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303B1 - 보온, 보냉 상자 - Google Patents

보온, 보냉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303B1
KR101539303B1 KR1020140036665A KR20140036665A KR101539303B1 KR 101539303 B1 KR101539303 B1 KR 101539303B1 KR 1020140036665 A KR1020140036665 A KR 1020140036665A KR 20140036665 A KR20140036665 A KR 20140036665A KR 101539303 B1 KR101539303 B1 KR 10153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ox
wall portion
insulating materia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원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4003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 보냉 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외측상자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어, 보온, 보냉 상자의 용량은 최대화하는 동시에 비 사용시 상자를 포개어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측상자가 구비되어 내구성도 향상되며 방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온, 보냉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 보냉 상자{Heat insulation box}
본 발명은 보온, 보냉 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외측상자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는 보온, 보냉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온, 보냉 상자는 수산물 등을 운반할 때에 사용된다.
보통 보온, 보냉을 하려면 스티로폼이라 불리는 eps 또는 그와 비슷한 epp 등의 소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는 뛰어난 보온 기능 대신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보온, 보냉 기능을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 보온, 보냉 상자는 공간 절약형 상자가 아닌 일회용이나 쌓기만 되는 상자들로 제작되었다.
이로 인해 공상자일 때에도 차지하는 공간이 넓으며 운송비도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 공보 공고번호 제1995-0004304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보온, 보냉 상자를 절첩상자로 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첩상자 형태의 보온, 보냉 상자는 절첩되는 각 파트 사이에 틈이 생기고 이러한 틈으로 인해 냉기 또는 물이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첩형태의 제작은 제작비용 상승으로 이루어지고, 내구성도 낮아서 다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각 파트를 단단한 형태로 제작하고, 블로우 성형을 통해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를 만들고 내부에 발포우레탄을 주입하는 경우 재활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파트를 단단한 외피와 보온재로 구성하여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서로 결합시키는 경우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해져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빈 상자를 포개어 사용할 수 있는 네스팅 박스 형태로 보온, 보냉 상자를 제작할 경우 제품의 두께로 인해 상자의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스팅 박스 형태의 보온, 보냉 상자 역시 내구성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온, 보냉 상자의 용량은 최대화하는 동시에 비 사용시 상자를 포개어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측상자가 구비되어 내구성도 향상되며 방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온, 보냉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온, 보냉 상자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외측상자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측벽부는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제1내측벽부와 상기 제1내측벽부와 분리되는 제2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내측벽부의 측부에는 상기 제2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벽부의 측부에는 상기 제1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외측상자에 힌지부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내측벽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내측벽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바와, 상기 바에 형성되어 상기 바를 상기 외측상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상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의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보온, 보냉 상자의 바닥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는 내측바닥부와, 상기 내측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이중바닥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바닥재는 상기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온, 보냉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측상자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어, 보온, 보냉 상자의 용량은 최대화하는 동시에 비 사용시 상자를 포개어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측상자가 구비되어 내구성도 향상되며 방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제1내측벽부와 상기 제1내측벽부와 분리되는 제2내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절첩시 절첩된 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벽부의 측부에는 상기 제2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벽부의 측부에는 상기 제1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단순한 구조 및 단순한 작업을 통해 내측벽부를 직립상태로 할 수 있으며, 제1내측벽부와 제2내측벽부의 이음부위의 전체두께가 두꺼워져서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외측상자에 힌지부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내측벽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내측벽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측벽부를 외측상자에 절첩가능하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도 단순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바와, 상기 바에 형성되어 상기 바를 상기 외측상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상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는 작업자가 상자를 들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로 비 사용시에는 바는 뚜껑 상부에 배치되어 뚜껑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여 뚜껑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는 뚜껑을 덮은 상태로 상자를 적재시킬 때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적재하중으로 인해 뚜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의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보온, 보냉 상자의 바닥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적재된 보온, 보냉 상자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부에 적재되는 보온, 보냉 상자의 적재 위치가 정해져서 적재가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적재후 적재된 보온, 보냉 상자가 이동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는 내측바닥부와, 상기 내측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이중바닥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바닥재는 상기 바닥부에 설치되어, 바닥부를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측바닥부는 단단한 바닥부와 이중바닥재에 의해 둘러쌓여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중바닥재를 바닥부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내측바닥부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는 걸림턱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공상자를 포개어 적재시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하중이 걸림턱부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절첩되어 상자 내부에 뱁치되는 내측벽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측벽부가 적재하중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부로 인해 작업자가 상자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 상자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 상자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외측상자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외측상자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내측벽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힌지부와 체결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 상자 뚜껑을 제거한 상태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바와 연결부 사시도.
도 9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 상자 사용시 적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 상자 절첩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 상자 포개어 적재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온, 보냉 상자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를 둘러싸는 측벽부(120)를 포함하는 외측상자(100)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12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100)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200)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상자(100)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를 둘러싸는 측벽부(120)를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외측상자(100)는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며,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된다.
외측상자(100)는 네스팅 박스(Nesting box)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측벽부(120)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측벽부(120)에 의해 수평단면적이 상부로 향할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바닥부(110)는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부(110)는 상부 양측이 상부로 돌출되어 바닥돌출부(11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닥부(110)의 장변 상부에는 제1힌지체결부(113)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닥부(110)의 단변 상부에는 제2힌지체결부(114)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힌지체결부(114)의 높이는 바닥돌출부(111)보다는 높고, 제1힌지체결부(113)보다는 낮다.
바닥부(110)의 제1힌지체결부(113) 및 제2힌지체결부(114)의 하부에는 삽입홈(115)이 형성된다. 삽입홈(115)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힌지체결부(113)에 형성된 삽입홈(115)은 제2힌지체결부(114)에 형성된 삽입홈(115)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제1,2힌지체결부(113, 114)의 상부에는 힌지삽입홈(118a)이 상부 및 내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힌지삽입홈(118a)에 연통되도록 힌지삽입홈(118a)의 양측에 축삽입홈(118)이 형성된다. 축삽입홈(118)은 내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1,2힌지체결부(113, 114)에는 힌지삽입홈(118a)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힌지걸림돌기(119)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걸림돌기(119)로 인해 이하 서술되는 힌지부(510)가 이탈되지 않는 동시에, 이하 서술되는 내측벽부(200)가 과도하게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부(110)의 하부에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되는 내측바닥부(112)가 배치된다.
내측바닥부(112)는 바닥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삽입홈(115)에 삽입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측바닥부(112)로 인해 상자의 보온, 보냉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바닥부(112)의 하부에는 이중바닥재(116)가 배치된다.
이중바닥재(116)의 가장자리는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에 접착되어, 이중바닥재(116) 및 내측바닥부(112)는 바닥부(110)에 설치된다. 이중바닥재(116)는 바닥부(110)에 초음파 융착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바닥부(110)를 블로우 성형하고, 내부에 발포 우레탄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내측바닥부와 이중바닥재를 바닥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중바닥재(116)의 하부에는 양측에 각각 안착홈(117)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내측바닥부는 바닥부(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중바닥재도 내측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장변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측벽부(121)과 단변 상부에 배치되는 제2측벽부(1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측벽부(122)는 제1측벽부(1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측벽부(120)의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부(123)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턱부(123)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상자(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상자를 들때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제1측벽부(12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부(123)의 하단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자를 들때 더욱 용이하게 들 수 있다.
제1측벽부(121)의 상단 양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연결부(320)가 삽입 및 설치되는 연결부안착홈(124)이 형성된다.
연결부안착홈(124)은 제1측벽부(121)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320)는 바(310)의 사용시 및 비사용시 연결부안착홈(124)에 안착된다. 연결부안착홈(124)은 상부로 향할수록 좌우폭이 넓어지도록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안착홈(124)의 양측 내측에는 바(3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절개부(125)가 형성된다.
내측벽부(200)는 측벽부(120) 내측에 배치되며, 외측상자(100)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측벽부(200)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측벽부(200)는 eps 또는 그와 비슷한 epp등의 소재를 사용하는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측벽부(200)의 높이는 측벽부(1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뚜껑(400)을 덮어도 뚜껑(400)이 측벽부(120)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내측벽부(200)는 제1내측벽부(210)와 제1내측벽부(210)와 분리되는 제2내측벽부(220)를 포함한다. 제1,2내측벽부(210, 2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내측벽부(210)는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고, 제2내측벽부(220)는 양측에 배치된다.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제1내측벽부(210)의 상하길이의 합은 제2내측벽부(210)의 전후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절첩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제1내측벽부(2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절첩시 제2내측벽부(210)의 중앙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제1내측벽부(210)는 제1측벽부(121)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내측벽부(220)는 제2측벽부(1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내측벽부(210) 및 제2내측벽부(220)의 상단에는 홈(201)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201)은 내측벽부(200)를 절첩시킬 때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내측벽부(200)를 절첩시킬 수 있다.
제2내측벽부(220)는 상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넓어지는 후육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제2내측벽부(220)의 양측 내측에는 지지판부(223)가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판부(223)는 제1내측벽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준다.
제1내측벽부(210)의 양측부에는 제2내측벽부(220)를 향하도록 제1돌출부(211)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211)의 외측에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211)는 제1내측벽부(2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내측벽부(220)의 측부에는 상기 제1내측벽부(210)를 향하도록 제2돌출부(221)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221)는 제2내측벽부(220)의 상부 일부에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221)는 제2내측부(220)의 내측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측단에 배치된다.
제2돌출부(221)의 내측과 외측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돌출부(221)가 제1돌출부(211)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내측벽부(200)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돌출부(211)는 상기 제2돌출부(221)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내측벽부(210)는 제1돌출부(211)가 제2내측벽부(220)에 걸려서 절첩되지 않고 직립상태가 유지되고, 제2내측벽부(220)는 제2돌출부(221)가 제1돌출부(211)에 걸려서 절첩되지 않고 직립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1,2돌출부(211, 221)는 내측벽부(200)가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벽부(20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로킹부재 역할을 한다.
내측벽부(200)의 하부의 내측과 외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힌지부(510)가 안착되는 힌지부안착홈(202)이 3개 또는 2개가 형성된다. 힌지부안착홈(202)에 연통되도록 제2관통공(203)이 형성된다.
내측벽부(200)는 외측상자(100)에 힌지부(510)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힌지부(510)는 하부에 형성되는 축(511)과, 축(511)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514)를 포함한다.
힌지부(510)는 힌지삽입홈(118a)에 삽입되며, 축(511)은 축삽입홈(118)에 삽입된다.
축(511)에는 상하방향으로 축절개부(512)가 형성되어, 축(511)이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축(511)을 설치할 때 축(511)을 좌우방향으로 수축시켜서 축삽입홈(118)에 끼워넣으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결합부(514)에는 내측벽부(200)가 삽입되는 삽입홈(51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부(514)에는 삽입홈(513)에 연통되도록 관통공(515)이 형성된다.
조립시 관통공(515)은 제2관통공(203)에 연통된다.
결합부(514)의 내측에는 관통공(515)에 연통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체결부(520)의 걸림판부(521)가 안착되는 체결부안착홈(516)이 형성된다.
도 5,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510)와 내측벽부(200)는 체결부(520)를 통해 서로 체결된다.
체결부(520)는 걸림판부(521)와 걸림판부(521)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522)를 포함한다.
후크(522)는 2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후크(522)는 관통공(515) 및 제2관통공(203)에 삽입된다.
내측벽부(20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힌지부(510)의 결합부(514)에 형성된 삽입홈(513)에 내측벽부(200)를 삽입한다. 내측벽부(200) 삽입시, 결합부(514)가 힌지부안착홈(202)에 안착되고, 관통공(515)과 제2관통공(203)이 연통되도록 삽입한다. 관통공(515) 및 제2관통공(203)에 체결부(520)의 후크(522)를 삽입한다. 후크(522)는 삽입시 탄성변형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원상태로 복귀되어 후크(522)의 끝단이 결합부(514)에 걸린다. 힌지부(510)의 축(511)을 축삽입홈(118)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단순한 과정을 통해 내측벽부(200)는 외측상자(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0)은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뚜껑(400)은 측벽부(120)의 내측에 배치되며, 내측벽부(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뚜껑(400)은 상부에 바(310)가 안착되는 바안착홈(420)이 형성된다.
뚜껑(400) 하부에는 내측벽부(200)의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부(4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외측상자(100)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바(310)와, 바(310)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바(310)를 외측상자(100)에 연결하는 연결부(320)를 더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제1측벽부(121)에 근접하도록 평편부(311)가 형성된다. 평편부(311)의 상부에는 원호형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여 위에 다른 상자를 적재할 때에 위의 상자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평편부(311)의 끝단에 배치되도록 바(310) 상부 전후방에는 걸림돌기(312)가 각각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0)이 닫힌 상태로 상자가 적재될 때,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보온, 보냉 상자의 바닥부(110)의 이중바닥재(116)가 걸림돌기(312)에 걸리게 되고, 바(310)가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보온, 보냉 상자의 안착홈(117)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아래 상자에 대해 위 상자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된다. 즉, 상자의 적재가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바(310)의 하부 전후방에는 제2걸림돌기(313)가 형성되는 형성된다.
제2걸림돌기(313)는 연결부안착홈(124)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걸림돌기(313)는 걸림돌기(312)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연결부(3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상자(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320)는 상부는 굴곡지게 형성되고, 하부는 평편하게 형성된다.
연결부(320)의 하부 외측에는 축(32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축(321)은 제1측벽부(121)에 형성되는 축삽입공에 삽입된다. 상기 축삽입공은 연결부안착홈(12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바(310)를 안쪽으로 젖혀놓은 상태에서는, 바(310)는 뚜껑(400)을 누르게 되어 뚜껑(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310)를 세워놓은 상태에서는 바(310)가 뚜껑(400)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10)를 바깥쪽으로 젖혀놓은 상태에서는 바(310)가 측벽부(120) 상단 및 외측단보다 돌출되지 않아서, 공상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상자를 포개어 적재할 경우에는 바(310)가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3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운반이 용이하고, 운반시 바(31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보온, 보냉 상자 비사용시와 사용시의 절첩과정 및 펼침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보온, 보냉 상자 비사용시 절첩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10)를 바깥쪽으로 젖혀놓고, 뚜껑(400)을 제거한다.
제2내측벽부(220)의 홈(201)에 손가락을 넣어서 제2측벽부(220)에 힘을 가해서 양측의 제2측벽부(220)를 절첩시킨다. 이어서, 제1내측벽부(210)를 절첩시켜서 제2내측벽부(220) 상부에 배치시킨다. 절첩된 제1내측벽부(210)는 제2힌지체결부(114)에 걸리는 동시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내측벽부(200)가 절첩된 공상자는 상부에 다른 공상자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다. 상부에 적재된 상자의 바닥부(110)는 제1힌지체결부(113)에 걸리고, 상부에 적재된 상자의 걸림턱부(123)는 아래에 배치되는 상자의 걸림턱부(123)에 걸린다. 이로 인해서 내측벽부(200)에 적재하중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내측벽부(20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온, 보냉 상자 사용시 펼침과정을 설명한다.
양측의 제2내측벽부(220)를 들어올려서 제1,2내측벽부(210, 220)를 동시에 직립시키거나, 제1내측벽부(210)를 직립시킨 후에 제2내측벽부(220)를 직립시킨다.
이와 같이 제2내측벽부(220)를 직립시키되, 제2돌출부(221)가 제1돌출부(211)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2내측벽부(220)를 외측으로 밀면 제2돌출부(221)는 제1돌출부(211)를 타고 슬라이딩된 후에 제1돌출부(211)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내측벽부(200)는 직립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측상자 110 : 바닥부
121 : 제1측벽부 122 : 제2측벽부
120 : 측벽부 200 : 내측벽부
210 : 제1내측벽부 220 : 제2내측벽부
310 : 바 320 : 연결부
400 : 뚜껑 510 : 힌지부
520 : 체결부

Claims (8)

  1. 바닥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외측상자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외측상자는 상기 측벽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상자에는 제1힌지체결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부가 절첩된 공상자를 포개어 적재할 때 상부에 적재된 상자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제1힌지체결부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2. 바닥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외측상자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상자 내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외측상자는 상기 측벽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부가 절첩된 공상자를 포개어 적재할 때 상부에 적재된 상자의 상기 걸림턱부가 아래에 배치된 상자의 걸림턱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벽부는 제1내측벽부와 상기 제1내측벽부와 분리되는 제2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내측벽부의 측부에는 상기 제2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벽부의 측부에는 상기 제1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외측상자에 힌지부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내측벽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내측벽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바와, 상기 바에 형성되어 상기 바를 상기 외측상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상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보온, 보냉 상자의 바닥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단열재 또는 보냉재 또는 보온재로 형성되는 내측바닥부와
    상기 내측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이중바닥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바닥재는 상기 바닥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상자.
KR1020140036665A 2014-03-28 2014-03-28 보온, 보냉 상자 KR10153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665A KR101539303B1 (ko) 2014-03-28 2014-03-28 보온, 보냉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665A KR101539303B1 (ko) 2014-03-28 2014-03-28 보온, 보냉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303B1 true KR101539303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665A KR101539303B1 (ko) 2014-03-28 2014-03-28 보온, 보냉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50A (ko) * 2018-07-19 2018-08-29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다용도 배달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361A (ja) * 2002-11-20 2004-06-17 E & E:Kk 保冷保温ボックス
JP2007161311A (ja) * 2005-12-15 2007-06-28 Sanko Co Ltd ヒンジ構造
JP2008037474A (ja) * 2006-08-08 2008-02-21 Appax Co Ltd 断熱容器
JP2011025957A (ja) * 2009-07-24 2011-02-10 Mitsubishi Plastics Inc 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361A (ja) * 2002-11-20 2004-06-17 E & E:Kk 保冷保温ボックス
JP2007161311A (ja) * 2005-12-15 2007-06-28 Sanko Co Ltd ヒンジ構造
JP2008037474A (ja) * 2006-08-08 2008-02-21 Appax Co Ltd 断熱容器
JP2011025957A (ja) * 2009-07-24 2011-02-10 Mitsubishi Plastics Inc コンテ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50A (ko) * 2018-07-19 2018-08-29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다용도 배달가방
KR101980595B1 (ko) * 2018-07-19 2019-08-28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다용도 배달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1111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eful as a cooler
US8789715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7762601B2 (en) Vehicle container interface
JP6502421B2 (ja) 輸送容器
JP2012502256A (ja) 積み重ね可能な携帯クーラーボックスシステム
KR20020073155A (ko) 접을수 있는 용기
US20090114645A1 (en) Articulate Collapsible Modular Container
JP4657046B2 (ja) 断熱コンテナ
JP3312878B2 (ja) 断熱性格納ケース
KR102255394B1 (ko)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JP6704220B2 (ja) 保冷保温容器、保冷保温容器複合体、組立式の保冷保温容器用パネルセット
JP6228026B2 (ja) 断熱容器
KR101539303B1 (ko) 보온, 보냉 상자
JP2007099369A (ja) 折り畳み式搬送用コンテナ
TWI549871B (zh) 折疊式保冷箱
KR101850858B1 (ko) 보온 보냉용 박스
JP6725040B2 (ja) 保冷保温容器、保冷保温容器複合体、組立式の保冷保温容器用パネルセット
JP6530682B2 (ja) 合成樹脂製折り畳み容器
JP5437697B2 (ja) 輸送容器
JP3222901U (ja) 保冷空間構造及び断熱箱
JPH0939956A (ja) 折り畳み式運搬用断熱コンテナー
JP6889370B2 (ja) 容器
KR20090007636U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철식 바구니
JP3070557U (ja) 発泡樹脂製組立箱及び二重箱
JP2015199527A (ja) 保冷保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