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25U -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 Google Patents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25U
KR20110005325U KR2020090015157U KR20090015157U KR20110005325U KR 20110005325 U KR20110005325 U KR 20110005325U KR 2020090015157 U KR2020090015157 U KR 2020090015157U KR 20090015157 U KR20090015157 U KR 20090015157U KR 20110005325 U KR20110005325 U KR 201100053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instant noodles
lid portion
contain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태
Original Assignee
유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태 filed Critical 유정태
Priority to KR2020090015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325U/ko
Publication of KR20110005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Abstract

본 고안은 즉석면을 취식할 때 접어서 면을 담을 수 있도록 접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즉석면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즉석면 용기를 덮는 즉석면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1)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이 일부를 덮는 제1 뚜껑부(11)와, 상기 제1 뚜껑부(11)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1 뚜껑부(11)보다 높게 형성되며,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1 용기결합부(12)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의 나머지를 덮고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 뚜껑부(13)와, 상기 제2 뚜껑부(13)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2 뚜껑부(13)보다 낮게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2 용기결합부(14)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13)의 직선부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제1 뚜껑부(11)의 직선부에 접하는 벽체부(15)로 이루어진다.
즉석면, 용기, 접이식, 뚜껑

Description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FOLDERABLE COVER FOR CUP NUDDLE}
본 고안은 즉석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면을 취식할 때 접어서 면을 담을 수 있도록 접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에 관한 것이다.
소위, 컵라면, 사발면 등으로 불리우는 즉석면은 즉석면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에 의해 수납된 상태로 유통 및 보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면 용기에서 뚜껑은 즉석면 용기의 상부를 유통, 보관 중에 즉석면 용기의 상부를 덮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익혀진 즉석면을 취식할 때에는 뜨거운 면을 취식에 적합한 온도로 식히기 위해 뚜껑을 뒤집어 놓고, 뒤집어진 뚜껑에 익혀진 면을 식혀 취식하거나 덜어서 취식한다.
그러나, 즉석면 용기의 뚜껑은 단지 즉석면 용기의 뚜껑을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서, 면을 식히거나 덜어먹는데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뚜껑의 구조가 둘레에 면을 외부 넘치지 않도록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용기로부터 덜어낸 면이 뚜껑의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면과 함께 덜어낸 국물이 흘러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즉석면 용기에 담긴 국물을 마실때에는 용기를 든 채로, 뜨거운 국물을 마셔야 하므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고, 국물을 쏟아 옷이나 주변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익혀진 면이나 뜨거운 국물을 덜어먹기 위해서, 별도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즉석면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리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식기를 마련하는 것은 번거로움이라는 새로운 문제점을 유발하게 한다.
아울러, 식기를 대신하기 위해, 종이컵 등과 같은 1회용 식기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를 새로운 폐기물을 양산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즉석면을 취식할 때 접어서 면이나 국물을 덜어먹을 수 있도록 접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은, 즉석면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즉석면 용기를 덮는 즉석면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이 일부를 덮는 제1 뚜껑부와, 상기 제1 뚜껑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1 뚜껑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용기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1 용기결합부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나머지를 덮고 상기 제1 용기결합부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 뚜껑부와, 상기 제2 뚜껑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2 뚜껑부보다 낮게 상기 제1 용기결합부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제1 용기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2 용기결합부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뚜껑부와 제2 뚜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의 직선부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제1 뚜껑부의 직선부에 접하는 벽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와 상기 제2 용기결합부는 상기 제1 용기결합부와 제2 용기결합부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결합부의 일측에는 용기를 적층할 때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둘레 일측에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결합부에는 제2 뚜껑부가 제1 뚜껑부로 접힐 때, 상기 적층돌기를 수용하는 적층돌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적층돌기의 상부에는 설명지가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설명지 안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뚜껑부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설명지 안착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에 따르면, 즉석면의 취식시 뚜껑의 제2 뚜껑부를 접어 제1 뚜껑부에 포개는 것으로 즉석면 용기의 뚜껑이 뜨거운 면이나 국물을 덜어 먹을 수 있는 간이 접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별도의 접시와 같은 식기가 없어도 뜨거운 면이나 국물을 덜어서 먹을 수 있고, 식기를 대체하여 면이나 국물을 덜어 먹는데 사용되는 1회용 식기의 사용을 줄여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면이나 국물을 덜어서 취식함으로써, 뜨거운 면이나 국물을 직접 취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화상을 입거나 면이 옷이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1)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이 일부를 덮는 제1 뚜껑부(11)와, 상기 제1 뚜껑부(11)의 원호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1 뚜껑부(11)보다 높게 형성되며,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1 용기결합부(12)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의 나머지를 덮고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 뚜껑부(13)와, 상기 제2 뚜껑부(13)의 원호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2 뚜껑부(13)보다 낮게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2 용기결합부(14)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13)의 직선부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제1 뚜껑부(11)의 직선부에 접하는 벽체부(15)로 이루어진다.
제1 뚜껑부(11)는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즉석면 용기(2)의 상부 일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뚜껑부(11)는 반원형의 형태를 가지므로 일측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의 둘레에 대응하고, 다른 일측은 용기(2)를 가로지르는 직 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뚜껑부(11)는 대략 즉석면 용기(2)의 절반 정도를 덮어서 유통, 보관시 용기(2)의 상부를 막고 내용물을 보호한다.
제1 용기결합부(12)는 상기 제1 뚜껑부(11)의 외측둘레에 형성되고, 제1 용기결합부(12)가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뚜껑부(11)가 용기(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는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뚜껑부(11)의 외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면이 용기(2)의 상단을 파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2)의 상단에 둘레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은 상기 제1 뚜껑부(11)의 상부면보다 높게,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뚜껑부(11)가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에는 후술되는 제2 뚜껑부(13)와의 높이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적층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돌기(12a)의 상부에는 즉석면의 성분, 조리방법 등이 인쇄된 설명지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설명지 안착턱(12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 뚜껑부(13)도 대략 상기 제1 뚜껑부(11)와 선대칭되는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의 상부 일부, 즉 제1 뚜껑부(11)가 덮고 있는 부분의 나머지 부분을 덮게된다. 상기 제2 뚜껑부(13)는 상기 제1 뚜껑부(11) 및 제1 용기결합부(1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뚜껑부(13)의 원호부분의 둘레에는 설명지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설명지 안착턱(13a)이 형성된다.
제2 용기결합부(14)는 상기 제2 뚜껑부(13)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마찬가지로 용기(2)의 상단을 파지하는 형태로 용기(2)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용기결합부(14)는 상부면이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바,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의 같은 높이에 형성되고, 제1 뚜껑부(11)는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제2 뚜껑부(13)는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는 상부면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는 서로 상부면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이 서로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제2 뚜껑부(13)와 제2 용기결합부(14)가 제1 뚜껑부(11)와 제1 용기결합부(12)로 포개지게 된다.
이때, 제2 뚜껑부(13)와 제2 용기결합부(14)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는 상부면만 연결되어 있고 측면은 절개된 상태를 유지한다.
벽체부(15)는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뚜껑부(13)가 제1 뚜껑부(11)로 포개지도록 접혔을 때, 상기 제2 뚜껑부(13)의 단부는 막아 상기 제2 뚜껑부(13)가 접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체부(15)는 상기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가 서로 단차진 부 분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13)의 직선부분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하단을 상기 제1 뚜껑부(11)의 직선부분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2 뚜껑부(13)가 접혀져 상기 제1 뚜껑부(11)에 포개졌을 때, 상기 제2 뚜껑부(13)에서 직선부분을 상기 벽체부(15)가 막게 되어 상기 제2 뚜껑부(13)의 둘레에 형성된 제2 용기결합부(14)와 벽체부(15)에 턱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뚜껑부(13)가 접시기능을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즉석면 용기의 뚜껑은 사출가공후, 커팅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즉석면 용기의 뚜껑은 사출가공을 통하여 전체적인 형태를 갖추고, 커터를 이용하여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측면, 벽체부(15)와 제1 뚜껑부(11) 사이를 커팅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커터가 진입하여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측면은 아래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벽체부(15)도 아래로 갈수록 제1 뚜껑부(11)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1)은 즉석면을 유통, 보관 중에는 즉석면 용기의 상부를 막는 기능을 한다.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의 둘레에 구비된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가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됨으로써, 즉석면 용기(2)의 상부를 폐쇄하여 즉석면 용기(2)의 내부에 수용된 면, 스프 등의 내용물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뚜껑(1)의 상부면에 놓인 설명지는 상기 적층돌기(12a)에 형성된 제1 설명지 안착턱(12b)과 제2 뚜껑부(13)의 설명지 안착턱(13a)에 의해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놓여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석면 용기(2)의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고, 뚜껑(1)의 상부면에 설명지가 놓여지면, 다시한번 비닐로 외부를 포장하여 용기(2)와 뚜껑(1)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이 완료되면, 포장상자의 내부에 적층된 상태로 포장되는데, 상기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는 서로 단차지게 배치되므로 적층시 기울지는데, 이를 상기 적층돌기(12a)가 보상해주므로, 기울어지지않은 상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비록, 제1 뚜껑부(11)나 제1 용기결합부(12)는 제2 뚜껑부(13)보다 낮지만, 외부가 비닐로 포장되므로 제2 뚜껑부(13)와 적층돌기(12a) 사이에 비닐이 팽팽한 상태로 포장되므로, 경량의 즉석면 용기를 충분히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판매점에서 즉석면을 진열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즉석면 용기를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한편, 즉석면을 취식하기 위해서 즉석면의 포장을 해제하고 즉석면 용기(2)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고, 수분 동안 상부를 뚜껑(1)으로 덮는다.
일정시간이 지나서 면이 익으면, 뚜껑(1)을 용기로부터 분리하고, 익은 즉석면을 취식한다.
이때, 상기 뚜껑(1)을 이용함으로써, 즉석면을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1)의 제2 뚜껑부(13)과 제2 용기결합부(14)를 도 3 및 도 4의 상태를 거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접어서 제1 뚜껑부(11)와 제1 용기결합부(12)에 포갬으로써, 반전된 제2 뚜껑부(13)의 내부에 면이나, 국물을 덜어서 취식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부(13)와 제2 용기결합부(14)를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접으면, 제2 용기결합부(14)보다 높이 위치한 제2 뚜껑부(13)가 제1 뚜껑부(11)와 제1 용기결합부(12)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으로 포개지면서, 제2 뚜껑부(13)의 내부가 반전되어 노출된다.
이때, 제2 뚜껑부(13)의 일측에는 벽체부(15)는 제2 뚜껑부(13)와 함께 반전되어 제2 뚜껑부(13)의 일측을 막음으로써, 제2 뚜껑부(13)가 접시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즉석면 용기의 뚜껑(1)이 접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뚜껑부(13)의 내부로 면이나 국물을 덜어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의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뚜껑 2 : 용기
11 : 제1 뚜껑부 12 : 제1 용기결합부
12a : 적층돌기 12b : 제1 설명지 안착턱
13 : 제2 뚜껑부 13a : 제2 설명지 안착턱
14 : 제2 용기결합부 14a : 적층돌기 수용홈
15 : 벽체부

Claims (3)

  1. 즉석면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즉석면 용기를 덮는 즉석면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1)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이 일부를 덮는 제1 뚜껑부(11)와,
    상기 제1 뚜껑부(11)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1 뚜껑부(11)보다 높게 형성되며,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1 용기결합부(12)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의 나머지를 덮고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 뚜껑부(13)와,
    상기 제2 뚜껑부(13)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2 뚜껑부(13)보다 낮게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2)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는 제2 용기결합부(14)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뚜껑부(11)와 제2 뚜껑부(13)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13)의 직선부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제1 뚜껑부(11)의 직선부에 접하는 벽체부(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13)와 상기 제2 용기결합부(14)는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와 제2 용기결합부(14)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결합부(12)의 일측에는 용기를 적층할 때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둘레 일측에 상단이 상기 제2 뚜껑부(13)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층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결합부(14)에는 제2 뚜껑부(13)가 제1 뚜껑부(11)로 접힐 때, 상기 적층돌기(12a)를 수용하는 적층돌기 수용홈(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돌기(12a)의 상부에는 설명지가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설명지 안착턱(12b)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뚜껑부(13)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설명지 안착턱(1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KR2020090015157U 2009-11-23 2009-11-23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KR201100053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57U KR20110005325U (ko) 2009-11-23 2009-11-23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57U KR20110005325U (ko) 2009-11-23 2009-11-23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25U true KR20110005325U (ko) 2011-05-31

Family

ID=4929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57U KR20110005325U (ko) 2009-11-23 2009-11-23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3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67B1 (ko)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JP2024034105A (ja) * 2022-08-31 2024-03-13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蓋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67B1 (ko)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WO2015147384A1 (ko) * 2014-03-27 2015-10-01 박성웅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JP2024034105A (ja) * 2022-08-31 2024-03-13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蓋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9401A1 (en) Food tray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WO2015121643A2 (en) A container for holding an egg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JP2014196138A (ja) 食品容器
KR20110005325U (ko)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JP4429046B2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200462889Y1 (ko)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78330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JP3204124U (ja) 食品容器
JP2012020781A (ja) 食材用容器及び食材が収容された食材用容器
KR20100127160A (ko) 소스수용부가 형성된 음식물 용기 뚜껑
CA2842929C (en) Food tray
KR20160016063A (ko) 일회용 다기 세트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JPH08113273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KR20120008760U (ko) 식품 포장 용기
JP2011183105A (ja) 電子レンジ調理容器
KR200457983Y1 (ko) 음식물용 수용부가 구비된 냄비뚜껑
KR200356833Y1 (ko) 식품 용기 뚜껑
JP2008189329A (ja) ツインタイプの包装容器
JP2008189337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