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30Y1 -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30Y1
KR200478330Y1 KR2020140009278U KR20140009278U KR200478330Y1 KR 200478330 Y1 KR200478330 Y1 KR 200478330Y1 KR 2020140009278 U KR2020140009278 U KR 2020140009278U KR 20140009278 U KR20140009278 U KR 20140009278U KR 200478330 Y1 KR200478330 Y1 KR 20047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rim
bodi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원
구자연
이봉주
김병섭
김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20140009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예와 관련된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는 복수의 본체, 복수의 그릇 및 뚜껑을 포함하는 도시락 보온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은, 복수의 함몰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 사이를 구분하는 지지벽; 테두리 부위 상단에 테두리 상면과 제 1 내향 단층부; 및 테두리 부위 하단에 상기 제 1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제 1 외향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릇은 상기 복수의 수납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뚜껑은, 테두리 부위 하단에 상기 제 1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제 2 외향 단턱부; 및 하면에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최상층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은, 하면에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2 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상하로 포개지면, 상기 제 2 본체의 테두리 상면 및 제 1 내향 단층부가 상기 제 1 본체의 제 1 외향 단턱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하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 2 함몰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Multi-layered heat insulation lunch box}
본 고안은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저면을 뚜껑형상으로 하여 복수의 본체를 적층하고 뚜껑 1개만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산업과 외식 산업이 발달하면서 도시락 전문 배달업체들의 사업활동이 차츰 증가하고 있다. 상기 도시락 전문 배달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취식을 원하는 사무실이나 야외 현장으로 도시락을 배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오염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온이 가능한 외부용기에 도시락을 담아서 배달하는 서비스가 늘고 있다.
이러한 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460308호(등록일자 2012년 05월 07일)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밥이 저장되는 밥저장부와 국이 저장되는 국저장부 및 복수의 반찬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반찬저장부가 형성된 내용물 수납부와; 상기 내용물 수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내용물 수납부가 끼움될 수 있도록 밥요홈부와 국요홈부 및 반찬요홈부가 형성된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뚜껑로 이루어진 위생 도시락 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위생 도시락 용기의 특징은, 상기 내용물 수납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리브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저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안쪽을 따라 본체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는 뚜껑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수납부와 본체 및 뚜껑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내용물 수납부의 리브가 상기 본체의 본체돌출부를 둘러싸고, 상기 뚜껑의 뚜껑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저장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생 도시락 용기에서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본체와 뚜껑은 내용물 수납부 속에 저장되는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60308호에 소개된 도시락 보온용기는, 내용물 수납부, 즉 도시락 한 개를 포장하기 위하여 각 본체마다 뚜껑을 한 개씩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포개어 쌓을 경우, 전체 높이가 매우 높아지게 되고, 특히 상기 도시락 보온용기의 재질이 매우 미끄럽기 때문에 여러 개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안정적으로 포갤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시락 배달이나 보관을 위해 종종 다수개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높게 포개어 쌓아야 하는 도시락 전문 배달업체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사용하기에는 보관 및 배달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0471704호의 보온용기가 고안되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71704호의 보온용기는 도 2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과 수저를 담을 수 있도록 함몰된 다수개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를 구분하는 중간벽이 마련되어 있고, 테두리 부위 상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외향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음식물이 담겨진 저장부 위를 덮어주는 커버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플라스틱 보드(Plastic board) 형태의 도시락 용기와; 상기 도시락 용기 밑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부를 수용하는 수납부와 상기 중간벽 속으로 삽입되는 지지벽이 구비되어 있고, 테두리 부위 상단에는 테두리 상면과 내향 단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상기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외향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포 플라스틱(Foamed plastics) 재질의 보온용기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용기를 상하로 포개면, 하층 보온용기의 테두리 상면과 내향 단층부가 상층 보온용기의 외향 단턱부에 결합하고, 상층 보온용기의 저면이 하층 보온용기의 지지벽 위에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471704호의 보온용기에 사용되는 도시락 용기는 여러 음식물을 담는 도시락 용기가 일체형으로서 복수의 저장부간에 열이 쉽게 통하여 찬 음식과 뜨거운 음식이 상호간 영향을 미쳐 음식의 맛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체형 도시락 용기를 설거지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온성을 높이고 개별 그릇을 사용할 수 있는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도시락 보온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락 보온용기의 본체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되는 도시락 보온 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시락 보온용기를 적층하여도 그 높이가 개별 도시락 용기를 적층한 것보다 낮아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와 관련된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는 복수의 본체, 복수의 그릇 및 뚜껑을 포함하는 도시락 보온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은, 복수의 함몰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 사이를 구분하는 지지벽; 테두리 부위 상단에 테두리 상면과 제 1 내향 단층부; 및 테두리 부위 하단에 상기 제 1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제 1 외향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릇은 상기 복수의 수납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뚜껑은, 테두리 부위 하단에 상기 제 1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제 2 외향 단턱부; 및 하면에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최상층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은, 하면에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2 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상하로 포개지면, 상기 제 2 본체의 테두리 상면 및 제 1 내향 단층부가 상기 제 1 본체의 제 1 외향 단턱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하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 2 함몰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의 측면 하단에는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납부는 수저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그릇 중 적어도 하나의 그릇은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그릇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의 측면 하단에는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본체 및 상기 뚜껑은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그릇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테두리 상면과 상기 제 1 외향 단턱부의 천정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 및 복수의 결합공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 및 상기 복수의 결합공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도시락 보온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락 보온용기의 본체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되는 도시락 보온 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시락 보온용기를 적층하여도 그 높이가 개별 도시락 용기를 적층한 것보다 낮아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다.
또한, 음식을 담는 용기를 개별 그릇으로 사용하고 복수의 그릇이 서로 접촉하지 않아 음식물 개별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그릇을 사용하여 설거지를 하거나 식기 세척기를 이용할 때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릇의 높이가 수납부의 높이보다 높아 수납부로부터 그릇의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시락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에 사용되는 국그릇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본체의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고안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에 사용되는 국 그릇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는 복수의 본체(100), 복수의 그릇(200) 및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 도4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본체(100)는 복수의 수납부(110), 지지벽(120), 내향 단층부(130), 외향 단턱부(140), 함몰부(150) 및 파지홈(160)을 포함할 수 있고, 재질은 단열성이 좋고 무게가 가벼운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일 수 있다.
수납부(110)는 그릇(200)이 수납되는 공간으로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납부(110) 각각은 다른 형태의 그릇(200)을 수납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저를 수납하기 위해 수저 수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밥그릇 또는 국그릇과 같이 너비가 큰 그릇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10)의 테두리(112)에는 복수의 테두리 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홈(112a)은 수납부(110)에 수납된 밥그릇 또는 국그릇을 들어올리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테두리 홈(112a)과는 별개로 후술할 국그릇의 뚜껑(210) 잠금장치(211) 형상에 대응한 함몰부(112b)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벽(120)은 복수의 수납부(110) 사이를 구분하는 구성으로서 각 수납부(110)에 수납된 그릇(200)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여, 어떠한 그릇(200)에 수납된 음식의 온도가 다른 그릇(2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열재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내향 단층부(130)는 본체(100)의 상단 모서리 선에서 일정 간격 안쪽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수직단층면(131)과, 수직단층면(13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바닥면(132)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단 모서리 선과 수직단층면(131)의 상단 사이를 테두리 상면(133)이라 지칭한다.
그리고, 외향 단턱부(140)는 본체(100)의 하단 모서리 선에서 일정 간격만큼 안쪽으로 확장된 천정면(141)과 천정면(141)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수직단턱면(1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향 단턱부(140)의 천정면(141)은 테두리 상면(133)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내향 단층부(130)의 수직단층면(131)과 외향 단턱부(140)의 수직단턱면(142)도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함몰부(150)는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복수의 그릇(200)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함몰부(150)에는 후술할 국그릇의 뚜껑(210) 잠금장치(211) 형상에 대응한 홈(1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본체(100)가 포개졌을 때 상층의 본체(100)의 하면이 하층의 본체(100) 뚜껑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본체(100), 복수의 그릇(200) 및 뚜껑(300)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파지홈(160)은 본체(10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을 끼워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그릇(200)에 대해 설명한다.
그릇(200)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밥그릇, 국그릇, 반찬그릇, 양념그릇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그릇(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밥그릇 또는 국그릇의 경우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뚜껑(210)을 더 포함할 수있다. 특히, 국그릇에 담길 수 있는 국은 액체이므로 그릇에서 세어 나가지 않도록 그릇의 뚜껑(210)에는 잠금장치(21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릇(200)의 높이는 본체(100)의 수납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릇(200)의 높이가 수납부(110)의 높이보다 낮거나 수납부(110)의 높이와 같다면 그릇(200)을 수납부(110)로부터 꺼낼 때 파지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그릇(200)의 높이를 수납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면 그릇(200)의 윗부분이 본체(100)의 상면보다 높아 그릇(20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뚜껑(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뚜껑(300)의 재질은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단열성이 좋고 무게가 가벼운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일 수 있고, 뚜껑(300)은 본체(100)의 상면을 덮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복수의 본체(100)가 적층되고 복수의 본체(100) 중 최상층의 본체(100) 상면을 덮는 것이다.
이러한 뚜껑(300)은 외향 단턱부(310), 함몰부(320) 및 파지홈(330)을 포함할 수있다.
외향 단턱부(310)는 본체(100)의 외향 단턱부(140)와 마찬가지로 뚜껑(300)의 하단 모서리 선에서 일정 간격만큼 안쪽으로 확장된 천정면(311)과 천정면(311)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수직단턱면(3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향 단턱부(310)의 천정면(311)은 본체(100)의 테두리 상면(133)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뚜껑(300)의 외향 단턱부(310)의 수직단턱면(312)은 본체(100) 내향 단층부(130)의 수직단층면(131)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함몰부(320)는 또한 본체(100)의 함몰부(150)와 마찬가지로 뚜껑(3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복수의 그릇(200)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함몰부(320)에는 전술한 국그릇의 뚜껑(210) 잠금장치(211) 형상에 대응한 홈(3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파지홈(330)은 뚜껑(30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을 끼워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수의 본체(100), 그릇(200) 및 뚜껑(30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2개의 본체(10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본체(100)를 적층할 수 있다.
2개의 본체(100)를 상하로 포개면, 하층 본체(100)의 내향 단층부(130)와 상층 본체(100)의 외향 단턱부(140)가 서로 결합한다. 즉, 하층 본체(100)의 테두리 상면(133)이 상층 본체(100)의 천정면(141)과 서로 면접하고, 동시에 하층 본체(100)의 수직단층면(131)은 상층 본체(100)의 수직단턱면(142)과 면접한다.
또한, 상층 본체(100)의 함몰부(150) 및 뚜껑(300)의 함몰부(320)는 수납부(110)에 수납된 그릇(200)의 상부에 밀착되고, 상층 본체(100)의 저면은 하층 본체(100)의 바닥면(132)과 지지벽(120) 위에 밀착되며, 뚜껑(300)의 저면은 상측 본체(100)의 바닥면(132)과 지지벽(120) 위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체와 뚜껑에는 상호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의 테두리 상면(133)과 외향 단턱부(140)의 천정면(141)에는 각각 복수의 결합돌기(170a)와 결합공(170b)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70a)와 결합공(170b)은 복수의 본체가 적층 되었을 때 복수의 본체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뚜껑의 저면은 도 8과 같으며 뚜껑의 외향 단턱부(310)의 천정면(311)에도 복수의 결합돌기(340a)와 결합공(34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최상층 본체에 뚜껑이 덮였을 때 뚜껑이 최상층 본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체와 뚜껑에 형성된 결합돌기(170a)와 결합공(170b)의 위치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본체를 적층하기 위해서 테두리 상면(133)에 결합돌기(170a)가 형성되어 있으면 그 하단의 천정면(141)에는 같은 위치에 결합공(170b)이 배치되어 있고, 테두리 상면(133)에 결합공(170b)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하단의 천정면(141)에는 같은 위치에 결합돌기(170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모서리에 결합돌기(170a)가 형성되어 있으면 우측 모서리에는 결합공(170b)이 배치되어 있고, 좌측 모서리에 결합공(170b)이 형성되어 있으면 우측 모서리에는 결합돌기(170a)가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결합돌기(170a)과 결합공(170b)의 배치 간격과 위치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결합돌기(170a)와 결합공(170b)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뚜껑의 결합돌기(340a)와 결합공(340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을 적용한 본 고안은 복수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도시락 보온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락 보온용기의 본체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되는 도시락 보온 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시락 보온용기를 적층하여도 그 높이가 개별 도시락 용기를 적층한 것보다 낮아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다.
또한, 음식을 담는 용기를 개별 그릇으로 사용하고 복수의 그릇이 서로 접촉하지 않아 음식물 개별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그릇을 사용하여 설거지를 하거나 식기 세척기를 이용할 때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릇의 높이가 수납부의 높이보다 높아 수납부로부터 그릇의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110 : 수납부
111 : 수저 수납부
112 : 수납부의 테두리
112a : 테두리 홈
112b : 수납부의 함몰부
120 : 지지벽
130 : 내향 단층부
131 : 수직단층면
132 : 바닥면
133 : 테두리 상면
140 : 외향 단턱부
141 : 천정면
142 : 수직단턱면
150 : 함몰부
160 : 파지홈
170a : 결합돌기
170b : 결합공
200 : 그릇
210 : 국그릇의 뚜껑
211 : 국그릇의 뚜껑 잠금장치
300 : 뚜껑
310 : 외향 단턱부
311 : 천정면
312 : 수직단턱면
320 : 함몰부
330 : 파지홈
340a : 결합돌기
340b : 결합홈

Claims (11)

  1. 복수의 본체, 복수의 그릇 및 뚜껑을 포함하는 도시락 보온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은, 복수의 함몰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 사이를 구분하는 지지벽; 테두리 부위 상단에 테두리 상면과 제 1 내향 단층부; 및 테두리 부위 하단에 상기 제 1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제 1 외향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릇은 상기 복수의 수납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뚜껑은, 테두리 부위 하단에 상기 제 1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제 2 외향 단턱부; 및 하면에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최상층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은, 하면에 상기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2 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가 상하로 포개지면, 상기 제 2 본체의 테두리 상면 및 제 1 내향 단층부가 상기 제 1 본체의 제 1 외향 단턱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하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 2 함몰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그릇 상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의 측면 하단에는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는 수저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릇 중 적어도 하나의 그릇은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릇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측면 하단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체 및 상기 뚜껑은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릇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 상면과 상기 제 1 외향 단턱부의 천정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 및 복수의 결합공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 및 상기 복수의 결합공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시락 보온 용기.
KR2020140009278U 2014-12-16 2014-12-16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KR20047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78U KR200478330Y1 (ko) 2014-12-16 2014-12-16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78U KR200478330Y1 (ko) 2014-12-16 2014-12-16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330Y1 true KR200478330Y1 (ko) 2015-09-22

Family

ID=5434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78U KR200478330Y1 (ko) 2014-12-16 2014-12-16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53A (ko) * 2017-05-16 2018-11-26 배세진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KR20210032721A (ko) * 2019-09-17 2021-03-25 권수진 음식포장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85Y1 (ko) * 2012-01-20 2013-08-29 이상민 다기능 용기
KR200471704Y1 (ko) * 2012-12-04 2014-03-13 한병기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85Y1 (ko) * 2012-01-20 2013-08-29 이상민 다기능 용기
KR200471704Y1 (ko) * 2012-12-04 2014-03-13 한병기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53A (ko) * 2017-05-16 2018-11-26 배세진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KR102029767B1 (ko) * 2017-05-16 2019-10-08 배세진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KR20210032721A (ko) * 2019-09-17 2021-03-25 권수진 음식포장용기
KR102268602B1 (ko) * 2019-09-17 2021-06-24 권수진 음식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72232A (en) Lunch box with vacuum containers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US9181009B1 (en) Cup with outwardly protruding straw channel and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KR20180116317A (ko) 서빙 또는 케이터링 트레이와 통을 위한 장식 홀더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JP7081854B2 (ja) 包装用容器
KR20180125753A (ko)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JP2011254850A (ja) 弁当容器セットの通い用ケース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0478330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JP2016064853A (ja) 包装用容器
KR200471704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KR200490787Y1 (ko) 사계절 다목적 배달용 가방
JP2014196138A (ja) 食品容器
CN210175434U (zh) 包装箱
KR101472955B1 (ko) 도시락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0464792Y1 (ko) 스티로폼 위생보온 도시락
JP4429046B2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101980595B1 (ko) 다용도 배달가방
JP5922274B1 (ja) セット販売用の食品包装用容器
US20140263352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KR20180003154U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KR101618049B1 (ko) 일회용 보온 도시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