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640B1 - 계란찜기 - Google Patents

계란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640B1
KR101048640B1 KR1020090084010A KR20090084010A KR101048640B1 KR 101048640 B1 KR101048640 B1 KR 101048640B1 KR 1020090084010 A KR1020090084010 A KR 1020090084010A KR 20090084010 A KR20090084010 A KR 20090084010A KR 101048640 B1 KR101048640 B1 KR 10104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ontainer body
pedestal
space
pill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210A (ko
Inventor
최지숙
Original Assignee
최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숙 filed Critical 최지숙
Priority to KR102009008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6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기의 중앙측에 열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기둥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 조리시 잘 익혀지지 않는 중앙측까지 골고루 조리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날개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을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알맞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계란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계란찜기는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는 바닥면과 관통되는 기둥부재가 돌출 구비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 배치되되 상기 기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배치된 상기 공간부 내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기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방사상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는 날개부재 돌출 형성되는 구획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란찜, 용기본체, 받침대, 구획대, 덮개

Description

계란찜기{EGG STEAMER}
본 발명은 계란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찜기의 중앙측에 열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기둥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 조리시 잘 익혀지지 않는 중앙측까지 골고루 조리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날개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을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알맞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계란찜기에 관한 것이다.
계란찜이란, 달걀을 풀어 버섯, 어묵, 등을 넣고 새우젓이나 소금으로 간하여 찐 한국 요리로서 조리방법이 간단하며 누구나 좋아하는 음식이다.
이러한 계란찜은 음식점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조리되는데, 보통 뚝배기와 같은 그릇에 담아낸 다음 직접 가열, 중탕 또는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하게 된다.
그런데, 열 전달이 잘 되지 않는 중앙부분은 쉽게 익지 않게 되는데 이 부분을 익히기 위해 과도하게 열을 가할 경우 오히려 바깥부분이 그릇에 눌러붙게 되는 등 조리방법은 간편하지만 잘 만들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된 후 계란찜은 그 형상이 부드러워 취식이 용이하도록 알맞은 모 양으로 그릇에 담아내기 어려워 조리한 그릇 채로 식탁에 올려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찜기의 중앙측에 열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기둥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 조리시 잘 익혀지지 않는 중앙측까지 골고루 조리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날개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을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알맞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계란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는 바닥면과 관통되는 기둥부재가 돌출 구비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 배치되되 상기 기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배치된 상기 공간부 내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기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방사상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는 날개부재 돌출 형성되는 구획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찜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용기본체의 외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다리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용기본체 및 받침대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받침대 상에는 익혀진 계란찜 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덮개 상에는 계란이 쪄질때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계란찜기에 따르면, 첫째 찜기의 중앙측에 열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기둥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 조리시 잘 익혀지지 않는 중앙측까지 골고루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날개부재가 구비되어 계란찜을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알맞게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a 내지 도 4c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계란찜기(1)는 내부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되되 공간부(11)에는 바닥면(13)과 관통되는 기둥부재(12)가 돌출 구비되는 용기본체(10)와, 공간부(11)의 바닥면(13)에 안착 배치되 되 기둥부재(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받침대(20)와, 받침대(20)가 배치된 공간부(11) 내에 결합 고정되되 기둥부재(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31)이 형성되며 방사상 공간부(11)를 구획하는 날개부재(32) 돌출 형성되는 구획대(30)와,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본체(10)는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되되 공간부(11)에는 바닥면(13)과 관통되는 기둥부재(12)가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전술한 공간부(11) 내에 계란찜에 필요한 재료가 충전되어 조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기둥부재(12)는 그 하단이 용기본체(10)의 바닥면(13)을 관통되도록 하여 전술한 공간부(11) 내에 충전되는 재료들이 열을 전달받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계란찜이 중앙측까지 골고루 조리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용기본체(10)는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제 1 손잡이(16)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용기본체(10)의 외측 바닥면(13)에는 다수의 다리부재(14)가 돌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용기본체(10)와 추후에 설명될 받침대(20)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삽입공(15)이 관통 형성된다.
즉, 계란찜의 조리가 마무리되고 난 후에는 용기본체(10)를 뒤집어 내용물을 꺼내게 되는데, 이때 삽입공(15) 측으로 젓가락과 같은 뽀족한 물건을 삽입해 받침대(20)를 밀어줌으로써 받침대(20)가 용이하게 용기본체(1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전술한 공간부(11)의 바닥면(13)에는 받침대(20)가 안착 배치되는데, 이 받침대(20)는 조리가 종료된 계란찜을 용이하게 계란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받침대(20)는 전술한 기둥부재(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되며, 그 외측 테두리는 상향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받침대(20) 상에는 다수의 돌기부재(22)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기부재(22)는 조리가 마무리된 계란찜이 용이하게 받침대(2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이 돌기부재(22)에 의해 받침대(20)와 계란찜 사이에 다소의 이격간격이 발생되는데, 이로 인해 전술한 계란찜은 받침대(20)에 눌러붙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받침대(20)가 위치된 공간부(11) 내에는 구획대(30)가 결합 고정되는데, 이 구획대(30)는 공간부(11)를 일정 간격으로 구획함으로써 그 내에서 조리되는 계란찜이 알맞은 크기로 조리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구획대(30)는 전술한 기둥부재(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31)이 형성되며 방사상 공간부(11)를 구획하는 날개부재(32) 돌출 형 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날개부재(32)는 팔각기둥 형상의 공간부(11)를 여덟등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여덟개의 날개부재(32)가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이 날개부재(32)의 단부는 용기본체(10)의 내벽과 맞닿을 수 있도록 그 길이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구획대(30)가 결합고정된 용기본체(10) 상부에는 덮개(40)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덮개(40)는 공간부(11) 내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계란찜이 보다 신속하고 맛있게 조리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40) 상에는 계란이 쪄질때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42)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그 양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제 2 손잡이(41)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1)에 대한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용기본체(10) 바닥면(13)에 받침대(20)를 안착 배치시킨 다음 공간부(11) 내에 계란찜 조리에 필요한 재료를 충전한다.
그런 다음, 구획대(30)를 용기본체(10)의 공간부(11) 내에 결합 고정시킨 후 덮개(40)를 덮어 중탕기 내에 넣고 가열하여 중탕한다.
이때, 조리에 필요한 열이 용기본체(10)의 바닥면(13)을 가열함은 물론, 바 닥면(13)과 관통되어 공간부(11) 내에 위치되어 있는 기둥부재(12) 내부까지 열을 전달함으로써 중앙측까지 계란찜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조리가 마무리도고 난 후에는 제 2 손잡이(41)를 파지하고 뚜껑을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해낸 다음, 접시(50)를 용기본체(10) 상부에 댄 상태로 뒤집어 준다.
그런 다음, 전가락을 삽입공(15) 내에 밀어넣어 받침대(20)가 용기본체(10) 바닥면(1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제 1 손잡이(16)를 파지한 상태로 서서히 용기본체(10)를 분리해 낸다.
그런 다음, 받침대(20)를 계란찜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이때 받침대(20)와 계란찜 사이에는 돌기부재(22)에 의한 이격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그런 다음, 구획대(30)의 날개부재(32)와 날개부재(32)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계란찜을 하나하나 분리해 담아내어 취식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찜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란찜기 10 : 용기본체
11 : 공간부 12 : 기둥부재
13 : 바닥면 14 : 다리부재
15 : 삽입공 16 : 제 1 손잡이
20 : 받침대 21 : 관통공
22 : 돌기부재 30 : 구획대
31 : 관통홀 32 : 날개부재
40 : 덮개 41 : 제 2 손잡이
42 : 배출공 50 : 접시

Claims (4)

  1.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는 바닥면과 관통되는 기둥부재가 돌출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 배치되되 상기 기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가 배치된 상기 공간부 내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기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방사상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는 날개부재 돌출 형성되는 구획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다리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용기본체 및 받침대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상에는 익혀진 계란찜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찜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 상에는 계란이 쪄질때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찜기.
KR1020090084010A 2009-09-07 2009-09-07 계란찜기 KR10104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010A KR101048640B1 (ko) 2009-09-07 2009-09-07 계란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010A KR101048640B1 (ko) 2009-09-07 2009-09-07 계란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210A KR20110026210A (ko) 2011-03-15
KR101048640B1 true KR101048640B1 (ko) 2011-07-14

Family

ID=4393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010A KR101048640B1 (ko) 2009-09-07 2009-09-07 계란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00B1 (ko) * 2018-07-20 2019-08-07 허윤정 에그바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에그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42Y1 (ko) 2002-06-18 2002-09-19 박수호 포화증기를 이용하는 찜기
KR200383646Y1 (ko) 2005-02-25 2005-05-06 박정만 식품용기의 구획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842Y1 (ko) 2002-06-18 2002-09-19 박수호 포화증기를 이용하는 찜기
KR200383646Y1 (ko) 2005-02-25 2005-05-06 박정만 식품용기의 구획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00B1 (ko) * 2018-07-20 2019-08-07 허윤정 에그바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에그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210A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54675B2 (en) Egg poacher
US20080206437A1 (en) Combined Steaming/Poaching and Sauce Preparation
US20100263552A1 (en) Specialized pan for boiling lasagna noodles
JP3177082U (ja) 殻のない卵の調理器具
US20180092487A1 (en) Microwave mug cooker device
KR200445346Y1 (ko) 신선로
KR101048640B1 (ko) 계란찜기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KR200475935Y1 (ko) 수분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육받침판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KR20200042387A (ko) 다기능 냄비
KR101823612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 장치
KR102506894B1 (ko) 라면 조리 용기용 라면 거치대
US1976219A (en) Cooking utensil
JP3236563U (ja) 生卵調理容器
JP6382422B1 (ja) 調理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6647B1 (ko) 다양한 형태의 조리가 가능한 전기밥솥
KR20180056331A (ko)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KR200391105Y1 (ko) 분리형 냄비
JP3190433U (ja) 調理用ざる
KR20120108768A (ko) 도마
JP3158187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