-03-15 Daiya Corporation おろし器
CN201806577U (zh) * 2010-09-21 2011-04-27 魏鹏 护手型蔬菜擦丝器
CN202010064U (zh) * 2011-02-13 2011-10-19 胡朱英 轻巧刨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7143A (ja) 2015-09-17
DE102012107862A1 (de) 2014-05-15
HK1205894A1 (en) 2015-12-31
US20150225145A1 (en) 2015-08-13
EP2887851B1 (de) 2016-12-07
EP2887851A1 (de) 2015-07-01
RU2015110989A (ru) 2016-10-20
CN104736028A (zh) 2015-06-24
WO2014032824A1 (de) 2014-03-06
CN104736028B (zh)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7589A (ko) 용기에 설치되는 주방기구 및 주방 기구와 다양한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주방 기구 세트
JP5140250B2 (ja) すりおろし器
US10478013B2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lid equipped with a tube for adding food
KR100453536B1 (ko) 음식 서빙 및 팬 시스템
NZ544296A (en) A juicer lid with a feed tube made from steel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WO2018158034A1 (en) Cooking vessel having lid with integrated opening for pouring off cooking liquid
US11278148B2 (en) Cookware assembly
CN110037585B (zh) 用于厨用机器的制备容器的覆盖元件
EP1919337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EP2745756B1 (en) Improved cooking vessel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WO2006111838A2 (en) Steam cooking vessel
US20140061206A1 (en)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EP3236813B1 (en) Drip-stop attachment for a food processing device
CN214905875U (zh) 具有废油收集结构的平底锅
EP2750566B1 (en) An apparatus for preparing a food stuff
CN104379036A (zh) 用于火锅和蒸汽烹饪的设备
CN215738475U (zh) 一种多功能不粘锅
KR20160004610A (ko)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CN215127125U (zh) 锅盖
KR200495922Y1 (ko)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된 조리용팬
US884718A (en) Cooking utensil.
CN218683533U (zh) 碗体及计时碗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