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858B1 - 보온 보냉용 박스 - Google Patents

보온 보냉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858B1
KR101850858B1 KR1020160106223A KR20160106223A KR101850858B1 KR 101850858 B1 KR101850858 B1 KR 101850858B1 KR 1020160106223 A KR1020160106223 A KR 1020160106223A KR 20160106223 A KR20160106223 A KR 20160106223A KR 101850858 B1 KR101850858 B1 KR 10185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ct
end portion
contact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530A (ko
Inventor
이춘우
고재홍
Original Assignee
고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홍 filed Critical 고재홍
Priority to KR102016010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 보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 및 커버를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고, 몸체와 커버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경량이면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보온 보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보온 보냉용 박스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보온 보냉용 박스에 있어서,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후면 상측과 상기 커버의 후면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접철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와 커버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후 상기 접철 연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덮어져서 상기 수용 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해당하는 몸체 접촉부와 상기 커버의 하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몸체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 경사 접촉부와 적어도 하나의 몸체 수평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커버 접촉부는 상기 몸체 경사 접촉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경사 접촉부와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 수평 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 보냉용 박스{hot and cool insulation box}
본 발명은 보온 보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 및 커버를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고, 몸체와 커버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경량이면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보온 보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온, 보냉용 상자는 수산물 등을 운반할 때에 사용된다. 보통 보온, 보냉을 하려면 스티로폼이라 불리는 eps 또는 그와 비슷한 epp 등의 소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는 뛰어난 보온 기능 대신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보온, 보냉 기능을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 보온, 보냉 상자는 공간 절약형 상자가 아닌 일회용이나 쌓기만 되는 상자들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보온, 보냉 상자는 실생활에서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대상체를 일정한 시간 동안 보존할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 보냉용 상자는 지속적으로 생활 용품으로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사용 과정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생활 용품으로서 보온 보냉용 상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온, 보냉 기능뿐만 아니라 상당한 강성 및 내구성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9303호(공고일 : 2015년 07월 24일, 발명의 명칭 : 보온, 보냉 상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몸체 및 커버를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고, 몸체와 커버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경량이면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보온 보냉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와 커버의 부분 중, 접철 연결수단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성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몸체와 커버의 연결 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온 보냉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와 커버의 접촉되는 부분이 각각 단차진 형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겹쳐질 때 수용 공간 내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온 보냉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 분리홈 및(또는) 공간 분리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용 공간 내에 서로 다른 대상체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온 보냉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보온 보냉용 박스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보온 보냉용 박스에 있어서,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후면 상측과 상기 커버의 후면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접철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와 커버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후 상기 접철 연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덮어져서 상기 수용 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해당하는 몸체 접촉부와 상기 커버의 하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몸체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 경사 접촉부와 적어도 하나의 몸체 수평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커버 접촉부는 상기 몸체 경사 접촉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경사 접촉부와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 수평 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몸체 부분 중, 상기 접철 연결수단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성형되고 나머지 부분은 고배율로 성형되며, 상기 커버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커버 부분 중, 상기 접철 연결수단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성형되고 나머지 부분은 고배율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접촉부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몸체 접촉 고단부와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몸체 접촉 저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접촉부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커버 접촉 고단부와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커버 접촉 저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보온 보냉용 박스에 의하면, 몸체 및 커버를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고, 몸체와 커버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경량이면서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와 커버의 부분 중, 접철 연결수단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성형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와 커버의 연결 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철 부분에 대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와 커버의 접촉되는 부분이 각각 단차진 형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겹쳐질 때 수용 공간 내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와 커버의 접촉되는 부분이 요홈 형태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공간 내의 밀폐력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수용 공간 내의 보온 보냉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 분리홈 및(또는) 공간 분리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수용 공간 내에 서로 다른 대상체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수용 공간 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의 제1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보온 보냉용 박스의 개방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의 제2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보온 보냉용 박스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를 구성하는 몸체 접촉부와 커버 접촉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를 구성하는 몸체 접촉부 중, 몸체의 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형태의 몸체 접촉부와 커버 접촉부를 가지는 보온 보냉용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형태의 몸체 접촉부와 커버 접촉부를 가지는 보온 보냉용 박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보온 보냉용 박스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의 제1 형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온 보냉용 박스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30) 및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로부터 한쪽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30)와 상기 몸체(10)를 결합 연결하는 접철 연결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다만, 상기 몸체(10)의 상단면, 즉 상기 커버(30)가 접촉되는 상단은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몸체(10)의 후면(도 1에서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되는 면) 상측에는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몸체 연결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 연결부(11)는 상기 몸체(10) 후면의 깊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함몰되어 형성되는 몸체 연결부(11)에 부착 연결되는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몸체(10)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 연결부(11)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와 커버(30)는 두 개의 접철 연결수단(50)에 의하여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두 개의 몸체 연결부(11)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30)에도 두 개의 커버 연결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는 그 내부 수용 공간에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대상체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의 수용 공간은 다양한 대상체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고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 분리홈(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간 분리홈(13)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내측면과 양측면(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면에 해당하는 후면에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면)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인홈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 분리홈(13)에는 사각판 형상의 공간 분리판(미도시)이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 분리홈(13)에 공간 분리판이 삽입 배치되면, 상기 몸체의 수용 공간은 상기 공간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로 다른 형상의 대상체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대상체를 상기 공간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된 서로 다른 공간에 수용 적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형태 또는 종류를 가지는 다양한 대상체를 수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수용 공간에는 상기 공간 분리홈(13)과 함께 또는 별개로 공간 분리턱(1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간 분리턱(14)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내측면과 양측면(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면에 해당하는 후면에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면)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출턱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 분리턱(14)을 걸림 부분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 또는 종류의 대상체들을 상기 수용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수용 및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 분리턱(14)에는 사각판 형상의 공간 분리판(미도시)이 끼워지거나(제1 형태) 또는 기대어져서(제2 형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태는 상기 공간 분리판의 측단면에 상기 공간 분리턱(14)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 분리턱(14)에 상기 공간 분리판이 결합된 경우이고, 상기 제2 형태는 상기 공간 분리턱(14)의 일측에 상기 공간 분리판을 배치하여 상기 공간 분리판이 상기 공간 분리턱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 분리턱(14)에 상기 공간 분리판이 배치되면, 상기 몸체의 수용 공간은 상기 공간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로 다른 형상의 대상체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대상체를 상기 공간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된 서로 다른 공간에 수용 적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형태 또는 종류를 가지는 다양한 대상체를 수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상 특징을 가지는 몸체(10) 상부에는 상기 커버(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1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수용 공간을 밀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30)의 하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접촉부(37)는 상기 몸체(10)의 상단면에 해당하는 몸체 접촉부(17)에 간극이 최소화되도록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밀폐력이 증대시킬 수 있는 접촉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 공간을 덮고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상기 커버(30)의 하단면, 즉 상기 몸체(10)에 접촉되는 하단은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커버30)의 후면(도 1에서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되는 면) 하측에는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커버 연결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연결부(31)는 상기 커버(30) 후면의 깊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함몰되어 형성되는 커버 연결부(31)에 부착 연결되는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커버(30)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 연결부(31)는 상술한 몸체 연결부(11)와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와 커버(30)는 두 개의 접철 연결수단(50)에 의하여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커버 연결부(31)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10)에도 두 개의 몸체 연결부(11)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상 특징을 가지는 커버(30)는 상기 몸체(10)에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특정 부분과 상기 커버(30)의 특정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후면 상측과 상기 커버의 후면 하측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경첩 등의 접철 가능한 수단이면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 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연결부(11)와 커버 연결부(31) 역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상 특징 및 결합 구조를 가지는 보온 보냉용 박스(100)는 기본적인 기능, 즉 보온 또는 보냉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티로폼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0)와 커버(30)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후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를 구성한다.
물론,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몸체(10)와 커버(30)의 특정 부분에 부착 연결되기 때문에, 부착 부분에 대한 강도는 어느 정도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는 상기 몸체(10) 상부에 상기 커버(30)가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하여 폐쇄한다. 따라서, 밀폐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상단면과 상기 커버(30)의 하단면은 밀착될 필요성이 있다. 즉,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에 덮어져서 상기 수용 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몸체(10)의 상단면에 해당하는 몸체 접촉부(17)와 상기 커버(30)의 하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접촉부(37)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몸체(10)와 커버(30)를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30)는 보온 보냉용 박스(100)의 전체 부피 및 상기 수용 공간의 확보 측면을 고려하여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버(30)는 구조적인 변형을 통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커버(30)와 접촉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30)의 구조적인 변형에 따라서 함께 구조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커버(30) 및 몸체(10)의 강도를 보강 및 유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양측면(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후면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면) 상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몸체 접촉부(17)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 경사 접촉부(17a)와 적어도 하나의 몸체 수평 접촉부(17b)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커버 접촉부(37)는 상기 몸체 경사 접촉부(17a)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경사 접촉부(37a)와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17b)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 수평 접촉부(37b)로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17)가 하나의 몸체 경사 접촉부(17a)와 하나의 몸체 수평 접촉부(17b)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30)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37)가 상기 몸체 경사 접촉부(17a)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하나의 커버 경사 접촉부(37a)와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17b)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하나의 커버 수평 접촉부(37b)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를 구성하는 몸체(10)는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후면을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고, 이 후면과 마주보는 전면의 높이를 상기 후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상단은 각각 대칭적으로, 상기 후면에서 전면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몸체 경사 접촉부(17a)가 형성되고, 이후 수평한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17b)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의 커버가 몸체에 결합되어 수용 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몸체 접촉부(17)와 상기 커버 접촉부(37)는 밀착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몸체 경사 접촉부(17a)와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17b)로 구성되는 몸체(10)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17)에 대응하여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 접촉부(37) 역시,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하단은 각각 대칭적으로, 상기 커버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커버 경사 접촉부(37a)가 형성되고, 이후 수평한 상기 커버 수평 접촉부(37b)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17)가 몸체 경사 접촉부(17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37)가 상기 몸체 경사 접촉부(17a)에 대응 접촉하는 상기 커버 경사 접촉부(37a)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몸체 수평 접촉부로만 이루어진 일반적인 수평한 커버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커버(30)를 지지하는 상기 몸체(10)의 부분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0)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커버(3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강도 및 견고성은 기존 형태(수평한 커버를 적용하는 형태)에 비하여 증가한다.
한편, 상술한 몸체 경사 접촉부(17a)를 포함하는 몸체 접촉부(17)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경사 접촉부(37a)를 포함하는 커버 접촉부(37)는 또 다른 몸체 경사 접촉부(17a)와 커버 경사 접촉부(37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17)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몸체 수평 접촉부(17b)와, 이 몸체 수평 접촉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몸체 경사 접촉부(17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17)는 후면에서 시작하여 전면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몸체 경사 접촉부(17a)와, 이후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몸체 수평 접촉부(17b)와 이후 다시 높이가 낮아지면서 전면까지 형성되는 또 다른 몸체 경사 접촉부(17a)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30)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37)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커버 수평 접촉부(37b)와, 이 커버 수평 접촉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커버 경사 접촉부(37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30)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37)는 후면에서 시작하여 전면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커버 경사 접촉부(37a)와, 이후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 수평 접촉부(37b)와 이후 다시 높이가 낮아지면서 전면까지 형성되는 또 다른 커버 경사 접촉부(37a)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조에서, 상기 커버(30)는 양측의 몸체 경사 접촉부(17a)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비하여, 상기 몸체(10)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커버(30)의 하측 방향으로의 강도 및 견고성은 더욱 더 증가하고, 더 나아가 커버의 양측을 동일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커버(30)에 대한 지지 균형이 좋아지고, 이로 인하여 커버의 파손 또는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와 달리,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17)를 더 많은 몸체 경사 접촉부(17a) 및 더 많은 몸체 수평 접촉부(17b)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 접촉부(37) 역시 더 많은 커버 경사 접촉부(37a) 및 더 많은 커버 수평 접촉부(37b)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몸체 및 커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를 성형 제작하기 위한 금형 역시 복잡해지고, 이로 인한 제조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이 필요 이상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성, 균형 및 제조 단가 등을 고려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접촉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는 도 1 및 도 2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네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의 바깥쪽 면에는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부(1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체(10) 및 커버(30)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보온 보냉용 박스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에 대한 파손 또는 내구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몸체(10) 부분 중,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성형되고 나머지 부분은 고배율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30)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커버(30) 부분 중,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성형되고 나머지 부분은 고배율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후면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 연결부(11)와 상기 커버(30)의 후면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 연결부(31)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몸체(10)와 상기 커버(30)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을 상기 몸체 연결부(11)와 커버 연결부(31)에 부착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 연결부(11)와 커버 연결부(31)가 강성이 부족하면, 상기 접철 연결수단(50)의 부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고, 부착이 되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힘이 가해지면 몸체 연결부(11)와 커버 연결부(31)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 연결부(11)와 커버 연결부(31)는 강성이 충분하도록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몸체(10) 및 커버(30) 전체를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여 형성하면, 전체적인 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지만,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도가 보장되어야 할 부분, 즉 상기 몸체 연결부(11)와 커버 연결부(31)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비중이 높은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단가가 낮은 고배율로 발포 성형하여 상기 몸체(10)와 커버(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상기 몸체(10) 및 커버(30)는 각각 해당 금형을 이용하여 발포 성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10)는 해당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 연결부(11) 부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저배율로 발포 성형될 수 있도록 1차 공정을 진행하고, 그 후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고배율로 발포 성형될 수 있도록 2차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 역시 해당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 연결부(31) 부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저배율로 발포 성형될 수 있도록 1차 공정을 진행하고, 그 후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고배율로 발포 성형될 수 있도록 2차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몸체 연결부(11)와 한 쌍의 커버 연결부(31)는 각각 해당 금형에서 1차 공정 과정에서 저배율로 발포 성형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몸체 연결부(11)는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몸체 연결부(11)를 저배율 성형하기 위한 금형 구조물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커버 연결부(31) 역시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커버 연결부(31)를 저배율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 구조물을 적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몸체 연결부(11) 및 한 쌍의 커버 연결부(31)를 각각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기 위한 금형 구조물 및 공정 과정이 필요 이상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몸체 연결부(11)를 포함하는 상기 몸체(10)의 일부 영역, 즉 도 1에 도시된 몸체 연결 영역부(12)를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고배율로 발포 성형하여 최종적으로 몸체(10)를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커버 연결부(31)를 포함하는 상기 커버(30)의 일부 영역, 즉 도 1에 도시된 커버 연결 영역부(32)를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고배율로 발포 성형하여 최종적으로 커버(30)를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는 그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밀폐력이 향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몸체 접촉부(17)와 상기 커버(30)의 커버 접촉부(37)의 접촉 구조는 종래와 같이 평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차 구조를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10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접촉부(17)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몸체 접촉 고단부(15)와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몸체 접촉 저단부(1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접촉부(37)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16)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커버 접촉 고단부(35)와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3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커버 접촉 저단부(3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0) 상에 상기 커버(30)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 접촉부(37)의 커버 접촉 저단부(36) 상에 상기 몸체 접촉부(17)의 몸체 접촉 고단부(15)가 밀착 접촉되고, 상기 커버 접촉부(37)의 커버 접촉 고단부(35) 상에 상기 몸체 접촉부(17)의 몸체 접촉 저단부(16)가 밀착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 접촉부(17)와 상기 커버 접촉부(37)가 단차 구조로 밀착 접촉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 공간의 기밀성 또는 밀폐성을 더욱더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구조를 변경을 가할 필요성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와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의 접촉 부분과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16)와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35)의 접촉 부분에 대한 구조를 변경하여 밀폐력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의 접촉면에는 깊이 방향으로 함몰된 몸체 접촉 오목부(15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의 접촉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접촉 볼록부(3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 상에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가 접촉되면, 상기 커버 접촉 볼록부(36a)가 상기 몸체 접촉 오목부(15a)에 삽입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 접촉부(17)와 상기 커버 접촉부(37) 사이의 기밀성 및 밀폐성은 더욱더 향상된다.
한편, 상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의 접촉면에 몸체 접촉 오목부(15a) 대신에 그 반대 형상인 몸체 접촉 볼록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 역시 상기 커버 접촉 볼록부(36a) 대신에 그 반대 형상인 커버 접촉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의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의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될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몸체 접촉 고단부(15)와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의 접촉면의 구조상 특징과 함께 또는 별개로,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16)와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35)에도 역시 구조상 특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16)의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36)의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될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밀폐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의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36)의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16)의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36)의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는 상기 몸체 접촉부(17)와 커버 접촉부(37)가 두개의 접촉면(몸체 접촉 고단부와 커버 접촉 저단부의 접촉면과 몸체 접촉 저단부와 커버 접촉 고단부의 접촉면)을 통해 접촉된다. 그런데, 상기 몸체 접촉부(17)와 커버 접촉부(37) 사이의 단차진 접촉면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밀폐성을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접촉부(17)를 가운데 부분에 돌출 형성된 몸체 접촉 고단부(15)와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된 몸체 접촉 저단부(16)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접촉부(37)을 가운데 부분에 오목 형성되어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15)에 접촉되는 커버 접촉 저단부(36)와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16)에 각각 접촉되는 커버 접촉 고단부(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 구조(도 8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보온 보냉용 박스는 상기 몸체 접촉부(17)와 커버 접촉부(37)가 세개의 접촉면(하나의 몸체 접촉 고단부와 하나의 커버 접촉 저단부의 접촉면과, 두 개의 몸체 접촉 저단부와 두 개의 커버 접촉 고단부가 각각 대응하여 접촉하는 두 개의 접촉면)을 통해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의 밀폐성을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용 박스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몸체 접촉 고단부(15)의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의 커버 접촉 저단부(36)의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함과 동시에, 상기 두 개의 몸체 접촉 저단부(16)의 각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두 개의 커버 접촉 고단부(36)의 각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밀폐성을 가장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조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몸체 연결부
12 : 몸체 연결 영역부 13 : 공간 분리홈
14 : 공간 분리턱 15 : 몸체 접촉 고단부
15a : 몸체 접촉 오목부 16 : 몸체 접촉 저단부
17 : 몸체 접촉부 17a : 몸체 경사 접촉부
17b : 몸체 수평 접촉부 19 : 손잡이부
30 : 커버 31 : 커버 연결부
32 : 커버 연결 영역부 35 : 커버 접촉 고단부
36 : 커버 접촉 저단부 36a : 커버 접촉 볼록부
37 : 커버 접촉부 37a : 커버 경사 접촉부
37b : 커버 수평 접촉부 50 : 접철 연결수단
100 : 보온 보냉용 박스

Claims (3)

  1. 보온 보냉용 박스에 있어서,
    대상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로부터 접철 가능하게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후면 상측과 상기 커버의 후면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접철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와 커버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후 상기 접철 연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덮어져서 상기 수용 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 해당하는 몸체 접촉부와 상기 커버의 하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몸체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몸체 부분 중, 상기 접철 연결수단이 부착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 연결부는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연결 영역부는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고, 나머지 부분은 고배율로 발포 성형하며, 상기 커버는 발포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커버 부분 중, 상기 접철 연결수단이 부착 연결되는 한 쌍의 커버 연결부는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버 연결 영역부는 저배율로 발포 성형하고, 나머지 부분은 고배율로 발포 성형하고,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 접촉부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몸체 수평 접촉부와 상기 몸체 수평 접촉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몸체 경사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커버 접촉부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커버 수평 접촉부와 상기 커버 수평 접촉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커버 경사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 접촉부는 몸체 접촉 고단부와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몸체 접촉 저단부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의 접촉면에는 몸체 접촉 오목부 또는 몸체 접촉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접촉부는 상기 몸체 접촉 저단부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커버 접촉 고단부와 상기 커버 접촉 고단부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접촉 고단부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커버 접촉 저단부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 접촉 저단부의 접촉면에는 커버 접촉 볼록부 또는 커버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수용 공간에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내측면과 양측면의 내측면을 따라 공간 분리홈 또는 공간 분리턱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분리홈 또는 공간 분리턱에는 공간 분리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박스.
  2. 삭제
  3. 삭제
KR1020160106223A 2016-08-22 2016-08-22 보온 보냉용 박스 KR10185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23A KR101850858B1 (ko) 2016-08-22 2016-08-22 보온 보냉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23A KR101850858B1 (ko) 2016-08-22 2016-08-22 보온 보냉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30A KR20180021530A (ko) 2018-03-05
KR101850858B1 true KR101850858B1 (ko) 2018-04-20

Family

ID=6172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23A KR101850858B1 (ko) 2016-08-22 2016-08-22 보온 보냉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23U (ko) 2018-10-16 2020-04-24 이용숙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100A (ja) * 2005-05-13 2006-11-24 Hashimoto:Kk 携帯用保冷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100A (ja) * 2005-05-13 2006-11-24 Hashimoto:Kk 携帯用保冷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23U (ko) 2018-10-16 2020-04-24 이용숙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30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575B1 (ko)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US20090261111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eful as a cooler
US20130200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Temperature Within a Cooler
JP3195655U (ja) 食品容器
JP2007240021A (ja) 折畳み式保冷庫
WO2014141839A1 (ja) 折り畳み保冷箱
KR102563120B1 (ko) 보냉 백 및 절첩 가능한 보냉 백
KR102255394B1 (ko)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CN101960243B (zh) 冰箱以及相关的存储容器
KR101850858B1 (ko) 보온 보냉용 박스
KR102413932B1 (ko)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JP3211437U (ja) 保冷箱
KR101867463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JP6530682B2 (ja) 合成樹脂製折り畳み容器
KR101539303B1 (ko) 보온, 보냉 상자
KR102105507B1 (ko) 보냉 용기
JP2002022351A (ja) 冷蔵庫の仕切り構造
WO2020255886A1 (ja) 定温容器
JP6073622B2 (ja) 折り畳み箱
KR102605028B1 (ko)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WO2022208651A1 (ja) 冷蔵庫
JP3237364U (ja) 保冷用インナーボックス
WO2002006742A1 (fr) Chambre calorifugee
JP3066852B2 (ja) 保温保冷用容器
US20120024005A1 (en) Beverage 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