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89U - 타공 분리 용기 - Google Patents

타공 분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89U
KR20230000889U KR2020210003263U KR20210003263U KR20230000889U KR 20230000889 U KR20230000889 U KR 20230000889U KR 2020210003263 U KR2020210003263 U KR 2020210003263U KR 20210003263 U KR20210003263 U KR 20210003263U KR 20230000889 U KR20230000889 U KR 202300008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container
noodles
separation container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선
Original Assignee
이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선 filed Critical 이한선
Priority to KR2020210003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889U/ko
Publication of KR20230000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타공 분리 용기가 개시된다. 타공 분리 용기는, 가열 용기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하는 분리 용기로서, 가열 용기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분리홀이 형성된 분리 용기와, 분리 용기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공 분리 용기{PUNCHING SEPARATION VESSEL}
본 고안의 면류의 용이한 가열 조리 및 가열된 물과 면류의 안정적인 분리가 가능한 타공 분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을 삶아 조리하기 위한 용도로 조리용 통을 사용한다.
이러한 조리용 통은 큰 들손이 달린 둥그스름한 그릇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물과 함께 내용물을 담아 끓인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류를 삶을 때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조리용 통을 사용하여 국물을 우려내거나 면을 삶은 후에는 뜰채를 사용하여 내용물이나 면을 건져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이 보통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그물망에 담은 상태로 삶음통 내부에 넣어 끓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물망을 삶음통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끓는 삶음통 내부에서 내용물을 담고 있는 그물망의 입구가 풀어지면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그물망에 담긴 내용물을 꺼내는 일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면을 삶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물망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공보 20-1995-0004559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면류의 가열을 위한 열전달이 용이하고, 가열 조리된 면류와 고온의 물이 분리가 용이한 타공 분리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열 용기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하는 분리 용기로서, 가열 용기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분리홀이 형성된 분리 용기와, 분리 용기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분리 용기는, 면류를 포함한 음식물이 안착되는 저면부와 저면부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홀은, 저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1 분리홀 및 상기 측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2 분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와, 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부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 용기의 저면부의 표면에는 이격 돌기가 돌출되는, 타공 분리 용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면류를 삶아 조리를 하고. 회전 그립을 파지하여 면류가 수용된 분리 용기를 가열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바, 삶아져 조리된 면류와 가열된 물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빔면, 냉면, 짜장 라면 등의 면류 요리의 조리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타공 분리 용기(100)는 소정의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음식물로부터 국물 등의 액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소정의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타공 분리 용기(100)는 소정의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내부에 면 등을 삽입한 상태에서 가열 용기(10)를 가열하여 면이 익은 상태에서 액체와 면 등을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타공 분리 용기(100)는 비빔면, 냉면, 짜장 라면 등의 소정의 면류의 용이한 조리를 위해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1회 사용 용도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타공 분리 용기(100)는 1회 사용 용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복 사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100)는,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11)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하는 분리 용기로서, 가열 용기(10)의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분리홀(21)이 형성된 분리 용기(20)와, 분리 용기(20)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가열 용기(10)는 면 등을 익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후술하는 분리 용기(2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용기(10)는 금속 또는 유리 등의 소정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면 등의 음식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 가능한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원통형 또는 원추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용기로 적용될 수 있다. 가열 용기(10)의 삽입 공간(11)의 내부에는 면류의 조리를 위한 삽입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공간(11)에는 면류의 분리 조리를 위한 분리 용기(20)가 삽입될 수 있다.
분리 용기(20)는 가열 용기(10)의 삽입 공간(1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조리하고자하는 소정의 면류가 삽입된 상태로 삽입 공간(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분리 용기(20)는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충진된 가열된 고온의 물과 접촉시에 손상되지 않는 소정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용기(20)는 내부에 면류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 용기(10)의 내부에서 소정의 가열원이 가열 작용에 의해 가열되는 것으로, 가열된 면류이 조리 완료시에 면류와 가열된 물을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리 용기(20)는 가열 용기(10)의 삽입 공간(11)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분리홀(21)이 형성되는 것으로, 면류 등의 음식물이 안착되는 저면부(22a)와 저면부(22a)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연장된 측면부(22b)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 용기(20)의 저면부(22a)와 측면부(22b)에는 분리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홀(21)은 저면부(22a)와 측면부(22b)의 각각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열되어 식용 가능한 상태로 익은 면류는 분리 용기(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면류의 가열에 사용된 물은 분리 용기(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홀(21)은 저면부(22a)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1 분리홀(21a) 및 측면부(22b)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2 분리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홀(21a)은 저면부(22a)에 형성되는 것으로, 저면부(22a)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리홀(21a)은 저면부(22a)에 복수개가 원통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리홀(21a)은 본 실시예에서 저면부(22a)에 원통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또는 메쉬 형상 등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분리홀(21)은 측면부(22b)에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부(22b)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분리홀(21)은 측면부(22b)의 일부분의 면적에 한정하여 물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분리홀(21)은 저면부(22a)에 복수개가 원통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리홀(21)은 본 실시예에서 저면부(22a)에 원통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또는 메쉬 형상 등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분리홀(21)은 제1 분리홀(21a)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측면부(22b)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분리홀(21)은 원통형 다각형 등의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부(22b)에 슬롯 형상 또는 메쉬 형상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용기(20)에는 제1 분리홀(21a)과 제2 분리홀(21)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분리홀(21)이 관통 형성되는 바, 분리 용기(20)를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하고 면과 물을 충진한 상태에서 가열하는 경우 삶아진 면과 물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물을 충진하고 분리 용기(20)의 내부에 면류를 삽입한 상태에서 분리 용기(20)를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후 가열 용기(10)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가열된 물에 의해 면류가 적절하게 삶아져 조리 완료된 경우. 분리 용기(20)를 가열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면류와 물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분리 용기(20)의 측면에는 분리 용기(20)를 가열 용기(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30)는 분리 용기(20)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분리 용기(20)의 측면부(22b)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부(30)는, 분리 용기(20)의 측면부(22b)에 힌지에 연결되어 측면부(22b)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손잡이부와 회전 그립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회전 그립(30)은 최초 상태에서는 분리 용기(20)의 측면부(22b)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 상태에서는 측면부(22b)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돌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그립(30)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분리 용기(20)를 가열 용기(10)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하여, 분리 용기(20)의 내부에 삽입된 면류와 면류의 가열을 위한 물이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타공 분리 용기(100)는,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충진된 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면류를 삶아 조리를 하고. 회전 그립(30)을 파지하여 면류가 수용된 분리 용기(20)를 가열 용기(10)로부터 분리하는 바, 삶아져 조리된 면류와 가열된 물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빔면, 냉면, 짜장 라면 등의 면류 요리의 조리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200)는, 저면부(22a)의 표면에는 이격 돌기(110)가 돌출될 수 있다.
이격 돌기(110)는 분리 용기(20)가 가열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 용기(20)의 외표면과 가열 용기(10)의 내벽면의 사이에 일정 이격 거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바, 면류의 가열시 고온의 열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면류 조리 과정에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300)는, 분리 용기(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서브 분리홀(121)이 형성된 서브 분리 용기(120)가 삽입될 수 있다.
서브 분리 용기(120)는, 저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1 서브 분리홀(121a) 및 측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2 서브 분리홀(121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의 분리 용기(20)와 서브 분리 용기(120)를 이용하여, 면류와 삼계탕 감자탕 등의 다양한 요리를 적절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분리 용기(400)의 손잡이부(130)는 3개의 분리 그립(131)이 방사상으로 회전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30)를 파지하는 사용 상태의 변경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가열 용기 11...삽입 공간
20...분리 용기 21...분리홀
21a..제1 분리홀 21b..제2 분리홀
22a..저면부 22b..측면부
30...손잡이부, 회전 그립 110..이격 돌기
120..서브 분리 용기 121..서브 분리홀
121a..제1 서브 분리홀 121b..제2 서브 분리홀
130...손잡이부 131..분리 그립

Claims (5)

  1. 가열 용기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액체를 분하는 분리 용기로서,
    상기 가열 용기의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분리홀이 형성된 분리 용기; 및
    상기 분리 용기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타공 분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면류를 포함한 음식물이 안착되는 저면부와 저면부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저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1 분리홀 및 상기 측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2 분리홀을 포함하는, 타공 분리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부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그립;
    을 포함하는, 타공 분리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표면에는 이격 돌기가 돌출되는, 타공 분리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서브 분리홀이 형성된 서브 분리 용기가 삽입되고,
    상기 서브 분리 용기는,
    상기 저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1 서브 분리홀 및 상기 측면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제2 서브 분리홀을 포함하는, 타공 분리 용기.

KR2020210003263U 2021-10-27 2021-10-27 타공 분리 용기 KR202300008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63U KR20230000889U (ko) 2021-10-27 2021-10-27 타공 분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63U KR20230000889U (ko) 2021-10-27 2021-10-27 타공 분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89U true KR20230000889U (ko) 2023-05-04

Family

ID=8631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63U KR20230000889U (ko) 2021-10-27 2021-10-27 타공 분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88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559U (ko) 1993-07-13 1995-02-18 엘지전자주식회사 피디엘씨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559U (ko) 1993-07-13 1995-02-18 엘지전자주식회사 피디엘씨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6732636B1 (en) Angel hair pasta basket
KR101269219B1 (ko) 다기능 조리용기
JP6668158B2 (ja) 家庭用器具のミキシングボウル上に載せられるように設計される凝縮液を集めるための受け器を含む蒸気調理アクセサリ
TWM488276U (zh) 多功能鍋具
EP1958551A1 (fr) Appareil de cuisson et d'égouttage d'aliments contenus dans un liquide comprenant des perforations d'évaporation et des perforations d'égouttage
US20140193560A1 (en)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US1625999A (en) Domestic cooking vessel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200493626Y1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냄비형 요리도구용 뚜껑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230000889U (ko) 타공 분리 용기
CN205682975U (zh) 可翻掀式蒸盘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CN204797639U (zh) 一种多功能油炸锅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US20160128504A1 (en) Egg preparation assistance device
JP6967691B2 (ja) 加熱調理器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JP3547126B2 (ja) 殻付き貝用蒸し鍋
KR101048640B1 (ko) 계란찜기
KR200339705Y1 (ko) 찜용기
KR102481776B1 (ko) 두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한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JP3203119U (ja) 蒸しプレート及び蒸しプレートを有する多機能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