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860B1 -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 Google Patents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860B1
KR101908860B1 KR1020170110562A KR20170110562A KR101908860B1 KR 101908860 B1 KR101908860 B1 KR 101908860B1 KR 1020170110562 A KR1020170110562 A KR 1020170110562A KR 20170110562 A KR20170110562 A KR 20170110562A KR 101908860 B1 KR101908860 B1 KR 10190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bowl
vessel
detachable han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17011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제때 밥을 해먹기가 쉽지 않음에 따라 미리 조리해 놓은 음식을 데워먹을 때, 그릇이 뜨거워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착탈 손잡이를 구비하여 그릇을 들거나 사용하기에 용이한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굽; 및 상기 굽의 외측부분과 끼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통되는 주연부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중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착탈손잡이부;가 규성되어,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뜨거운 그릇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그릇의 바닥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국이나 음식물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고, 주연부의 내측면이 만곡되어 있어 음식물을 쉽게 숟가락으로 퍼올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A vessel fitted with detachable handles}
본 발명은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제때 밥을 해먹기가 쉽지 않음에 따라 미리 조리해 놓은 음식을 데워먹을 때, 그릇이 뜨거워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착탈 손잡이를 구비하여 그릇을 들거나 사용하기에 용이한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에 관한 것이다.
요즘 바쁜 현대인이나 1인 가구는 대부분 밥을 해먹을 시간이 없거나 귀찮다는 핑계로 잘 해먹지 않는다. 물론 없던 입맛도 생기게 하는 구수한 밥 짓는 냄새를 맡으며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밥을 누군들 먹고 싶지 않겠냐만 매끼니 밥을 해먹는다는 게 낭비 같고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럴 때 한꺼번에 밥을 해 냉동해 두고 먹으면 갓 지은 밥의 풍미를 그대로 살릴 수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밥을 넉넉히 지어 각각의 공기에 1인분씩 담아 비닐 랩으로 꼭꼭 싸서 냉동한 후, 그때그때 전자레인지에 데워먹으면 갓 지은 밥처럼 맛있으며, 이때 가능하면 밥통을 열자마자 조금이라도 김이 덜 빠져나갔을 때 싸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럴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그릇이나 비닐 랩의 경우 환경호르몬이 배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환경호르몬으로 흔히 불리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이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체외 화학물질로서, 환경 중 배출된 물질이 몸 안에 유입돼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내분비계 기능에 변화를 일으켜 정상적인 개체 또는 그 자손의 건강에 장애를 유발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면역체계 약화, 생식기능 저하, 대상의 이상, 갑상선 기능 저하, 지능 저하, 행동 변화 등의 장애가 있다. 이런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종류로는 비스페놀 A, DEHP 가소제 성분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전자레인지 전용 그릇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에서 사용 가능한 그릇들은 도자기나 유리등 전자파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그릇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전자레인지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처리가 된 플라스틱 그릇등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자기나 유리 혹은 플라스틱(전자레인지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처리된 제품) 재질로 이루어진 그릇에 담겨있는 음식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울 때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그릇에 담겨있는 음식을 데우다 보면 그릇 자체도 뜨겁게 달궈짐에 따라 사용자가 손을 데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유아들의 이유식의 경우 한번 만들 때 많은 양을 만들어 소분하여 보관용기에 담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소분해서 담아 두었던 보관용기를 꺼내어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워서 먹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유식 용기로 사용하는 것은 유리재질의 원통형태이거나 육면체형태의 보관용기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유식 용기는 별도로 존재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재질의 보관용기이다.
이때도 앞서와 마찬가지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이유식을 데운 후 뺄 때 부모(혹은 사용자)가 이유식이 담겨있는 그릇(혹은 보관용기)의 표면에 손을 데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신생아 단계를 지나 유아 단계에 오면 이유식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유식은 고형 상태의 음식물이 아니라 유아들의 목 넘김이 좋은 걸쭉한 상태의 음식물이 적당하다.
이러한 걸쭉한 상태의 음식물을 그릇에서 퍼 올리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음식물이 숟가락에 잘 담겨지도록 그릇 내측벽을 의지하면서 숟가락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이 과정에서 음식물의 숟가락에 담겨진 상태가 정돈됨) 음식물을 뜨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깔끔하게 뜨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 동작이 반복되다 보면 그릇 내측벽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벽 중에서도 그릇의 상단 테두리 근처 부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음식물이 그릇 내측벽에 말라 붙으면서 이후 세척 과정 또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기존 형태의 식기에서 음식물을 뜰 때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엄마가 유아에게 떠먹이는 경우만이 아니라 유아 또는 아동이 스스로 숟가락을 사용하면서 음식물을 떠먹을 때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즉, 숟가락 사용이 불안정한 유아들은 주로 식기의 내측벽을 의지하여 음식물을 퍼올리게 되는데 이때 내측벽에 의지되어 음식물을 퍼올린 숟가락이 식기 상단 테두리에 도달시 음식을 가지런히 담지 못하고 그대로 밀고 올라와 숟가락을 퍼올려지는 음식물이 식기 상단 테두리를 넘어 외부로 흘리게 된다. 이로 인해 식탁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고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 숟가락에 담겼던 음식물의 대부분을 흘리게 되어 유아들은 원하는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물론 이러한 지저분해진 식탁을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도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208434호에서는 용기본체와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 이유식 용기를 상, 하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용기본체는 내측 전체를 곡면부에 의해 형성하고, 용기뚜껑은 상측의 안내경사면과 내측의 기밀결합부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에는 별도의 내부덮개를 결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적층형 이유식 보관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043호에서는 외출시에도 이유식을 간편하게 데울 수 있는 휴대용 이유식 용기로서, 이유식 용기는 이유식을 담을 수 있는 이유식 저장 공간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외측부와 내측부로 구성되어 이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저장 공간부가 형성된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의 이유식 저장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유식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뜨거운 그릇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없어 사용자는 손이 데거나 화상을 입을 위험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숟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음식물을 퍼올릴 수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843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0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뜨거운 그릇을 용이하게 파지하게 할 수 있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릇의 바닥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국이나 음식물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연부의 내측면이 만곡되어 있어 음식물을 쉽게 숟가락으로 퍼올릴 수 있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굽; 및 상기 굽의 외측부분과 끼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되어 주연부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착탈손잡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닥부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연부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상단부분의 직경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상기 주연부의 내측면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연부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덮어 밀폐할 수 있는 뚜껑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뚜껑부의 상단에는 굽이 끼워져 적층할 수 있는 끼움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뜨거운 그릇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릇의 바닥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국이나 음식물을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연부의 내측면이 만곡되어 있어 음식물을 쉽게 숟가락으로 퍼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적층된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뚜껑부의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손잡이부가 결합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적층된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의 뚜껑부의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1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212)을 형성하는 주연부(220); 상기 바닥부(210)의 저면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굽(230); 및 상기 굽(230)의 외측부분과 끼움결합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되어 주연부(220)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지지부(320)와, 상기 지지부(320)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330)로 이루어지는 착탈손잡이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100)은 기본적으로 두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상기 바닥부(210)와 주연부(220) 및 굽(230)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212)을 포함한 그릇부(200)이다.
이때, 상기 바닥부(210)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211)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그릇의 경우에는 바닥부(210)분이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평적으로 평평하게 바닥부분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음식(또는 국)을 먹다가 적은 양이 남아 있을 때 음식(또는 국)을 먹기 위해서는 그릇을 들어서 기울려 음식(또는 국)이 한곳으로 모이게 해서 먹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그릇을 유아가 사용하는 경우 그릇을 기울이려는 노력을 하다가는 그릇을 엎을 수 있어 담겨있던 음식물을 다 쏟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210)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211) 형성되어 있어서 자연스럽게 그릇을 들어서 기울이지 않아도 한곳으로 모이게 되고,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한곳에 모여있는 음식(또는 국)을 먹으면 된다. 이로 인하여 유아들도 손쉽게 적은 양의 음식(또는 국)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주연부(220)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상단부분의 직경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상기 주연부(220)의 내측면이 만곡된(221)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일반적으로 그릇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본 발명의 수용공간(212))은 바닥부분의 직경이 가장 작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간간히 바닥부분과 중간부분 및 위쪽부분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릇의 주연부(220) 내측을 의지하여 음식물을 퍼올리게 되는데, 주연부(220) 내측에 의지되어 음식물을 퍼올린 숟가락이 그릇 상단 테두리에 도달시 음식을 가지런히 담지 못하고 그대로 밀고 올라와 숟가락을 퍼올려지는 음식물이 그릇 상단 테두리를 넘어 외부로 흘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식탁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고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 숟가락에 담겼던 음식물의 대부분을 흘리게 되어 유아들은 원하는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숟가락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취식하게 되는 상기 주연부(220)의 형상을 변경하였다. 단면적으로 본다면 일명 항아리 형태라고도 할 수 있듯이, 주연부(220)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위쪽부분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면이 만곡되어(221)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숟가락을 사용하여 그릇(혹은 주연부(220) 내측)에 담겨져 있는 음식을 퍼올릴 때, 바닥부(210)에 위치한 음식물을 퍼서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올라오면서 이동하게 되며, 상부에 위치한 만곡된(221) 부분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음식물이 숟가락에 올려짐에 따라 별도의 작업이나 행위가 없어도 음식물을 제대로 퍼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숟가락질이 능숙하지 않는 유아의 경우에도 음식물을 용이하게 퍼올릴 수 있기에 숟가락에 담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음식물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그릇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착탈손잡이부(30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착탈손잡이부(300)는 상기 굽(230)의 외측부분과 끼움결합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되어 주연부(22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부(320)와, 상기 지지부(320)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손잡이(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탈손잡이부(300)는 상기 그릇(혹은 상기 그릇의 굽(230) 부분의 외측에)과 끼움결합으로 착탈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320)를 두 개로 형성하여 상기 그릇을 받치고 있다. 상기 그릇에 담긴 음식에 따라 무게가 상이하게 된다. 이때, 두 개로 형성된 지지부(320)를 통해 음식물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그릇(혹은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워 지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착탈손잡이부(3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연부(22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212)을 덮어 밀폐할 수 있는 뚜껑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릇이라고 하면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담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정의가 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부(400)가 부가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단순히 그릇에 그치지 않고 보관용기로써의 역할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도 6 참조) 상기 뚜껑부(400)의 상단에는 상기 그릇부(200)의 굽(230)이 끼워져 적층할 수 있는 끼움홈(410)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끼움홈(4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상기 그릇부(200)를 적층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끼움홈(41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릇부(200)의 굽(230)이 끼움홈(410)에 끼워짐에 따라 적층된 그릇부(200)가 쉽게 흐트려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부(400)의 상단부분의 모습을 보면, 중심에서부터 일정거리가 이격된 곳에 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턱은 상기 굽(230)의 외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에 적층된 그릇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200 그릇부
210 바닥부
211 경사진 부분
212 - 수용공간
220 주연부
221 - 만곡부분
230 굽
300 착탈손잡이부
310 몸체부
320 지지부
330 손잡이
400 뚜껑부
410 - 끼움홈

Claims (5)

  1.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높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굽; 및
    상기 굽의 외측부분과 끼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되어 주연부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착탈손잡이부;가 포함되되,
    상기 주연부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덮어 밀폐할 수 있는 뚜껑부가 구성되며,
    상기 뚜껑부의 상단에는 굽이 끼워져 적층할 수 있는 끼움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의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상단부분의 직경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상기 주연부의 내측면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0562A 2017-08-31 2017-08-31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KR10190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562A KR101908860B1 (ko) 2017-08-31 2017-08-31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562A KR101908860B1 (ko) 2017-08-31 2017-08-31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860B1 true KR101908860B1 (ko) 2018-10-16

Family

ID=6413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562A KR101908860B1 (ko) 2017-08-31 2017-08-31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8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74Y1 (ko) * 2003-01-25 2003-05-22 정동성 용기 손잡이
JP3172361U (ja) * 2011-10-03 2011-12-15 ニューウェル株式会社 カップ食品ホルダー
KR20120038858A (ko) * 2010-10-14 2012-04-24 오지선 유아용 식기
KR101208434B1 (ko) 2012-07-06 2012-12-05 박헌호 적층형 이유식 보관용기
KR200477043Y1 (ko) 2015-01-08 2015-05-04 박진희 휴대용 이유식 용기
KR200478674Y1 (ko) * 2012-10-12 2015-11-04 이영철 식품 저장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874Y1 (ko) * 2003-01-25 2003-05-22 정동성 용기 손잡이
KR20120038858A (ko) * 2010-10-14 2012-04-24 오지선 유아용 식기
JP3172361U (ja) * 2011-10-03 2011-12-15 ニューウェル株式会社 カップ食品ホルダー
KR101208434B1 (ko) 2012-07-06 2012-12-05 박헌호 적층형 이유식 보관용기
KR200478674Y1 (ko) * 2012-10-12 2015-11-04 이영철 식품 저장 용기
KR200477043Y1 (ko) 2015-01-08 2015-05-04 박진희 휴대용 이유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991B2 (en) Assisted eating aid
US20100001007A1 (en) Bowl with liquid drain
US20130112090A1 (en) Shell-less egg-boiling utensil
KR200450595Y1 (ko) 다기능 회전식 용기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US20150001228A1 (en) Spill Resistant Bowl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JP3168528U (ja) 食器
US11026526B2 (en) Adjustable bowl receptacle
JP7356174B2 (ja) 食器
KR200441078Y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70807Y1 (ko) 배식용 위생 주걱
RU2793189C1 (ru) Бульонница
CN213786794U (zh) 锅具组件
JP3204124U (ja) 食品容器
JP3100608U (ja) 食器
KR20140063992A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KR20100099966A (ko) 접시
CN215874182U (zh) 餐具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CN205514254U (zh) 防止勺子滑落的挂钩
KR200457983Y1 (ko)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JP3125472U (ja) 即席カップ麺の飲食用具
KR20110001007U (ko) 국자
CN205493418U (zh) 一种多功能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