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595B1 - 다용도 배달가방 - Google Patents

다용도 배달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595B1
KR101980595B1 KR1020180084169A KR20180084169A KR101980595B1 KR 101980595 B1 KR101980595 B1 KR 101980595B1 KR 1020180084169 A KR1020180084169 A KR 1020180084169A KR 20180084169 A KR20180084169 A KR 20180084169A KR 101980595 B1 KR101980595 B1 KR 10198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main body
folded
wall portion
inser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550A (ko
Inventor
유정범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8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5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도 변환이 가능하면서 보관시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배달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후방벽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개구를 덮는 덮개부와, 본체부의 내벽에 배치되어 측벽부, 전방벽부 및 후방벽부의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본체부의 내측 하부의 모서리에 연결되어 사용상태에서는 상방 회동되고 보관상태에서는 하방 회동하여 본체부 저부에 수납되는 다용도 배달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배달가방{MULTIPURPOSE DELIVERY BAG}
본 발명은 배달용 가방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도 변환이 가능하면서 보관시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다용도 배달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식문화의 보편화에 따라 집에서 음식을 직접 조리하여 먹기보다는 음식점 등을 이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음식을 배달하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음식물을 제공하는 요식업소에서 주문한 음식물을 가정이나 사무실로 배달하기 위하여 조리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달통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달통은 기동성을 위하여 오토바이와 같은 운반수단에 싣거나 손으로 들고 이동하게 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9167호는 종래기술의 요리배달통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요리배달통은 견고성을 위하여 오토바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된 박스에 소정의 개구와 도어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요리 등을 수납하여 운반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요리배달통의 경우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식물 및 음식물 용기를 고정할 수 없고 운반 과정에서의 요동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바람직하지 않게 혼합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심각한 경우에는 음식물 용기 등의 파손이 일어나 배달을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내부의 온도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간의 지연에 따라 찬 음식이 덥혀지거나 더운 음식이 식은 상태로 배달되어 소비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배달문화의 보급에 따라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음식의 배달 뿐만이 아니라, 식료품의 구매나 배달, 각종 기호식품의 배달 등을 다양하게 수행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달 서비스의 경우에도 기동성을 위하여 이륜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수인데, 다양한 요청을 수용하기 위하여서는 배달용 가방의 부피나 형태 및 내부 구조 등이 가변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구조적인 한계와 경제적인 문제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제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배달 물품과 요청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용도 변환이 가능한 다용도 배달가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의 상태를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보관시에도 부피의 최소화가 가능하며 경제적인 다용도 배달가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후방벽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개구를 덮는 덮개부; 본체부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연결되어 측벽부, 전방벽부 및 후방벽부의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보강측부착부을 마주보면서 탈착 가능하도록 양단측에 삽입부착부를 구비하며 본체부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보관상태를 구성하기 위하여 보강부가 하방 회동하여 본체부 저부에 수납된 다음, 후방벽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후방절첩부가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전방에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전방절첩부와 후방측의 측방절첩부에서 측벽부가 절첩되면 전방벽부의 저면이 측벽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는 전방 및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와, 날개부의 내면에 배치되어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자성체부에 결합되는 날개자성체부를 구비하고 본체부의 절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다용도 배달가방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부는, 전방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방보강부와 후방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후방보강부와 양측의 측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측면보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는, 보강부와 보강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횡단삽입부재와, 횡단삽입부재와 보강부 사이에 연결되는 격벽삽입부재와, 상기 횡단삽입부재 또는 격벽삽입부재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판형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저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보관상태에서 덮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부착부에 부착되어 절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면측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부와 이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분리하여 수납 및 물품의 보존성이 극대화되고 절첩 및 부피의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시에도 공간적인 이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자성체를 통하여 3개의 면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견고하면서도 탈착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날개부의 구비를 통하여 물품 수납의 안정성이 더욱 형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부재들의 탈착 및 절첩을 위한 구조를 최적으로 형성하여 생산성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품의 형태는 물론 특성에 대응하여 내부 공간을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배달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요리배달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배달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에서 절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의 보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보관상태를 저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의 삽입부재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배달가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절첩 및 보관이 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저면 모서리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배달가방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용도 배달가방의 형태와 크기 및 비율은 본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본체부, 덮개부 및 보강부와, 후술될 바와 같은 삽입부재의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섬유,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에 수용될 수 있는 물품은 식품용기, 음식, 과일, 음료컵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될 삽입부재의 종류와 배치형태에 따라 적절한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전방 및 후방의 방향은 사용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내측은 사용상태 또는 보관상태에서 본체부 중심측을 지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배달가방의 사시도이다.
본체부(1000)는 기본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부(1000)는 전방벽부(1200)와, 후방벽부와, 양측의 측벽부(1100)와 저면부가 상호 모서리 부위에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100)와 후방벽부는 하측으로 절첩되어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바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체부(10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다용도 배달가방 전체를 이동 가능하도록 손잡이부(10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010)는 측벽부(110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손잡이부(1010)의 길이는 본체부(1000)가 직립되어 박스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측에서 상호 접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 손잡이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하여 최소한 어느 일측의 손잡이부(1010)에는 손잡이홀더부(10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홀더부(1011)는 손으로 파지되는 부위에서 손잡이부(1010)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으로 연장되어 감싸는 부위의 고정을 위하여 스냅버튼이나 벨크로와 같은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재 상호 간의 부착을 위하여 벨크로나 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벨크로는 한쪽은 갈고리로, 다른 한쪽은 걸림고리로 형성되어 상호 붙였다 떼었다 반복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때, 걸림고리와 갈고리 부위의 배치는 선택적이다.
상기 후방벽부의 상단측에서는 덮개부(2000)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이러한 덮개부(2000)의 크기와 면적은 본체부(1000)가 직립한 상태에서 개구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0)의 고정을 위한 다양한 체결구조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포장박스나 배달가방 등과 같은 경우는 후크나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여 견고한 체결을 수행하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00)가 절첩되어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어느 정도 연성을 가지는 벽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본체부(1000)와 덮개부(2000)의 상호 결합은 자기력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0)의 측면에는 본체자성체부(1110)가 형성되고, 덮개부(2000)의 배치 형태를 고려하면 전방벽부(1200)와 양측의 측벽부(1100)의 대략 상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본체자성체부(1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자성체부(1110)의 배치를 고려하여, 덮개부(2000)는 전방 및 양측방향으로 더욱 연장되는 날개부(21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자성체부(1110)의 위치에 대응되어 날개자성체부(2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자성체부(2110)의 위치, 크기 및 형상은 본체자성체부(1110)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부(2000)의 전방 및 양측으로 날개부(2100)가 연장 형성되는 경우 본체부(1000)의 개구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으므로 소정의 간극으로 내부의 물품들이 노출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렇게 덮개부(2000)의 날개부(2100)와 본체부(1000)가 상호 자성체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되면 배달의 신속성과 편리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본체부(1000)의 절첩 및 보관상태에서 절첩부위를 날개부(2100)가 커버하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고 미관상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0)의 내측에는 수납성을 고려하여 덮개포켓부(2200)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포켓부(2200)는 메시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덮개포켓부(2200)의 형태와 배치는 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은 사용상태에서 소정의 박스 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면서도 보관상태에서 본체부(100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납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부(1000)를 구성하는 전후좌우의 벽부들은 어느 정도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덮개부(2000)의 상면과, 본체부(1000)의 저면부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 또는 이를 위한 보강판재 등이 더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0)의 전방벽부(1200), 측벽부(1100) 및 후방벽부들이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박스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요청된다.
따라서, 박스 형태의 본체부(10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0)의 내벽에 밀착되거나 인접되는 복수의 보강부들이 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강부는 전방벽부(12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방보강부(3100)와, 후방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후방보강부(3200)와, 양측의 측벽부(11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측면보강부(3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들은 최소한 벽부들보다는 형태 유지성이 높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벽부와 보강부들 사이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착부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보강부(3100), 후방보강부(3200) 및 측면보강부(3300)들이 본체부(1000)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후술될 삽입부재들과 함께 분리되는 부재가 많아질수록 관리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보강부(3100), 후방보강부(3200) 및 측면보강부(3300)들은 본체부(1000)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물품 등의 수용 용도로 사용될 때 직립하고 보관될 때는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보강부(3100), 후방보강부(3200) 및 측면보강부(3300)는 본체부(1000)의 내부 공간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달가방으로 사용상태에서 상기 보강부들은 본체부(1000)의 내벽으로서 기능하므로 후술될 바와 같은 삽입부재들의 장착을 위하여 내면에 보강측부착부(301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측부착부(3010)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의 장착 위치의 선택을 고려하면 대략 내면의 폭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방향으로의 장착의 견고성을 고려하여 2열 이상의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물품이나 음식물 등을 수납하여야 하기 때문에 온도보존 및 완충의 성능이 요청된다. 이를 위하여 외면을 이루는 벽체 또는 보강부재에는 완충부재 및/또는 단열부재와 같은 유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2000)와 본체부(1000)의 저면부는 형태의 유지에 있어서 재질의 선택은 비교적 자유롭다. 따라서, 덮개부(2000)와 저면부에는 단열 및/또는 형상유지를 위한 유지재(미도시)가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지재의 재질은 선택적이다. 이때, 제조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본체부(1000)는 전체적으로 일체로서 구성되고, 저면부의 상면에 보강부와 같은 저면판부(미도시)가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재는 전방보강부(3100), 후방보강부(3200) 및 측면보강부(33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벽부의 내벽에서 보강부들이 단열 및 완충을 위하여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보온성능의 향상을 고려하여 덮개부(2000)의 저면과, 저면부의 상면과, 보강부의 내면에는 열반사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0)의 하단측에는 절첩상태의 고정 및 유지를 위한 저면측홀더(4100)가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에서 절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보강부(3100), 후방보강부(3200) 및 측면보강부(3300)가 본체부(1000)의 저면으로 절첩된 상태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00)가 하방으로 절첩되어 보관상태를 형성하는 개념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절첩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수납상태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전방벽부(1200)는 절첩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후방벽부(1300)와 측벽부(1100)가 절첩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실질적으로 본체부(1000)의 내부에 보강부들이 절첩된 상태로 저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두께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형을 배제하는 개념은 아님에 유의한다.
상기 개념에 의하여, 후방벽부(1300)는 대략 높이방향의 중심선에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후방절첩부(1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후방절첩부(1330)의 형성 높이는 선택적이다. 이에 따라, 후방벽부(1300)는 상측에서 전방으로 절첩되고 하측에서 후방으로 절첩되어 높이를 줄이게 된다.
상기 측벽부(1100)는 전방 모서리 상측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진 형태의 전방절첩부(11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벽부(1200)는 후방측으로 절첩되어 내측으로 절첩된 측벽부(11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측벽부(1100)는 후방에서 후방절첩부(1330)의 형성을 위하여 전방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측방절첩부(1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측방절첩부(1140)는 후방절첩부(133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측이 따라 절첩될 수 있는 쐐기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된 절첩부의 배치에 의하여, 본체자성체부(1110)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체자성체부(1110)와 날개자성체부(2110)는 최대한 부착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착의 견고성과 절첩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상기 자성체부들, 최소한 본체자성체부(1110)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1100)의 저부에는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측홀더(410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본체부(1000)의 절첩이 완료되고 덮개부(2000)가 그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면 덮개부(2000)의 상면에 체결되어 견고한 보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의 보관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절첩과정을 설명하면, 측벽부(1100)의 직립 및 보강부의 직립 상태에서 보강부들이 본체부(1000)의 내벽에서 탈거되어 하향 절첩되면서 보관상태로의 전환이 개시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들의 절첩상태에서 높이의 최소화를 위하여 전방보강부(3100)와 후방보강부(320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양측의 측면보강부(330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세트들의 절첩 순서는 선택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부들은 본체부(1000) 하측 모서리부위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1000)의 절첩 전에 수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보강부들의 절첩 및 수납이 이루어지면, 후방절첩부(1330)를 통하여 후방벽부(1300)가 대략 높이의 절반 부위에서 절첩되어 후방절첩부(13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전방절첩부(1130)와 측방절첩부(1140)에서 측벽부(1100)가 절첩되어 전방벽부(1200)의 저면이 측벽부(1100)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절첩이 완료되면 덮개부(2000)가 그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데, 도 4의 도시사항과 같이 덮개부(2000)의 전방과 측방의 날개부(2100)가 그 절첩부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미관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측벽부(1100)의 저부에 배치되는 저면측홀더(4100)는 측면 및 상측으로 연장되어 덮개부(2000)의 상면 양측에 배치되는 상면부착부(4200)에 결합되어 절첩 및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010)는 절첩된 측벽부(1100)의 내측으로 함께 수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파지가 가능하도록 외부로 인출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보관상태를 저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상태는 보관상태의 저면 및 후면측에서 나타내었다.
덮개부(2000)에서 날개부(2100)는 후방측에는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후방절첩부(1330)가 포개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날개부(2100)는 전방 및 측방을 덮도록 배치되며, 저면측홀더(4100)가 덮개부(2000)의 상면부착부(4200)에 결합되어 구조를 유지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저면부(1400)의 하측에는 추가적인 결합부재로서 저면부착부(43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면부착부(4300)는 벨크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품의 수납상태에서 저면측홀더(4100)를 고정하거나, 저면에 배치되는 다른 바닥부재에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상기 저면부착부(4300)는 갈고리 형태의 재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착부(4300)는 저면측홀더(4100)와의 결합 및 미관을 고려하여, 저면측홀더(4100)의 단부로부터 저면부(1400)로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용도 배달가방의 삽입부재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 가능하도록 소정의 삽입부재들의 배치관계를 변경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벽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부들의 내면에는 보강측부착부(3010)들이 배치되어 다양한 형태의 삽입부재들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강측부착부(3010)들은 벨크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탈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강측부착부(3010)는 갈고리 형태의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보강부들을 가로지르는 형태로서 횡단삽입부재(51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횡단삽입부재(5100)는 장방형의 박스를 좌우 또는 전후로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횡단삽입부재(5100)는 다른 삽입부재들에 공통되게 전후 또는 좌우로 절첩되어 보강부의 내벽을 면할 수 있는 연결부(5020)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5020)의 보강부 내벽을 마주보는 부위에는 보강측부착부(3010)에 결합되는 삽입부착부(5010)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부착부들은 스냅버튼이나 후크로 형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횡단삽입부재(5100)는 추가적으로 일면에 삽입포켓부(참보번호 미표시)를 구비하여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건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삽입부재(5100)는 보강부와 마찬가지로 다른 일면에 횡단부착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격벽삽입부재(5200)의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횡단삽입부재(510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을 추가적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격벽삽입부재(52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삽입부재(5200)의 일측은 보강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횡단삽입부재(510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삽입부재(5200)의 연결부(5020)와 삽입부착부(5010)의 구성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격벽삽입부재(5200)는 인접되는 보강부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위를 삼각 형태로 분할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격벽삽입부재(5200)의 변형예로서, 십자 형태의 격벽삽입부재(5200)가 네 개의 연결부(5020)를 가지고 사방으로 연결되어 네 개의 구획을 형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부재로서 소정의 공간에 판 형태로 상하를 구획하는 판형삽입부재(5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판형삽입부재(5300)는 상하 공간을 구획하여 물품들을 상호 자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홀을 구비하여 컵과 같은 폭이 좁고 종방으로 긴 물품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홀의 크기와 개수는 선택적이다.
이러한 판형삽입부재(5300)는 상하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는 연결부(50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절첩된 부위의 하단측이 저면부(1400)의 상면에 지지되어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형삽입부재(5300)는 컵 등의 유동체를 담은 용기의 고정을 고려하면 플라스틱과 같은 경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판형삽입부재(5300)가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삽입부착부(5010)의 형성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삽입부착부(5010)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횡단삽입부재(5100)나 격벽삽입부재(5200)가 판형삽입부재(5300)의 평면상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부(100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에 이러한 구획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배달가방은,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부와 이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분리하여 수납 및 물품의 보존성을 극대화하고 절첩 및 부피의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시에도 공간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덮개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자성체를 통하여 3개의 면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견고하면서도 탈착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날개부의 구비를 통하여 물품 수납의 안정성이 더욱 형상된다.
또한, 각각의 부재들의 탈착 및 절첩을 위한 구조를 최적으로 형성하여 생산성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품의 형태는 물론 특성에 대응하여 내부 공간을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배달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본체부 1010...손잡이부
1011...손잡이홀더부 1100...측벽부
1110...본체자성체부 1130...전방절첩부
1140...측방절첩부 1200...전방벽부
1300...후방벽부 1330...후방절첩부
1400...저면부 2000...덮개부
2100...날개부 2110...날개자성체부
2200...덮개포켓부 3010...보강측부착부
3100...전방보강부 3200...후방보강부
3300...측면보강부 4100...저면측홀더
4200...상면부착부 4300...저면부착부
5010...삽입부착부 5020...연결부
5100...횡단삽입부재 5200...격벽삽입부재
5300...판형삽입부재

Claims (2)

  1.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후방벽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개구를 덮는 덮개부;
    전방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전방보강부와 후방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후방보강부와 양측의 측벽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측면보강부로 구성되되 본체부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연결되어 측벽부, 전방벽부 및 후방벽부의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보강측부착부를 마주보면서 탈착 가능하도록 양단측에 삽입부착부를 구비하며 본체부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며, 보강부와 보강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횡단삽입부재와, 횡단삽입부재와 보강부 사이에 연결되는 격벽삽입부재와, 상기 횡단삽입부재 또는 격벽삽입부재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판형삽입부재로 구성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보관상태를 구성하기 위하여 보강부가 하방 회동하여 본체부 저부에 수납된 다음, 후방벽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후방절첩부가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전방에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전방절첩부와 후방측의 측방절첩부에서 측벽부가 절첩되면 전방벽부의 저면이 측벽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는,
    전방 및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와, 날개부의 내면에 배치되어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자성체부에 결합되는 날개자성체부를 구비하고 본체부의 절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다용도 배달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저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보관상태에서 덮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부착부에 부착되어 절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면측홀더;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배달가방.
KR1020180084169A 2018-07-19 2018-07-19 다용도 배달가방 KR10198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69A KR101980595B1 (ko) 2018-07-19 2018-07-19 다용도 배달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69A KR101980595B1 (ko) 2018-07-19 2018-07-19 다용도 배달가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53A Division KR20180000809A (ko) 2016-06-24 2016-06-24 다용도 배달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50A KR20180096550A (ko) 2018-08-29
KR101980595B1 true KR101980595B1 (ko) 2019-08-28

Family

ID=6343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169A KR101980595B1 (ko) 2018-07-19 2018-07-19 다용도 배달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3605B2 (en) 2018-10-04 2022-04-26 Packit, Llc Insulated carrier for temperature-controlled i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111A (ja) 2001-05-31 2002-12-10 Kyowa:Kk 折畳式カバン
KR200452328Y1 (ko) * 2010-07-09 2011-02-22 박감순 배달물 수취용 가방
KR101539303B1 (ko) * 2014-03-28 2015-07-24 엔피씨(주) 보온, 보냉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0972B1 (en) * 1999-05-26 2002-02-26 Aladdin Temp-Rite, Llc Induction-based heated delivery container system
US6433313B1 (en) * 2000-02-15 2002-08-13 Vestu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ed food delivery
US6169270B1 (en) * 2000-03-17 2001-01-02 Robert Check Sealed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ensuring delivery of the container in a heated state
KR20100135994A (ko) * 2009-06-18 2010-12-28 권태윤 휴대용 발열 가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111A (ja) 2001-05-31 2002-12-10 Kyowa:Kk 折畳式カバン
KR200452328Y1 (ko) * 2010-07-09 2011-02-22 박감순 배달물 수취용 가방
KR101539303B1 (ko) * 2014-03-28 2015-07-24 엔피씨(주) 보온, 보냉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3605B2 (en) 2018-10-04 2022-04-26 Packit, Llc Insulated carrier for temperature-controlled i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50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0809A (ko) 다용도 배달가방
CA2433251C (en) Container with reinforced and collapsible portions
CA2503473C (en) Container with cover and closure reinforcement
CA2509503C (en) Container with cover
US3811559A (en) Picnic accessories
US2672232A (en) Lunch box with vacuum containers
CA2483772C (en) Container with cover and closure member
US20070237432A1 (en) Container with reinforced and collapsible portions
US20080245096A1 (en) Fold-up insulated container
US20070145051A1 (en) Mobile cooler station
KR101980595B1 (ko) 다용도 배달가방
AU2015203857B2 (en) Container with cover
KR20190002552U (ko) 사계절 다목적 배달용 가방
KR200471704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CA1117491A (en) Tray construction
CN210175434U (zh) 包装箱
KR200478330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CN102478342B (zh) 一种冰箱
KR20180003154U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AU2012216548B2 (en) Container with cover
US20170156463A1 (en) Food storage container
CN213893384U (zh) 一种外卖配送用食品保温箱
US20170146285A1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attachable to a couch
CN214877005U (zh) 一种新型一次性塑料餐盒
JP5638381B2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